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취정 ë°•ì‚¬ì˜ ë¯¼í™” ì½ê¸° â‘­ ê¸°ì‚¬íšŒìƒ ì •ì‹ ê³¼ 초탈한 마ìŒì˜ ìƒì§•, 파초

민화ì—는 ê´´ì„ê³¼ 함께 곧잘 그려진 파초. 파초는 전체모양과 꽃, 열매가 바나나와 닮았으며, ìžŽì´ í¬ê³  아름다워 옛 그림 ì†ì— 다양한 ì˜ë¯¸ë¡œ 그려졌다. 그림으로 그려지기 ì „ì— ì¤‘êµ­ì—서 들어온 온대성 대형 ì‹ë¬¼ì¸ 파초로 조선후기 ì •ì› ë¬¸í™”ë¥¼ 꽃피우기 위해서는 ë§Žì€ ë…¸ë ¥ì´ í•„ìš”í–ˆì„ ê²ƒì´ë‹¤. ê°•ì¸í•œ ìƒëª…ë ¥ì„ ì§€ë‹ˆê³  ê¸°ì‚¬íšŒìƒ ì •ì‹ ê³¼ 세ì†ì˜ 무ìƒí•¨ì„ ë‚˜íƒ€ë‚´ê¸°ë„ í•˜ëŠ” 오묘한 ì‹ë¬¼, íŒŒì´ˆì— ëŒ€í•´ ì†ì†ë“¤ì´ 들여다본다. (íŽ¸ì§‘ìž ì£¼)


아름다운 잎, 파초

파초는 ìžŽì´ ì•„ë¦„ë‹¤ì›Œì„œ 예로부터 í™”ì¡°í™”èŠ±é³¥ç•µì˜ ì†Œìž¬ë¡œ ìžì£¼ 등장하였다. ê°•í¬ì•ˆ(姜希顔, 1417~1464ë…„)ë„ ê·¸ì˜ ì €ì„œ 《양화소ë¡é¤Šèбå°éŒ„》ì—서 화목류를 9품으로 나누어 í‰í•  때, 파초를 앙우仰å‹Â·ì´ˆì™•è‰çŽ‹Â·ë…¹ì²œì•”ç¶ å¤©è´ì´ë¼ 부르면서 부귀한 ëª¨ìŠµì„ ì·¨í•˜ì—¬ 2í’ˆì— ì˜¬ë ¸ë‹¤. 고려시대 ì´ê·œë³´ì˜ 《ë™êµ­ì´ìƒêµ­ì§‘》ì—ë„ íŒŒì´ˆë¥¼ 뜻하는 â€˜ì´ˆè•‰â€™ì— ëŒ€í•œ ë‚´ìš©ì´ ì‹¤ë ¤ 있어, ê³ ë ¤ì‹œëŒ€ì— í•œë°˜ë„ì— íŒŒì´ˆ, í˜¹ì€ íŒŒì´ˆì— ëŒ€í•œ ì •ë³´ê°€ ë“¤ì–´ì™”ë˜ ê²ƒìœ¼ë¡œ ë³´ì¸ë‹¤.
파초芭蕉는 íŒŒì´ˆê³¼ì— ì†í•˜ëŠ” 관엽ì‹ë¬¼ì´ë‹¤. 중국ì›ì‚°ì˜ 온대성 대형 초본ì‹ë¬¼ë¡œ ìš°ë¦¬ë‚˜ë¼ ë‚¨ë¶€ì§€ì—­ì—서 재배ë˜ê³  있다. 줄기는 여러 ìž¥ì˜ ìžŽì‹¸ê°œë¡œ ë˜ì–´ 있으며, ê·¸ 높ì´ê°€ 5m까지 ìžëž€ë‹¤ê³  한다. 새로 난 ì–´ë¦°ìžŽì€ ëŒëŒ ë§ë¦° 형태로 ë³´ì´ë©°, 좀 ë” ìžëž€ ìžŽì€ ê¸´ 타ì›í˜•ì˜ ëª¨ìŠµì„ ë³´ì¸ë‹¤. ìžŽì˜ ê¸¸ì´ê°€ 긴 ê²ƒì€ 2mê°€ 넘는 ê²ƒë„ ìžˆë‹¤. ì—¬ë¦„ì— ê½ƒëŒ€ê°€ 나와 여러 ê°œì˜ ê½ƒì„ í”¼ìš°ëŠ”ë°, ë°‘ì— ì•”ê½ƒì´ í”¼ê³ , ìœ„ìª½ì— ìˆ˜ê½ƒì´ í•€ë‹¤. íŒŒì´ˆì˜ ì „ì²´ëª¨ì–‘ê³¼ 꽃, 열매는 바나나와 무척 닮아서 êµ¬ë³„ì´ ìž˜ 안 ëœë‹¤. 그러나 ë°”ë‚˜ë‚˜ì— ë¹„í•˜ë©´ ê²°ì‹¤ì„±ì´ ì•„ì£¼ 떨어지고, 열매가 열렸다 하ë”ë¼ë„ 바나나보다 작고 ë¨¹ì„ ìˆ˜ë„ ì—†ë‹¤. 바나나는 ì¸ë„, 세ì¼ë¡ , ë§ë ˆì´ì‹œì•„ ì›ì‚°ìœ¼ë¡œ 제주ë„ì—ì„œë„ ìž¬ë°°ëœë‹¤. ì´ë¥¼ ê°ì´ˆç”˜è•‰, í–¥ì´ˆé¦™è•‰ë¼ ë¶€ë¥¸ë‹¤. 간혹 서울ì´ë‚˜ 대구 등지ì—서 바나나가 열렸다며 화제가 ë˜ëŠ” 경우가 있는ë°, 바나나가 아닌 파초로 확ì¸ë˜ëŠ” 경우가 대다수ì´ë‹¤. ë†ì´Œì§„í¥ì²­ì€ 과는 같지만 ì¢…ì´ ë‹¤ë¥¸ 바나나와 파초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ë°©ë²•ì„ 2017ë…„ 6ì›” 28ì¼ìž ì–¸ë¡ ì„ í†µí•´ 소개한 ë°” 있다. 파초와 바나나는 잎 ë’·ë©´ì˜ ìƒíƒœë¡œë„ êµ¬ë¶„ì´ ê°€ëŠ¥í•œë° ë°”ë‚˜ë‚˜ ìžŽì˜ ë’·ë©´ì—는 분粉 ëª¨ì–‘ì˜ í° ê°€ë£¨ê°€ ë°œìƒë˜ëŠ” 반면, 파초ì—는 í° ê°€ë£¨ê°€ 없고 ì˜…ì€ ë…¹ìƒ‰ì„ ë¤ë‹¤. 파초와 ë‹®ì€ ê²ƒìœ¼ë¡œëŠ” 애기파초가 있는ë°, 작고 아름다워 미ì¸ì´ˆç¾Žäººè•‰ë¼ 부르며 ê´€ìƒìš©ìœ¼ë¡œ ë„리 심고 있다.

ì„ ë¹„ë“¤ì´ ì‚¬ëž‘í•œ 파초

조선후기ì—는 문ì¸ì‚¬ëŒ€ë¶€ë“¤ì— ì˜í•´ ì •ì› ë¬¸í™”ê°€ í¬ê²Œ 성행하게 ëœë‹¤. 당시 ì •ì› ë¬¸í™”ëŠ” ëª…ë§æ˜Žæœ« 강남지방 ì‚¬ëŒ€ë¶€ì˜ ì›ë¦¼ë¬¸í™” 취향과 관련 깊다.(ë„1) ì¡°ì„ ì˜ ë¬¸ì¸ë“¤ì´ 남방계 ì‹ë¬¼ì¸ 파초를 ì •ì›ì— 심어 ê°ìƒí•˜ëŠ” 문화를 형성한 ê²ƒì€ íŠ¹ê¸°í•  만하다. 왜ëƒí•˜ë©´ 파초는 중국ì›ì‚°ì˜ 온대성 대형 초본ì‹ë¬¼ì´ê¸° 때문ì´ë‹¤. ì¡°ì„  ë•…ì—서 파초를 심고 가꾸기 위해서는 특별한 ë…¸ë ¥ì„ ê¸°ìš¸ì—¬ì•¼ í–ˆì„ ê²ƒì´ë‹¤. ê·¸ ìˆ˜ê³ ë¡œì›€ì„ ê°ìˆ˜í•˜ë©´ì„œê¹Œì§€ 문ì¸ë“¤ì´ 파초를 사랑한 ì´ìœ ëŠ” 무엇ì¼ê¹Œ? 파초를 ë³´ë©´, ëŠìž„ì—†ì´ ìƒˆ ìžŽì„ ë°€ê³  올ë¼ì˜¤ëŠ” ëª¨ìŠµì„ ë³´ì—¬ì¤€ë‹¤. ë´„ì´ ë˜ë©´ ì–´ê¹€ì—†ì´ ìƒˆìˆœì´ ë‹¤ì‹œ 나오는 ì†ì„±ì€ ê°•ì¸í•œ ìƒëª…력과 변하지 않는 ì˜ë¦¬ì˜ ìƒì§•ì´ ë˜ì—ˆë‹¤. 파초는 스스로 íž˜ì„ ì“°ê³  몸과 마ìŒì„ 가다듬어 쉬지 않는 ‘ìžê°•불ì‹è‡ªå¼ºä¸æ¯â€™ì˜ ì •ì‹ ì„ ë³´ì—¬ì¤€ë‹¤. ì´ì— 문ì¸ë“¤ì€ 파초를 ì•„ë¼ê³  ì‚¬ëž‘í–ˆë˜ ê²ƒì´ë‹¤. ë¿ë§Œ ì•„ë‹ˆë¼ íŒŒì´ˆëŠ” 오래전부터 ê¸€ì„ ì“¸ 수 있는 종ì´ë¡œì„œì˜ ì—­í• ë„ í•˜ì˜€ë˜ ê²ƒìœ¼ë¡œ ë³´ì¸ë‹¤. ë‹¹ë‚˜ë¼ íšŒì†Œ(懷素, 725~785ë…„)는 파초 수천 í¬ê¸°ë¥¼ 심어 놓고, ìžŽì„ ì¢…ì´ ì‚¼ì•„ 글씨를 연습하여 뛰어난 서예가가 ë˜ì—ˆë‹¤.

파초가 그려진 우리 그림

파초는 문ì¸ê³¼ 어울리는 ì±…ì´ë‚˜ ì±…ìƒ, 거문고, 바둑, 서화 등과 함께 그려지거나(ë„2), 문ì¸ë“¤ì˜ ëª¨ìž„ì„ ì£¼ì œë¡œ 그린 계회ë„나 ì•„íšŒë„ ë“±ì„ êµ¬ì„±í•˜ëŠ” 중요 요소로서 ê·¸ë ¤ì§€ê¸°ë„ í–ˆë‹¤. 문ì¸ë“¤ì˜ ê³µê°„ì„ ë¬˜ì‚¬í•œ ê·¸ë¦¼ë“¤ì„ ì‚´íŽ´ë³´ë©´, 소나무, 대나무, 매화, ê´´ì„ ë“±ê³¼ ë”불어 파초를 그린 예가 많다. ì •ì¡°(正祖, 1752~1800ë…„, 재위 1776∼1800ë…„)ì˜ ã€ˆíŒŒì´ˆë„芭蕉圖)〉ì—서처럼 파초와 ê´´ì„ì„ í•¨ê»˜ 그린 ì˜ˆë„ ìžˆë‹¤.(ë„3) ì´ ìž‘í’ˆì€ ë°”ìœ„ ì˜†ì— ì„œ 있는 한 ê·¸ë£¨ì˜ íŒŒì´ˆë¥¼ 묘사한 것으로, í™”ë©´ì˜ ì™¼ìª½ ìƒë‹¨ì— ‘í™ìž¬å¼˜é½‹â€™ì˜ 백문방ì¸ç™½æ–‡æ–¹å°ì´ ì°í˜€ 있어 ì •ì¡°ì˜ ìž‘í’ˆì´ë¼ëŠ” ì‚¬ì‹¤ì„ ì•Œ 수 있다. ë¨¹ì˜ ë†ë‹´ê³¼ í‘ë°± ëŒ€ì¡°ì— ì˜í•˜ì—¬ ë°”ìœ„ì˜ ê´´ëŸ‰ê°ê³¼ ì§ˆê° ë° íŒŒì´ˆìžŽì˜ ë³€í™”ê°ì„ 잘 표현하였다. 파초와 ê´´ì„ì„ í•¨ê»˜ 그린 예는 민화ì—ì„œë„ ìžì£¼ ë³´ì¸ë‹¤.(ë„4, ë„5, ë„8) 그림 ì†ì— 파초를 등장시킨 화가로는 ì •ì„ , 심사정, ê¹€í™ë„, 장승업 ë“±ì´ ìžˆë‹¤. 파초가 그려진 ê·¸ë¦¼ì˜ ìˆ˜ëŸ‰ì€ ì´ë£¨ 다 헤아리기 어려울 ì •ë„로 많다.

íŒŒì´ˆì˜ ì—¬ëŸ¬ 가지 ìƒì§•성


파초는 ìžŽì´ ë„“ê³  ì„ ì¸ä»™äººì˜ í’취가 있다. ë„“ì€ ìžŽì€ ë¶€ê·€ë¥¼ ìƒì§•í•˜ê¸°ë„ í•œë‹¤. ë˜í•œ 팔길ìƒå…«å‰ç¥¥ í˜¹ì€ íŒ”ë³´å…«å¯¶ 중 하나로 ì—¬ê²¨ì§€ê¸°ë„ í•˜ëŠ”ë°, ‘팔보’란 불êµì˜ì‹ì—서 사용ë˜ëŠ” ì—¬ëŸ ê°€ì§€ë¥¼ 모아 만든 ì¼ì¢…ì˜ ê¸¸ìƒë„안ì´ë‹¤. ì´ëŠ” ë²•ë¼æ³•螺, 법륜法輪, 보산寶傘, 백개白盖, 연화蓮花, 보병寶ç”, 금어金魚, 반장盤長 등 ì—¬ëŸ ì¢…ë¥˜ì˜ ê·¸ë¦¼ìœ¼ë¡œ 구성ëœë‹¤. 구슬[ç ], ëˆ[錢], ì•…ê¸°ì˜ ì¼ì¢…ì¸ ê²½ì‡ [磬], ìƒì„œë¡œìš´ 구름[祥雲], 네모나게 만든 매듭 í˜•íƒœì˜ ë°©ìŠ¹æ–¹å‹, 물소뿔로 만든 술잔[犀角æ¯], 글씨[書], 그림[畵], ë¶‰ì€ ë‹¨í’잎[紅葉], 쑥잎[艾葉], 파초잎[蕉葉], 솥[鼎], ì˜ì§€ë²„섯[éˆèŠ], 옛날 ëˆ[元寶], ì¼ì •한 형태와 ìƒ‰ì„ ê°–ì¶˜ ì¤‘ëŸ‰ì´ ìžˆëŠ” ì€í™”ì¸ ì •éŒ  ë“±ì˜ ì—¬ëŸ¬ 보배들 ê°€ìš´ë° ìž„ì˜ë¡œ ì—¬ëŸ ê°€ì§€ë¥¼ ì„ íƒí•˜ë©´ 팔보가 ëœë‹¤.(ë„6)
겨울ì—는 ë§ë¼ ì£½ì€ ê²ƒì²˜ëŸ¼ ë³´ì´ì§€ë§Œ, ë´„ì´ ë˜ë©´ ìƒˆìˆœì´ ë‚˜ì˜¨ë‹¤ê³  하여, 기사회ìƒèµ·æ­»å›žç”Ÿì˜ ìƒì§•물로 여겨졌다. ì´ëŠ” ë¶ì†¡ì˜ ë¬¸ì¸ ìž¥ìž¬(張載 1020~1077ë…„)ì˜ ì‹œ 〈파초芭è‰ã€‰ì—ì„œë„ ìž˜ 드러난다.

파초 ì†ìžŽì´ 다하면 새 가지를 뻗어나고
[芭蕉心盡展新æž]
ëŒëŒ ë§ë¦° 새 ì†ìžŽ 슬며시 ë”°ë¼ ë‹ì•„나네
[å¿ƒå·æ–°å¿ƒæš—己隨]
새 ì†ìžŽì„ 배워서 새로운 ë•ì„ ìŒ“ê³ 
[願學新心長新德]
ì´ì–´ 새잎 ë”°ë¼ì„œ 새 ì§€ì‹ì„ 기르리ë¼
[施隨新葉起新知]
– 장재(張載 1020~1077ë…„), 〈파초芭è‰ã€‰

íŒŒì´ˆì— ëŒ€í•œ ì´ëŸ¬í•œ ì¸ì‹ì€ ì¡°ì„ ì˜ ë¬¸ì¸ì‚¬ëŒ€ë¶€ë“¤ì—ê²Œë„ í° ì˜í–¥ì„ 미치게 ëœë‹¤. ì¡°ìµ(趙翼, 1579~1655ë…„)ê³¼ 송시열(宋時烈, 1607~1689ë…„) ë“±ë„ íŒŒì´ˆì˜ ë•ì„±ì„ ë…¸ëž˜í•œ 시를 남겼다. ì¡°ì„ ì˜ ë¬¸ì¸ë“¤ì´ 남긴 ì €ìˆ ë“¤ì„ í†µí•´ ì´ë“¤ì˜ íŒŒì´ˆì— ëŒ€í•œ ê¹Šì€ ì‚¬ëž‘ì„ ëŠë‚„ 수 있다.
중국ì—서 ì „ëž˜ëœ íŒŒì´ˆëŠ” ê³ í–¥ì´ ì¤‘êµ­ì¸ ì…ˆì´ë‹¤. 우리나ë¼ì—서 파초는 ê³ í–¥ì„ ê·¸ë¦¬ì›Œí•˜ëŠ” 마ìŒì„ ì˜ë¯¸í•˜ê¸°ë„ 한다. 그러한 예로 〈파초야우ë„èŠ­è•‰å¤œé›¨åœ–ã€‰ì˜ ì œì°¬é¡Œè´Š 중 ‘유용산승사차운파초ë„éŠé¾å±±åƒ§èˆæ¬¡éŸµèŠ­è•‰åœ–â€™ë¥¼ 들 수 있다.(ë„7, ë„7-1)

ìš©ì‚°ì˜ ì‚¬ì°°ì—서 ë…¸ë‹ë©° 파초ë„ì˜ ì‹œì— í™”ë‹µì‹œë¥¼ 짓는다
[éŠé¾å±±åƒ§èˆæ¬¡éŸµèŠ­è•‰åœ–]
íŒŒì´ˆì— ë¹—ë°©ìš¸ 떨어지는 ê°€ì„ë°¤ì€ ê¹Šì€ë°
[雨滴芭蕉秋夜深]
ì˜·ê¹ƒì„ ì—¬ë¯¸ê³  위태롭게 앉아 ìž… 벌려 í° ì†Œë¦¬ë¡œ 탄ì‹í•˜ë„¤
[æ“è¡¿å±åº§å¬é«˜åŸ]
멀리 있는 그대는 ì–´ëŠ ê³³ì— ìžˆê¸¸ëž˜ ì¸íŽ¸ì— ì†Œì‹ì´ 없으니
[é å…¬ä½•処無人å•]
ì´êµ­ ë•… 서ìƒì˜ 마ìŒì€ 만리를 가네
[異国書生è¬é‡Œå¿ƒ]
– ì˜ë½æ°¸æ¥½ 8ë…„(1410ë…„) 8ì›”, ì¡°ì„ êµ­ 봉찰사
통정대부 ì˜ˆì¡°ì¢Œì°¸ì˜ ì§‘í˜„ì „ 학사 양수가 짓다.
[æœé®®å›½å¥‰ç¤¼ä½¿é€šæ”¿å¤§å¤«ç¤¼æ›¹å·¦å‚議集賢殿学士æ¢éœ€é¡Œ]


〈파초야우ë„〉는 1410ë…„ì— ë´‰ë¡€ì‚¬å¥‰ç¦®ä½¿ë¡œ ì¼ë³¸ì— ê°”ë˜ ì§‘í˜„ì „ 학사 양수æ¢éœ€ì™€ ì¼ë³¸ êµí†  ì˜¤ì‚°äº”å±±ì˜ ì‹œìŠ¹è©©åƒ§ 16ì¸ì˜ ì œì°¬ì´ ì í˜€ 있는 그림ì´ë‹¤. 15세기 한·ì¼ê°„ì˜ ì™¸êµê´€ê³„와 회화êµì„­ ì–‘ìƒì„ ì´í•´í•˜ëŠ” ë° ì¤‘ìš”í•œ 작품ì´ë‹¤.
파초는 탈ì†è„«ä¿—ì„ ìƒì§•í•˜ê¸°ë„ í•˜ëŠ”ë°, ì´ëŠ” 달마대사é”磨大師와 혜가대사慧å¯å¤§å¸«ì˜ ì¼í™”ì—서 잘 드러난다. 달마대사는 스승 반야다ë¼èˆ¬è‹¥å¤šç¾… ì¡´ìžì˜ ì—´ë°˜ ì´í›„ ì¸ë„를 떠나 중국으로 간다. 오랜 시간 ì¸ì—°ì„ ê¸°ë‹¤ë¦¬ë˜ ë‹¬ë§ˆëŒ€ì‚¬ì—게 신광神光ì´ë¼ëŠ” ìŠ¤ë‹˜ì´ ì°¾ì•„ì™€ ê°€ë¥´ì¹¨ì„ ì²­í•˜ê³  깨달ìŒì„ 얻기 위해 정진하였다. ì´ë¥¼ 본 달마대사는 ì§§ì€ ì‹œê°„ì— í° ì§€í˜œë¥¼ 얻으려는 ì‹ ê´‘ì„ í¬ê²Œ 꾸짖었고, ì‹ ê´‘ì€ ìžì‹ ì˜ 왼쪽 íŒ”ì„ ìž˜ë¼ ìžì‹ ì˜ ì§„ì •ì„±ì„ ë³´ì—¬ì£¼ì—ˆë‹¤. ê·¸ëŸ¬ìž ë•…ì—서 íŒŒì´ˆìžŽì´ ì†Ÿì•„ë‚˜ ê·¸ì˜ íŒ”ì„ ë°”ì³¤ë‹¤ê³  한다. ì´ ëª¨ìŠµì„ ë³¸ 달마대사는 ì‹ ê´‘ì„ ì œìžë¡œ 받아들여 ê·¸ì—게 혜가慧å¯ë¼ëŠ” ë²•ëª…ì„ ì£¼ì—ˆë‹¤. 혜가는 중국 ì„ ì¢…ì˜ ì œ2대 조사가 ë˜ì—ˆë‹¤. 파초는 ë´„ì— ìƒˆìˆœì´ ë‚˜ì™€ í¬ê²Œ ìžë¼ë‹¤ê°€ ê²¨ìš¸ì´ ë˜ë©´ 마치 ì£½ì€ ê²ƒì²˜ëŸ¼ 사그ë¼ì§€ëŠ” íŠ¹ì§•ì„ ì§€ë‹ˆê³  있어, 세ì†ì˜ 무ìƒí•¨ì„ ìƒ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ì¸ì§€ ì‚¬ì°°ì˜ ëŒ€ì›…ì „ì´ë‚˜ ê·¹ë½ì „ ì•žì— íŒŒì´ˆë¥¼ 심는 경우가 많다.


글 김취정(ì„œìš¸ëŒ€í•™êµ ë°•ë¬¼ê´€ ê°ì›ì—°êµ¬ì›)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One comment on “김취정 ë°•ì‚¬ì˜ ë¯¼í™” ì½ê¸° â‘­ ê¸°ì‚¬íšŒìƒ ì •ì‹ ê³¼ 초탈한 마ìŒì˜ ìƒì§•, 파초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