ë‚˜ë§Œì˜ ìƒ‰ì„ í–¥í•œ 첫 ê±¸ìŒ – 분채, 봉채 다루기

분채와 ë´‰ì±„ì˜ ê²½ìš° ëŒ€ë‹¤ìˆ˜ì˜ ë¯¼í™” ìž‘ê°€ë“¤ì´ ì¦ê²¨ 사용하는 안료ì´ì§€ë§Œ, í”한 재료ì´ê¸° ë•Œë¬¸ì— ì˜¤ížˆë ¤ 쉽게 ìƒê°í•œ 나머지 â€˜ê¸°ë³¸â€™ì„ ê°„ê³¼í•˜ëŠ” 경우가 많다. ì›í•˜ëŠ” 색ê°, í˜¹ì€ ì›í•˜ëŠ” ë¶„ìœ„ê¸°ì˜ ìž‘í’ˆì„ ë§Œë“¤ê¸° 위해서는 분채와 봉채를 올바로 파악하는 ê²ƒì´ ìš°ì„ ì¼ í„°, ì´ë²ˆ 시간ì—는 민화 작가들ì—게 가장 친숙한 ì´ ìž¬ë£Œë“¤ì˜ íŠ¹ì„±ê³¼ ì‚¬ìš©ë²•ì— ëŒ€í•´ ì‹¬ë„ ìžˆê²Œ ì‚´íŽ´ë³´ê³ ìž í•œë‹¤.

– 글 월간<민화> 편집팀 사진 ì´ì£¼ìš© 기ìž

분채, 봉채, 암채 – í•©ì„±ì•ˆë£Œì˜ ì •ì˜ ë° íŠ¹ì§•

현대 ë¯¼í™”ì— ìžì£¼ 사용ë˜ëŠ” 분채粉彩, 봉채棒彩 ë° ì•ˆì±„é¡”å½©ëŠ” 20세기 후반 ì¼ë³¸ì—서 제조ë˜ì–´ 우리 민화를 비롯한 채색화 안료로 ë§Žì´ ì‚¬ìš©ë˜ê³  있다. ê±°ì˜ ì „ëŸ‰ì„ ì™¸êµ­ì—서 수입하는 ìœ í†µêµ¬ì¡°ì— ì˜í•´ 형질과 íŠ¹ì§•ì— ëŒ€í•œ ì •ë³´ê°€ 미약하거나 ì™œê³¡ëœ ë‚´ìš©ì´ ë§Žë‹¤. 간혹 분채를 ì„채나 토채와 ê°™ì€ ì²œì—°ì•ˆë£Œë¡œ 잘못 ì¸ì§€í•˜ê³  사용하거나 심지어 채색문화재ì—ë„ ì ìš©ëœ 경우가 있어 올바른 정보를 ì´í•´í•˜ëŠ” ê²ƒì´ ì¤‘ìš”í•˜ë‹¤.
– 글, ìžë£Œ 김현승 ((주)ê°€ì¼ì „통안료 대표)


1. 분채 粉彩

분채는 우수한 천연 호분胡粉과 ë‹¤ìˆ˜ì˜ í™”ê³µ 유, 무기안료를 물리ì ìœ¼ë¡œ 배합하여 특정 목표로 하는 ìƒ‰ì„ ë§Œë“  착색 안료ì´ë‹¤. ë‹¤ì¢…ì˜ í™”í•™ 안료(pigments)를 배합하여 착색하므로 목ì í•˜ëŠ” ê±°ì˜ ëª¨ë“  색ìƒì„ 만들어 낼 수 있다.

1) ë¶„ì±„ì˜ íŠ¹ì§•

분채

분채는 호분과 ì¼ë¶€ ìž‘ê°€ë“¤ì˜ ì¸ì‹ì²˜ëŸ¼ í˜¼í•©ë¬¼ì„ ê³ ì˜¨ì— ì†Œì„±í•˜ì—¬ 제조하는 ê²ƒì€ ì•„ë‹ˆë©°, 다ìŒì˜ 표처럼 ê³ ìœ ì˜ CAS 번호를 지닌 안료를 물리ì ìœ¼ë¡œ 혼합하여 제조한다.
í˜¸ë¶„ì€ í˜„ëž€í•œ í™”ê³µì•ˆë£Œì˜ ìƒ‰ê°ì„ 전통ì ì¸ 색ê°ìœ¼ë¡œ 순화시켜주며, ë†’ì€ ì€í력과 질량ê°ìœ¼ë¡œ ì±„ìƒ‰í™”ì— í•„ìš”í•œ ì±„ìƒ‰ì¸µì˜ ì¤‘ëŸ‰ê°ì„ 실현해 준다. ì„±ë¶„ìƒ ì¹œí™”ì ì´ì§€ ì•Šì€ í™”ê³µ 안료로 ì°©ìƒ‰ëœ ë¶„ì±„ë¼ë¦¬ 혼합할 때ì—ë„ ì²œì—° í˜¸ë¶„ì˜ ì¤‘í•© 작용 ë•ë¶„ì— ìž‘ê°€ë“¤ì€ ìƒ‰ì˜ ì—‰ê¹€ì´ë‚˜ 들뜸 ì—†ì´ ì‚¬ìš©í•  수 있다.
표는 A社가 분채 â€˜ê³ ëŒ€ë…¹ì²­â€™ì„ ì œì¡°í•˜ê¸° 위해 9ê°€ì§€ì˜ ìƒ‰ì†Œë¥¼ 배합하고 있ìŒì„ 보여준다. ì¼ë°˜ì ìœ¼ë¡œ 분채를 만들 때 ë§Žì€ ì¢…ë¥˜ì˜ ìƒ‰ì†Œë¥¼ 착색 경우ì—는 채ë„ê°€ 낮아져 ì–´ë‘¡ê³  답답한 색ê°ìœ¼ë¡œ 발색ë˜ê¸° 쉽고 때로는 합성 발색체 íŠ¹ìœ ì˜ í˜•ê´‘èž¢å…‰ ë¹›ì´ ë‚œë‹¤.

분채 â€˜ê³ ëŒ€ë…¹ì²­â€™ì˜ ì„±ë¶„ 조성표

CAS No. Pigment No.
13**-53-6 pigmentGreen-*
64**-23-3 PigmentYellow-3
————- PigmentWhite-*
1129**-00-8 PigmentWhite-27
12713-03-0 PigmentBrown-**
5***-75-* Pigment******-**
****-**-* Pigment****-*
***-**-* Pigment****-**
*****-**-* Pigment*****-*
2) ë¶„ì±„ì˜ ìž¥ì 

ì¼ë³¸ì—서는 분채를 “수간水干â€ì´ë¼ê³  부르며 ì¼ë°˜ì ìœ¼ë¡œ 편ìƒç‰‡ç‹€ì„ ëˆë‹¤. 착색 í›„ì— ë‚˜ë¬´íŒì— ì œí’ˆì„ ë°œë¼ ê±´ì¡°ì‹œí‚¨ ë’¤ 나무íŒì—서 떼어낸 그대로를 í¬ìž¥í•˜ê¸° 때문ì´ë‹¤. 분채가 ìžì¹« ë³€ìƒ‰ë  ìš°ë ¤ê°€ 있으므로 기계를 사용한 ì—°ë§ˆìž‘ì—…ì„ í•  수 없어서 편ìƒì˜ 분채를 그대로 유통하고 있다.
분채는 천연 í˜¸ë¶„ì„ ì²´ì§ˆë¡œ 사용하므로 ì•„êµì™€ ì ì ˆí•˜ê²Œ ë°°í•©ë˜ë©´ ë°”íƒ•ì§€ì— ì±„ìƒ‰ì‹œ 대단히 ì•ˆì •ëœ ì±„ìƒ‰ì¸µ(Layer)ì„ í˜•ì„±í•œë‹¤. í˜¸ë¶„ì˜ ì¶”ê°€ ë°°í•©ì´ë‚˜ 추가 착색 ê³¼ì •ì„ í†µí•´ 다양한 색ê°ìœ¼ë¡œ 변형시킬 ìˆ˜ë„ ìžˆë‹¤.

3) ë¶„ì±„ì˜ ë‹¨ì 

분채는 ‘ë™ì–‘ì˜ íŒŒìŠ¤í…”(Pastel)’ì´ë¼ê³  ìƒê°í•˜ë©´ ì´í•´ê°€ 쉬우며, 황산바륨 ë˜ëŠ” ì „ë¶„ë¥˜æ¾±ç²‰é¡žì˜ ì €ê°€ 체질안료 대신 ê³ ê°€ì˜ ì²œì—° í˜¸ë¶„ì„ ì‚¬ìš©í•œ 안료ì´ë‹¤. 분채는 화공 유, 무기 안료ì´ìž 착색제로 사용한 착색 안료로서 ì‹œê°„ì´ ì§€ë‚˜ë©´ ìžì™¸ì„ ì— ì˜í•œ í™”í•™ì  íƒˆÂ·ë³€ìƒ‰ì˜ ìš°ë ¤ê°€ 있다. 질박하고 차분한 색ê°ê³¼ ì±„ìƒ‰ì¸µì´ ìž˜ 형성ëœë‹¤ëŠ” ê²ƒì´ ìž¥ì ì´ë‚˜ 호분으로 ì¸í•´ ê°€ì‹œê´‘ì„ ì˜ í¡ìˆ˜ëŸ‰ì´ ë§Žì•„ ê³¼ë„하게 ê°€ë¼ì•‰ì€ ëŠë‚Œì´ 나거나 ì›ìƒ‰ì˜ ë°œëž„í•¨ì„ ìƒì‹¤í•˜ê¸°ë„ 한다.

4) 우수한 ë¶„ì±„ì˜ ì„ íƒ

ì–‘ì§ˆì˜ ì²œì—° 호분과 ì•ˆì •ëœ í™”í•™ê³µí•™ìœ¼ë¡œ ìƒì‚°ëœ 착색제가 ì‚¬ìš©ëœ ì œí’ˆì´ ì¢‹ìœ¼ë©°, 충분한 ì°©ìƒ‰ì˜ ì‹œê°„ì„ ê±°ì³ ë§Œë“  ë¶„ì±„ì˜ ìƒ‰ê°ì´ 깊고 í’ˆì§ˆì´ ìš°ìˆ˜í•˜ë‹¤.
분채를 ì•„êµì— ê°¤ 때 ìƒ‰ë§‰è‰²è†œì´ ë¶„ë¦¬ë˜ì–´ 뜨는 ì œí’ˆì€ ì°©ìƒ‰ ê³¼ì •ì´ ì¶©ë¶„í•˜ì§€ ì•Šì€ ê²ƒì¼ ìˆ˜ 있고, 채색 작업 ì¤‘ì— ë¶“ì´‰ì— ìƒ‰ì´ ë¬¼ë“¤ê±°ë‚˜ ë¶“ì„ ì„¸ì²™í•´ë„ ì§€ì›Œì§€ì§€ 않으면 제조사ì—서 저질 유기안료를 착색제로 ì‚¬ìš©í–ˆì„ ê°€ëŠ¥ì„±ì´ ìžˆë‹¤. 색ê°ì´ íƒí•˜ê±°ë‚˜ ì–´ë‘ìš´ 것 보다는 선명한 색ê°ì„ ì„ íƒí•˜ì—¬ 조채調彩하면서 사용하는 ê²ƒì´ ë°”ëžŒì§í•˜ë‹¤.


2. 봉채 棒彩

봉채

ë´‰ì±„ì˜ ë°œìƒ‰ ì„±ë¶„ì€ ë¶„ì±„ì™€ ë™ì¼í•˜ë©° ë¶„ì±„ì˜ ê³ ìš´ ìž…ìžë¥¼ ì•„êµ ë“±ì˜ ì ‘ì°©ì œì— ë°°í•©í•˜ê³  막대기 형태로 건조한 것ì´ë‹¤. 실제로 몇몇 색ìƒì˜ 분채를 ì•„êµì™€ 함께 혼합한 후 다시 ê±´ì¡° 시키면 특별한 색ê°ì˜ 봉채를 ì–»ì„ ìˆ˜ 있다.
ë´‰ì±„ì— í•¨ìœ ëœ ì•„êµì˜ ë†ë„ê°€ 너무 낮으면 쉽게 갈리나 별ë„ì˜ ì•„êµë¥¼ 첨가하여야 안료가 ë°”íƒ•ì§€ì— ì•ˆì •ìœ¼ë¡œ ì°©ìƒë˜ë©°, 반대로 너무 진하면 ë³´ê´€ ì¤‘ì— ê³µê¸°ì˜ ìŠµë„ì— ì˜í•´ ì•„êµê°€ 녹아나거나 갈아쓰기 어려울 수 있다.
천연 유기안료(ì—°ì§€, 쪽)를 대신하여 바림ì´ë‚˜ 담채화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ìƒí’ˆì´ë©° 실용ì ì´ë‹¤.


3. 안채 顔彩

안채

기본ì ìœ¼ë¡œ 봉채와 ë™ì¼í•œ 재료를 ì ‘ì‹œì— ë‹´ì•„ 건조시킨 ìƒí’ˆì´ë©°, ì¼ë³¸ì—서는 íœ´ëŒ€ì„±ì— ì¤‘ì ì„ ë‘” 파ìƒìƒí’ˆì´ë¼ê³  í•  수 있다. ë¬¼ì„ í¡ìˆ˜í•œ 붓촉으로 í‘œë©´ì„ ë…¹ì—¬ë‚´ë©´ì„œ 사용하는 안료ì´ë‹¤. êµì°©ì œì˜ ë°°í•© ë†ë„와 ê±´ì¡°ê°€ 기술 관건ì´ë©°, ìž…ìžê°€ 충분히 곱지 못한 경우ì—는 바닥 ë¶€ë¶„ì— êµµì€ ìž…ìžê°€ 침전ë˜ê¸°ë„ 한다. 역시 민화ì—서는 담채화나 ë¶„ì±„ì˜ ë°”ë¦¼ì— ì£¼ë¡œ 사용ëœë‹¤.

노윤숙, <화조ë„>


ì •ì œëœ ì•ˆë£Œì˜ ìžì—°ìŠ¤ëŸ¬ìš´ 발색

채색화는 바탕재와 ì•ˆë£Œì˜ ê²°í•©ì´ë‹¤. 전통 ì±„ìƒ‰ì˜ ê²°í•©ì—ì„  ì•„êµì˜ ì—­í• ì´ ì¤‘ìš”í•˜ë‹¤.
바탕 작업과 채색 ë‹¨ê³„ì— ë”°ë¼ ì•„êµì˜ ë†ë„를 ì ì ˆížˆ 조절하고,
ì •ì œëœ ì•ˆë£Œì™€ ìžì—° 염료를 사용하면 ìžì—°ìŠ¤ëŸ¬ìš´ ë°œìƒ‰ì„ ì´ëŒì–´ë‚¼ 수 있다.

– 시연 노윤숙 작가


재료 준비

ê±´ì¡°ëœ ì—°ìžŽì€ ë”°ëœ»í•œ ë¬¼ì— 12시간 ì •ë„ ë‹´ê°€ 놓고 진한 ë…¸ëž€ë¹›ì´ ê°ëŒ
때까지 ì—¼ì•¡ì„ ìš°ë ¤ë‚´ë©°, 커피 여과지를 사용해 ìžŽì„ ê±¸ëŸ¬ë‚¸ë‹¤.
연잎 외ì—ë„ íšŒí™”ë‚˜ë¬´ê½ƒ, ì¹˜ìž ë“± 다양한 ìžì—° 염료를 ê²½ë™ì‹œìž¥ 약재ìƒ
ì—서 구입해 ë°”íƒ•ìƒ‰ì„ ë‚´ëŠ”ë° í™œìš©í•  수 있다.


초본 ë° ë°”íƒ• 작업


1. 초본 ìœ„ì— ìˆœì§€ë¥¼ 고정해놓고, 종ì´ì˜ í‘œë©´ì´ ë§¤ë„러운 ìª½ì— ë¨¹ì˜ ë†ë„를 조절해 ê½ƒì€ ë‹´ë¬µæ·¡å¢¨, 새와 ë‚˜ë­‡ìžŽì€ ì¤‘ë¬µé‡å¢¨, 나무는 ë†ë¬µæ¿ƒå¢¨ìœ¼ë¡œ 그린다. 전통 채색ì—서는 ì±„ìƒ‰ì¸µì„ ê²¬ê³ í•˜ê²Œ 하는 ì•„êµí¬ìˆ˜ê°€ 중요하다. 모í¬ë¥¼ 깔고 한 ê·€í‰ì´ì— 초를 뜬 순지를 ì˜¬ë ¤ë†“ì€ ë’¤, 연잎 우린 물과 êµë°˜ìˆ˜ë¥¼ 섞어 í‰ë¶“ì„ ì´ìš©í•´ 순지가 골고루 ì ì…”ì§€ë„ë¡ í•œ 방향으로 í¬ìˆ˜í•œë‹¤. í‰ë¶“ì€ ë¬¼ì— ì¶©ë¶„ížˆ ì ì…” 놓았다가 물기를 제거해서 사용하며, í¬ìˆ˜í•  때 종ì´ê°€ í¬ë—í¬ë—하거나 ì–¼ë£©ì´ ì§€ì§€ 않았는지, êµë°˜ìˆ˜ê°€ ì¼ì •한 ë‘께로 칠해졌는지 확ì¸í•´ì•¼ 한다.


2. ì•„êµí¬ìˆ˜ê°€ ë나면 순지를 들어 êµë°˜ìˆ˜ê°€ í™”ë©´ì— ê³ ë¥´ê²Œ í¼ì§€ë„ë¡ í•˜ê³ , 마른 ëª¨í¬ ìœ„ì— ì˜®ê²¨ì„œ í‰í‰í•œ ìƒíƒœë¥¼ 유지한 채 ë§ë¦°ë‹¤. ë˜í•œ ì—¼ì•¡ì˜ ë¹›ê¹”ì´ ì€ì€í•˜ê²Œ 배어나올 ì •ë„ë§Œ ë°”íƒ•ìƒ‰ì„ í‘œí˜„í•´ì•¼ 하기 ë•Œë¬¸ì— ìžì—°ì±„ê´‘ì´ ìžˆëŠ” ë‚®ì— ìž‘ì—…í•˜ë©°, 비가 오거나 실내가 추운 경우ì—는 종ì´ê°€ ë”디게 마르므로 í¬ìˆ˜ ìž‘ì—…ì„ í•˜ì§€ 않는 ê²ƒì´ ì¢‹ë‹¤.


ë°¤ì— ì§„í•˜ê²Œ 칠한 바탕색(좌)ê³¼ ìžì—°ì±„ê´‘ 아래서 칠한 바탕색(ìš°) 비êµ

밑색 칠하기

ê°€ë£¨í˜•íƒœì˜ ë¶„ì±„ëŠ” 채ë„ê°€ 높고 ì•„êµë¡œ 곱게 개어서 사용한다. ì•„êµê°€ ì„žì¸ ë´‰ì±„ëŠ” 색ê°ì´ ë§‘ê³  물로 녹여서 사용한다. ë°‘ìƒ‰ì€ ë°ì€ 색으로 칠하며, ê·¸ ìœ„ì— ë°˜ë³µí•´ì„œ 안료를 쌓아올려야 하기 ë•Œë¬¸ì— ë¬½ê³  연하게 칠한다.


3. 분채나 í˜¸ë¶„ì„ ì•„êµì— 곱게 개는 ìž‘ì—…ì„ ì†Œí™€ížˆ 하면, 그림ì—서 ìƒ‰ì´ ë–¨ì–´ì ¸ë‚˜ê°€ê±°ë‚˜ ë°”ë¦¼ì´ ìˆ˜ì›”í•˜ì§€ ì•Šì„ ìˆ˜ 있다. 물기가 없는 ì ‘ì‹œì— í˜¸ë¶„ì´ ì¶©ë¶„í•˜ê²Œ ì ì‹¤ë§Œí¼ ì•„êµìˆ˜ë¥¼ 넣고, 둥근 유화용 나ì´í”„로 ìž…ìžê°€ ëŠê»´ì§€ì§€ ì•Šì„ ì •ë„로 갠다. 개어 ë†“ì€ í˜¸ë¶„ì— ì„¸ë°° 가량 ë¬¼ì„ ë„£ê³  ìˆ˜ë¹„ë²•æ°´é£›æ³•ì„ ì‚¬ìš©í•´ ìž…ìžê°€ í° ì•ˆë£Œë¥¼ ê°€ë¼ì•‰ížˆê³ , ë¬¼ì— ëœ¨ëŠ” 부분만 꽃잎 ë°‘ìƒ‰ì— ì‚¬ìš©í•œë‹¤.


4. í˜¸ë¶„ì´ í•œ ë²ˆì— ë‘ê»ê²Œ 올ë¼ê°€ë©´ ë°”ë¦¼ì´ ì–´ë µë‹¤. 접시 가장ìžë¦¬ì— ë¶“ì„ ë‹¦ì•„ë‚´ë©° 수비를 ê±°ì³ ë§‘ì•„ì§„ í˜¸ë¶„ì„ ìž¥ë¯¸ ê½ƒìžŽì— 2~3회 칠한다. ìˆ˜ì„ í™”ì˜ ê½ƒìžŽì€ í˜¸ë¶„ì— ë´‰ì±„ ì—°ë…¸ëž‘ì„ ì¡°ê¸ˆ 갈아 넣어 채색한다.


5. 분채를 ê°¤ 때 ì•„êµì˜ ë†ë„ê°€ ì ë‹¹í•˜ì§€ 않으면 ë°œìƒ‰ì´ ë‹¬ë¼ì§€ê±°ë‚˜ ë°°ì ‘í•  때 ìƒ‰ì´ ë¹ ì§ˆ 수 있으므로 주ì˜í•œë‹¤. ë‚˜ë­‡ìžŽì˜ ì•žìª½ ì´íŒŒë¦¬ëŠ” 분채 ë…¹ì²­ì— í™©ê³¼ í˜¸ë¶„ì„ ì•½ê°„ë§Œ 섞어 ë°‘ìƒ‰ì„ ì¹ í•œë‹¤. 뒤쪽 ì´íŒŒë¦¬ëŠ” ë“±í™©ì„ ë¬¼ë¡œ 갈아서 호분과 ì„žì€ í›„, 봉채 황토를 조금 갈고 íŠœë¸Œë¬¼ê° ë°±ë¡ì„ ë¶“ì— ì•½ê°„ë§Œ ëœì–´ 넣어 채색한다.


6. 마가목 열매는 분채 ì£¼ì— ì ì£¼ë¥¼ 섞어 채색한다. 붉ì€ìƒ‰ 안료를 ê°¤ 때는 다른 안료보다 ì•„êµ ë†ë„를 진하게 해야 바림할 때 ë°‘ìƒ‰ì´ ë‹¦ì´ì§€ 않는다.
7. ìƒˆì˜ ë°°ì™€ ë“±ì€ í˜¸ë¶„, 날개와 머리는 íŠœë¸Œë¬¼ê° ë°±ë¡ì— í˜¸ë¶„ì„ ì¡°ìƒ‰í•´ 채색한다. 나무는 봉채 대ìžì— íŠœë¸Œë¬¼ê° ì€ì„œ(먹+호분)를 섞어 채ë„를 낮춰 칠한다.

봉채 대ìžë§Œ 채색한 나무(ìš°)와 ì€ì„œë¥¼ 섞어 ì—°í•´ì§„ 나무(좌)ì˜ ìƒ‰ê° ì°¨ì´


바림하기

ë°‘ìƒ‰ì´ ë§ˆë¥´ë©´ ë” ì§™ì€ ìƒ‰ í˜¹ì€ ì†Œìž¬ì˜ ê³ ìœ ìƒ‰ìœ¼ë¡œ 안료를 조색해가며 그늘진 부분, 휘어진 부분, 접힌 부분 등 ìž…ì²´ê°ì„ 줄 수 있는 ë¶€ë¶„ì— ë°”ë¦¼ì„ í•œë‹¤. 주로 ì¤‘ì‹¬ë¶€ì¸ ì•ˆìª½ì—서 바깥쪽으로 ì±„ìƒ‰ëœ ì•ˆë£Œë¥¼ 풀어주듯 채색하며, ìƒ‰ì´ ì¤‘ì²©ë ìˆ˜ë¡ ë¬¼ì˜ ì–‘ì„ ë”하고 ì•„êµì˜ ë†ë„를 낮춘다.


8. 장미 ê½ƒìžŽì€ ë¶„ì±„ 산호와 í™ë§¤ë¥¼ 섞어 바림하고, íŠœë¸Œë¬¼ê° í™ë§¤ë¥¼ 조금 ë” ì„žì–´ 짧게 ì†ë°”ë¦¼ì„ í•œë‹¤. ë°”ë¦¼ìƒ‰ì´ ë°‘ìƒ‰ì„ ë‹¤ ë®ì§€ 않ë„ë¡ ê½ƒìžŽ 사ì´ì˜ 경계와 ëë¶€ë¶„ì„ ë‚¨ê¸´ë‹¤. 수선화 ê½ƒìžŽì€ íŠœë¸Œë¬¼ê° ì€ì„œì— 호분, 금다를 조금 섞어 ë†ë„와 ë©´ì ì„ 달리하며 2회 바림한다. 마가목 열매는 가지가 뻗어나가 열매가 무ê²ê²Œ 떨어지는 ë¶€ë¶„ì— ë¶„ì±„ 연지와 ì–‘í™ìœ¼ë¡œ 바림한다. 꽃잎과 마가목 ì—´ë§¤ì˜ ë§ˆê°ì„ ì€ ë°”ë¦¼ìƒ‰ì— ë´‰ì±„ 대ìžë¥¼ 조금 ë”í•´ 그으면 ìžì—°ìŠ¤ëŸ½ë‹¤.


9. ë‚˜ë­‡ìžŽì€ ì•žìª½ ì´íŒŒë¦¬ëŠ” 봉채 초와 본남, 뒤쪽 ì´íŒŒë¦¬ëŠ” 봉채 í™©í† ì— ì£¼ë¥¼ 섞어 바림한다. 앞쪽 ì´íŒŒë¦¬ì˜ ë°”ë¦¼ì€ ìžŽì˜ ì¤‘ì‹¬ì„ ì„ ê¸°ì¤€ìœ¼ë¡œ 굽어진 위쪽과 아래 부분, 뒤쪽 ì´íŒŒë¦¬ëŠ” 굽어진 위쪽과 ë ë¶€ë¶„ì„ í–¥í•˜ë„ë¡ í•œë‹¤. ê°€ìš´ë° ìžŽë§¥ì„ ë”°ë¼ ìžŽì„ ë°˜ì”© 나누어 바림하면 한 ë²ˆì— ë°”ë¦¼í•˜ëŠ” 것보다 깊ì´ê°ì´ ìƒê¸´ë‹¤. 앞쪽 ì´íŒŒë¦¬ì˜ ìžŽë§¥ì€ íŠœë¸Œë¬¼ê° ë†ë¡ì— 금다, 뒤쪽 ì´íŒŒë¦¬ì˜ ìžŽë§¥ì€ ê³ ëŒ€ì£¼ì— ê¸ˆë‹¤ë¥¼ 섞어 가늘게 그린다.

ìžŽë§¥ì„ ë”°ë¼ ë‚˜ëˆ„ì§€ 않고 한 ë²ˆì— ë°”ë¦¼í•œ 모습




10. ìƒˆì˜ ë‚ ê°œ, ê½ì§€ëŠ” 분채 êµ°ì²­ì— í˜¸ë¶„ê³¼ ë¨¹ì„ ì¡°ìƒ‰í•´ 채색 범위를 ì¢í˜€ê°€ë©° 여러 번 바림하고, 깃 ëª¨ì–‘ì„ ë”°ë¼ í˜¸ë¶„ìœ¼ë¡œ ë§ì„ ì„ 그린 ë’¤ ë°”ë¦¼ìƒ‰ì— ë¨¹ì„ ì¡°ê¸ˆ ë”í•´ ê· ì¼í•˜ì§€ ì•Šì€ ëª¨ì–‘ìœ¼ë¡œ í„¸ì„ ì¹œë‹¤. ë°°ì˜ í„¸ì€ ë¶„ì±„ 주와 등황으로 ì•žìª½ì€ ì´˜ì´˜í•˜ê²Œ, ë’¤ìª½ì€ ëŠìŠ¨í•˜ê²Œ 치고 호분으로 ë” ì³ì„œ 마무리한다.

노윤숙

혜정민화연구회 ì§€ë„
(사)한국미술협회 ì´ì‚¬
수ì›ëŒ€í•™êµ ë¯¸ìˆ ëŒ€í•™ì› ê°ì›êµìˆ˜

양금옥, <화병모란ë„>


ê³µë“¤ì¸ ë°”ë¦¼ë§Œí¼ ë¹›ë‚˜ëŠ” 색ê°

ë¹„ë‹¨ì— ê·¸ë¦° <화병모란ë„>를 통해 바탕 ë° ë°”ë¦¼ìž‘ì—…ì˜ ê¸°ë³¸ì— ëŒ€í•´ 알아보ë„ë¡ í•œë‹¤.
ì›í•˜ëŠ” ìƒ‰ì€ í•œ 번 ë§Œì— ë‚˜ì˜¬ 수 없으며 연한 색으로 여러 번 바림할 때 ë§‘ê³  깊ì´ê° 있는 ìƒ‰ì„ ë§Œë“¤ 수 있다.
주요 소재를 중심으로 안료 다루기 기초 ë‚´ìš©ì„ ì‚´íŽ´ë³¸ë‹¤.

– 시연 양금옥 작가


초본 ë° ë°”íƒ• 작업


1. 초본 ìœ„ì— ë¹„ë‹¨ì„ ë†“ê³  시침핀으로 고정시킨 ë’¤ 연한 먹으로 í° ê½ƒìžŽ, 중먹으로 여러 ìƒ‰ì˜ ê½ƒë“¤ì„ ê·¸ë ¤ 초를 뜬다.


2. ìˆ˜í‹€ì— ë”±í’€ì„ ë°”ë¥¸ ë’¤ ì´ˆë³¸ì´ ê·¸ë ¤ì§„ ë¹„ë‹¨ì„ ë‹¹ê¸°ë©° ë¶™ì¸ë‹¤. 비단 ìœ„ì— ì•„êµí¬ìˆ˜ë¥¼ í•  경우 ì²œì´ ëŠ˜ì–´ë‚˜ê¸° ë•Œë¬¸ì— íŒ½íŒ½ížˆ 당긴다.


3. ë¹„ë‹¨ì— í‰ë¶“으로 ì•„êµë¬¼ê³¼ ë°±ë°˜ì„ ì„žì€ êµë°˜ìˆ˜ë¥¼ 골고루 칠한다. (해당 작품ì—서는 알아êµë¡œ 만든 êµë°˜ìˆ˜ 100㎖를 사용) 반수는 비단ì´ë‚˜ ì¢…ì´ ë“± ë°”íƒ•ì— ë§‰ì„ ë§Œë“¤ì–´ 물ê°ì˜ 번ì§ì„ 막고 ë³´í’€ì´ ìƒê¸°ëŠ” ê²ƒì„ ë§‰ì•„ì£¼ë©° 천연 ì•„êµì˜ 경우 오랜 기간 ìƒ‰ì„ ë³´ì¡´í•  수 있다. ì•„êµì˜ ë†ë„ê°€ 진하면 실í¬ê°€ ê°ˆë¼ì§ˆ 수 있으므로 ë†ë„ ì¡°ì ˆì— ìœ ì˜í•˜ë„ë¡ í•œë‹¤.

tip êµë°˜ìˆ˜ 만들기

물아êµ
사용하기 편리해 입문ìžë“¤ì´ ì‚¬ìš©í•˜ê¸°ì— ì¢‹ë‹¤. 분채 사용시 ê¶Œìž¥ë¹„ìœ¨ì€ ë¬¼ì•„êµ : 물 = 3 : 7 ì´ë‹¤.

막대아êµ
펜치로 막대아êµ(20g)를 2~4등분하여 ìœ ë¦¬ë³‘ì— ë„£ê³  물 100㎖를 부어 6시간 ë™ì•ˆ 놓아둔다.
ì´íŠ¿ë‚  ëƒ„ë¹„ì— ë¬¼ì„ ê°€ë“ ë„£ì€ ë’¤ 불린 ì•„êµê°€ 담긴 ê·¸ë¦‡ì„ ë†“ê³  중탕한다.
ë¬¼ì´ ë“어오르면 약한 ë¶ˆì— ê³„ì† ì €ì–´ê°€ë©° 녹여준다. ë°±ë°˜ì€ 1g 넣는다.

알아êµ
ì•Œì•„êµ 1½ í‹°ìŠ¤í‘¼ì— ë¬¼ 200㎖, í˜¹ì€ ì•Œì•„êµ : 물 = ìƒìˆ˜ëšœê»‘ 1ê°œ : 종ì´ì»µ 1ìž”, 백반 쌀 1알 í¬ê¸°ë¥¼ 넣는다.
막대아êµì²˜ëŸ¼ 중탕하여 사용하거나 ì´ ê³¼ì •ì´ ë²ˆê±°ë¡­ë‹¤ë©´ ë Œì§€ì— 30ì´ˆ ì •ë„ ëŒë ¤ 사용한다.


밑색 칠하기

분채(호분) : êµë°˜ìˆ˜ = 1티스푼 : 3í‹°ìŠ¤í‘¼ì˜ ë¹„ìœ¨ë¡œ êµë°˜ìˆ˜ë¥¼ 넣고 분채를 갠다. ì´ë•Œ í—¤ë¼(유화 나ì´í”„)를 ì‚¬ìš©í•´ë„ ë˜ì§€ë§Œ ìž…ìžë¥¼ 최대한 곱게 개기 위해 ì†ê°€ë½ìœ¼ë¡œ 개는 ê²ƒì´ ì¢‹ë‹¤. 분채를 êµë°˜ìˆ˜ì— 30ë¶„ ì •ë„ ë‹´ê°€ 놓으면 분채를 ë”ìš± 쉽게 ê°¤ 수 있다. í˜¸ë¶„ì˜ ê²½ìš° ì „ìš© 약사발과 ë¶“ì„ ë³„ë„로 구분해ë‘ë©´ 관리하기 편하다.


4. 연한 색부터 채색한다. 호분으로 í°ìƒ‰ 모란과 ì—°ê½ƒì˜ ë°‘ìƒ‰ì„ ê¼¼ê¼¼ížˆ 잘 칠한다. 초보ìžë“¤ì´ 채색 작업 과정ì—서 ì†ì— 안료가 묻는 걸 간과하는 경우가 ë§Žì€ë°, ë¶“ì„ ì¥” ì†ë°”ë‹¥ ì•„ëž˜ì— íœ´ì§€ë¥¼ ë°›ì³ë†“으면 채색 작업시 ì†ì— 안료가 묻는 ê²ƒì„ ë°©ì§€í•  수 있다.
5. í˜¸ë¶„ì— ë¶„ì±„ 황토 ì‚´ì§ ë„£ì–´ 복숭아를 칠하고 ì—¬ê¸°ì— í™©í† ë¥¼ 조금 ë” ë„£ì–´ ì„류를 칠한다. 봉채를 쓸 때는 ë¬¼ì„ ì ë‹¹ëŸ‰ 부어 ë¨¹ì„ ê°ˆ ë“¯ì´ ê°ˆì•„ì„œ 쓴다. 봉채를 ë§Žì´ ê°ˆë©´ 진하며 í리게 사용하고 싶다면 ë¬¼ì„ ë§Žì´ ë„£ì–´ 사용한다.
6. 봉채 주í™ìœ¼ë¡œ ë¶‰ì€ ëª¨ëž€, 봉채 본남으로 í™”ë³‘ì„ ì¹ í•œë‹¤. 분채 녹청, 분채 주황, 분채 황토를 2:1:1ì˜ ë¹„ìœ¨ë¡œ ì„žì€ ìƒ‰ìœ¼ë¡œ ë‚˜ë­‡ìžŽì„ ì¹ í•˜ê³  분채 녹청으로 ì—°ìžŽì„ ì¹ í•œë‹¤.


바림하기

ì†Œìž¬ì˜ ì¢…ë¥˜ ë° íŠ¹ì„±ì— ë”°ë¼ ë°”ë¦¼í•˜ëŠ” ë°©ë²•ì´ ê°ê° 다르다. 채색필로 ì›í•˜ëŠ” ìƒ‰ì„ ì±„ìƒ‰ 후 해당 ë©´ì ì´ 마르기 ì „ì— ë¬¼ì„ ë¬»ížŒ 바림필로 ë‘세 번 바림해 ìžì—°ìŠ¤ë ˆ ê·¸ë¼ë°ì´ì…˜ì„ 준다.


7. 기본ì ìœ¼ë¡œ ë¶“ì„ ì„¸ì›Œ 바림하지만(7-1) ë¶“ì˜ ì¤‘ê°„ë¶€ë¶„ê¹Œì§€ ë‹¿ì„ ì •ë„로 바림하면(7-2) 한 ë²ˆì— ë°”ë¦¼í•  수 있는 ë©´ì ì´ í¬ë¯€ë¡œ 바림면ì ì— ë§žì¶° ë¶“ì„ ì‚¬ìš©í•œë‹¤. 봉채 ë³¸ë‚¨ì— ë¨¹ì„ ì¡°ê¸ˆ 섞어 ë‚˜ë­‡ìžŽì„ ë°”ë¦¼í•˜ë©° 해당 ë¶€ë¶„ì´ ë§ˆë¥´ê³  나면 분채 주í™ì„ ê°™ì€ ë°©ì‹ìœ¼ë¡œ 바림한다. 나뭇잎 ë’·ë©´ì€ ë¶„ì±„ 녹청, 황토, 주í™ì„ 섞어 채색한다.(7-3) ì´ì²˜ëŸ¼ ë¹„ë‹¨ì´ ë°”íƒ•ì¼ ê²½ìš° 비단 ë’·ë©´ì— ìƒí˜¸ ë³´ì™„ì´ ë˜ê±°ë‚˜ 앞면과 ê°™ì€ ìƒ‰ì„ ì¹ í•˜ëŠ” 배채背彩 ë°©ë²•ì„ í†µí•´ 색ê°ì„ ë”ìš± 선명하거나 ìžì—°ìŠ¤ë ˆ 표현할 수 있다.


8. 분채 ì–‘í™ê³¼ êµ°ì²­ì„ ì„žì–´ ë³´ëžë¹› 모란꽃, 분채 연지로 ë¶‰ì€ ëª¨ëž€ ê½ƒìžŽì„ ë°”ë¦¼í•œë‹¤, ì´ë•Œ ê½ƒìžŽì´ ì„œë¡œ ë§žë‹¿ì€ ë¶€ë¶„ì€ ì™¸ê³½ìœ¼ë¡œë¶€í„° 0.1㎜ ë„워 바림한다. 바림할 때는 ìƒ‰ì´ ë§‘ê²Œ 나올 수 있ë„ë¡ ë¶“ì„ ê¹¨ë—ì´ ì”»ì€ ë’¤ 물기를 빼고 ì•ˆë£Œì— ë‹´ê°€ 사용하는 ê²ƒì´ ì¤‘ìš”í•˜ë‹¤.


9. ì—°ìžŽì˜ ìžŽë§¥ì„ í‘œí˜„í•˜ê¸° 위해 잎맥 ê°„ ê³µê°„ì„ ì¡°ê¸ˆ ë„워 바림한다. 봉채 본남으로 연하게 바림한 ë’¤ 바림한 ë©´ì ì´ 마르고 나면 다시 ê°™ì€ ë¶€ë¶„ì„ ë‘세번 바림하면 색ê°ì„ 한층 진하고 ê¹Šì´ ìžˆê²Œ 표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봉채 대ìžë¡œ 잎 ëë¶€ë¶„ì„ ë°”ë¦¼í•œë‹¤.


10. 연꽃과 복숭아 ë ë¶€ë¶„ì€ ë¶„ì±„ ì–‘í™ìœ¼ë¡œ 바림한다. í˜¸ë¶„ì´ ì±„ìƒ‰ëœ ê²½ìš° ë°”ë¦¼ì´ ìž˜ 안ë˜ë¯€ë¡œ ë°”ë¦¼ë¶“ì„ ëˆ•í˜€ ì‚´ì‚´ 바림하ë„ë¡ í•œë‹¤. 복숭아 ë’·ë©´ì— ë´‰ì±„ ë³¸ë‚¨ì— ë¶„ì±„ ë…¹ì²­ì„ ì„žì€ ìƒ‰ì„ ì¹ í•´ ìžì—°ìŠ¤ëŸ¬ìš´ ë³µìˆ­ì•„ë¹›ì„ í‘œí˜„í•œë‹¤.


11. ì„류는 분채 연지로 ë°‘ìƒ‰ì„ 1ì°¨ 바림 후 분채 ì ëŒ€ìžì™€ ì–‘í™ì„ 섞어 2ì°¨ 바림한다. 복숭아처럼 í‘œë©´ì´ ë§¤ë„럽진 않고 거칠다는 ì ì„ 유ì˜í•´ 색ê°ì´ë‚˜ 붓터치를 비êµì  강하게 바림한다. 투명한 ì„ë¥˜ì•Œì„ í‘œí˜„í•˜ê¸° 위해 ì„류알 ëì—ë§Œ ì ì„ ì°ë“¯ì´ 분채 ì–‘í™ì„ ì°ê³  바림한다.


12. ë°”ë¦¼ì˜ ë°©í–¥ì„ ë‹¬ë¦¬í•¨ìœ¼ë¡œì¨ ê½ƒì„ ë‹¤ì±„ë¡­ê²Œ 표현할 수 있다. ë¶„í™ êµ­í™”ëŠ” 분채 연지로 ëì—서 안쪽으로, 황색 국화는 분채 ì—°ì§€ì— í™©í† ë¥¼ 섞어 안쪽ì—서 바깥쪽으로 바림한다.


13. ì„  ìž‘ì—…ì„ ë§ˆë¬´ë¦¬í•´ ìž‘í’ˆì„ ì™„ì„±í•œë‹¤. 분무기로 ìˆ˜í‹€ì— ë¬¼ì„ ë¿Œë ¤ í’€ì„ ë¶ˆë¦° ë’¤ ë¹„ë‹¨ì„ ë–¼ì–´ ìž‘í’ˆì„ ë°°ì ‘í•œë‹¤.

양금옥

ì„œì› ì „í†µë¯¼í™”ì—°êµ¬ì†Œ ìš´ì˜
(사)한국민화협회 ìžë¬¸
가회민화아카ë°ë¯¸ 10기 회장

서민ìž, <ì–´í•´ë„>


ë†ë‹´ê³¼ ìƒ‰ì˜ ë³€ì£¼ë¡œ ë´‰ì±„ì˜ ë§¤ë ¥ ì‹­ë¶„ 발휘

봉채는 êµë°˜ìˆ˜ê°€ 달리 í•„ìš” 없어 사용하기 ê°„íŽ¸í•˜ë©´ì„œë„ íŠ¹ìœ ì˜ ë§‘ì€ ìƒ‰ê° ë•Œë¬¸ì— ë¶„ì±„ì™€ ë”불어 ì¦ê²¨ 사용ë˜ëŠ” 안료다. ë´‰ì±„ì— ë‹¤ì–‘í•œ 색과 ë¨¹ì„ ì„žìœ¼ë©´ í™”ì‚¬í•˜ê³ ë„ íŽ¸ì•ˆí•œ 색ê°ì„ 낼 수 있는ë°, <ì–´í•´ë„>를 통해 봉채 활용íŒì„ 살펴보ë„ë¡ í•œë‹¤. 작품ì—서 사용한 안료는 먹과 í˜¸ë¶„ì„ ì œì™¸í•˜ê³  ëª¨ë‘ ë´‰ì±„ì´ë‹¤.
– 시연 ì„œë¯¼ìž ìž‘ê°€


1차 바림 작업


1. ìˆœì§€ì— ì´ˆë³¸ì„ ê·¸ë¦° ë’¤ êµë°˜ìˆ˜(물 500㎖기준 ì•Œì•„êµ 2½티스푼 분량, 백반 ½티스푼)를 고루 칠한다. ì•„êµí¬ìˆ˜ ìž‘ì—…ì´ ë나면 수ê°ì— ë¨¹ì„ ì¡°ê¸ˆ 넣어 ë°”ìœ„ì— ë§¨ ì²˜ìŒ ë°”ë¦¼í•  ìƒ‰ì„ ë§Œë“ ë‹¤. 봉채를 사용할 때는 ë¬¼ì„ ì¶©ë¶„ížˆ ë„£ì€ ë’¤ ì ‘ì‹œì— ê°ˆì•„ 사용하여 봉채가 지닌 ë§‘ì€ ìƒ‰ê°ì„ 살릴 수 있ë„ë¡ í•œë‹¤.


2. â‘ ì˜ ìƒ‰ìœ¼ë¡œ ë°”ìœ„ì˜ ê·¸ëŠ˜ì§„ ë¶€ë¶„ì„ ë°”ë¦¼í•œë‹¤.


3. ê°™ì€ ìƒ‰ìœ¼ë¡œ 물고기를 바림한다. ëŒì¶œëœ ëˆˆì„ í‘œí˜„í•˜ê¸° 위해 눈 ë°‘ì— ë‹¤í¬ì„œí´ì„ 그리듯 채색필로 수ê°ìƒ‰ì„ 진하게 채색한 ë’¤ 물붓으로 바림한다.
4. 비êµì  탄탄한 부위는 진하게 바림해 힘 있게 표현한다. 몸체와 붙어있는 ì§€ëŠëŸ¬ë¯¸ëŠ” 연한 색으로 바림해 몸체와 ì—°ê²°ëœ ëª¨ìŠµì„ ìžì—°ìŠ¤ë ˆ 묘사한다.
5. 물고기를 묘사할 때는 머리 ë¶€ë¶„ì— ì¤‘ì‹¬ì„ ë‘ê³  ì•žë¶€ë¶„ì„ ì§„í•˜ê²Œ 바림하고 뒤쪽으로 ê°ˆìˆ˜ë¡ ì—°í•˜ê²Œ 바림해야 ì—­ë™ì ì¸ 움ì§ìž„ì„ ì—°ì¶œí•  수 있다.


ë¶“ 하나로 ì¤‘ì²©ëœ ìƒ‰ìƒ í‘œí˜„í•˜ê¸°


6. ë¶“í„¸ì´ ê¸´ ì‚°ìˆ˜í•„ì„ í™œìš©í•˜ë©´ ë‘ ê°€ì§€ 색ìƒì„ 중첩해 표현할 수 있다. 먼저 í™©í† ì— ë¶“ì„ í‘¹ 담궈 충분히 안료를 ì ì‹  ë’¤ ë¶“ ëì— ë…¹ì²­ì„ ì°ì–´ 차륜법으로 ë¬¼í’€ì„ ê·¸ë¦°ë‹¤. ë¬¼í’€ì„ ê±°ë“­ ê·¸ë¦´ìˆ˜ë¡ ë…¹ìƒ‰ì˜ ë¬¼í’€ì´ í™©ìƒ‰ 물풀로 ìžë™ ê·¸ë¼ë°ì´ì…˜ë˜ë©° 다채로운 색ê°ì„ 낼 수 있다.


7. êµ°ì²­ì— ë…¹ìƒ‰ì„ ì„žì€ ìƒ‰ìœ¼ë¡œ ë¬¼í’€ì´ ê²¹ì³ì§„ ë¶€ë¶„ì„ ì¹ í•¨ìœ¼ë¡œì¨ ë¬¼í’€ì— ë¬´ê²Œê°ì„ 준다. ë¬¼ê²°ì˜ ìƒ‰ê³¼ ë¬¼í’€ì˜ ìƒ‰ì´ ê²¹ì³ì§€ë©° ë•…ì— ë°•ížŒ ë¬¼í’€ì˜ ëª¨ìŠµì„ ìž…ì²´ì ìœ¼ë¡œ 묘사하게 ë˜ëŠ” 것ì´ë‹¤.


8. ê°™ì€ ë°©ì‹ìœ¼ë¡œ ì‚°ìˆ˜í•„ì— í™©í† , 그리고 í™©í† ì— ë¨¹ì„ ì„žì€ ìƒ‰ì„ ì°¨ë¡€ë¡œ ì ì‹  ë’¤ 새우와 게를 몰골법(沒骨法, 윤곽선 ì—†ì´ ìƒ‰ì±„ë‚˜ ìˆ˜ë¬µì„ ì‚¬ìš©í•˜ì—¬ 형태를 그리는 화법)으로 그린다.


2차 바림 작업


9. ë°”ìœ„ì˜ 1ì°¨ ë°”ë¦¼ìƒ‰ì´ ë§ˆë¥´ê³  나면 í™©í† ì— ë¨¹ì„ ì„žì€ ìƒ‰ìœ¼ë¡œ 바위를 2ì°¨ 바림한다. 수ê°ìƒ‰ì„ 바림한 ë’¤ í™©í† ìƒ‰ì„ ë°”ë¦¼í•˜ëŠ” ì´ìœ ëŠ” 순서를 거꾸로 í–ˆì„ ê²½ìš° ë°”ìœ„ì˜ ìˆ˜ê°ìƒ‰ ë¶€ë¶„ì´ ë…¹ìƒ‰ìœ¼ë¡œ 표현ë˜ê¸° 때문ì´ë‹¤.


10. í˜¸ë¶„ì— ì£¼ìƒ‰, ì ìƒ‰ì„ ì‚´ì§ ì„žì€ ìƒ‰ìœ¼ë¡œ 물고기 ì§€ëŠëŸ¬ë¯¸ ëì€ ì§„í•˜ê²Œ, ì•ˆìª½ì€ ì—°í•˜ê²Œ 바림하여 투명한 질ê°ì„ 묘사한다. ë¬¼ê³ ê¸°ì˜ ëª¸ì²´ì™€ ë³´ìƒ‰ì¸ ìƒ‰ì„ í™œìš©í•¨ìœ¼ë¡œì¨ ê·¸ë¦¼ì— ìƒë™ê°ì„ 주었다. 물고기 ìž…, ì•„ê°€ë¯¸ë„ ê°™ì€ ìƒ‰ìœ¼ë¡œ 바림한다.


3ì°¨ 바림 작업 ë° ì„¸ë¶€ë¬˜ì‚¬


11. ì£¼ì— ë¨¹ì„ ì„žì–´ 대ìžìƒ‰ì„ 만든 ë’¤ 바위를 3ì°¨ 바림한다. (ì›ëž˜ ‘대ìžìƒ‰ ë´‰ì±„â€™ë„ ìžˆì§€ë§Œ 시연ìžì˜ 경우 시íŒìš© 대ìžìƒ‰ì˜ í…í…한 색ê°ì´ 마ìŒì— 들지 않아 대ìžìƒ‰ì„ 만들어 사용하며 시íŒìš© 대ìžìƒ‰ì€ 기ë¡í™”ì— ë“±ìž¥í•˜ëŠ” 나무 기둥 등 ë‘ê»˜ê° ìžˆëŠ” 소재를 묘사할 때 사용한다.) ë§‘ì€ ìƒ‰ê°ì„ 지닌 ë´‰ì±„ì˜ íŠ¹ì„± ë•Œë¬¸ì— ë°”ìœ„ë¥¼ ê±°ë“­ 바림한 ë’¤ì—ë„ í”¼ë§ˆì¤€ì´ ìž˜ ë“œëŸ¬ë‚¨ì„ ì•Œ 수 있다.


12. ì§€ëŠëŸ¬ë¯¸ì— í•기를 ë”하기 위해 ìž‘ì€ ë¶“ì— ì ìƒ‰ì„ 묻힌 ë’¤ ì§€ëŠëŸ¬ë¯¸ ëë¶€ë¶„ì— ì •êµí•œ 필치로 ì‚´ì§ ë°”ë¦¼í•œë‹¤. ì´ì²˜ëŸ¼ 다양한 색ìƒì„ 활용한 바림 단계가 ë§Žì„ìˆ˜ë¡ ìƒ‰ì— ê¹Šì´ê°ì´ ë”해진다. 그렇다고 해서 너무 과하면 ê·¸ë¦¼ì„ ë§ì¹  수 있으므로 유ì˜í•˜ë„ë¡ í•œë‹¤.


13. 물고기를 ë°”ë¦¼í–ˆë˜ ìˆ˜ê°ìƒ‰ì˜ ë†ë„를 ë˜ì§í•˜ê²Œ 만든 ë’¤ ë¹„ëŠ˜ì„ ë¬˜ì‚¬í•œ ì¹¸ë“¤ì„ ì ˆë°˜ ì •ë„ ê°€ë ¤ì¤€ë‹¤ëŠ” ëŠë‚Œìœ¼ë¡œ ë¹„ëŠ˜ì„ ê·¸ë¦°ë‹¤.
14. ë¹„ëŠ˜ì„ ê·¸ë ¸ë˜ ìƒ‰ë³´ë‹¤ í린 ë†ë„로 ë§ì„ ì„ 그려넣어 ìž…ì²´ê°ì„ 준다. 한쪽 방향으로 ë§ì„ ì„ ë„£ì€ ë’¤ 나머지 í•œìª½ë„ ë§ˆì € ë§ì„ ì„ ê·¸ë¦¼ìœ¼ë¡œì¨ ë¹„ëŠ˜ ë¶€ë¶„ì— ê¹Šì´ê°ì„ 준다.


15. êµ°ì²­, 녹청, 수ê°ì„ ì„žì€ ìƒ‰ìœ¼ë¡œ ë¬¼ê²°ì„ ë°”ë¦¼í•´ 마무리한다. í˜¸ë¶„ì„ ì„žìœ¼ë©´ ìƒ‰ì´ íƒí•´ì§€ë¯€ë¡œ 유ì˜í•œë‹¤. 파ë„ê°€ 심하게 ì¼ë ì´ë“¯ êµ´ê³¡ì„ ë§Žì´ ì£¼ì–´ë„ ë˜ì§€ë§Œ ì´ ê·¸ë¦¼ì—서는 í‰í™”로운 ëŠë‚Œì„ 표현하기 위해 ì¼ì§ì„ ìœ¼ë¡œ 바림했다.


16. 먼저 만든 í™©í† ì— ëŒ€ìž, ë…¹ì²­ì„ ë„£ì–´ ë°”íƒ•ìƒ‰ì„ ë§Œë“  ë’¤ ì „ì²´ì ìœ¼ë¡œ 고루 ì¹ í•´ ê·¸ë¦¼ì„ ì°¨ë¶„í•œ 분위기로 완성한다.

tip 바탕색 정하기

ë°°ì ‘ ê³¼ì •ì„ ê³ ë ¤í•´ 바탕색과 ë†ë„를 정한다. ì´ë•Œ 최종 ë‹¨ê³„ì¸ ì•¡ìž í”„ë ˆìž„ê¹Œì§€ ì—¼ë‘ì— ë‘ë„ë¡ í•œë‹¤. ì´ ìž‘í’ˆì—서는 ë°”íƒ•ìƒ‰ì´ ë§ˆë¥´ê³  난 ë’¤ ê°™ì€ ìƒ‰ìœ¼ë¡œ 다시 한 번 바림하여 ì´ ë‘ ë²ˆ 바림했다. ì·¨í–¥ì— ë”°ë¼ ì„œë¡œ 다른 ìƒ‰ì„ ì•„ëž˜ ìœ„ì— ë„£ê±°ë‚˜, 1ì°¨ 바림 ë° 2ì°¨ ë°”ë¦¼ìƒ‰ì„ ë‹¬ë¦¬ í•´ë„ ì¢‹ë‹¤.
서민ìž

호정회 ì§€ë„
성신여ìžëŒ€í•™êµ í‰ìƒêµìœ¡ì› 겸임êµìˆ˜
대한민국 전통명장 전예제 10-명15호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