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취정 ë°•ì‚¬ì˜ ë¯¼í™” ì½ê¸° â‘° 꽃 ì¤‘ì˜ ì‹ ì„ , 해당화

해당화는 ì´ë¦„ì—서 ë‚˜íƒ€ë‚˜ë“¯ì´ ë°”ë‹·ê°€ì—서 ìžìƒí•˜ëŠ” 꽃으로 열매가 ë¶‰ì€ ì˜¥ì²˜ëŸ¼ ìƒê²¼ë‹¤. 중국 ì‹œì¸ ì†Œë™íŒŒëŠ” 해당화를 ìœ ë… ì¢‹ì•„í•´ ê¸€ì„ ì§“ê³ , ì§ì ‘ 심어 ì¦ê¸°ê¸°ë„ 했다. 민화ì—는 모란과 해당화가 함께 ìžì£¼ 등장하는ë°, 부귀ì˜í™”ê°€ 온 ì§‘ì•ˆì— ë„˜ì³í르기를 ì¶•ì›í•˜ëŠ” ‘만당부귀滿堂富貴’를 ì˜ë¯¸í•œë‹¤. í•´ë‹¹í™”ì˜ ê¸¸ìƒì  ì˜ë¯¸ë¥¼ 알아본다.


ë°”ë‹·ê°€ì˜ ê½ƒ, 해당화海棠花

명사 ì¼ëŒ€ 바닷가는 온통 해당화 천지ì¸ë°
[鳴沙一帶海棠洲]
ëŠ™ì€ ì›ë‹˜ 게ì„러서 나가지 못하니 어떡하나
[è€å®ˆå…¶å¦‚懶出éŠ]
ë‹´ 아래 í•€ 가지 몇 ê°œ 꽃ì´ì•¼ 다를 게 없으리니
[墻下數æžèŠ±è‰²æ˜¯]
í° ë¬¼ìƒˆì™€ 성근 비는 멀리서 ê·¸ í’류 맛보련다
[白鷗疎雨領風æµ]
– 최립(崔岦, 1539~1612), <해당화>, 《간ì´ì§‘》 ì œ8ê¶Œ

해당화는 중국과 ì¼ë³¸ ë° ìš°ë¦¬ë‚˜ë¼ ë‚¨ë¶€ì§€ë°©, 중부지방, ë¶ë¶€ì§€ë°©ì˜ í•´ë°œ 1,600m ì´í•˜ì˜ 산기슭ì´ë‚˜ 해변海邊 ëª¨ëž˜ë•…ì— ìžìƒí•œë‹¤. ëŒ€ë¶€ë¶„ì˜ í•´ë‹¹í™”æµ·æ£ èŠ±ëŠ” ê·¸ ì´ë¦„처럼 바닷가ì—서 주로 ìžëž€ë‹¤. 송대 진사陳æ€ê°€ 편찬한 《해당보海棠譜》ì—는 해당화를 외국ì—서 들여온 것ì´ë¼ 하고 있다.(ë„1) 해당화는 ì†¡ë‚˜ë¼ ì´ì „까지 촉나ë¼ì—서 ë§Žì´ ì‹¬ì—ˆë‹¤ê³  한다. 촉나ë¼ì— 해당화가 많았다는 ì´ì•¼ê¸°ëŠ” 조선후기 유박(柳璞, 1730~1787)ì˜ ã€Ší™”ì•”ìˆ˜ë¡èбè´éš¨éŒ„ã€‹ì— ìˆ˜ë¡ëœ <ì•ˆì‚¬í˜•å®‰å£«äº¨ì˜ íŽ¸ì§€> ë‚´ìš©ì„ í†µí•´ì„œë„ ì•Œ 수 있다.

ë¶‰ì€ ì˜¥êµ¬ìŠ¬ ê°™ì€ ì—´ë§¤

송대 ì´í›„ì—는 ë¶ìª½ì˜ 주요 수ë„는 물론 강남 지역ì—ì„œë„ ë§Žì´ ì‹¬ì—ˆìœ¼ë©°, 당시 í•´ë‹¹í™”ì˜ ê°’ë„ ìƒë‹¹ížˆ 비쌌다고 한다. ê³ ê°€é«˜åƒ¹ì˜ ê½ƒìž„ì—ë„ ë‹¹ì‹œ í•´ë‹¹í™”ì˜ ì¸ê¸°ëŠ” ìƒë‹¹í–ˆë˜ 것으로 ë³´ì¸ë‹¤. ì¸ê¸° 있는 ê½ƒë“¤ì´ ê·¸ë ‡ë“¯ í•´ë‹¹í™”ë„ ë§Žì€ ë³„ëª…ì„ ê°€ì§€ê³  있다. 해당화는 매괴화玫瑰花, 매괴玫瑰, 해당과海棠果, 민괴玟瑰, 배회裵回, í™ë§¤í™”紅玫花, í•„ë‘화筆頭花, 개해당화, 장미꽃 ë“±ìœ¼ë¡œë„ ë¶ˆë¦°ë‹¤. 해당화를 지칭하는 용어ì—는 ìœ ë… â€˜ë§¤çŽ«â€™ìžì™€ ‘괴瑰’ìžê°€ ë§Žì´ ë³´ì¸ë‹¤. ‘매’는 â€˜ë¶‰ì€ ì˜¥ ì´ë¦„’, ‘아름다운 ëŒâ€™ì„ ì˜ë¯¸í•˜ëŠ” 것ì´ë©°, ‘괴’는 â€˜êµ¬ìŠ¬ì˜ ì´ë¦„’, ‘둥글고 ëª¨ì–‘ì´ ì¢‹ì€ ì˜¥â€™ì„ ëœ»í•˜ëŠ” 것ì´ë‹¤. ì´ë ‡ê²Œ ë¶‰ì€ ì¢‹ì€ ì˜¥ì´ë‚˜ 구슬, 아름다운 ëŒ ë“±ì„ ëœ»í•˜ëŠ” 글ìžê°€ ë§Žì´ ë“¤ì–´ê°€ëŠ” ê¹Œë‹­ì€ í•´ë‹¹í™”ì˜ ë¹¨ê°›ê³  둥글고 단단한 ì—´ë§¤ì˜ ëª¨ìŠµì„ ë– ì˜¬ë ¸ê¸° ë•Œë¬¸ì¸ ë“¯í•˜ë‹¤. 그래서ì¸ì§€ 해당화 열매를 그린 ê·¸ë¦¼ì´ ì ì§€ 않게 그려졌다. <화조ë„>(ë„2)는 í° êµ­í™”ì™€ 노란 êµ­í™”, ë¶‰ì€ êµ­í™”ê°€ 피어 있는 ê°€ìš´ë° ë³´ì„처럼 붉게 빛나는 해당화 열매가 ì—´ë ¤ 있는 ìž¥ë©´ì„ ì„¬ì„¸í•œ 필치로 그려내었다.

가시가 있는 장미를 닮다

해당화는 낙엽관목ì´ë©°, 대략 1.5m ì •ë„로 ìžë¼ê³  ì¤„ê¸°ì— ê°€ì‹œë‚˜ ìžëª¨åˆºæ¯›ì™€ 융모絨毛가 있다. ê·¸ ê½ƒì˜ ëª¨ì–‘ì´ë‚˜ ì¤„ê¸°ì˜ ê°€ì‹œê°€ 장미와 닮아 있다. 5~8ì›”ì— í”¼ëŠ” ê½ƒì€ í™ìžìƒ‰ç´…紫色ì´ë©°, 지름 6~9cmì´ë‹¤. ê½ƒìžŽì€ ë„“ì€ ë„란형으로 ëì´ ì˜¤ëª©í•˜ë‹¤. 8월부터 열매가 성숙ë˜ëŠ”ë°, 수과(瘦果: ì‹ë¬¼ ì—´ë§¤ì˜ í•œ 종류로 열매가 ìµì–´ë„ ê»ì§ˆì´ ê°ˆë¼ì§€ì§€ 않는 형태)ì˜ ê¸¸ì´ëŠ” 4mmì´ë‹¤. 열매는 편구형æ‰çƒå½¢ì´ê³ , 지름 2~2.5cmì˜ ë¶‰ì€ ìƒ‰ì„ ë¤ë‹¤. ê½ƒìžŽì´ ë§Žì´ ê²¹ì¹œ ê²ƒì„ â€˜ë§Œì²©í•´ë‹¹í™”è¬ç–Šæµ·æ£ èŠ±â€™ë¼ í•œë‹¤. 해당화는 노란 í•´ë‹¹í™”ë„ ìžˆëŠ”ë°, ì›ì‚°ì§€ëŠ” 중국과 몽고ì´ë©° ìš°ë¦¬ë‚˜ë¼ ê°ì§€ì—서 ê´€ìƒìˆ˜ë¡œ 심고 있는 귀화ì‹ë¬¼ì´ë‹¤. ê°€ì§€ì˜ ëì´ íœ˜ì–´ì ¸ì„œ 밑으로 처지며, 가시가 많다. 5ì›”ì— ì§€ë¦„ 4~5cmì˜ í™©ìƒ‰é»ƒè‰² ê½ƒì´ í”¼ê³  만첩ì´ë‹¤.

해당화를 좋아한 사람들

중국 남송å—å®‹ì˜ ì„혜í™é‡‹æƒ æ´ªì´ ì§€ì€ ã€Šëƒ‰ìž¬ì•¼í™”å†·é½‹å¤œè©±ã€‹ì— í•´ë‹¹í™”ì™€ ê´€ë ¨ëœ ìž¬ë¯¸ìžˆëŠ” ì´ì•¼ê¸°ê°€ 실려 있다. ì–´ëŠ ë‚  ë‹¹ë‚˜ë¼ í˜„ì¢…ì´ ì–‘ê·€ë¹„ë¥¼ 불렀는ë°, 양귀비가 ì „ë‚  ë°¤ì— ë§ˆì‹  ìˆ ì— í¬ê²Œ 취하여 술 냄새를 í’기며 양귀비가 ë„착했다고 한다. í˜„ì¢…ì´ ì–‘ê·€ë¹„ì—게 ì•„ì§ë„ ìˆ ì— ì·¨í•´ìžˆëŠëƒê³  묻ìž, 양귀비가 â€œí•´ë‹¹ì€ ìž ì´ ë¶€ì¡±í•  따름입니다â€ë¼ê³  둘러댔다고 한다. 양귀비가 ìžì‹ ì„ í•´ë‹¹í™”ì— ë¹„ìœ í•œ 것ì´ë‹¤.
해당화를 좋아한 대표ì ì¸ ì¸ë¬¼ë¡œ 소ì‹(蘇軾 í˜¹ì€ ì†Œë™íŒŒè˜‡æ±å¡, 1036~1101)를 들 수 있다. 소ì‹ì´ í™©ì£¼é»ƒå·žì— ê·€ì–‘ì„ ê°€ì„œ 정혜ì›å®šæ…§é™¢ì˜ ë™ìª½ì— 살았다. 소ì‹ì€ 그곳ì—서 í•´ë‹¹í™”ì— ë§¤ë£Œë˜ì–´ 해당화와 ê´€ë ¨ëœ ê¸€ì„ ì§€ì—ˆê³ , 강소성 ì˜í¥å®œèˆˆì—서 ì§ì ‘ 해당화를 심어 ì¦ê²¼ë‹¤. 소ì‹ì—게 ì˜í–¥ì„ ë°›ì€ ë‹¤ë¥¸ ë§Žì€ ë¬¸ì¸ë“¤ë„ 해당화를 좋아하였는ë°, 남송å—å®‹ì˜ í™”ê°€ ë§ˆë¦°é¦¬éºŸì€ ì†Œì‹ì˜ <해당海棠>ì—서 ì˜ê°ì„ 받아 <병촉야유ë„秉燭夜éŠåœ–>를 그렸다.(ë„3)

ë™í’ì€ ì‚´ëž‘ ì‚´ëž‘ ë‹¬ë¹›ì€ ë„˜ì³ë‚˜ê³ [æ±é¢¨å«‹å«‹æ³›å´‡å…‰]
ìžìš±í•œ 향무香霧 ì† ë‹¬ì€ ë‚­í•˜ë¡œ ëŒì•„드네.[香霧空濛月轉廊]
ë°¤ 깊어 꽃 잠들어 떨어질까 ë‘려워[åªæå¤œæ·±èŠ±ç¡åŽ»]
촛불 ë†’ì´ ë“¤ì–´ 해당화 꽃잎 비춰보네.[故燒高燭照紅å¦]
– 소ì‹(蘇軾, 1036~1101), <해당海棠>

해당화는 ê½ƒì´ ì•„ë¦„ë‹µê³  ì—´ë§¤ë„ ì•„ë¦„ë‹¤ì›Œ ê´€ìƒì‹ë¬¼ë¡œ 좋다.
해당화 ê½ƒì€ íŠ¹ìœ ì˜ í–¥ê¸°ë¥¼ 지니고 있어, 향수ì›ë£Œë¡œ ì´ìš©ë˜ê¸°ë„ 한다.

ì°½ì£¼æ˜Œå·žì˜ í•´ë‹¹í™”ë§Œì´ ìœ ë… í–¥ê¸°ê°€ 있다.
왕우칭王禹åì˜ ì‹œì—, “ì†ìˆ˜ ëœ°ì— ê½ƒì„ ì‹¬ìœ¼ë‹ˆ ì •ì›ì— 향기 ê°€ë“하네[手æ¤åº­èŠ±æ»¿é™¢é¦™].†하였다.
우리나ë¼ì—는 ì´ í’ˆì¢…ì´ ì—†ìœ¼ë‹ˆ 한번 ë³¼ 수 없는 ê²ƒì´ ì•ˆíƒ€ê¹ë‹¤.
ìžìž¥ë¯¸ç´«è–”薇를 해당ì´ë¼ê³  하며 향기가 있다고 하는 ê²ƒì€ ìž˜ëª»ì´ë‹¤.
– ì´ìœ ì› 편저, <향기가 있는 해당화>, 《임하필기林下筆記》 ì œ30ê¶Œ

민화 ì† í•´ë‹¹í™”ì˜ ì˜ë¯¸

<화조ë„>(ë„4)는 꽃향기를 ê°€ë“ í’ˆì€ í•´ë‹¹í™”ê°€ 곱게 피어 있고, 해당화 나무 아래로 다정한 ì›ì•™ 한 ìŒì´ ë¬¼ì‚´ì„ ê°€ë¥´ê³  있다. ì†ì¹­ ìˆ˜ì»·ì„ â€˜ì›é´›â€™ì´ë¼ 하고, ì•”ì»·ì„ â€˜ì•™é´¦â€™ì´ë¼ 한다. ì›ì•™ì€ 날아오를 때 어깨를 나란히 하여 날개를 맞대고 나는ë°, ìˆ˜ì»·ì€ ì™¼ìª½ì—서 ì•”ì»·ì€ ì˜¤ë¥¸ìª½ì—서 난다. ë°¤ì´ ê¹Šì–´ì§€ë©´ 날갯죽지로 서로 ìƒëŒ€ë°©ì„ ê°ì‹¸ë©°, ë§Œì¼ ë¶ˆí–‰ížˆë„ ì§ì„ 잃게 ë˜ë©´ ë‚¨ì€ í•œ 마리는 ê²°ì½” 따로 새 ì§ì„ 찾지 않기 ë•Œë¬¸ì— ë¶€ë¶€ì˜ ì• ì •ì´ ëˆë…하여 오래ë„ë¡ í™”ëª©í•œ ê²ƒì— ë¹„ìœ ëœë‹¤.

ëª¨ëž€ì— í•´ë‹¹í™”ë¥¼ 배치한 ê·¸ë¦¼ì€ ë¶€ê·€ì˜í™”ê°€ 온 ì§‘ì•ˆì— ë„˜ì³í르기를 ì¶•ì›í•˜ëŠ” ë„안으로, â€˜ë§Œë‹¹ë¶€ê·€æ»¿å ‚å¯Œè²´â€™ë¼ í•œë‹¤.(ë„5) ì¶œìƒì„ 축하하는 머리장ì‹ì´ë‚˜ 모ìžì˜ 휘장ì—는 대부분 만당부귀를 새겨 넣어 길ìƒì ì¸ ì˜ë¯¸ë¥¼ 추구한다. ë§Œì¼ í•´ë‹¹í™”ì™€ ëª¨ëž€ì— ì˜¥ëž€í™”çŽ‰è˜­èŠ±ê°€ 함께 그려지면, ì´ëŠ” 모ë‘ê°€ ì„ ë§í•˜ëŠ” ë†’ì€ ì§€ìœ„ì— ì˜¬ë¼ ë¶€ê·€ì˜í™”를 누리기를 ì¶•ì›í•˜ëŠ” ë„ì•ˆì´ ëœë‹¤. ì´ë¥¼ â€˜ì˜¥ë‹¹ë¶€ê·€çŽ‰å ‚å¯Œè²´â€™ë¼ í•œë‹¤.(ë„6) 꽃병 ì†ì— 옥란화와 해당화를 꽂아 ë†“ì€ ë„ì•ˆì„ â€˜ì˜¥ë‹¹í™”í‰çŽ‰å ‚å’Œå¹³â€™ì´ë¼ê³  ì œëª©ì„ ë¶™ì´ëŠ” ê²½ìš°ë„ ìžˆë‹¤.
해당화와 ëª¨ëž€ì´ í•¨ê»˜ 등장하는 예는 민화ì—서 ìžì£¼ 등장한다. 그래서 작고 ì–´ì—¬ìœ ë¶‰ì€ ê½ƒ ë„ìƒì´ 무슨 꽃ì¸ì§€ 모를 때면, ê·¸ 꽃 ì£¼ë³€ì— ë¬´ì—‡ì´ ê·¸ë ¤ì ¸ 있는지 살펴보게 ëœë‹¤. ê·¸ ì˜†ì— ëª¨ëž€ì´ í•¨ê»˜ 그려져 있으면, ì´ë¦„ 모를 작고 ì˜ˆìœ ê½ƒì´ í•´ë‹¹í™”ì¼ ê°€ëŠ¥ì„±ë„ ìƒê°í•´ ë³¼ 수 있기 때문ì´ë‹¤. <화조ë„>(ë„7)는 ë¶‰ì€ ëª¨ëž€ê³¼ í° ëª¨ëž€ì´ ê·¸ 화려한 ìžíƒœë¥¼ ìžëž‘하듯 아름답게 피어있고, ê·¸ 사ì´ì‚¬ì´ì— ëª¨ëž€ì˜ ì•„ë¦„ë‹¤ì›€ì— ì§€ì§€ 않는 ì–´ì—¬ìœ í•´ë‹¹í™”ê°€ 피어있는 ëª¨ìŠµì„ ê·¸ë¦° 것ì´ë‹¤. 모란과 해당화를 배경으로 비둘기 한 ìŒê³¼ 산새 한 ìŒì´ 다정한 한 때를 ë³´ë‚´ê³  있다. 화목한 ê°€ì •ì„ ì´ë£¨ê³  온 ì§‘ì•ˆì— ë¶€ê·€ì˜í™”ê°€ 넘ì³í르기를 ë°”ë¼ëŠ” 마ìŒì´ ê°€ë“ ë‹´ê¸´ 그림ì´ë‹¤. 꽃 ì¤‘ì˜ ì‹ ì„ [花中神仙]ì´ë¼ëŠ” 해당화가 꽃 ì¤‘ì˜ ì™•[花中之王] ëª¨ëž€ì„ ë§Œë‚˜ë©´ 부귀ì˜í™”ê°€ 넘ì³í르게 ëœë‹¤ëŠ” ì˜ë¯¸ë¼ë‹ˆ í¥ë¯¸ë¡­ë‹¤.


글 김취정(ì„œìš¸ëŒ€í•™êµ ë°•ë¬¼ê´€ ê°ì›ì—°êµ¬ì›)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