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취정 ë°•ì‚¬ì˜ ë¯¼í™” ì† ì‹ ì´í•œ ì´ì•¼ê¸° â‘  민화ì—ì„œì˜ ìœ ë¶ˆì„  그림

ë„1 ì´ì¸ë¬¸, <절친한 ë²—ê³¼ ì•„ë¼ëŠ” ê³ ë™>, ì¡°ì„ , 127.3×56.3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민화를 ì½ëŠ” ë° ìžˆì–´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ë„ìƒì— 대한 ê¹Šì€ ì´í•´ë‹¤. ì´ì— 2018년부터 민화 ì† ë„ìƒë³„ 특징과 ìƒì§•ì— ëŒ€í•´ 살펴보았다. 그간 민화ì—서 가장 ë§Žì´ ê·¸ë ¤ì§„ 화제 중 í•˜ë‚˜ì¸ í™”ì¡°í™”ë¶€í„° 곤충 ë„ìƒì„ ì­‰ 살펴보았다면 2022ë…„, 신년호부터는 새로운 주제로 ì´ì•¼ê¸°ë¥¼ í’€ì–´ë‚˜ê°€ê³ ìž í•œë‹¤. ì´ë¦„하여 ‘민화 ì† ì‹ ì´æ–°ç•°í•œ ì´ì•¼ê¸°â€™ë¡œ ê·¸ 첫 번째는 바로 ‘민화ì—ì„œì˜ ìœ ë¶ˆì„  그림’ì´ë‹¤.
글 김취정 (ì„œìš¸ëŒ€í•™êµ ë°•ë¬¼ê´€ ê°ì›ì—°êµ¬ì›/ê³ ë ¤ëŒ€í•™êµ ê°•ì‚¬)


ë„1-1 ë„1ì˜ ë¶€ë¶„

ìžìœ ë¡œìš´ ë¯¼í™”ì˜ ì„¸ê³„

민화ì—는 새롭고 신기하고 기ì´í•œ ë„ìƒë“¤ì´ 등장한다. ê·¸ê²ƒì´ ìƒìƒì˜ ë™ë¬¼ì´ë‚˜ 새, 꽃 í˜¹ì€ ì¸ë¬¼, ë¬¼ê±´ì¼ ìˆ˜ë„ ìžˆëŠ”ë° ìƒë¬¼ì˜ 종ì´ë‚˜ ë¬¼ê±´ì˜ ì¢…ë¥˜ì— ì–½ë§¤ì´ê¸°ë³´ë‹¤ëŠ” í¥ë¯¸ë¡­ê³  ì‹ ì´í•œ 민화 ì† ë„ìƒ ê·¸ ìžì²´ì— 대한 ì´ì•¼ê¸°ë¥¼ í•´ë³´ê³ ìž í•œë‹¤. 어쩌면 ì´ë¥¼ 통해 가장 민화다운 ì´ì•¼ê¸°ë¥¼ í•  수 있ì„ì§€ë„ ëª¨ë¥´ê² ë‹¤. ì‹ ì´í•œ ë„ìƒë“¤ì˜ ëœ»ì„ ì½ì–´ëƒ„ìœ¼ë¡œì¨ ìžìœ ë¡œì›€ì„ 함축하고 있는 ë¯¼í™”ì— ëŒ€í•´ 본격ì ìœ¼ë¡œ ë…¼ì˜í•˜ê³ , 조금 ë” ë„“ì€ ë²”ìœ„ì˜ ë„ìƒì„ 살펴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ê·¸ë™ì•ˆ 다루어지지 못했거나 ì¸ì‹í•˜ì§€ ëª»í–ˆë˜ ë„ìƒë“¤ë„ 함께 ì´ì•¼ê¸°í•¨ìœ¼ë¡œì¨ 민화를 ì´í•´í•˜ê³  연구하는 ë° ìžˆì–´ ì˜ë¯¸ 있는 기여가 ë˜ê¸°ë¥¼ ë°”ë¼ë©° 민화 ì† ì‹ ì´æ–°ç•°í•œ ì´ì•¼ê¸°ë¥¼ 시작한다.
유êµÂ·ë¶ˆêµÂ·ë„êµ, 삼êµä¸‰æ•Ž í†µí•©ê´€ì€ ë™ì•„시아 문화를 ì´í•´í•˜ëŠ” ë° ìžˆì–´ 중요한 요소ì´ë‹¤. ìž‘ê°€ì  ê°ì„±ì„ 지닌 í™”ê°€ë“¤ì˜ ìž‘í’ˆ 활ë™ì´ ë³¸ê²©í™”ëœ ë‚¨ë¶ì¡°ì‹œëŒ€ ì´ëž˜ë¡œ 유불ë„å„’ä½›é“ ì‚¼êµä¸‰æ•Žì— 대한 ê¹Šì€ ì„±ì°°ì€ í•œÂ·ì¤‘Â·ì¼ ë¯¸ìˆ  문화 ì´í•´ì˜ ê¸°ë°˜ì´ ë˜ì–´ 왔다. ì´ëŠ” 민화 ì œìž‘ì— ìžˆì–´ì„œë„ ì˜ˆì™¸ê°€ ì•„ë‹ˆì—ˆì„ ê²ƒì´ë‹¤. ë”°ë¼ì„œ ë™ì•„시아 ë¯¸ìˆ ì˜ ë³´íŽ¸ì  í름 ì†ì—서 민화를 ì´í•´í•´ì•¼ 한다. ê·¸ë™ì•ˆ ë¯¼í™”ì— ê·¸ë ¤ì§„ ë„ìƒë“¤ì˜ ìƒì§•성과 ê·¸ ì˜ë¯¸ì— 대해 ë§Žì€ ì—°êµ¬ê°€ ì´ë£¨ì–´ì ¸ 왔고 민화 ì—°êµ¬ì˜ í­ì´ 넓어지고 ë”ìš± 깊어져 가고 있는 ë§Œí¼, ì´ì œëŠ” ë™ì•„시아 ë¬¸ì˜ˆì˜ íë¦„ì´ ë°˜ì˜ëœ ë³´íŽ¸ì  ì£¼ì œê°€ 그려진 ë¯¼í™”ë“¤ì— ëŒ€í•´ì„œë„ ì•Œì•„ë³´ì•„ì•¼ í•  시ì ì´ë‹¤. ‘민화 ì† ì‹ ì´í•œ ì´ì•¼ê¸°â€™ì˜ 첫 íšŒì¸ ë³¸í˜¸ì—서는 ‘민화ì—ì„œì˜ ìœ ë¶ˆì„  ê·¸ë¦¼â€™ì— ëŒ€í•´ ì‚´íŽ´ë³´ê³ ìž í•œë‹¤. ë™ì•„시아 문예를 ì´í•´í•¨ì— 있어 중요한 ìš”ì†Œì¸ ìœ ë¶ˆì„  ì‚¼êµ í†µí•©ê´€ì´ ë¯¼í™”ì—서는 어떻게 그려지고 ì´í•´ë˜ëŠ”ì§€ 살펴보ë„ë¡ í•˜ìž. 그렇다면 유불선 ì‚¼êµ í†µí•©ê´€ì€ ì˜› 그림ì—서 ì–´ë–¤ ì‹ìœ¼ë¡œ ë„ìƒí™”, 시ê°í™”ë˜ì—ˆì„까? 사실 ê³µìžì™€ 장ìžì™€ ì„가가 한ìžë¦¬ì— 모여있기란 불가능한 ì¼ì´ê¸°ì— ì¼ë°˜íšŒí™”ì—서는 유학ìžì™€ ë„사, 승려가 함께 있는 장면으로 ë¬˜ì‚¬ëœ ì˜ˆê°€ 많다(ë„1). ì´ëŸ¬í•œ ê·¸ë¦¼ì„ ì‚¼ì„±ë„三星圖(ë„2), (ë„3), í˜¹ì€ ë³µë¡ìˆ˜ç¦ç¥¿å£½ 삼성ë„ä¸‰æ˜Ÿåœ–ë¼ í•œë‹¤. 그러나 민화는 다르다. 민화ì—서는 ì„가와 ê³µìžì™€ 장ìžê°€ 함께 만나는 ê²ƒì€ ë¬¼ë¡  ê³µìžì™€ ì„가와 예수가 ë§Œë‚˜ê¸°ë„ í•œë‹¤(ë„4). 한ìžë¦¬ì— 함께 í•  수 없는 ì´ë“¤ì„ 함께 그리고 심지어 ë™ì„œì–‘ì˜ ì„±ì¸ì„ 한ìžë¦¬ì— 함께 그려 넣는 ìžìœ ë¶„ë°©í•¨ì€ ë¯¼í™”ì´ê¸°ì— 가능한 것ì´ë‹¤. ë”°ë¼ì„œ 유불선 ì‚¼êµ í†µí•©ê´€ì„ ê·¸ë¦¼ìœ¼ë¡œ 묘사하거나 시ê°í™”í•˜ê¸°ì— ë¯¼í™”ë§Œí¼ ìž˜ 맞는 ê²ƒë„ ì—†ì„ ê²ƒì´ë‹¤.

ë„2 《성명규지性命圭旨》 중 <삼성ë„> (ë„íŒ ì¶œì²˜: ì´ìœ¤í¬, 《性命圭旨 : 儒佛仙 三敎一致 丹學指é‡ã€‹)

유불선ë„儒佛仙圖

ì¸ë¥˜ëŠ” 장ìƒë¶ˆì‚¬é•·ç”Ÿä¸æ­»ë¥¼ 꿈꾸어 왔다. 장ìƒë¶ˆì‚¬ë¥¼ 향한 ì—¼ì›ì„ 실현하기 위해서는 í˜„ì‹¤ì„±ì„ ì¶”êµ¬í•œ 유êµë³´ë‹¤ëŠ” 불êµë‚˜ ë„êµ ë“±ì˜ ì‹ ì•™ì²´ê³„ê°€ ì›ìš©ë  ìˆ˜ë°–ì— ì—†ì—ˆë‹¤. 불로장ìƒì— 대한 ì—¼ì›ê³¼ ê´€ë…체계는 ë„êµì˜ ì‹ ì„  신앙과 ê´€ë ¨ì´ ê¹Šë‹¤.
ì¼ë°˜íšŒí™”와 ë¯¼í™”ì˜ ìœ ë¶ˆì„ ë„ ë„ìƒì— ì¼ì • 부분 ì˜í–¥ì„ ì£¼ì—ˆì„ ê²ƒìœ¼ë¡œ ë³´ì´ëŠ” ë„안으로 ã€Šì„±ëª…ê·œì§€ã€‹ì˜ 55ì ì˜ 삽화는 주목할 만하다. 《성명규지》는 심신 ìˆ˜ë ¨ì˜ ë¹„ë²•ì„ ì²´ê³„ì ìœ¼ë¡œ 논술한 ë„êµì„œé“敎書ì´ë‹¤. 심신 ìˆ˜ë ¨ì˜ 1ì°¨ì  ëª©ì ì€ 장ìƒë¶ˆì‚¬ì— 있다. ã€Šì„±ëª…ê·œì§€ã€‹ì˜ íŠ¹ìƒ‰ì€ ë„êµì˜ 수련 ë°©ë²•ì„ ì„¤ëª…í•˜ë©´ì„œ ë¶ˆêµ ê³ ìŠ¹ì˜ ì–´ë¡ì´ë‚˜ ìœ êµ ì„±í˜„ì˜ ëª…ì–¸ì§‘ì—서 관련 ë¶€ë¶„ì„ ì¸ìš©í•˜ì—¬ ë„êµì  ë°©ë²•ì˜ ì •ë‹¹í•¨ì„ ìž…ì¦í•˜ë ¤ê³  했다는 ì ì—서 ì°¾ì„ ìˆ˜ 있다. ì´ ì±…ì˜ ì„±ê²©ì„ ë§í•´ì£¼ë“¯ ì²˜ìŒ ë‚˜ì˜¤ëŠ” ìž‘í’ˆì€ <삼성ë„三è–圖>ì´ë‹¤(ë„2). ì´ëŠ” 민화ì—서 유êµì™€ 불êµì™€ ë„êµ, 유êµì™€ 불êµ, 불êµì™€ ë„êµ, ë„êµì™€ 유êµì  ë„ìƒì„ 함께 그린 예를 ìƒê¸°ì‹œí‚¨ë‹¤. ë™ì‹œì— 함께 등장하기 어려운 ì¡´ìž¬ë“¤ì´ ìƒì§•ì ìœ¼ë¡œ 함께 나타나는 ì´ ì‚½í™”ëŠ” 민화ë¿ë§Œ ì•„ë‹ˆë¼ ì¼ë°˜íšŒí™” 장르ì—ì„œë„ ì œìž‘ëœ ìœ ë¶ˆì„ ë„å„’ä½›ä»™åœ–ì— ì§ì ‘ì ì¸ ì˜í–¥ì„ ë¯¸ì³¤ì„ ê²ƒìœ¼ë¡œ ìƒê°ëœë‹¤.
ì¼ë°˜íšŒí™” 장르ì—서 유êµì , 불êµì , ë„êµì  ì¸ë¬¼ì´ 함께 그려진 예를 찾아볼 수 ìžˆëŠ”ë° ë¯¼í™”ì—ì„œë„ ìœ êµì™€ 불êµ, 불êµì™€ ë„êµ, ë„êµì™€ 유êµ, 유êµì™€ 불êµì™€ ë„êµì  ë„ìƒì´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발견ëœë‹¤. ì´ëŠ” ì‚¼êµ í†µí•©ê´€ì„ ì‹œê°í™”한 그림ì´ë¼ê³  í•  수 있다. 유êµÂ·ë¶ˆêµÂ·ë„êµì  ì¸ë¬¼ì´ 함께 그려진 ê·¸ë¦¼ì€ ëŒ€ê°œ ì¡°ì„  í›„ê¸°ì— ê·¸ë ¤ì§„ 것ì´ë‹¤. ì‚¼êµ í†µí•©ê´€ì„ ì‹œê°í™”한 조선후기 그림으로 ì´ì¸ë¬¸ì˜ <유불선ë„儒佛仙圖>와 ê¹€í™ë„ì˜ ìž‘í’ˆìœ¼ë¡œ ì „ì¹­ë˜ëŠ” <ì „ê¹€í™ë„필傳金弘é“ç­† 삼성ë„三星圖>ê°€ ê·¸ 예ì´ë‹¤(ë„1), (ë„2).
<삼성ë„>를 ë³´ë©´ ê°ê¸° 유êµë‚˜ 불êµ, í˜¹ì€ ë„êµë¥¼ ìƒì§•하는 세 ëª…ì˜ ì¸ë¬¼ì´ 그려져 ìžˆëŠ”ë° íƒœê·¹ë„ ë‘루마리를 들고 ë³´ê³  있는 ì¸ë¬¼ì´ ë„êµì˜ ë„사ì´ê³ , ì¤‘ì•™ì— ë‚˜ë°œê³¼ 백호가 있으며 합장 í˜¹ì€ ìˆ˜ì¸ì„ 하고있는 ì¸ë¬¼ì´ 부처, ì¢Œì¸¡ì— ì™€ë£¡ê´€ í˜•íƒœì˜ ë¨¸ë¦¬ ëª¨ì–‘ì„ í•œ ì¸ë¬¼ì´ 유학ìžì´ë‹¤(ë„2). íƒœê·¹ë„ ë‘루마리를 보는 ëª¨ìŠµì€ ìœ êµÂ·ë¶ˆêµÂ·ë„êµì  ì¸ë¬¼ì´ 한 í™”í­ì— 그려진 경우 공통ì ìœ¼ë¡œ 나타나는 편ì¸ë° ë„êµì˜ ë„사가 íŽ¼ì³ ë³´ì´ëŠ” 그림으로 그려진 ì˜ˆë„ ìžˆì§€ë§Œ ìœ ë¶ˆì„ ì˜ ì¸ë¬¼ë“¤ì´ 다함께 살펴보는 ì˜ˆë„ ìžˆë‹¤.
민화ì—서는 ì¼ë°˜íšŒí™” 장르와는 달리 ìœ ë¶ˆì„ ì— ëŒ€í•œ ê·¸ë¦¼ì„ ì¢€ ë” ëª…í™•í•˜ê³  분명하게 전달하는 ì„±í–¥ì´ ê°•í•˜ë‹¤. ì ë‚˜ë¼í•˜ë‹¤ëŠ” í‘œí˜„ì´ ë§žì„ ê²ƒì´ë‹¤. ë„êµê°€ ê·¸ 형성 과정ì—서부터 여러 종êµì™€ 사ìƒì˜ íŠ¹ì§•ì„ í¬ìš©í•˜ì—¬ 온 ë§Œí¼ ì‚¼êµ í†µí•©ê´€ì´ ê²¬ì§€ë˜ì–´ 온 ê²ƒì€ íŠ¹ë³„í•œ ì¼ì´ 아니다. 하지만 ë¯¼í™”ì˜ íŠ¹ì„±ìƒ ì‚¬ìƒì´ë‚˜ ê·¸ê²ƒì„ ë‹´ì€ ê¸€ì˜ ë‚´ìš©ë³´ë‹¤ëŠ” ê·¸ë¦¼ì˜ ì˜í–¥ì— ë” ë¯¼ê°í•  수 있다. ë”°ë¼ì„œ ë„êµì  민화ì´ë“  ë„êµì™€ 유êµë‚˜ 불êµì˜ ë„ìƒì´ 함께 나타나는 민화ì´ë“  《성명규지》 삽화가 ì˜í–¥ì„ ë¯¸ì³¤ì„ ê°€ëŠ¥ì„±ì„ ì¶”ì •í•  수 있다. ë”ìš±ì´ ì´ ì±…ì€ ì•žì„œ 언급한 것처럼 장ìƒë¶ˆì‚¬ë¥¼ ì´ë£¨ê¸° 위한 êµ¬ì²´ì  ë°©ë²•ë¡ ì„œì´ë©´ì„œ ì´ì— 대한 삽화까지 갖춘 ê±°ì˜ ìœ ì¼í•œ 예ì´ê¸° ë•Œë¬¸ì— ë¯¼í™”ì—ì˜ ì˜í–¥ì´ ì ì§€ ì•Šì•˜ì„ ê²ƒìœ¼ë¡œ ìƒê°ëœë‹¤.

(좌) ë„3 ì „ê¹€í™ë„í•„(傳金弘é“ç­†), <ì „ê¹€í™ë„필傳金弘é“ç­† 삼성ë„三星圖>, ì¡°ì„ , 지본담채, 130.3×55.7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ìš°) ë„4 <만법통ì¼è¬æ³•統一>, 지본채색, 74×46ãŽ,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ë„5 <ì‚°ì‹ ë„山神圖>, ì¡°ì„ , 견본채색, 80×67ãŽ, 국립민ì†ë°•물관 소장

무신ë„와 유불선ë„

민화는 ìƒí™œ 주변 ë° í˜„ì‹¤ì˜ ëª¨ë“  물ìƒì„ 제한 ì—†ì´ ì†Œìž¬ë¡œ 하고 있으며 í˜„ì‹¤ë§Œì´ ì•„ë‹ˆë¼ ìƒìƒì˜ ë‚´ìš©, 전설과 설화 ë“±ì˜ ë‹¤ì–‘í•œ ì†Œìž¬ë“¤ì´ ê·¸ë ¤ì ¸ì™”ë‹¤. 유가와 불가, ë„ê°€ì˜ ì¸ë¬¼ì´ 함께 등장하는 유불선ë„는 주로 무신ë„å·«ç¥žåœ–ì— ë“±ìž¥í•œë‹¤. 현존하는 무신ë„ì˜ ì¢…ë¥˜ëŠ” 130종류로 ìžì—°ì‹ ì„ 그린 그림과 ì¸ì‹ ì„ 그린 그림으로 나눌 수 있다. ì´ì™¸ì—ë„ ë²½ì‚¬, 명부 ê³„í†µì˜ ì‹ ê³¼ 불êµ, 유êµ, ë„êµ, 기ë…êµì™€ ê´€ë ¨ëœ ì¸ë¬¼ì´ 그려진 무신ë„ë„ ìžˆëŠ”ë° ë¶ˆêµ ê³„í†µì´ ì œì¼ ë§Žë‹¤. 무신ë„는 종êµí™”ë¡œì„œì˜ ì„±ê²©ì„ ê°€ì§€ë©´ì„œë„ ì˜¤ëžœ 세월 민족 ê³ ìœ ì˜ ì „í†µ ì†ì—서 발전해 오면서 ë¯¼í™”ì˜ íŠ¹ì§•ë„ ìƒë‹¹ 부분 ë‚´í¬í•˜ê³  있다. 민화가 무신ë„ì˜ ì˜í–¥ì„ ë°›ì€ ë¶€ë¶„ì´ ë§Žë‹¤. ì´ì— 무ì†í™”를 종êµí™”로서만 ë³´ê³  민화와 분리해서 보기보다는 ë¯¼í™”ì˜ ë²”ì£¼ ë‚´ì—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ìƒê°í•œë‹¤.
<ì‚°ì‹ ë„山神圖>는 무ì†ì—서 섬기는 ì‹ ìƒç¥žè±¡ì„ 표현하여 굿당ì´ë‚˜ ì‹ ë‹¹ì— ê±¸ì–´ ë†“ì€ ê·¸ë¦¼ì´ë‹¤(ë„5). ì‚°ì‹ å±±ç¥žì´ ë³µê±´ì„ ì“°ê³  ì‹œì„ ì€ ì¸¡ë©´ì„ í–¥í•˜ë©° í˜¸ëž‘ì´ ë“± ìœ„ì— ì•‰ì•„ 있는ë°, ì ìƒ‰ ìƒì˜ë¥¼ 반쯤 걸친 채 녹색 바지를 ìž…ê³  지팡ì´ë¥¼ 들고 있다.
뒤쪽ì—는 ìŸë°˜ì— 복숭아를 들고 있는 ë³´ì‚´ê³¼ 소나무를 그렸다. 유불선 ë„ìƒì´ ëª¨ë‘ ë“±ìž¥í•˜ì§„ 않지만 무ì†í™”ì— ë¶ˆêµì  ë„ìƒê³¼ ë„êµì  ë„ìƒì´ 함께 등장하는 예는 ìƒë‹¹ížˆ 많다. ì´ëŠ” 불화ì—ì„œë„ ì˜ˆì™¸ëŠ” 아니며 경주 ì²œì™•ì‚¬ì˜ ì‚°ì‹  탱화 ë“±ì´ ê·¸ 예ì´ë‹¤. <천왕사 ì‚°ì‹  탱화>는 불êµì  ë„ìƒê³¼ ë„êµì  ë„ìƒì„ 함께 그렸다. 왼쪽 í˜¸ëž‘ì´ ìœ„ì— ì„œ 있는 ë„ìƒì€ 누가 ë³´ì•„ë„ ë³´ì‚´ì˜ ëª¨ìŠµì´ë‹¤. 불êµì  ì¸ë¬¼ê³¼ ë„êµì  ì¸ë¬¼ì´ 함께한 í™”í­ì— 그려져 있다는 ì ì´ í¥ë¯¸ë¡œìš´ë° ì´ëŸ¬í•œ ì ì€ 무ì†í™”ì—서 ìžì£¼ ë³´ì´ëŠ” 예ì´ë‹¤.
ìœ ë… ë¶ˆêµì  ë„ìƒê³¼ 무ì†ì  ë„ìƒì´ 함께 그려진 예가 ë§Žì€ ê²ƒì€ ì•„ë§ˆë„ ì¤‘êµ­ì„ í†µí•´ 불êµê°€ 유입ë˜ì—ˆì„ 때 한국ì—ì„œì˜ í† ì°©í™” 과정ì—서 무ì†ê³¼ 만났기 ë•Œë¬¸ì¼ ê°€ëŠ¥ì„±ì´ í¬ë‹¤. 불êµì™€ 유êµ, ë¬´ì† ë„ìƒì´ 함께 등장하는 예로 <ê°ë¡œíƒ±í™”甘露幀畵>를 들 수 있는ë°(ë„6), ì´ ê°™ì€ í˜„ìƒì€ 20세기 ì´í›„ì—ë„ ê³„ì† ì´ì–´ì ¸ 왔다. 그림 ìƒë¶€ 중앙ì—는 칠불七佛과 우측ì—는 ë¶ê³¼ ì§•, ë°”ë¼ë¥¼ 치고 ë‚˜ë¹„ì¶¤ì„ ì¶”ëŠ” ìŠ¹ë ¤ë“¤ì´ ê°ê° 배치ë˜ì—ˆë‹¤. 하부 ì¤‘ì•™ì— ì•„ê·€ì˜ ëª¨ìŠµì´ í¬ê²Œ 그려지고 좌측엔 í˜„ì„¸ì˜ ì—¬ëŸ¬ ëª¨ìŠµì´ ë¬˜ì‚¬ë˜ì–´ ìžˆëŠ”ë° ê·¸ì¤‘ì—는 스승과 ì œìžê°€ í•™ë¬¸ì„ ë‹¦ê³  있는 ì„œë‹¹ì˜ ëª¨ìŠµì„ ê·¸ë¦° 유êµì  ë„ìƒë„ 그려져 있다. 그림 하부ì—는 ë¬´ë‹¹ì´ êµ¿ì„ í•˜ 있는 ìž¥ë©´ì´ ê·¸ë ¤ì ¸ 있다. ì´ëŠ” 불êµì™€ 무ì†ì‹ ì•™ê³¼ì˜ ê²°í•© ì–‘ìƒì„ 보여주는 것으로 ë³¼ 수 있다.
금성당ì—는 ë§¹ì¸ì„ 신으로 삼는 ìž‘í’ˆì´ ìžˆë‹¤. <ë§¹ì¸ë„사>ê°€ 그것ì´ë‹¤.
ì´ ìž‘í’ˆì„ ë³´ë©´ ì™€ë£¡ê´€ì„ ì“´ ë§¹ì¸ì´ 가슴 ë¶€ê·¼ì— ê¸ˆê±°ë¶ì´ë¥¼ ë‘ ì†ìœ¼ë¡œ ê°ì‹¸ê³  있다. ì™€ë£¡ê´€ì€ ì¤‘ì‹¬ì´ ë†’ìœ¼ë©´ì„œ ì„¸ë¡œê³¨ì´ ì§„ 형태ì¸ë° 대부분 5ê°œì˜ ê³¨ì´ ì§€ê²Œ ë˜ì–´ìžˆìœ¼ë©° ì‚¬ëŒ€ë¶€ë“¤ë§Œì´ ì“°ë˜ ê´€ëª¨ë¡œ 학창ì˜ì™€ 함께 착용했다. ì œê°ˆëŸ‰ì˜ ë³„í˜¸ê°€ 와룡臥é¾Â·ë³µë£¡ä¼é¾ìœ¼ë¡œ 그가 ì“°ê³  다녔다는 ë°ì„œ ìœ ëž˜ëœ ê´€ëª¨ì´ë‹¤. <ê°ëª¨ì—¬ìž¬ë„感慕如在圖>는 ì¡°ìƒì˜ 제사를 지내기 위해 별ë„로 ì§€ì€ ì‚¬ë‹¹ç¥ å ‚ì„ í™”í­ì— ë‹´ì€ ê²ƒìœ¼ë¡œ 사당ë„祠堂圖ë¼ê³ ë„ 한다. 집집마다 ì¡°ìƒì— 제사 지내는 ì‚¬ë‹¹ì„ ë³„ì±„ë¡œ ê°–ì¶œ 수는 없었기 ë•Œë¬¸ì— ì‚¬ë‹¹ì´ ì—†ëŠ” 후ì†ë“¤ì€ ì‚¬ë‹¹ì„ ê·¸ë¦¼ìœ¼ë¡œ 그려 마치 ì‚¬ë‹¹ì´ ì•žì— ìžˆëŠ” 것과 ê°™ì€ ê¸°ëŠ¥ì„ í•˜ì˜€ë‹¤. ì´ ê·¸ë¦¼ì€ ìœ êµ ë¬¸í™”ì˜ ì‚°ë¬¼ì´ë¼ê³  í•  수 있다. 중국ì—서는 가당ë„家堂圖, ì¡±ì˜æ—å½±, ë˜ëŠ” 조종화祖宗畵ë¼ê³  불렀으며 ì¤‘êµ­ì˜ ê°€ë‹¹ë„는 ìš°ë¦¬ì˜ ì‚¬ë‹¹ì— í•´ë‹¹í•˜ëŠ” 가당 ì•ˆì— ìœ„íŒ¨ë¥¼ 그려 ë„£ì—ˆëŠ”ë° ìœ„íŒ¨ 대신 ì¡°ìƒ ë¶€ë¶€ì˜ ì´ˆìƒí™”를 그려 ë„£ì€ ê²½ìš°ë„ ìžˆë‹¤. ì¡°ì„ ì‹œëŒ€ì˜ ê°ëª¨ì—¬ìž¬ë„는 사당만 그려진 것과 사당과 ì œë‹¨ì´ í•¨ê»˜ 그려진 것 ë‘ í˜•ì‹ì´ 있다. 제사ìƒì— 차려진 ìŒì‹ì€ ë³¸ëž˜ì˜ ì˜ë¯¸ì—서 벗어나 수박, ì„류, 복숭아, 모란 등 축수나 ê¸°ë³µì  ì„±ê²©ì˜ ìƒì§•ë¬¼ë“¤ì´ ê°•ì¡°ë˜ê³  ì¦ê°€ë˜ëŠ” íŠ¹ì§•ì„ ë³´ì¸ë‹¤.
한편 유êµì™€ 불êµ, 기ë…êµì  ë„ìƒì´ 함께 나타나는 ê²½ìš°ë„ ìžˆì–´ 주목할 만하다(ë„4). ì´ì™€ ê°™ì€ ìžìœ ë¡œìš´ êµ¬ì„±ì€ ë¯¼í™”ê°€ 갖는 특수성ì´ë¼ í•  수 있겠다.

ë„6 <ê°ë¡œíƒ±í™”甘露幀畵>, ê´‘ë³µ ì´í›„, 견본채색, 국립민ì†ë°•물관 소장


[참고ìžë£Œ]
김기주, <ë™ì–‘í™”-그림ì´ëž€ 무엇ì¸ê°€?>, 《미술사학보》
ì´ê·œë³´, <노무편è€å·«ç¯‡>, 《ë™êµ­ì´ìƒêµ­ì§‘》
ì´ê·œê²½, 《오주연문장전산고》
김태곤, 《한국무신ë„》, ã€Ší•œêµ­ì˜ ë¬´ì†ã€‹, ã€Ší•œêµ­ë¬¸í™”ì˜ ì›ë³¸ì‚¬ê³ ã€‹
윤열수, <í•œêµ­ì˜ ë¯¼í™”-무신ë„를 중심으로>, 《제25기 박물관 문화강좌:종êµë¥¼ 통해 보는 한국문화》
정병모, 《민화, 가장 대중ì ì¸ 그리고 한국ì ì¸ã€‹
서울역사박물관, <ìƒí™œ ì†ì—서 ìžë¦¬ ìž¡ì€ ì œì‚¬ 문화, ê°ëª¨ì—¬ìž¬ë„>, 《반갑다 우리민화》

김취정 | 서울대학êµë°•물관 ê°ì›ì—°êµ¬ì›

ê³ ë ¤ëŒ€í•™êµ ëŒ€í•™ì›ì—서 미술사학 ì„·박사학위를 받았고,
ê³ ë ¤ëŒ€í•™êµ ì•„ì„¸ì•„ë¬¸ì œì—°êµ¬ì†Œ ì—°êµ¬ì› ë“±ì„ ì—­ìž„í–ˆë‹¤.
현재 고려대 강사, 서울대학êµë°•물관 ê°ì›ì—°êµ¬ì›, 한국민화학회 ì´ì‚¬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