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취정 ë°•ì‚¬ì˜ ë¯¼í™” ì† ê³¤ì¶©ì´ì•¼ê¸° â‘£ 다산과 ìŠ¹ë¦¬ì˜ ìƒì§•, ìž ìžë¦¬

커다란 눈과 그물 ëª¨ì–‘ì˜ ë§¥ì´ ìžˆëŠ” 투명한 ë‘ ìŒì˜ ë‚ ê°œ, ê°€ëŠë‹¤ëž—ê³  기다란 배를 가졌으며 벌레를 잡아먹어 사람ì—게 ì´ë¡œìš´ ê³¤ì¶©ì€ ë¬´ì—‡ì¼ê¹Œ? ì •ë‹µì€ ë°”ë¡œ ìž ìžë¦¬ë‹¤. ìž ìžë¦¬ëŠ” ì–´ë–¤ ìƒì§•으로 옛 ê·¸ë¦¼ì— ë“±ìž¥í–ˆì„까?
글 김취정 (ì„œìš¸ëŒ€í•™êµ ë°•ë¬¼ê´€ ê°ì›ì—°êµ¬ì›/ê³ ë ¤ëŒ€í•™êµ ê°•ì‚¬)


지구ìƒì—서 날아다니는 ê³¤ì¶©ë“¤ì˜ ì›ì¡°, ìž ìžë¦¬

ì¥ë¼ê¸° ì‹œëŒ€ì˜ ìž ìžë¦¬ í™”ì„ì´ ì¢…ì¢… 발견ëœë‹¤(ë„1). ìž ìžë¦¬ëŠ” 대표ì ì¸ í™”ì„ ê³¤ì¶©ìœ¼ë¡œ 지구ìƒì—서 최초로 í•˜ëŠ˜ì„ ë¹„í–‰í•œ 곤충ì´ë¼ê³  í•  수 있다. 2007ë…„ 11ì›” 중국ì—서 1ì–µ ë…„ ì „ì˜ ê²ƒìœ¼ë¡œ 추정ë˜ëŠ” ìž ìžë¦¬ í™”ì„ì´ ë°œê²¬ë˜ê¸°ë„ 하였다. ì´ ìž ìžë¦¬ í™”ì„ì€ 1ì–µ 1천만년~1ì–µ 3천만년 ì „ì˜ ê²ƒìœ¼ë¡œ 추정ë˜ë©°, 1억년 ì´ìƒ ëœ í™”ì„ìž„ì—ë„ ë¶ˆêµ¬í•˜ê³  ìž ìžë¦¬ ë‚ ê°œë¶€ë¶„ì˜ ì£¼ë¦„ê¹Œì§€ 완벽하게 ë³´ì¡´ë˜ì–´ 있어 ì£¼ëª©ëœ ë°” 있다.
ê³ ëŒ€ì˜ ìž ìžë¦¬ëŠ” í˜„ìž¬ì˜ ìž ìžë¦¬ë³´ë‹¤ 매우 컸다. 고대 ìž ìžë¦¬ 중 메가네우ë¼(Meganeura)는 약 2ì–µ 9천만년 ì „ì˜ ê³ ìƒëŒ€ ì„íƒ„ê¸°ì— ìƒì¡´í–ˆë˜ 고시하강å¤ç¿…下綱 곤충ì´ë‹¤. 형태는 í˜„ìž¬ì˜ ìž ìžë¦¬ì™€ 유사하나 다른 ëª©ì— ì†í–ˆìœ¼ë©°, 날개를 편 í¬ê¸°ê°€ 약 50~70cm ì •ë„였다.

ìž”ìžë¦¬ì—서 ìž ìžë¦¬ë¡œ

‘잠ìžë¦¬â€™ëŠ” ì¡°ì„  중종 때 번역한 《ë‘시언해》 ì´ˆê°„ë³¸ì— â€˜ìž”ìžë¦¬â€™ë¡œ 나오다가 ê·¸ 후로 ìž ìžë¦¬ë¡œ 기ë¡ëœ ê²ƒì„ ë¯¸ë£¨ì–´ ë´¤ì„ ë•Œ, ìž”ìžë¦¬ê°€ ìž ìžë¦¬(Dragonfly)로 변했ìŒì„ 알 수 있다. 조선시대ì—는 ìž ìžë¦¬ë¥¼ 대부분 ‘청정蜻蜓’ì´ë¼ í‘œê¸°í–ˆëŠ”ë° ê°„í˜¹ ‘청령蜻蛉’ì´ë¼ í‘œê¸°í•˜ê¸°ë„ í–ˆë‹¤. ê·¸ 외 별칭으로는 호려ç‹é»ŽÂ·ì²­ì•„ëž‘é’鴉娘 ë“±ì´ ìžˆê³  고추잠ìžë¦¬ë¡œëŠ” ì ì¡¸èµ¤å’·강추絳騶·ì ì˜ì‚¬ìžèµ¤è¡£ä½¿è€…·ì ë³€ìž¥ì¸èµ¤å¼ä¸ˆäººì´ 있다.


ë„1 ìž ìžë¦¬ í™”ì„, 미국, 중ìƒëŒ€, 32cm×20cm, ì˜ì¸ì‚°ì‚°ë¦¼ë°•물관 소장


청정蜻蜓, 호려ç‹é»Ž, ì ì¡¸èµ¤å’

조선후기 민노행(閔魯行 1777~1845)ì˜ ã€Šëª…ìˆ˜ì§€ë¬¸åæ•¸å’«èžã€‹ì— 따르면 ìž ìžë¦¬ëŠ” 세 종류[蜻蜓三種]ê°€ 있다고 기ë¡í•˜ê³  있다. 첫째 ìƒ‰ì´ í‘¸ë¥´ê³  í° ê²ƒì„ ì²­ì •èœ»èœ“ì´ë¼ 하고, 둘째 작고 누런 ê²ƒì„ í˜¸ë ¤ç‹é»Žë¼ 부르며, 셋째 작고 ë¶‰ì€ ê²ƒì„ ì ì¡¸èµ¤å’(고추잠ìžë¦¬), 한편으론 ê°•ì¶”çµ³é¨¶ë¼ ë§í•œë‹¤[色é‘而大者曰 蜻蜓 å°è€Œé»ƒæ›° ç‹é»Ž å°è€Œèµ¤æ›° èµ¤å’ ä¸€æ›° 絳騶].
ìž ìžë¦¬ëŠ” 세계 ê°ì§€ì—서 ë„리 ë³¼ 수 있으며 약 5,000ì¢…ì´ ì•Œë ¤ì ¸ 있는ë°, 한국ì—는 107ì¢…ì´ ì•Œë ¤ì ¸ 있다. ìž ìžë¦¬ 무리(ìž ìžë¦¬ëª©)는 길쭉한 몸과 기다란 날개를 지니며 머리ì—는 매우 í° ê²¹ëˆˆì´ ìžˆë‹¤. ìœ ì¶©ì€ â€˜ìˆ˜ì±„â€™ë¼ê³  불리며 물ì†ì—서 ìƒí™œí•œë‹¤. 번ë°ê¸° ê³¼ì •ì€ ê±°ì¹˜ì§€ 않고 탈피를 반복해 날개가 있는 ì„±ì¶©ì´ ëœë‹¤. ì¼ë³¸ì—는 190종, 한국ì—는 107ì¢…ì´ ì•Œë ¤ì ¸ 있다. ìž ìžë¦¬ì˜ ìƒíƒœì  íŠ¹ì§•ì´ ê·¸ëŒ€ë¡œ 시ì—서 ë¬˜ì‚¬ëœ ë¶€ë¶„ì´ ìžˆì–´ 주목ëœë‹¤. ì¡°ì„  중기 ë¬¸ì¸ ì´ì‘í¬æŽæ‡‰ç¦§ì˜ ã€Šì˜¥ë‹´ì‹œì§‘çŽ‰æ½­è©©é›†ã€‹ì— ì‹¤ë¦° 시가 ê·¸ 예ì´ë‹¤.


물ì†ì— 들어가서 ì•Œì„ ë‚³ê³  [潜蟲蕃水底]
ì§„ì°½ì—서 나와서 í—ˆë¬¼ì„ ë²—ë„¤ [蛻脫出泥濘]
푸른 ê»ì§ˆì€ 푸른 옥玉 같고 [鑿®¼é¨°è’¼çމ]
ë¶‰ì€ ë¨¸ë¦¬ëŠ” ìžì¤ë¹› 구슬 같구나 [紅頭散紫瓊]
ì§‘ 주위ì—서 가지런히 위아래로 날아다니다가 [屋邊齊上下]
ë‘ê±´é ­å·¾ ìœ„ì— í˜¹æˆ– 날아와 앉네 [綸首或來åœ]
가장 사랑스러운 ê²ƒì€ ìˆ˜ì—†ëŠ” ìž ìžë¦¬ë“¤ì´ 날아서 [最愛飛無數]
í•´ 질 ë…˜ 푸른 ë¶€í‰ì´ˆ ìœ„ì— ì ì ì´ 내려앉는 것ì´ë¡œë‹¤ [斜陽點綠è]
– ì´ì‘í¬æŽæ‡‰ç¦§, 비충류飛蟲類 청정蜻蜓(ìž ìžë¦¬),
<만물편è¬ç‰©ç¯‡>, 《옥담시집玉潭詩集》

ì¤‘êµ­ì˜ ì‹œì„±, ë‘ë³´, ìž ìžë¦¬ë¥¼ 노래하다

중국ì—서 시성詩è–ì´ë¼ 칭하는 ë‘ë³´æœç”«ëŠ” <곡강曲江>ì´ëž€ 시편ì—서 “꽃 사ì´ë¡œ 나비는 깊ì´ê¹Šì´ ë³´ì´ê³ , 물 ì ì°ëŠ” ìž ìžë¦¬ 팔랑팔랑 나누나[ç©¿èŠ±è›ºè¶æ·±æ·±è¦‹, 點水蜻蜓款款飛]â€ê³  ìŠì—ˆë‹¤. 반쯤 취한 퇴근길ì—서 ê·¸ì˜ ëˆˆê¸¸ì´ ê°€ëŠ” ê³³ì€ ê½ƒë°­ 사ì´ë¥¼ 헤집고 다니는 나비들과 잔잔한 수면 위로 ê½ì§€ë¥¼ ì‚´ì§ ê¼¬ë¶€ë ¤ ì  í•˜ë‚˜ë¥¼ 톡 ì°ê³  날아가는 ìž ìžë¦¬ì˜€ë‹¤. 여기저기 들쑤시며 ìž ì‹œë„ ê°€ë§Œìžˆì§ˆ 못하고 부산스레 ëŒì•„다니ìž, ë‘보는 ìžê¾¸ë§Œ ê·¸ë“¤ì´ ë¶€ëŸ¬ì›Œ ê·¸ 뒤를 ë”°ë¼ ê½ƒë°­ 사ì´ì™€ 수면 위를 기웃기웃하며 아름다운 ë´„ë‚  í’ê´‘ì„ ì ˆë¬˜í•˜ê²Œ 묘사했다.

ë¬¼ì„ ì¢‹ì•„í•˜ëŠ” ìž ìžë¦¬, 연못과 함께 그려지는 경우 多

중국 ì„œì§„è¥¿æ™‰ì˜ ìµœí‘œå´”è±¹ëŠ” 《고금주å¤ä»Šæ³¨ã€‹ë¼ëŠ” ì±…ì—서 “청정 즉 ì²­ë ¹ì€ ë¬¼ ìœ„ì— ëª¨ì—¬ì„œ 날기를 좋아한다[å¤ä»Šæ³¨ 蜻蜓å½èœ»è›‰ 好飛集水上]†하였고, 1182ë…„ 중국 ë‚¨ì†¡ì˜ ì–‘ê·¹ê°€æ¢å…‹å®¶ê°€ ì§€ì€ <순í¬ì‚¼ì‚°ì§€æ·³ç†™ä¸‰å±±å¿—> ì¼ëª… <장ë½ì§€é•·æ¨‚å¿—>ì—서 언급하길 â€œì²­ì •ì€ í•œíŽ¸ìœ¼ë¡  ê°•ì¶”çµ³é¨¶ë¼ ë§í•˜ê³ , 한편으로 ì ì˜ì‚¬ìžèµ¤è¡£ä½¿è€…ë¼ ë¶ˆë¦¬ë©° ë˜í•œ ì ë³€ìž¥ì¸èµ¤å¼ä¸ˆäººì´ë¼ ì¹­í•˜ê¸°ë„ í•˜ê³ , 세ì†ì—서는 ì²­ì•„ëž‘é’鴉娘ì´ë¼ 불린다[蜻蜓 一曰絳騶 一曰赤衣使者 åˆæ›°èµ¤å¼ä¸ˆäºº 俗呼é’鴉娘]â€ê³  했다.
물잠ìžë¦¬ëŠ” 물가를, 실잠ìžë¦¬ëŠ” ìˆ˜í’€ì„ ì„ í˜¸í•œë‹¤. ìž ìžë¦¬ê°€ ìœ ì¶©ì‹œì ˆì„ ë¬¼ì†ì—서 ì§€ë‚´ê¸°ì— ë¬¼ê°€ë‚˜ ì—°ëª»ì˜ ì—°ê½ƒê³¼ 함께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ë„2, ë„3, ë„4).

ë‚¨ê·¼ç”·æ ¹ì„ ìƒì§•하는 길쭉한 ìƒê¹€ìƒˆì˜ ìž ìžë¦¬
-예로부터 ì–‘ê¸°ì— ì¢‹ë‹¤í•˜ì—¬ 다산과 ë“ë‚¨ì„ ìƒì§•

ìž ìžë¦¬ëŠ” 커다란 눈과 그물 ëª¨ì–‘ì˜ ë§¥ì´ ìžˆëŠ” 투명한 ë‘ ìŒì˜ ë‚ ê°œ, ê°€ëŠë‹¤ëž—ê³  기다란 배를 가졌으며 벌레를 잡아먹어 사람ì—게 ì´ë¡œìš´ 곤충ì´ë‹¤. 《ë™ì˜ë³´ê°ã€‹ì—는 ìž ìžë¦¬ë¥¼ ‘청령’ ë˜ëŠ” ‘청낭ìžé‘娘å­â€™ë¼ 했으며 ì„±ì§ˆì´ ì•½ê°„ 서늘하며 ë…ì´ ì—†ë‹¤. “양기를 강하게 하고 ìŒê²½ì„ 따뜻하게 하며… 약으로 쓰려면 ë§ë ¤ì„œ 날개와 ë°œì„ ë–¼ê³  볶아서 사용한다. ëˆˆì´ í‘¸ë¥´ê³  í° ê²ƒì´ ì¢‹ì€ë° 고추잠ìžë¦¬ëŠ” ë”ìš± 좋다â€ê³  언급ë˜ê¸°ë„ 했다. ì´ë¥¼ 통해 ì˜›ì‚¬ëžŒë“¤ì´ ìž ìžë¦¬ë¥¼ 정력제로 사용하였ìŒì„ 알 수 있다. ì•½ìš©ìœ¼ë¡œì„œì˜ ìž ìžë¦¬ê°€ 정력제였다면 ìƒì§•ìœ¼ë¡œì„œì˜ ìž ìžë¦¬ëŠ” 길쭉한 ìƒê¹€ìƒˆ ë•Œë¬¸ì— ë‚¨ê·¼ç”·æ ¹ì„ ì˜ë¯¸í•œë‹¤. ë‚¨ê·¼ì„ ìƒì§•하는 다른 ìƒì§•ë“¤ì´ ê·¸ëŸ¬í•˜ë“¯ì´ ì´ëŠ” ê³§ 다ìžå¤šå­, ë“ë‚¨å¾—ç”·ì„ ì—¼ì›í•˜ëŠ” 마ìŒì„ ë‹´ê³  있는 것으로 í’€ì´í•  수 있다.

높고 푸른 ê°€ì„ í•˜ëŠ˜ì„ ìˆ˜ë†“ëŠ” ìž ìžë¦¬

í•œì—¬ë¦„ì´ ì§€ë‚˜ê³  ê°€ì„ì´ ì‹œìž‘ë˜ë©´ ìž ìžë¦¬ëŠ” 푸른 ê°€ì„ í•˜ëŠ˜ì„ ìˆ˜ë†“ê³¤ 한다. ì´ëŸ¬í•œ ëª¨ìŠµì€ ì¡°ì„ í›„ê¸° 문ì¸ì´ìž 실학ìžì˜€ë˜ ì´ë•무(æŽå¾·æ‡‹, 1741~1793)ì—ê²Œë„ ê¹Šì€ ì¸ìƒì„ 주었고, ì´ì— 그는 ìž ìžë¦¬ì˜ ëª¨ìŠµì„ ì‹œë¡œ 표현하였다.


ìžìž˜í•œ 담장 무늬ì¸ê°€ 질항아리 ê¸ˆì´ ê°„ 듯 [墻紋細肖哥窯å¼]
ì–´ì§€ëŸ¬ì´ í©ì–´ì§„ 댓잎ì¸ê°€ ê°œìžä¸ªå­— 모양으로 푸르네 [ç¯è‘‰ç´›æŠ«ä¸ªå­—é‘]
우물가 ê°€ì„ë³•ì— ê·¸ë¦¼ìž ì–´ë¥¸ì–´ë¥¸ [井畔秋陽生影纈]
가는 허리 하늘하늘 고추잠ìžë¦¬ [紅腰婀娜瘦蜻蜓]
– ì´ë•무æŽå¾·æ‡‹, ‘고추잠ìžë¦¬ 그림ìžë¥¼ í¬ë¡±í•¨â€™,
<아정유고雅亭éºç¨¿ä¸€>, 《청장관전서》 ì œ9ê¶Œ


ìž…ì€ ì˜·ì˜ ë¬´ëŠ¬ê°€ 미세하니 가요哥窰가 ê°ˆë¼ì§„ 듯하고 [墻紋細肖哥窰å¼]
ì–´ì§€ëŸ¬ì´ í©ì–´ì§„ ì–‡ì€ ë‚ ê°œëŠ” ë‚±ë‚±ì´ í‘¸ë¥¸ 글ìžë¡œë‹¤. [ç¯è‘‰ç´›æŠ«ä¸ªå­—é‘]
우물 ë‘ë‘‘ì˜ ê°€ì„ í–‡ì‚´ì´ ë¹„ë‹¨ë¬´ëŠ¬ 광채를 만들어 [井畔秋陽生影纈]
요염한 ë¶‰ì€ í—ˆë¦¬ 고추잠ìžë¦¬ê°€ 하늘하늘 거리네. [紅腰婀娜瘦蜻蜓]
– ì´ë•무æŽå¾·æ‡‹, ‘고추잠ìžë¦¬ê°€ í¬ë¡±í•˜ëŠ” ëª¨ìŠµì„ ë³´ê³ â€™,
<아정유고雅亭éºç¨¿ä¸€>, 《청장관전서》 ì œ9ê¶Œ

ì¼ë³¸ì—서 ìž ìžë¦¬ëŠ” 승충å‹èŸ²

ì¼ë³¸ì—서는 과거 승충å‹èŸ²ì´ë¼ 부르며 ë¬´ì‚¬ë“¤ì´ ìžì‹ ì˜ 투구나 무기 ë“±ì— ìž ìžë¦¬ 모양 장ì‹ì„ ë‹¬ê¸°ë„ í–ˆëŠ”ë°, ì´ëŠ” 당시 ìž ìžë¦¬ëŠ” ì˜¤ì§ ì „ì§„ë§Œì„ í•  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 ì „ìŸì— ë‚˜ê°€ì„œë„ í›„í‡´ ì—†ì´ ì „ì§„ë§Œì„ í•˜ê² ë‹¤ëŠ” ì˜ë¯¸ì˜€ë‹¤ê³  한다. ì´ëŸ¬í•œ ìƒì§•ì€ ë¬´ì‚¬ë“¤ì˜ ì‹œëŒ€ê°€ ë난 ë’¤ 2ì°¨ 대전 ì‹œëŒ€ì˜ ì¼ë³¸êµ°ì—ì„œë„ ì¼ë¶€ 활용ë˜ì—ˆë‹¤. 오늘날ì—는 ìœ ì‚¬í’ˆì´ ë§Žê¸°ëŠ” í•´ë„ ê²€ë„ìš©í’ˆì— ìž ìžë¦¬ ë¬¸ì–‘ì„ ê·¸ë ¤ 넣는 브랜드가 있다. ê·¸ ì™¸ì— ì§„ê²€ìˆ˜ì§‘ê°€ë“¤ 사ì´ì—서 ìž ìžë¦¬ 장ì‹ì˜ 쯔바(가드) ë¶€ë¶„ì´ ë†’ì€ ê°€ê²©ì— ê±°ëž˜ë˜ê³  있다.


(왼쪽) ë„4 <연화어ë½ë„>, 견본채색, 84×35cm, 19세기,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오른쪽) ë„5 <초충ë„>, 지본채색, 조선시대, 경기대학êµì†Œì„±ë°•물관 소장

타협보다는 ëª…ë¶„ì„ ì¤‘ìš”ì‹œí•˜ëŠ” ì†Œë¡ ì„ ìƒì§•



거미가 ê±°ë¯¸ì¤„ì„ ì¹˜ë‹ˆ [蜘蛛çµç¶±ç½Ÿ]
가로지른 다ìŒì—” 위로 아래로 [橫截下與上]
ë‚  위해 ìž ìžë¦¬ì—게 ë§ì„ í•´ 주렴 [爲我語蜻蜓]
절대로 처마 ë°‘ì—” 가지 ë§ë¼ê³  [愼勿簷å‰å‘]
– 윤ì¦(尹拯 1629~1714), <ê±°ë¯¸ì¤„ì„ ìŠë‹¤[蜘蛛網詠]>, 《명재유고明齋éºç¨¿ã€‹


윤ì¦å°¹æ‹¯ì´ ì†Œë¡ ì˜ ì˜ìˆ˜ë¡œ 추대ë˜ì–´ 활ë™í•  때 ë…¸ë¡ ì˜ ì˜ìˆ˜ 송시열宋時烈과 비난, ë³€ëª…ì˜ ëŒ€ë¦½ê´€ê³„ê°€ ì§€ì†ë˜ì–´ ë§Žì€ ì–´ë ¤ì›€ì„ ë‹¹í•œ í˜„ì‹¤ì„ ë¹—ëŒ€ì–´ 표현한 것ì´ë‹¤. 거미는 노론ì„, ìž ìžë¦¬ëŠ” ì†Œë¡ ì„ ëœ»í•œë‹¤. ì†¡ì‹œì—´ì„ ë¹„ë¡¯í•œ ë…¸ë¡ì¸¡ì€ í˜„ì‹¤ê³¼ì˜ ì¼ì •한 íƒ€í˜‘ì„ í†µí•´ ê¶Œë ¥ì„ ìž¥ì•…í•˜ëŠ” ë° ìµœìš°ì„ ì˜ ì˜ë¯¸ë¥¼ ë‘ì—ˆë˜ ê²ƒì´ê³ , 윤ì¦ì„ 내세운 ì†Œë¡ ì¸¡ì€ í˜„ì‹¤ê³¼ì˜ íƒ€í˜‘ì„ ê±°ë¶€í•˜ë©° ëª…ë¶„ì„ ê³ ìˆ˜í•˜ë ¤ í–ˆë˜ ê²ƒì´ë‹¤.
다산, ë‹¤ë‚¨ì„ ìƒì§•하는 ìž ìžë¦¬ì™€ ë²¼ìŠ¬ì„ ìƒì§•하는 맨드ë¼ë¯¸ê°€ 함께 그려지는 경우가 ì ì§€ 않ì€ë°, 경기대학êµì†Œì„±ë°•물관 ì†Œìž¥ì˜ <초충ë„>ê°€ ê·¸ 예ì´ë‹¤(ë„5). ì´ ìž‘í’ˆì€ ë§¨ë“œë¼ë¯¸ë¥¼ 중심으로 나비와 ìž ìžë¦¬ ë“±ì„ ì†Œìž¬ë¡œ 한 초충ë„ì´ë‹¤. ì¤‘ì•™ì— í•œ ë–¨ê¸°ì˜ ë§¨ë“œë¼ë¯¸ê°€ 위로 ë»—ì–´ ë¶‰ì€ ê½ƒì„ í”¼ì› ê³ , 맨드ë¼ë¯¸ ì£¼ìœ„ì— í‘¸ë¥¸ìƒ‰ì˜ í‚¤ê°€ ë‚®ì€ ê½ƒ ë“±ì˜ ìž¡ì´ˆê°€ 올ë¼ì™€ 있다. íƒìŠ¤ëŸ¬ìš´ 맨드ë¼ë¯¸ë¥¼ 향해 ì²­ìƒ‰ì´ ì£¼ì¡°ë¥¼ ì´ë£¨ëŠ” 화려한 ìƒ‰ì±„ì˜ ë‚˜ë¹„ì™€ 고추잠ìžë¦¬ê°€ 맨드ë¼ë¯¸ë¥¼ 향하고 있고, 화면 í™”ë‹¨ì˜ ë•… 위ì—는 기어 다니는 ê³¤ì¶©ì´ ë°°ì¹˜ë˜ì—ˆë‹¤. 구조를 ë³´ë©´ ì¤‘ì•™ì˜ ë§¨ë“œë¼ë¯¸ë¥¼ 중심으로 ê³µì¤‘ì˜ ë‚˜ëŠ” 곤충과 ë•… ìœ„ì˜ ê¸°ëŠ” ê³¤ì¶©ì´ ìƒí™”좌우 ëŒ€ì¹­ì„ ì´ë£¨ê³  있는 êµ¬ì„±ì´ ë…특하다. ì‡ ë˜¥ì„ êµ´ë¦¬ëŠ” ì‡ ë˜¥êµ¬ë¦¬ë“¤ì˜ ëª¨ìŠµì´ í•´í•™ì ì´ë©°, 소박한 ì†Œìž¬ì— ë¶‰ì€ìƒ‰Â·í‘¸ë¥¸ìƒ‰ê³¼ ì´ˆë¡ìƒ‰ì˜ 색채가 조화롭게 사용ë˜ì—ˆë‹¤. 맨드ë¼ë¯¸[鷄冠花]ì˜ ê´€å† ì€ ê´€å®˜ê³¼ ë™ìŒë™ì„±ìœ¼ë¡œ ë²¼ìŠ¬ì„ ìƒì§•한다. 맨드ë¼ë¯¸ì™€ ê·¸ ì£¼ë³€ì„ ë‚ ê³  있는 ìž ìžë¦¬ê°€ 함께 그려지면, ì•„ë“¤ì„ ë§Žì´ ë‚³ê³  벼슬길ì—서 ê´€ìš´ì´ ë”°ë¥´ê¸°ë¥¼ ë°”ë¼ëŠ” 마ìŒì„ ë‹´ì€ ê·¸ë¦¼, í˜¹ì€ ì•„ë“¤ì„ ë‚³ê³  ê·¸ ì•„ë“¤ì´ ë†’ì€ ê´€ì§ì„ 얻기를 기ì›í•˜ëŠ” 마ìŒì´ 담긴 것ì´ë¼ í•  수 있다.

김취정 | 서울대학êµë°•물관 ê°ì›ì—°êµ¬ì›

ê³ ë ¤ëŒ€í•™êµ ëŒ€í•™ì›ì—서 미술사학 ì„·박사학위를 받았고,
ê³ ë ¤ëŒ€í•™êµ ì•„ì„¸ì•„ë¬¸ì œì—°êµ¬ì†Œ ì—°êµ¬ì› ë“±ì„ ì—­ìž„í–ˆë‹¤.
현재 고려대 강사, 서울대학êµë°•물관 ê°ì›ì—°êµ¬ì›,
한국민화학회 ì´ì‚¬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