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취정 ë°•ì‚¬ì˜ ë¯¼í™” ì½ê¸° ⑲ ë‹¤ì‚°ì˜ ìƒì§•, í¬ë„나무

비타민과 ìœ ê¸°ì‚°ì´ í’부해 ‘과ì¼ì˜ 여왕’ì´ë¼ê³ ë„ 불리는 í¬ë„는 ì¸ë¥˜ê°€ 오래전부터 ì‹ìš©ê³¼ ê´€ìƒìš©ìœ¼ë¡œ ì¦ê²¨ì˜¨ í¬ë„ë‚˜ë¬´ì˜ ì—´ë§¤ì´ë‹¤. ì „ 세계ì ìœ¼ë¡œ í¬ë„주를 애용한 기ë¡ê³¼ 함께 다양한 í¬ë„ê·¸ë¦¼ì´ ë‚¨ì•„ 있는ë°, ë¯¼í™”ì˜ ê²½ìš° ë©êµ´ì´ë‚˜ í¬ë„송ì´ë¥¼ ë¶€ê°ì‹œì¼œ 다산과 í’요를 ìƒì§•했다. 예술로 재탄ìƒí•œ í¬ë„ì˜ ë§¤ë ¥ì„ ì‚´íŽ´ë³¸ë‹¤. (íŽ¸ì§‘ìž ì£¼)


오랜 역사를 지닌 í¬ë„

í¬ë„는 아주 ì˜¤ëž˜ëœ ì›ì˜ˆ 품종 ê°€ìš´ë° í•˜ë‚˜ì´ë‹¤. í¬ë„와 í¬ë„주 ìƒì‚°ì— 관한 ìƒì„¸í•œ 기ë¡ì´ ì´ì§‘트 ê³ ì™•êµ­ì˜ í™©ê¸ˆ ì‹œê¸°ì¸ ì œ4왕조 등 기ì›ì „ 26ì„¸ê¸°ê²½ì˜ ìƒí˜•ë¬¸ìž ë¬¸ì„œì— ì í˜€ 있고, 성서ì—ë„ ë…¸ì•„ê°€ í¬ë„ì›ì„ 가꾸었다는 ë‚´ìš©ì„ ë¹„ë¡¯í•´ì„œ 관련 ë‚´ìš©ì´ ë§Žì´ ë“±ìž¥í•œë‹¤. 사마천(å¸é¦¬é·, BC 145?~BC 86?)ì˜ ã€Šì‚¬ê¸°å²è¨˜ã€‹ì— 따르면 í•œë‚˜ë¼ ìž¥ê±´å¼µé¨«ì´ ëŒ€ì™„å¤§å®›ì—서 í¬ë„를 ì²˜ìŒ ë„입했다고 한다.

ìž¥ê±´ì´ ì„œì—­ì— ê°”ë‹¤ê°€ ëŒì•„올 때 안ì„류安石榴, 호ë‘胡桃,
í¬ë„ì˜ ì¢…ìžë¥¼ 얻어가지고 ëŒì•„와 ê·¸ê²ƒì„ ì‹¬ì—ˆë‹¤.
[張騫使西域還 得安石榴 胡桃 蒲桃種歸 æ¤ä¹‹]
– ë™ì§„æ±æ™‹ì˜ 장화張è¯, 《박물지åšç‰©å¿—》

í•œë‚˜ë¼ ë¬´ì œê°€ ëŒ€ì™„ì„ ì •ë²Œí•œ 후 í¬ë„씨를 가져와 심었다. 무제가 ì‚¬ì‹ ì´ ê°€ì ¸ì˜¨ í¬ë„ 열매를 ì´ê¶é›¢å®® ì˜†ì— ì‹¬ë„ë¡ í–ˆë‹¤ëŠ” 기ë¡ë„ 남아 있다(<í‰ë…¸ì „匈奴傳>, 《한서漢書》). 한나ë¼ì˜ í¬ë„ê¶è‘¡è„å®®ì€ ë°”ë¡œ ì´ëŸ° 연유로 지어진 ì´ë¦„ì´ë‹¤. 《신ë†ë³¸ì´ˆç¥žè¾²æœ¬è‰ã€‹ì— 따르면, í¬ë„는 서역ì—서 들어온 ê²ƒì´ ì•„ë‹ˆë¼, 중국 ë†ì„œéš´è¥¿ì—ì„œë„ ìž¬ë°°í–ˆëŠ”ë°, 내지로 들어오지는 못했다고 한다. ì´ëŠ” ì¤‘êµ­ì˜ ì‹ ê°•æ–°ç–†ê³¼ ê°ìˆ™ç”˜è‚… 등지ì—서 í¬ë„ê°€ 재배ë˜ì—ˆë‹¤ëŠ” ê²ƒì„ ë³´ì—¬ì£¼ëŠ” 것ì´ë¼ í•  수 있다.

우리나ë¼ì˜ í¬ë„ 유입 시기

우리나ë¼ì— í¬ë„ê°€ 언제 들어왔는지를 알려주는 기ë¡ì€ 없다. 단지 고려시대 ì´ì „ì— ì¤‘êµ­ì—서 ë„ìž…í–ˆì„ ê²ƒìœ¼ë¡œ 추정할 ë¿ì´ë‹¤. í¬ë„ì£¼ì˜ ìœ ìž… 시기 ë˜í•œ 《고려사절요高麗å²ç¯€è¦ã€‹ 기ë¡ì„ 통해 고려시대로 추정ë˜ê³  있다. ê°•í¬ì•ˆì˜ 《양화소ë¡é¤Šèбå°éŒ„ã€‹ì— ë”°ë¥´ë©´, ‘청í‘색í¬ë„’는 ì¶©ìˆ™ì™•ì´ ëª½ê³¨ 공주와 혼례를 치른 ë’¤ ëŒì•„오면서 ì›ë‚˜ë¼ 황제ì—게 받아온 것ì´ë¼ 한다. 《산림경제山林經濟》ì—ì„œë„ ì—¬ëŸ¬ 가지 í’ˆì¢…ì„ ì–¸ê¸‰í•˜ëŠ” ì ìœ¼ë¡œ ë³´ì•„ 여러 ì¢…ë¥˜ì˜ í¬ë„를 ìž¬ë°°í–ˆë˜ ë“¯í•˜ë‹¤. í˜„ìž¬ì˜ í¬ë„는 1910ë…„ ì´í›„ 수ì›ê³¼ ëšì„¬ì— 유럽 종과 미국 종 í¬ë„나무를 ë„ìž…í•´ 개량한 것ì´ë‹¤. 우리나ë¼ì—서 ì¼ë°˜ì ìœ¼ë¡œ ë³¼ 수 있는 í’ˆì¢…ì€ ìº ë²¨, ê±°ë´‰, 머루í¬ë„ 3가지ì´ë‹¤.

í¬ë„ë‚˜ë¬´ì˜ ìƒíƒœì  특징

í¬ë„나무는 ê¸¸ì´ 3m ì•ˆíŒŽì˜ ë‚™ì—½ê´€ëª©ì´ìž 땅위를 기거나 다른 나무를 ê°ì•„ 올ë¼ê°€ëŠ” 만경ì‹ë¬¼è”“莖æ¤ç‰©ì´ë‹¤. 잎과 마주나는 ë™êµ´ì†ìœ¼ë¡œ 다른 물체를 ê°ê³  올ë¼ê°€ë©° 어린 ê°€ì§€ì— í„¸ì´ ìžˆë‹¤. ìžŽì€ ì›í˜•으로 호ìƒäº’生하며, 3~5개로 얕게 ê°ˆë¼ì§„다. 표면ì—는 í„¸ì´ ì—†ê³ , ë’·ë©´ì— ë©´ëª¨ç¶¿æ¯›ê°€ ë°€ìƒå¯†ç”Ÿí•˜ë©°, 가장ìžë¦¬ì— 톱니가 있다. 6~7ì›”ì— í™©ë¡ìƒ‰ ê½ƒì´ í”¼ê³ , ê½ƒìžŽì€ 5개가 ëì—서 서로 붙어 있다. 9~10ì›”ì— ì—´ë§¤ê°€ 성숙ëœë‹¤. 장과漿果는 둥글고 ê°ˆìžìƒ‰è¤ç´«è‰²ìœ¼ë¡œ, ìµì€ 열매ì—는 2~3ê°œì˜ ì¢…ìžç¨®å­ê°€ 들어 있다.
í¬ë„나무는 여러 가지 í’ˆì¢…ì´ ê°œë°œë˜ì—ˆëŠ”ë°, í’ˆì¢…ì— ë”°ë¼ì„œ 열매가 ìµëŠ” 시기나 í¬ê¸°ê°€ 서로 다르며 ë™ì ˆê¸°ì—ë„ í•˜ìš°ìŠ¤ 재배를 통해 수확ë˜ëŠ” í’ˆì¢…ë„ ìžˆë‹¤. í¬ë„나무는 ì‹ìš©, ê´€ìƒìš©, 공업용, 약용 등 다양한 ìš©ë„로 사용ë˜ê³  있다. í¬ë„ 열매는 ì‹í’ˆ, í¬ë„주, ì–‘ì¡°, 주ì„산酒石酸 ë“±ì˜ ìž¬ë£Œë¡œ ì“°ì´ê³ , 민간ì—서 열매, 뿌리를 ì‹ìš•촉진, 허약ì¦, ì´ë‡¨ì— 약으로 쓴다.
ì§„æ™‹ë‚˜ë¼ ì‚¬ëžŒë“¤ì€ í¬ë„를 ìƒ‰ì— ë”°ë¼ ë¶„ë¥˜í–ˆë‹¤. í¬ë„ì—는 둥근 ê²ƒì„ â€˜ì´ˆë£¡ì£¼è‰é¾ç â€™, 긴 ê²ƒì„ â€˜ë§ˆìœ í¬ë„馬乳葡è„’, í° ê²ƒì„ â€˜ìˆ˜ì •í¬ë„æ°´æ™¶è‘¡è„’, ê²€ì€ ê²ƒì„ â€˜ìží¬ë„ç´«è‘¡è„â€™ë¼ ë¶ˆë €ë‹¤(《본초강목》). ì¡°ì„ ì˜ íƒœì¡°, 세조, ì›ì¢…, 숙종, ì˜ì¡°, ìˆœì¡°ì˜ ì˜ì •ì„ ëª¨ì…¨ë˜ ì „ê°æ®¿é–£ì¸ ì˜í¬ì „æ°¸ç¦§æ®¿ì— ë§ˆìœ í¬ë„ê°€ 심어져 있었다고 한다(《문견ë¡ã€‹, 《산림경제》).(ë„1)

옛 ì„ ì¡°ë“¤ì˜ í•„ìˆ˜í’ˆ, í¬ë„주

스웨ë´ì˜ ìƒë¬¼í•™ìž ì¹¼ í° ë¦°ë„¤(Carl von Linné, 1707~1778)ê°€ í¬ë„ì— ë¶™ì¸ í•™ëª… 중 ì†ëª… 비티스(Vitis)는 ‘ìƒëª…â€™ì„ ëœ»í•˜ëŠ” ë¼í‹´ì˜ ì˜›ë§ ë¹„íƒ€(vita)ì—서 온 것ì´ë‹¤. 그리스ì¸ë“¤ì—게 í¬ë„주는 필수품ì´ì—ˆìœ¼ë©°, ã€Šì‹ ì•½ì„±ì„œã€‹ì˜ <요한복ìŒ>ì—ì„œë„ í¬ë„를 ìƒëª…ì— ë¹„ìœ í•œ 예를 ì°¾ì„ ìˆ˜ 있다. í•œìž â€˜í¬ë„è‘¡è„’는 ã€Ší•œì„œæ¼¢æ›¸ã€‹ì— â€˜í¬ë„葡桃’로 표기ë˜ì–´ 있으며, í¬ë„로 ìˆ ì„ ë§Œë“¤ 수 있다고 기ë¡í•˜ê³  있다. í¬ë„è‘¡è„는 ì‚¬ëžŒë“¤ì´ ìž”ì¹˜ 때 ì´ê²ƒì„ 마시면 취했기 ë•Œë¬¸ì— ë¶™ì¸ ì´ë¦„ì´ë‹¤. 즉, í¬ë„ì˜ â€˜í¬è‘¡â€™ëŠ” 잔치ì—서 ì¦ê²ê²Œ ìˆ ì„ ë§ˆì‹ ë‹¤ëŠ” ì˜ë¯¸ì˜ ‘í¬é…ºâ€™ê°€ ë˜ê³ , ‘ë„è„’는 ìˆ ì„ ì¦ê²ê²Œ 먹고 취한다는 ì˜ë¯¸ì˜ ‘ë„醄’ë¼ëŠ” 것ì´ë‹¤. ë”°ë¼ì„œ 지금 ì“°ì´ëŠ” í¬ë„ì˜ í•œìžì—는 잔치ì—서 ì¦ê²ê²Œ ìˆ ì„ ë§ˆì‹œê³  취한다는 ì˜ë¯¸ê°€ ë‚´í¬ëœ 것으로 ë³¼ 수 있다(《본초강목》).
ã€Šë‹¹ì„œå”æ›¸ã€‹ì— ì˜í•˜ë©´ í¬ë„주는 ì„œì—­ì— ìžˆëŠ” 것으로 간혹 공물로 ë°”ì³ì¡Œìœ¼ë©°, ê³ ì°½êµ­é«˜æ˜Œåœ‹ì„ ë½í•˜ê³  마유馬乳 í¬ë„ì˜ ì—´ë§¤ë¥¼ 얻어 ê¶ì¤‘ì˜ í›„ì›ì— 심고 ì–‘ì¡°ë²•ì„ ì–»ì—ˆë‹¤ê³  한다. ë‹¹ë‚˜ë¼ ì‹œì¸ë“¤ì€ í¬ë„주와 ê´€ë ¨ëœ ì‹œë¥¼ ìžì£¼ ìŠì—ˆë‹¤.

í¬ë„로 ë¹šì€ ë§›ìžˆëŠ” ìˆ ì„ ì˜¥ìž”ì— ë¶€ì–´[è‘¡è„美酒夜光æ¯]
마시려는 순간 비파를 ë§ ìœ„ì—서 연주한다.[欲飮çµç¶é¦¬ä¸Šå‚¬]
ìˆ ì— ì·¨í•´ ì‚¬ë§‰ì— ì“°ëŸ¬ì ¸ë„ ì›ƒì§€ ë§ê²Œë‚˜.[醉臥沙場å›èŽ«ç¬‘]
옛날부터 ì „ìŸí„°ì— 나갔다 ëŒì•„온 ì´ê°€ 몇ì¸ê°€[å¤ä¾†å¾æˆ°å¹¾äººå›ž]
– 왕한(王翰, 687?~726?), <양주사凉州詞>

ì¡°ì„  ì¤‘ê¸°ì˜ ì˜í•™ìž í—ˆì¤€ì´ ì €ìˆ í•œ 《ë™ì˜ë³´ê°ã€‹ì—ë„ ìš°ë¦¬ë‚˜ë¼ì—서 í¬ë„ì˜ ì¦™ìœ¼ë¡œ ìˆ ì„ ë¹šì–´ 왔다고 기ë¡ë˜ì–´ 있으며, 기분 좋게 ì·¨í•˜ë˜ ì‰½ê²Œ 주ë…ì´ í’€ë¦¬ëŠ” í¬ë„ì£¼ì— ëŒ€í•´ 칭찬한 ì˜ˆë„ ì ì§€ 않다.

í’류를 ì¦ê²¼ë˜ ë¬˜ê¸ˆë„ ì²œìžëŠ”[風æµå¤©å­å¯é‡‘刀]
먼 책략으로 ë°•ë§ ë“±ì„ ê³ ìƒì‹œì¼°ë„¤[é ç•¥å¾žå‹žåšæœ›æ›¹]
ëŒì•„오는 í–‰ìž¥ì— ì„ ê³¼ë¥¼ 가져왔다 하였는ë°[èžèªªæ­¸è£å„˜ä»™æžœ]
ë…¹ì˜ê°€ 떠다니는 ê³³ì— í¬ë„ê°€ ë³´ì´ë„¤[綠蟻浮處見葡è„]
– ì„ ì¡°(宣祖, 재위 1567~1608), 《열성어제》 ì œ7ê¶Œ,
<ë™ì–‘위ì—게 í¬ë„주 한 항아리를 하사하다>

ì¡°ì„  ì‹œëŒ€ì˜ í¬ë„그림

í¬ë„ê·¸ë¦¼ì€ ë¬¸ì¸ë“¤ì´ ì¦ê²¨ 그린 그림 소재 중 하나였다. 조선초기 ì‹ ìž (申潛, 1491~1554),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 ë“±ì´ ë¨¹ìœ¼ë¡œ í¬ë„를 그린 ê·¸ë¦¼ì´ ìžˆìœ¼ë©°, ì¡°ì„ ì¤‘ê¸°ì˜ í™©ì§‘ì¤‘é»ƒåŸ·ä¸­ì€ ë‹¹ëŒ€ì—ë„ â€˜ë¬µí¬ë„ë„墨葡è„圖’로 ëª…ì„±ì´ ë†’ì•˜ë‹¤. ì´ìš°(æŽç‘€, 1469~1517)와 ì´ê³„호(æŽç¹¼ç¥œ, 1574~?), í™ìˆ˜ì£¼(æ´ªå—ç–‡, 1642~1704) ë“±ì€ ìžŽê³¼ í¬ë„ ì•Œì€ í›¨ì”¬ 촘촘하게 표현했으며, ì´ëŸ¬í•œ ì „í†µì€ ì¡°ì„ í›„ê¸°ì˜ ìµœì„환(崔奭煥, 1808~?)으로 ì´ì–´ì¡Œë‹¤. 18세기ì—는 심정주(沈廷冑, 1678~1750)와 ê¶Œê²½æ¬Šå„†ì´ í¬ë„를 잘 그렸다.(ë„2, 3) ì¡°ì„ ì‹œëŒ€ì˜ ë„ìžê¸°ì— í¬ë„ê·¸ë¦¼ì´ ê·¸ë ¤ì ¸ 있는 ì˜ˆë„ ì ì§€ 않다.(ë„4)

í’요와 ë‹¤ì‚°ì˜ ìƒì§•

í¬ë„당초무늬는 í¬ë„ì˜ ì—´ë§¤ì™€ 잎, ë©êµ´ 등으로 구성한 당초무늬로, 서아시아ì—서는 고대로부터 í¬ë„ì— ëŒ€í•œ ì‹ ì•™ì´ ìžˆì–´ ì´ê²ƒì„ ìƒëª…ë¶ˆì‚¬ç”Ÿå‘½ä¸æ­»ì˜ ìƒì§•으로 보았다. í¬ë„무늬가 ê·¸ë¦¬ìŠ¤ì— ì „ëž˜ëœ ê²ƒì€ BC 4세기경ì´ë©°, ì´ ë•Œì˜ í¬ë„무늬는 율ë™ì ì¸ 당초 형ì‹ì„ 취한 것ì´ì—ˆë‹¤. 유럽ì—서 í¬ë„당초무늬는 로마시대 ì´í›„ 예수 ìˆ˜ë‚œì˜ ìƒì§•으로서 여러 ì„±ë‹¹ì˜ ë‚´ë¶€ 장ì‹ì´ë‚˜ ì„ê´€ 장ì‹ì— ì´ìš©ë˜ê³¤ 하였다. 실í¬ë¡œë“œ ë™ìª½ìœ¼ë¡œ ë»—ì–´ê°„ í¬ë„당초무늬는 후한 ë§ì—서 육조시대(2~4세기)ì— ì¤‘êµ­ì— ë„래하여 윈강ì„굴雲崗石窟, ë‘”í™©ì²œë¶ˆë™æ•¦ç…Œåƒä½›æ´ž ì²œìž¥ì˜ ìž¥ì‹, 둔황 ì¶œí† ì˜ ê²¬ì§ë¬¼ 무늬, 수나ë¼ì™€ 당나ë¼ì˜ 경배é¡èƒŒ ë¬´ëŠ¬ì— ì‚¬ìš©ë˜ì—ˆë‹¤. ì´ ë¬´ëŠ¬ëŠ” í•œêµ­ì„ ê±°ì³ 7세기 ê²½ ì¼ë³¸ì— 전해졌다.
ìƒê¸° 있게 ë»—ì–´ 나가는 í¬ë„ë©êµ´ì€ 왕성한 ìƒëª…력으로 ì—°ì†ë˜ëŠ” 수태å—胎를 ì˜ë¯¸í•˜ê³ , 여러 ê°œì˜ í¬ë„ê°€ 모여 ì´ë£¬ í¬ë„송ì´ëŠ” ë‹¤ì‚°å¤šç”£ì„ ì˜ë¯¸í•œë‹¤.(ë„5, 6) í¬ë„ ê·¸ë¦¼ì„ ê·¸ë¦´ 때, í¬ë„ë©êµ´ì„ ê°™ì´ ê·¸ë¦¬ë©´, ë©êµ´ì„ ì˜ë¯¸í•˜ëŠ” ‘만대蔓帶’가 ìžì†ì´ ë§ŒëŒ€ì— ê±¸ì³ ì´ì–´ì§„다는 ì˜ë¯¸ì˜ ‘만대è¬ä»£â€™ì™€ ìŒì´ 같아서, ìžì†ì´ ê³„ì† ë²ˆì„±í•œë‹¤ëŠ” ì˜ë¯¸ê°€ ëœë‹¤. 민화ì—서는 í¬ë„ ë„ì¿¨ì˜ í‘œí˜„ì´ ë„안화 ë˜ëŠ” 경우가 많다.(ë„7) í¬ë„ ë„ì¿¨ì´ ìš©é¾ê³¼ ê°™ì´ ì˜¬ë¼ê°€ëŠ” ê°€ìš´ë° ì—¬ì˜ì£¼å¦‚æ„ç )ê°€ ë§¤ë‹¬ë¦¬ë“¯ì´ ë™ê¸€ë™ê¸€í•œ í¬ë„ê°€ 주ë ì£¼ë  열렸으니, ì´ëŸ¬í•œ 형ìƒì„ ë³´ê³  í¬ë„를 초룡주è‰é¾ç ë¼ê³  한 것ì´ë‹¤(《본초강목》). ì´ëŸ¬í•œ ì´ìœ ë¡œ 예전부터 í¬ë„를 ì¦ê²¨ 먹으면 ìˆ˜ëª…ì´ ê¸¸ì–´ì§€ê³  ìž”ë³‘ì´ ì—†ì–´ì§„ë‹¤ê³  믿었다. í¬ë„와 í¬ë„ ë„ì¿¨ì„ ê·¸ë¦´ 때, 다람ì¥ê°€ í¬ë„를 먹는 장면으로 묘사ë˜ëŠ” 경우가 많다.(ë„8, 9, 10)
ì±…ê°€ë„ì—ë„ í¬ë„ê°€ 종종 등장한다. 대부분 í¬ë„송ì´ê°€ 그릇 ìœ„ì— ìžˆëŠ” 모습으로 그려지지만, 때로는 í¬ë„알갱ì´ë“¤ì„ 그릇 ìœ„ì— ìŒ“ì•„ ë†“ì€ í˜•íƒœë¡œ 묘사ë˜ê¸°ë„ 한다.(ë„11, 12)

예술로 재탄ìƒí•œ í¬ë„ì˜ ë§¤ë ¥

í¬ë„는 ì¸ë¥˜ê°€ 심고 가꾼 나무들 ê°€ìš´ë° ê°€ìž¥ 오랜 역사를 지닌 품종 중 하나ì´ë‹¤. í¬ë„ì˜ ìƒˆì½¤ë‹¬ì½¤í•œ ë§›ì€ ì „ 세계 사람들ì—게 매력ì ìœ¼ë¡œ 다가왔다. ë˜í•œ í¬ë„ 열매로 ìˆ ì„ ë¹šìœ¼ë©´ ê·¸ í’미가 좋고, 오랜 시간 ë³´ê´€í•´ë„ ìƒí•˜ì§€ 않아 í¬ê²Œ 사랑받아왔다. 고대로부터 í¬ë„와 í¬ë„주를 ì¦ê¸°ëŠ” ì¸ë¬¼ë“¤ì— 대한 ì´ì•¼ê¸°ë“¤ì´ ë§Žì´ ë‚¨ì•„ 있는 ê²ƒë„ ë°”ë¡œ ì´ ë•Œë¬¸ì´ë‹¤. 그리고 ì‚¬ëžŒë“¤ì´ ì¦ê²¨ì˜¨ í¬ë„나무는 ì¡°ê°ê³¼ 문양, 그림 ë“±ì˜ ì˜ˆìˆ ìž‘í’ˆìœ¼ë¡œ 재탄ìƒí•˜ê¸°ì— ì´ë¥¸ë‹¤. ë™ì„œì–‘ì„ ë§‰ë¡ í•˜ê³  ë„리 í™œìš©ëœ í¬ë„와 í¬ë„나무 ë„ìƒì€ í•œêµ­ì„ ë„˜ì–´ 아시아,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ë¯¸ì  ì·¨í–¥ì„ ì ìš©ì‹œí‚¬ 수 있는 민화 소재 중 í•˜ë‚˜ë¼ í•  수 있다.


글 김취정(ì„œìš¸ëŒ€í•™êµ ë°•ë¬¼ê´€ ê°ì›ì—°êµ¬ì›)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