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취정 ë°•ì‚¬ì˜ ë¯¼í™” ì† ì‹ ì´í•œ ì´ì•¼ê¸°

ë„1 <서수ë„瑞ç¸åœ–>, 20세기, ê° 67×34ãŽ, ì¼ë³¸ 민예관 소장 ( 출처 《ì¼ë³¸ 민예관 소장 한국문화재. 2, ë„ìžÂ·íšŒí™”편》 (2017))


김정í¬ì¸ 金正喜å°ê³¼ 추사秋å²ì¸ì´ ì°í˜€ìžˆëŠ” ì¼ë³¸ 민예관 소장 서수ë„瑞ç¸åœ–

ë¯¼í™”ì— ì¡°ì„  금ì„학파를 성립하고, 추사체를 완성한 문신ì´ìž 실학ìžì´ë©´ì„œ ì„œí™”ê°€ì˜€ë˜ 19세기 í•™ìž ì¶”ì‚¬ 김정í¬(ç§‹å² é‡‘æ­£å–œ, 1786~1856)ì˜ ì¸ìž¥ì´ ì°ížŒ ê²ƒì„ ë³´ë©´ 무슨 연유로 추사 김정í¬ì˜ ì¸ìž¥ì´ ì°ížˆê²Œ ëœ ê²ƒì¸ì§€ ê¶ê¸ˆí•˜ê¸´ 하지만, 어색함보다는 그럴 ìˆ˜ë„ ìžˆê² ë‹¤ëŠ” ìƒê°ì´ 앞서는 ì´ìœ ëŠ” ê¹€ì •í¬ ì¸ìž¥ì´ ì°ížŒ ê·¸ë¦¼ì´ ë°”ë¡œ ‘민화’기 때문ì´ë‹¤. ë¯¼í™”ì— ì¶”ì‚¬ 김정í¬ì˜ ì¸ìž¥ì´ 등장할 수 ìžˆì—ˆë˜ ê²ƒì€ ë¯¼í™”ê°€ 갖는 ëŒ€í‘œì  ì†ì„± 때문ì´ë‹¤. 어떠한 ì£¼ì œë„ ëª¨ë‘ ë‹´ì•„ë‚¼ 수 있는 ë¯¼í™”ì˜ ë„“ì€ í¬ìš©ë ¥ê³¼ ìžìœ ë¡œì›€ì´ 그것ì´ë‹¤.

글 김취정 (ì„œìš¸ëŒ€í•™êµ ë°•ë¬¼ê´€ ê°ì›ì—°êµ¬ì›/ê³ ë ¤ëŒ€í•™êµ ê°•ì‚¬)


바다ì—서 íž˜ê» íŠ€ì–´ 오르는 물고기들 사ì´ë¡œ ë“±ê°‘ì— ì™•çŽ‹ìžê°€ ì“°ì¸ ì‹ êµ¬ê°€ 신령스러운 서기瑞氣를 í•œê» ë¿œì–´ë‚´ê³  있다. 다른 í­ì—는 다른 ë™ë¬¼ì„ 절대 해치지 않는다는 ê¸°ë¦°ì´ ëª¨ëž€ê³¼ 함께 그려져 있다(ë„1). ê¸°ë¦°ì˜ ë¿” ëì„ ì˜…ì€ ë¶„í™ìƒ‰ìœ¼ë¡œ ì¹ í•´ ê¸°ë¦°ì˜ íŠ¹ì§•ì„ ìž˜ 살렸다. ì›ëž˜ ì—¬ëŸ í­ì´ì—ˆì„ 것으로 ë³´ì´ë‚˜ 현재 ë‘ í­ë§Œì´ 소장ë˜ì–´ 있다. 신구 그림ì—는 백문방ì¸ì¸ 추사秋å²ê°€, 기린 그림ì—는 마찬가지로 주문방ì¸ì¸ ì¶”ì‚¬ç§‹å² í•œ 개가 ì°í˜€ 있다. ì¡°ì„  후기 유명 í•™ìžì¸ 김정í¬ì™€ ê´€ë ¨ëœ ë„장ì´ì§€ë§Œ, 후날後æºë¡œ ë³´ì¸ë‹¤(ë„1-1).

ë„1-1 ë„1 부분

ë¯¼í™”ì— ì¡°ì„  금ì„학파를 성립하고, 추사체를 완성한 문신ì´ìž 실학ìžì´ë©´ì„œ ì„œí™”ê°€ì˜€ë˜ 19세기 í•™ìž ì¶”ì‚¬ 김정í¬(ç§‹å² é‡‘æ­£å–œ, 1786~1856)ì˜ ì¸ìž¥ì´ ì°í˜€ 있다고 í•  때 무슨 연유로 추사 김정í¬ì˜ ì¸ìž¥ì´ ì°ížˆê²Œ ëœ ê²ƒì¸ì§€ ê¶ê¸ˆí•˜ê¸´ 하지만, 어색함보다는 그럴 ìˆ˜ë„ ìžˆê² ë‹¤ëŠ” ìƒê°ì´ 앞서는 ì´ìœ ëŠ” ê¹€ì •í¬ ì¸ìž¥ì´ ì°ížŒ ê·¸ë¦¼ì´ ë°”ë¡œ ‘민화’기 때문ì´ë‹¤. ë¯¼í™”ì— ì¶”ì‚¬ 김정í¬ì˜ ì¸ìž¥ì´ 등장할 수 ìžˆì—ˆë˜ ê²ƒì€ ë¯¼í™”ê°€ 갖는 ëŒ€í‘œì  ì†ì„± 때문ì´ë‹¤. 어떠한 ì£¼ì œë„ ëª¨ë‘ ë‹´ì•„ë‚¼ 수 있는 ë¯¼í™”ì˜ ë„“ì€ í¬ìš©ë ¥ê³¼ ìžìœ ë¡œì›€ì´ 그것ì´ë‹¤.

ìžìœ ë¶„방한 우리 그림 민화

ë„2 <만법통ì¼è¬æ³•統一>, 지본채색, 74×46ãŽ,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민화는 ê·¸ë¦¼ì˜ ì£¼ì œë‚˜ 표현방ì‹ì´ ìžìœ ë¶„ë°©í•˜ê¸°ì— ì–´ë– í•œ 소재든, 어떠한 ì†Œìž¬ì™€ì˜ ì¡°í•©ì´ë“  표현하고 ì‹¶ì€ ê²ƒì´ë¼ë©´ ê·¸ê²ƒì´ ë¬´ì—‡ì´ë“  그려지고 ì œìž‘ë  ìˆ˜ 있었다. ë™ì•„ì‹œì•„ì˜ ì—­ì‚¬ì™€ 문화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유儒·불佛·ë„é“ ì‚¼êµ í†µí•©ì— ëŒ€í•œ ì´í•´ê°€ 필수ì ì´ë‹¤. 옛 ì„ í˜„ë“¤ì€ ë³´íŽ¸ì§„ë¦¬ì— ë‹¤ê°€ì„œê¸° 위해 유êµÂ·ë¶ˆêµÂ·ë„êµ ì‚¼êµä¸‰æ•Ž í†µí•©ê´€ì„ ê²¬ì§€í•´ì™”ë‹¤. ì´ëŸ¬í•œ 유불선 ì‚¼êµ í†µí•©ê´€ì„ ì ë‚˜ë¼í•˜ê²Œ 그림으로 묘사한 ì˜ˆë„ ìžˆìœ¼ë‚˜, ê±°ì˜ ì°¾ì•„ë³´ê¸° 힘들다. 하지만 민화ì—서는 유êµÂ·ë¶ˆêµÂ·ë„êµ ì‚¼êµ í†µí•©ê´€ì„ ê·¸ë¦¼ìœ¼ë¡œ ì ì§€ 않게 표현해왔다. 심지어 기ë…êµ ê´€ë ¨ ì¸ë¬¼ì´ë‚˜ ì£¼ì œë„ í•¨ê»˜ 나타나고 있어 í¥ë¯¸ë¡­ë‹¤(ë„2). ì´ë ‡ë“¯ ìžìœ ë¡œìš´ 구성과 민화가 갖는 íŠ¹ìˆ˜ì„±ì„ í™•ì¸í•  수 있다. ì´ëŠ” 바로 길ìƒí™”ê°€ 갖는 ë„“ì€ í¬ìš©ë ¥ê³¼ ìžìœ ë¶„방으로 ì¸í•´ 가능한 것ì´ë¼ ìƒê°ëœë‹¤.
<사명대사四溟大師>를 ë³´ë©´ ë¶‰ì€ í•´ì™€ í° ë‹¬ì´ ê·¸ë ¤ì ¸ ìžˆëŠ”ë° ë¶‰ì€ í•´ëŠ” ì¼ê´‘ë³´ì‚´ì„, í° ë‹¬ì€ ì›”ê´‘ë³´ì‚´ì„ ìƒì§•하는 것으로 ë³´ì¸ë‹¤(ë„3). ì´ ê°™ì€ í‘œí˜„ë°©ì‹ì€ 민화ì ì¸ 요소가 강하게 ë°œí˜„ëœ ë¶€ë¶„ì´ë¼ í•  수 있다. 매우 간략한 표현으로 ê·¸ ì„±ê²©ì„ ëª…í™•ížˆ 드러내는 묘사 ë°©ì‹ì´ 바로 그것ì´ë‹¤. ì´ ìž‘í’ˆì—서 사명대사가 ì“°ê³  있는 ê´€ì˜ ëª¨ìŠµì„ ì£¼ëª©í•  필요가 있다. ì´ ê´€ì€ ì •ìžê´€ì˜ 형태로 그려져 있는ë°, ì •ìžê´€ì€ ì¡°ì„  ì‚¬ëŒ€ë¶€ë“¤ì´ ì“°ë˜ ê´€ëª¨ì˜ í•˜ë‚˜ë¡œ ì–‘ë°˜ë“¤ì´ í‰ìƒì‹œ ì§‘ì—서 ì“°ë˜ ê´€å† ì´ë‹¤. ì´ ìž‘í’ˆ ë˜í•œ ë„êµì™€ 불êµ, 민화ì ì¸ 요소가 함께 ë³´ì´ëŠ” 작품ì´ë¼ 하겠다.


ë„3 <사명대사四溟大師>, 지본채색, 79×47ãŽ,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ë¯¼í™”ì— ì¶”ì‚¬ 김정í¬ì˜ ì¸ìž¥ì´ 등장한 ì´ìœ â… - ì¡°ì„  ë§ê¸°ì˜ ëŒ€í‘œì  í•™ìž, 김정í¬

선비는 ì¡°ì„ ì‹œëŒ€ì˜ ì§€ì‹ì¸ì´ë¼ê³  í•  수 있다. í•™ë¬¸ìœ¼ë¡œì¨ ì¤‘êµ­ì—ì„œë„ ëª…ì„±ì„ ë†’ì˜€ë˜ ì¶”ì‚¬ 김정í¬(ç§‹å² é‡‘æ­£å–œ, 1786~1856)는 ì¡°ì„ ì˜ ëŒ€í‘œì  ì§€ì‹ì¸ì´ë¼ê³  í•  수 있다(ë„4). 김정í¬ì— 대해 간략히 알아보면 다ìŒê³¼ 같다.

김정í¬ëŠ” 1786ë…„(ì •ì¡° 10) 6ì›” 3ì¼, ìŠ¹ìŠ¹ìž¥êµ¬í•˜ë˜ ê²½ì£¼ 김씨 ì§‘ì•ˆì˜ ë³‘ì¡°íŒì„œ 김노경(金魯敬, 1766∼1837)ê³¼ ê¸°ê³„æžæºª ìœ ì”¨å…ªæ° ì‚¬ì´ì— ë§ì•„들로 태어났다. ê¹€ì •í¬ ì§‘ì•ˆì€ ëŒ€ëŒ€ë¡œ ë†’ì€ ë²¼ìŠ¬ì„ ì§€ëƒˆë‹¤. 김정í¬ë„ 1819ë…„(순조 19ë…„) 34세 때 ë¬¸ê³¼ì— ê¸‰ì œí•˜ì—¬ 암행어사, ê·œìž¥ê° ëŒ€êµ, 예조참ì˜, ë™ë¶€ì§€ì‚¬, ì‹œê°•ì› ë³´ë• ë“± 여러 중요한 ê´€ì§ì— 올ëžë‹¤. 김정í¬ê°€ 청나ë¼ì˜ 학문과 ë¬¸í™”ì— ëŒ€í•´ ê¹Šì´ ê´€ì‹¬ì„ ê°–ê²Œ ëœ ê²ƒì€ ê·¸ì˜ ìŠ¤ìŠ¹ 박제가(朴齊家, 1750~1805)ì˜ ì˜í–¥ì´ 컸다. 1809ë…„ 10ì›” 김정í¬ê°€ 24세 때, ê·¸ì˜ ì•„ë²„ì§€ ê¹€ë…¸ê²½ì„ ë”°ë¼ ì²­ë‚˜ë¼ì— 가게 ëœë‹¤. ë™ì§€ë¶€ì‚¬ë¡œ 연행하는 ì•„ë²„ì§€ì˜ â€˜ìžì œêµ°ê´€å­å¼Ÿè»å®˜â€™ìœ¼ë¡œ 청나ë¼ì˜ ìˆ˜ë„ ë¶ê²½ì— ê°”ë˜ ê²ƒì´ë‹¤. ‘ìžì œêµ°ê´€â€™ì€ ì™¸êµ­ì— ë³´ë‚´ëŠ” ì‚¬ì‹ ä½¿è‡£ì˜ ìžì œå­å¼Ÿë¡œ 임명한 êµ°ê´€ì´ë‹¤. 그래서 ê¹€ë…¸ê²½ì´ ì‚¬ì‹ ìœ¼ë¡œ 청나ë¼ì— ê°ˆ 때, ê¹€ë…¸ê²½ì˜ ì•„ë“¤ì¸ ê¹€ì •í¬ë„ 함께 청나ë¼ì— ê°ˆ 수 있었다. 드디어 김정í¬ëŠ” ì²­ë‚˜ë¼ í•™ìžë“¤ì„ ì§ì ‘ 만날 수 있게 ëœ ê²ƒì´ë‹¤.
김정í¬ëŠ” 중국 ë¶ê²½ì—서 ì¤‘êµ­ì˜ í•™ìžë“¤ê³¼ 어울렸다. 그는 당시 ë¶ê²½ì— 머물고 ìžˆë˜ ìœ ëª…í•œ í•™ìžë“¤ì˜ ì§‘ì„ ë¹ ì§ì—†ì´ 방문했다. 김정í¬ë¥¼ ì§ì ‘ 만나지 ì•Šì•˜ì–´ë„ í•™ë¬¸ì ì¸ êµë¥˜ë¥¼ 통해 그를 잘 아는 ì‚¬ëžŒë“¤ë„ ìžˆì—ˆê³ , 심지어 ì´ë¦„ë§Œ 들었다는 ì‚¬ëžŒë„ ìžˆì—ˆëŠ”ë°, 김정í¬ì™€ 아무런 ë§Œë‚¨ì´ ì—†ë˜ ì´ë“¤ë„ 김정í¬ì˜ 뛰어난 천재성과 깨ë—한 ì„±í’ˆì„ ì¹­ì°¬í–ˆë‹¤. ì´ê²ƒì€ ê·¸ë§Œí¼ ê¹€ì •í¬ì˜ ëª…ì„±ì´ ë†’ì•˜ë‹¤ëŠ” ê²ƒì„ ë§í•´ì¤€ë‹¤. 추사 김정í¬ëŠ” 높고 ë„“ê³  ê¹Šì€ í•™ë¬¸ 세계를 펼치고, 개성ì ì¸ 예술 세계를 개척해 ë‚˜ê°”ë˜ ì¡°ì„  ë§ê¸°ì˜ ëŒ€í‘œì  í•™ìžì˜€ë‹¤. ìˆ˜ë§Žì€ ì‚¬ëžŒì´ ê¹€ì •í¬ì—게 그림과 글씨, í•™ë¬¸ì„ ë°°ìš°ê³  ìµí˜”다. 스승과 ì œìž ì‚¬ì´ ì™¸ì—ë„ ê¹€ì •í¬ì™€ ê¹Šì€ ìš°ì •ì„ ë‚˜ëˆˆ ì¸ë¬¼ë„ 많았다. 그를 좋아하고 따르는 ì‚¬ëžŒë“¤ì´ ë§Žì•˜ëŠ”ë° ì´ëŠ” 김정í¬ì˜ 후ì†ì¸ ê¹€ìŠ¹ë ¬ì´ ì“´ <완당 ê¹€ì •í¬ ì„ ìƒ ë¬˜ë¹„ë¬¸>ì˜ ë‚´ìš©ì„ í†µí•´ 잘 알 수 있다.

“í’채가 뛰어나고 ë„ëŸ‰ì´ í™”í‰í•´ì„œ 사람과 마주 ë§í•  때면 화기애애하여 ëª¨ë‘ ê¸°ë»í•¨ì„ 얻었다. 그러나 무릇 ì˜ë¦¬ëƒ ì´ìš•ì´ëƒ 하는 ë° ì´ë¥´ëŸ¬ì„œëŠ” ê·¸ 논조가 우레나 ì°½ë 같아서 ê°ížˆ ë§‰ì„ ìžê°€ 없었다.â€
– 유í™ì¤€, 《추사 ê¹€ì •í¬ : ì‚°ì€ ë†’ê³  바다는 깊네》 (창비, 2018)

김정í¬ëŠ” 옳고 ê·¸ë¦„ì— ëŒ€í•œ ê¸°ì¤€ì´ ëª…í™•í•´ì„œ 올바르지 않다고 ìƒê°ë˜ëŠ” ê²ƒì— ëŒ€í•´ì„œëŠ” ì¡°ê¸ˆì˜ ì–‘ë³´ê°€ 없었다고 한다. 그는 시련 ì†ì—ì„œë„ í¬ê¸°í•˜ì§€ 않고 ëì—†ì´ ë…¸ë ¥í•œ 결과로 당시 학문과 예술 ë¶„ì•¼ì— ìžˆì–´ í° ì„±ê³¼ë¥¼ 냈다.
김정í¬ëŠ” 금ì„학과 역사학 분야ì—서 뛰어난 í•™ìžë¡œ ë„리 ì¸ì •받았고, 글씨와 ê·¸ë¦¼ì€ ë¬¼ë¡  ì „ê°ç¯†åˆ» ë¶„ì•¼ì— ìžˆì–´ì„œë„ ì¡°ì˜ˆê°€ 깊었다. 김정í¬ì˜ 빼어난 서체와 ë¬¸ì¸ ì •ì‹ ì´ ë‹´ê¸´ 그림, ì „ê° ë“±ì˜ ì˜ˆìˆ  세계를 ë°°ìš°ê³ ìž í•˜ëŠ” ì‚¬ëžŒë“¤ì´ ì •ë§ ë§Žì•˜ë‹¤. 당시 ì‚¬ëžŒë“¤ì€ ë¬¼ë¡  후대 ì‚¬ëžŒë“¤ë„ ê¹€ì •í¬ì˜ 예술 ì •ì‹ ì„ ë³¸ë°›ê³  ì‹¶ì–´ 했다. 게다가 김정í¬ëŠ” ì–‘ë°˜ë¿ë§Œ ì•„ë‹ˆë¼ ë‹¤ì–‘í•œ ê³„ì¸µì˜ ì¸ë¬¼ë“¤ê³¼ êµìœ í•˜ë©° 친하게 지냈기 ë•Œë¬¸ì— ë” ë§Žì€ ì‚¬ëžŒì´ ê·¸ì˜ ì œìžê°€ ë  ìˆ˜ 있었다. 그렇기 ë•Œë¬¸ì— ê¹€ì •í¬ì˜ 예술 세계가 당대는 물론 후대ì—ë„ í° ì˜í–¥ì„ 미칠 수 ìžˆì—ˆë˜ ê²ƒì´ë‹¤. ì´ëŸ¬í•œ ì ì€ 민화 작가와 ì†Œë¹„ìž ê³„ì¸µì—ê²Œë„ ê¹€ì •í¬ê°€ 잘 알려질 수 있는 계기가 ë˜ì—ˆê³ , 추사 김정í¬(ì— ëŒ€í•œ 것)ê°€ 민화 í™”í­ì— 등장할 수 있게 ëœ ê²ƒìœ¼ë¡œ ë³´ì¸ë‹¤.


ë„4 허련, <완당선ìƒì´ˆìƒé˜®å ‚先生肖åƒ>, 19세기, 종ì´ì— ì—·ì€ ìƒ‰, 63.2×38.2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ë¯¼í™”ì— ì¶”ì‚¬ 김정í¬ì˜ ì¸ìž¥ì´ 등장한 ì´ìœ â…¡ – 추사ì¸ì´ ì°ížŒ 민화 기린 그림

<서수ë„瑞ç¸åœ–> ë‘ í­ì˜ 그림, 즉 신구 그림ì—는 백문방ì¸ì¸ 추사秋å²ê°€, 기린 그림ì—는 마찬가지로 주문방ì¸ì¸ ì¶”ì‚¬ç§‹å² í•œ 개가 ì°í˜€ 있다. ë¯¼í™”ì˜ ì œìž‘ê³¼ ì†Œë¹„ê³„ì¸µì´ ê¹€ì •í¬ì— 대해 알고 ê·¸ì˜ ì˜í–¥ì„ ë°›ì„ ìˆ˜ ìžˆì—ˆì„ ê°€ëŠ¥ì„±ì— ëŒ€í•´ì„œëŠ” 앞서 언급하였다. 그렇다면 ì´ëŸ° ì˜ë¬¸ì´ 남는다. ìˆ˜ë§Žì€ ì£¼ì œì˜ ë¯¼í™” 중ì—서 왜 서수ë„瑞ç¸åœ–ì¸ê°€ 하는 것ì´ë‹¤. ì´ëŠ” 기린 그림과 세한ë„ì˜ ì£¼ì¸ê³µ ì´ìƒì ì„ í•˜ë‚˜ì˜ ê¸°ë¦° ë¿”ì— ë¬˜ì‚¬í–ˆë˜ ê¸€ì˜ ì¡´ìž¬ì™€ 관련 깊다. ì´ìƒì ì€ 김정í¬ì˜ ì‹œë ¨ì˜ ìˆœê°„ì—ë„ ê¹€ì •í¬ì—게 변치 않는 ì˜ë¦¬ë¥¼ 보여준 ì¸ë¬¼ì´ë‹¤.

“ì¼ë°˜ ì„¸ìƒ ì‚¬ëžŒë“¤ì€ ê¶Œë ¥ì´ ìžˆì„ ë•ŒëŠ” ê°€ê¹Œì´ í•˜ë‹¤ê°€ ê¶Œì„¸ì˜ ìžë¦¬ì—서 물러나면 모르는 척하는 ê²ƒì´ ë³´í†µì´ë‹¤. ë‚´ê°€ 지금 절해고ë„ì—서 귀양살ì´í•˜ëŠ” 처량한 신세ì¸ë°ë„ ì´ìƒì ì´ 예나 지금ì´ë‚˜ ë³€í•¨ì—†ì´ ì´ëŸ° 귀중한 ë¬¼ê±´ì„ ì‚¬ì„œ 부치니, ê·¸ 마ìŒì„ ë¬´ì–´ë¼ í‘œí˜„í•´ì•¼ 할까. ê³µìžëŠ” ‘세한연후歲寒然後 ì§€ì†¡ë°±ì§€í›„ì¡°çŸ¥æ¾æŸä¹‹å¾Œå‡‹â€™ë¼ 하였으니, ê·¸ëŒ€ì˜ ì •ì˜ì•¼ë§ë¡œ 추운 겨울 소나무와 ìž£ë‚˜ë¬´ì˜ ì ˆì¡°ç¯€æ“ê°€ ì•„ë‹ê¹Œ.â€
– 정옥ìž, 《(우리가 ì •ë§ ì•Œì•„ì•¼ í• )우리 선비》 (현암사, 2002)

김정í¬ê°€ 제주ë„ì—서 지내는 ë™ì•ˆ, 외롭고 íž˜ë“¤ë˜ ê·¸ì—게 ë…서는 유ì¼í•œ ì¦ê±°ì›€ì´ì—ˆë‹¤. 김정í¬ì˜ ì‹¬ì •ì„ ëˆ„êµ¬ë³´ë‹¤ë„ ìž˜ ì´í•´í•˜ê³  ìžˆì—ˆë˜ ì´ìƒì (æŽå°™è¿ª, 1804∼1865)ì€ ì¤‘êµ­ì— ì‚¬ì‹ ìœ¼ë¡œ ê°ˆ 때마다 최신 ì±…ë“¤ì„ êµ¬í•´ì„œ 김정í¬ì—게 보내주었다. ê·¸ ì±…ë“¤ì€ ì‰½ê²Œ 구할 수 없는 귀한 책들ì´ì—ˆë‹¤. 만약 어렵게 구한 ì±…ì„ ê¶Œë ¥ 있는 사람ì—게 바쳤다면 출세가 보장ë˜ì—ˆì„ í…ë°, ì´ìƒì ì€ 바다 멀리 유배ë˜ì–´ 아무 íž˜ë„ ì—†ëŠ” 김정í¬ì—게 보내주었다. ê·¸ ì±…ì„ ë°›ì€ ê¹€ì •í¬ëŠ” ì´ìƒì ì—게 í° ê°ë™ì„ 받았다. 김정í¬ëŠ” ì´ìƒì ì˜ 변함없는 ì˜ë¦¬ë¥¼ ë³´ê³  ã€Šë…¼ì–´è«–èªžã€‹ì˜ í•œêµ¬ì ˆì„ ë– ì˜¬ë ¸ë‹¤.

“날씨가 추워진 ë’¤ì—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뒤늦게 ì‹œë“¦ì„ ì•Œ 수 있는 것ì´ë‹¤. [å­æ›° 歲寒然後 çŸ¥æ¾æŸä¹‹å¾Œå‡‹ä¹Ÿ]â€
– æˆç™¾æ›‰ 譯註, <å­ç½• 第ä¹>, 《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01)

김정í¬ëŠ” <세한ë„>를 다 그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ì¸ìž¥ì„ 하나 ì°ì—ˆë‹¤. ‘장무ìƒë§é•·æ¯‹ç›¸å¿˜â€™ì´ë¼ëŠ” ì¸ìž¥ì´ë‹¤. ‘장무ìƒë§â€™ì´ëž€ ‘오래ë„ë¡ ì„œë¡œ 잊지 ë§ìžâ€™ëŠ” 뜻ì´ë‹¤. 김정í¬ëŠ” ì´ìƒì ì˜ 변치 않는 ì˜ë¦¬ì™€ 따뜻한 마ìŒì„ 잊지 않고 ê°„ì§í•˜ê² ë‹¤ê³  ì´ì•¼ê¸°í•˜ë©´ì„œ ì´ìƒì  ë˜í•œ ìžì‹ ì„ 잊지 않기를 ë°”ë¼ëŠ” 마ìŒì„ 표현한 것ì´ë‹¤. 김정í¬ëŠ” ‘세한연후 지송백지후조歲寒然後 çŸ¥æ¾æŸä¹‹å¾Œå‡‹â€™ì˜ ë‚´ìš©ì„ ê·¸ë¦¼ìœ¼ë¡œ 그려서 ì´ìƒì ì—게 선물했다. 그는 ì´ìƒì ì„ ê¸°ë¦°ì— ë¹„ìœ í•œ ë°” ìžˆëŠ”ë° ì´ëŠ” 추사가 오경ì„ì—게 ì“´ 글ì—서 확ì¸í•  수 있다.

그대와 ë”불어 겨우 ë‘세 번 만났지만 ê·¸ ì†ê°€ë½ì€ ë´„ë°”ëžŒì„ íŠ•ê¸°ê³  ê·¸ ìž…ì€ ê½ƒë‹¤ìš´ 향기를 ë±‰ì–´ëƒ„ì„ ë³´ê³ ì„œ 마ìŒì†ìœ¼ë¡œ ì´ìƒížˆ ì—¬ê²¼ëŠ”ë° ê³§ ì„œì°°ì„ ë°›ì•„ë³´ë‹ˆ 문채文采와 사화詞è¯ê°€ ë˜ ì´ì™€ ê°™ì´ ë„‰ë„‰í•˜ë¦¬ë¼ê³ ëŠ” ìƒê°ë„ 못했었네. ì£¼ë¬¸ì„¸ê°€æœ±é–€ä¸–å®¶ì˜ ëª¨ë“  ìžì œë“¤ì´ ë¹„ë¡ ì²­í™˜æ·¸å®¦ê³¼ í™”ì§è¯è·ì„ 거쳤다 í•´ë„ ê±´ê°å·¾è§’ 추미麈尾가 다ì´ì™€ 같지는 못하니 ìžëª» 한탄스러운 ì¼ì´ë©° ë˜í•œ 무슨 까닭ì¸ì§€ 알 수가 없네. 우선藕船 ê°™ì€ ì‚¬ëžŒì€ ë°”ë¡œ í•˜ë‚˜ì˜ ê¸°ë¦°ì˜ ë¿”ì´ ì„¸ìƒì— 나타났다 ì—¬ê²¼ëŠ”ë° ê·¸ 뒤를 ì´ì–´ ì„­ì§„ì¶”ì˜èº¡å¡µè¿½å½±í•˜ëŠ” ì¼ì¡±é€¸è¶³ì´ ë˜ ëª‡ì´ë‚˜ 있는지 듣고 싶네. 그러나 í•˜ëŠ˜ì´ ì´ëª…ì„ ì£¼ëŠ” ê²ƒì€ ê·€ì²œì´ë‚˜ ìƒí•˜ë‚˜ 남ë¶ì— 한정ë˜ì–´ 있지 아니하니 ì˜¤ì§ í™•ì¶©æ“´å……í•˜ì—¬ 모질게 정채精彩를 ìŸì•„나가면 ë¹„ë¡ êµ¬ì²œ 구백 구십 êµ¬ë¶„ì€ ë„달할 수 있으나 ê·¸ 나머지 ì¼ë¶„ì˜ ê³µë¶€ëŠ” ì›ë§Œížˆ ì´ë£¨ê¸°ê°€ 극히 어려우니 ë까지 노력해야만 ë˜ëŠ” ê±°ë¼ë„¤.
– 김정í¬, <오경ì„ì—게 주다[與å³ç”Ÿ 慶錫]>, 《완당전집》 ì œ4ê¶Œ


ë¯¼í™”ì— ë“±ìž¥í•œ 김정í¬ì¸é‡‘正喜å°ê³¼ 추사ì¸ç§‹å²å°

ì¼ë³¸ 민예관 소장 <서수ë„瑞ç¸åœ–>ì˜ ë‘ í­ì˜ 그림(ë„1), 즉 신구 그림ì—는 백문방ì¸ì¸ 추사秋å²ê°€, 기린 그림ì—는 마찬가지로 주문방ì¸ì¸ ì¶”ì‚¬ç§‹å² í•œ 개가 ì°í˜€ 있다. ì´ëŠ” í›„ë‚ å¾Œæº ì¼ ê°€ëŠ¥ì„±ì´ ë†’ë‹¤. ë¯¼í™”ì— ì¶”ì‚¬ 김정í¬ì˜ ì¸ìž¥ì´ 등장한 예는 ì´ ìž‘í’ˆì´ ìœ ì¼í•œ 예ì´ë‹¤. 그리고 김정í¬ì™€ ê°™ì€ ë¬¸ì¸ì˜ ì¸ìž¥ì´ 등장한 예는 ê±°ì˜ ì—†ë‹¤. 그렇다면 ì´ëŸ¬í•œ ì˜ë¬¸ì´ ìƒê¸´ë‹¤. ì´ ë¯¼í™”ì— ì¶”ì‚¬ 김정í¬ì˜ ì¸ìž¥ì´ 등장한 ì´ìœ ëŠ” 무엇ì¼ê¹Œ?
ì´ì— ì´ë²ˆ 호ì—서는 ì¼ë³¸ 민예관 소장 <서수ë„瑞ç¸åœ–>ì˜ ë‘ í­ì˜ ê·¸ë¦¼ì— ì¶”ì‚¬ 김정í¬ì˜ ì¸ìž¥ì´ 등장한 ì´ìœ ê°€ 무엇ì¸ì§€ì— 대해 살펴보는 ì‹œê°„ì„ ê°€ì¡Œë‹¤. í•„ìžê°€ ë¯¼í™”ì— ì°í˜€ 있는 모든 ì¸ìž¥ì„ 전수조사한 ê²ƒì´ ì•„ë‹ˆê¸°ì— ë¶€ì¡±í•œ ì ì´ 많겠지만, 추후 추가 연구를 위한 기초 ì—°êµ¬ë¡œì¨ ì‚´íŽ´ë³´ì•„ 주시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국외소재문화재재단 발행, 《ì¼ë³¸ë¯¼ì˜ˆê´€ 소장 한국문화재. 2, ë„ìžÂ·íšŒí™”편》(서울 : 국외소재문화재재단, 2017)
정옥ìž, 《(우리가 ì •ë§ ì•Œì•„ì•¼ í• )우리 선비》 (현암사, 2002)
추사 김정í¬ì— 관해서는 김취정, 《고난 ì†ì—서 꽃피운 고고한 예술》 (다림, 2019.09.3.)
후지츠카 치카시(藤塚隣) ì €; 후지츠카 아키나오 편; 윤철규, ì´ì¶©êµ¬, 김규선 ì—­,
ã€Šç§‹å² é‡‘æ­£å–œ ç¡ç©¶ : æ·¸æœæ–‡åŒ– æ±å‚³ì˜ ç¡ç©¶ 한글완역본》 (과천: 과천문화ì›, 2009)
후지츠카 치카시(藤塚隣) ì €; 후지츠카 아키나오 편; 윤철규, ì´ì¶©êµ¬, 김규선 ì—­,
ã€Šç§‹å² é‡‘æ­£å–œ ç¡ç©¶ : æ·¸æœæ–‡åŒ– æ±å‚³ì˜ ç¡ç©¶ 한글완역본》 (과천: 과천문화ì›, 2009)
유í™ì¤€, 《추사 ê¹€ì •í¬ : ì‚°ì€ ë†’ê³  바다는 깊네》 (창비, 2 018)
정옥ìž, 《(우리가 ì •ë§ ì•Œì•„ì•¼ í• )우리 선비》 (현암사, 2002)
æˆç™¾æ›‰ 譯註, <å­ç½• 第ä¹>, 《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01)
김정í¬, <오경ì„ì—게 주다[與å³ç”Ÿ 慶錫]>, 《완당전집》 ì œ4ê¶Œ


김취정 | 서울대학êµë°•물관 ê°ì›ì—°êµ¬ì›

ê³ ë ¤ëŒ€í•™êµ ëŒ€í•™ì›ì—서 미술사학 ì„·박사학위를 받았고,
ê³ ë ¤ëŒ€í•™êµ ì•„ì„¸ì•„ë¬¸ì œì—°êµ¬ì†Œ ì—°êµ¬ì› ë“±ì„ ì—­ìž„í–ˆë‹¤.
현재 고려대 강사, 서울대학êµë°•물관 ê°ì›ì—°êµ¬ì›,
한국민화학회 ì´ì‚¬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