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순 작가와 함께하는 서수낙ì›ë„ 그리기 â…¢

김효순, <서수낙ì›ë„ 부분ë„(ìš©)>, 2012, ìˆœì§€ì— ë¶„ì±„, 봉채, 70×40ãŽ
– 본 ìž‘í’ˆì€ 2012ë…„ì— ì™„ì„±í•œ 것입니다. 민화 실기êµì‹¤ì„ 통해 2023ë…„ 버전으로 리마ì¸ë“œ ìž‘ì—…ì„ ì§„í–‰í–ˆìŠµë‹ˆë‹¤.
ê³ í™”í’ì˜ 2012ë…„ ìž‘í’ˆì— ë¹„í•´ 리마ì¸ë“œ 작업ì—서는 색ê°ì„ 보다 선명하고 ë°ê²Œ 표현했다는 ì  ì°¸ê³ í•´ì£¼ì„¸ìš”.



ì´ë²ˆ 호ì—서는 서수낙ì›ë„ 중ì—서 구름 사ì´ë¡œ 솟아오르는 ìš©ì„ ê·¸ë ¤ë³´ê³ ìž í•œë‹¤.
ì´ ë¶€ë¶„ì—서 중요한 ì ì€ 구름 ë’¤ ‘공간ê°â€™ì„ 살려주는 것ì´ë‹¤. 그러기 위해서는 ê·¸ë¦¼ì„ ì „ì²´ì ìœ¼ë¡œ 보는 시야가 필요하며, 구름과 ìš©ì˜ ê´€ê³„ë¥¼ 잘 ì´í•´í•˜ê³  있어야 한다. ìžì—°ìŠ¤ëŸ¬ìš´ 명암 처리로 ìƒë™ê°ê³¼ ì—­ë™ì„±ê¹Œì§€ 살린다면 ìž‘í’ˆì— ì™„ì„±ë„를 ê°–ì¶œ 수 있다.

정리 ê¹€ì†¡í¬ ê¸°ìž ì‚¬ì§„ ìš°ì¸ìž¬ 기ìž


초본 그리기

1
중먹으로 ì´ˆë³¸ì„ ê·¸ë¦°ë‹¤. 그리는 순서는 í¬ê²Œ ì˜ë¯¸ 없으며 편한 대로
차례차례 그리면 ëœë‹¤.


밑색 칠하기


2
* ì „ì²´ì ì¸ 채색 ë°©ë²•ì´ ì´ì „ 호ì—서 다룬
ê¸°ë¦°ì˜ ì±„ìƒ‰ 방법과 비슷하니 참고하시기 ë°”ëžë‹ˆë‹¤.

호분으로 ì „ì²´ ë°”íƒ•ì„ ì¹ í•œë‹¤.
ì´í›„ 봉채 대ìžì— ë¨¹ì„ ì„žì€ ìƒ‰ìœ¼ë¡œ êµ¬ë¦„ì˜ ì–´ë‘ìš´ ë¶€ë¶„ë“¤ì„ ë¬½ê²Œ 바림한다.


3
분채 ë°±ë¡ìœ¼ë¡œ 황룡과 ì²­ë£¡ì˜ ê°ˆê¸°ë¥¼ 묽고 연하게 칠한다.
무거워지지 않ë„ë¡ í©ë‚ ë¦¬ë“¯ 바림하여 ê°€ë³ê²Œ 표현하는 ê²ƒì´ í¬ì¸íŠ¸ë‹¤.


4
분채 ì í™©ì— í˜¸ë¶„ì„ ì„žì€ ìƒ‰ìœ¼ë¡œ í™©ë£¡ì˜ ì–¼êµ´ê³¼ ëª¸í†µì˜ ë°‘ìƒ‰ì„ ì¹ í•œë‹¤.
ì–¼êµ´ì˜ ê²½ìš° ë°”íƒ•ì´ ì¹ í•´ì§„ í° ë¶€ë¶„ê³¼ 맞닿는 ë¶€ë¶„ì€ ê²½ê³„ê°€
지지 않ë„ë¡ ë°”ë¦¼ 붓으로 ìžì—°ìŠ¤ë ˆ 펴준다.
몸통 가장ìžë¦¬ëŠ” 한 번 ë” ì¹ í•´ ìž…ì²´ê°ì„ 살린다.


5
분채 êµ°ì²­ì— í˜¸ë¶„ì„ ì„žì€ ë°±êµ° 색으로 ì²­ë£¡ì˜ ì–¼êµ´ê³¼ ëª¸í†µì˜ ë°‘ìƒ‰ì„
칠한다. ④와 마찬가지로 í° ë°”íƒ•ê³¼ 만나는 ë¶€ë¶„ì€ ì‹ ê²½ ì¨ ë°”ë¦¼í•˜ê³ ,
몸통 가장ìžë¦¬ë¥¼ 한 번 ë” ì¹ í•´ ìž…ì²´ê°ì„ 살린다.


6
봉채 황, 봉채 í™ë§¤, 봉채 군청으로 ì˜¤ìƒ‰êµ¬ë¦„ì„ ì¹ í•œë‹¤.
ê°ê° 어디를 ì–´ë–¤ 색으로 칠할지는 ìžìœ ë¡­ê²Œ 정하고, 가장ìžë¦¬ 위주로
묽고 맑게 칠해준다. 충분히 마르고 나면 아주 하얀 í°ìƒ‰ìœ¼ë¡œ
가장ìžë¦¬ì— ë§ì„ ì„ 그려 디테ì¼ì„ 살린다. 여기서는 ì„채 ì—°ë°±ì„
사용했으며, ë†ë„는 ë˜ì§í•˜ê²Œ 맞추어주ë„ë¡ í•œë‹¤.
* 여기서 사용한 ì—°ë°±ì€ ë‚©ì„ ë¶€ì‹ì‹œì¼œ ì¸ê³µì ìœ¼ë¡œ 제조한 백색
안료로 ‘전통 ì¸ê³µ 무기안료’로 분류ëœë‹¤.


7
분채 ë°±ë¡ìœ¼ë¡œ í™©ë£¡ì˜ ë°°ì™€ 발바닥 ë“±ì„ ì¹ í•œë‹¤. 갈기를 칠한 색ìƒê³¼
같지만 ì´ ë•ŒëŠ” ë†ë„를 ë” ë˜ì§í•˜ê²Œ 해주는 ê²ƒì´ í¬ì¸íŠ¸ë‹¤.


8
분채 í™©ì— í˜¸ë¶„ì„ ì„žì€ ìƒ‰ìœ¼ë¡œ 황룡과 ì²­ë£¡ì˜ ë¶‰ì€ ê°ˆê¸°ì˜ ê°€ìž¥ìžë¦¬ë¥¼
칠하고, ì„채 ì—°ë‹¨ì— ë¶„ì±„ ì–‘í™ì„ ì„žì€ ìƒ‰ìœ¼ë¡œ ë¶‰ì€ ê°ˆê¸°ë¥¼ 칠한다.
ë”불어 황룡과 ì²­ë£¡ì˜ ë“±ì— ë‚œ 오ëŒí† ëŒí•œ 비늘과 입안 등
필요한 ë¶€ë¶„ì„ ì ì ˆížˆ 칠한다.
* 여기서 사용한 ì—°ë‹¨ì€ ë‚© ë˜ëŠ” ì‚°í™”ë‚©ì„ ê°€ì—´í•˜ì—¬ ì¸ê³µì ìœ¼ë¡œ
제조한 ì ìƒ‰ 안료로 ‘전통 ì¸ê³µ 무기안료’로 분류ëœë‹¤.


9
분채 í™©ì— í˜¸ë¶„ì„ ì„žì€ ë°ì€ 노란색으로 ì²­ë£¡ì˜ ë°°ë¥¼ 칠한다.


10
â‘£ì—서 사용한 분채 ì í™©ì— í˜¸ë¶„ì„ ì„žì€ ìƒ‰ì— ë´‰ì±„ ì£¼í™©ì„ ì†ŒëŸ‰ 섞어
황룡 ëª¸í†µì„ ë°”ë¦¼í•œë‹¤. 가장ìžë¦¬ 위주로 한 번씩 바림해주어
ì „ë°˜ì ìœ¼ë¡œ ìž…ì²´ê°ì„ 살릴 수 있ë„ë¡ í•œë‹¤.


11
봉채 군청으로 â‘©ê³¼ 마찬가지로 ì²­ë£¡ì˜ ëª¸í†µì„ ì „ì²´ì ìœ¼ë¡œ 바림해
ìž…ì²´ê°ì„ 살려준다.


2ì°¨ 바림 ë° ì„¸ë¶€ 묘사


12
분채 ë°±ë¡ì— ë…¹ì²­ì„ ì„žì€ ìƒ‰ìœ¼ë¡œ í™©ë£¡ì˜ ë°° 사ì´ì‚¬ì´ë¥¼ 바림해준다.


13
â‘©ì—서 사용한 분채 ì í™©ì— 호분, ì†ŒëŸ‰ì˜ ë´‰ì±„ ì£¼í™©ì„ ì„žì€ ë…¸ëž€ìƒ‰ìœ¼ë¡œ
ì²­ë£¡ì˜ ë°° 사ì´ì‚¬ì´ë¥¼ 바림해준다.


14
ì„채 ì—°ë‹¨ì— ë¶„ì±„ ì–‘í™ì„ ì„žì€ ìƒ‰ìœ¼ë¡œ 황룡 ëª¸í†µì— ë¹„ëŠ˜ì„ ë¬˜ì‚¬í•´ì¤€ë‹¤.
ë¹„ëŠ˜ì„ ì¼ì¼ì´ 하나씩 만들어가면서 ì¹ í•´ì£¼ë˜ ë”°ë¡œ 바림해줄 필요는 없다.
바림 ê³¼ì •ì´ ë”°ë¡œ 없기 ë•Œë¬¸ì— ì´ˆë³¸ì„ ê·¸ë¦´ 때 ëª¸í†µì˜ ë¹„ëŠ˜ì„ ì œëŒ€ë¡œ
그려놓지 않으면 ìž‘í’ˆì˜ ì™„ì„±ë„ê°€ 떨어질 수 있으니 주ì˜í•˜ë„ë¡ í•œë‹¤.


15
위와 ê°™ì€ ìƒ‰ìœ¼ë¡œ í™©ë£¡ì˜ ë¨¸ë¦¬ ë¶€ë¶„ì— ë™ê·¸ëž€ ì ì„ ì°ì–´ 무늬를 그려준다.
í° ì ì„ 중심으로 ì£¼ë³€ì— ìž‘ì€ ì ë“¤ì„ ê¹”ë”하게 ì°ì–´ 표현한다.


16
ì„채 ì—°ë‹¨ì— ë¶„ì±„ ì–‘í™ì„ ì„žì€ ìƒ‰ìœ¼ë¡œ í™©ë£¡ì˜ ì½”ë¥¼ 칠한다.
얼굴색과 만나는 ë¶€ë¶„ì€ ë°”ë¦¼ 붓으로 바로 풀어주어 ìžì—°ìŠ¤ë ˆ
ì´ì–´ì§ˆ 수 있ë„ë¡ í•œë‹¤. ì²­ë£¡ì˜ ì½” ë˜í•œ 마찬가지로 칠해준다.


17
분채 êµ°ì²­ì— ë¯¸ëžŒì„ ì„žì€ ìƒ‰ìœ¼ë¡œ 청룡 ëª¸í†µì— ë¹„ëŠ˜ì„ ë¬˜ì‚¬í•´ì¤€ë‹¤.
⑭와 마찬가지로 꼼꼼하게 하나씩 칠해가며 표현해준다.


18
위와 ê°™ì€ ìƒ‰ìœ¼ë¡œ ì²­ë£¡ì˜ ë¨¸ë¦¬ ë¶€ë¶„ì— ë™ê·¸ëž€ ì ì„ ì°ì–´ 무늬를 그려준다.
무늬는 정수리ì—서 얼굴 쪽으로 ë‚´ë ¤ì˜¬ìˆ˜ë¡ ì ì  옅어지ë„ë¡ ìžì—°ìŠ¤ë ˆ
표현한다.


19
분채 ì—°ì§€ì— ë¨¹ì„ ì„žì€ ìƒ‰ìœ¼ë¡œ ìš©ì˜ ê¼¬ë¦¬, ë“±ì˜ ë¹„ëŠ˜,
ë¶‰ì€ ê°ˆê¸° 등 ì ì ˆí•œ ê³³ì— ëì„ ì„ ì¹œë‹¤.


20
분채 ì–‘í™ì— ì„채 ì—°ë‹¨ì„ ì„žì€ ìƒ‰(ì–‘í™ì˜ ë¹„ì¤‘ì´ ë” í¼)으로
í™©ë£¡ì˜ ë¹„ëŠ˜ ëì„ ì„ ì¹œë‹¤.


21
분채 ë¯¸ëžŒì— êµ°ì²­ì„ ì„žì€ ìƒ‰(ë¯¸ëžŒì˜ ë¹„ì¤‘ì´ ë” í¼)으로 ì²­ë£¡ì˜ ë¹„ëŠ˜
ëì„ ì„ ì¹œë‹¤. ì´ë•Œ ë†ë„를 연하게 해주어 ë¨¹ì„ ì´ ì‚´ì§ ë®íž ì •ë„로만
그려 넣는다.


22
⑦ì—서 사용한 분채 ë°±ë¡ì˜ ë†ë„를 ë” ì§„í•˜ê²Œ 해서 í™©ë£¡ì˜ ë°° ëì„ ì„
처리하고, í˜¸ë¶„ì— ë¶„ì±„ ë°±ë¡ì„ 소량 섞어 ë°° ì£¼ë¦„ì„ ê·¸ë ¤ 디테ì¼ì„
살린다. ì²­ë£¡ë„ ë§ˆì°¬ê°€ì§€ë¡œ ⑨ì—서 사용한 분채 í™©ì— í˜¸ë¶„ì„ ì„žì€ ìƒ‰ì˜
ë†ë„를 ë” ì§„í•˜ê²Œ 해서 ë°° ëì„ ì„ ì²˜ë¦¬í•˜ê³ , í˜¸ë¶„ì— ë¶„ì±„ í™©ì„ ì†ŒëŸ‰ë§Œ
섞어 ë°° ì£¼ë¦„ì„ ê·¸ë ¤ 마무리한다.



김효순 | 작가

ì„œìš¸ëŒ€í•™êµ ì‘용미술학과ì—서 시ê°ë””ìžì¸ì„ 공부하고
ì˜êµ­ 킹스턴대학êµì—서 ì¼ëŸ¬ìŠ¤íŠ¸ë ˆì´ì…˜ì„ 공부했다.
민화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ìž‘ì—…ì„ í•˜ë©° ì„œìš¸ì‹œë¦½ëŒ€í•™êµ í‰ìƒêµìœ¡ì›
ì „í†µë¯¼í™”ê³¼ì •ì— ì¶œê°•í•˜ê³  있으며 ê°œì¸ í´ëž˜ìŠ¤ë¥¼ ìš´ì˜ ì¤‘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