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취정 ë°•ì‚¬ì˜ ë¯¼í™” ì† ê³¤ì¶©ì´ì•¼ê¸° â‘¢ êµ°ìžì˜ ìƒì§•, 매미

êµ°ìžë¥¼ ìƒì§•하는 매미는 예부터 í™”ê°€ë“¤ì´ ì¦ê²¨ 그리는 ì†Œìž¬ì˜€ì„ ë¿ë§Œ 아니ë¼
ë­‡ 문ì¸ë¬µê°ë“¤ì˜ 시화 소재로 사랑받아왔다. 옛 ì„ ì¸ë“¤ì€ 매미를 작품 ì† ì–´ë””ì—,
어떻게 그려 넣어 ì˜ë¯¸ë¥¼ ë”했는지 살펴보ë„ë¡ í•˜ìž.(편집ìžì£¼)

글 김취정 (서울대학êµë°•물관 ê°ì›ì—°êµ¬ì›/ê³ ë ¤ëŒ€í•™êµ ê°•ì‚¬)


êµ°ìžì˜ ìƒì§•, 매미 그림

매미를 가장 ì´ìƒì ìœ¼ë¡œ 미화시킨 ì‚¬ëžŒë“¤ì€ ë™ì–‘ì˜ ì„ ë¹„ë“¤ì´ì—ˆë‹¤. ì§„æ™‰ë‚˜ë¼ ìœ¡ìš´(陸雲, 262~303)ì€ <한선부寒蟬賦> 서문ì—서 매미가 문文, ì²­æ·¸, 염廉, 검儉, ì‹ ä¿¡ì˜ ì˜¤ë•äº”å¾·ì„ ê°–ì¶”ì—ˆë‹¤ê³  하였다.

ë¨¸ë¦¬ì— ê°“ëˆ ë¬´ëŠ¬ê°€ 있으니 문ì¸ì˜ 기ìƒì„ 갖춘 것ì´ìš” [頭上有緌則是文也].
ì²œì§€ì˜ ê¸°ìš´ì„ í’ˆê³  ì´ìŠ¬ì„ ë§ˆì‹œë‹ˆ ì²­ì •í•¨ì„ ê°–ì¶˜ 것ì´ìš” [嫿°£é£®éœ²å‰‡å…¶æ·¸ä¹Ÿ].
곡ì‹ì„ 먹지 않으니 ì²­ë ´í•¨ì„ ê°–ì¶˜ 것ì´ë©° [é»ç¨·ä¸é£Ÿå‰‡å…¶å»‰ä¹Ÿ]
ê±°ì²˜í•¨ì— ë‘¥ì§€ë¥¼ 만들지 아니하니 ê²€ì†Œí•¨ì„ ê°–ì¶˜ 것ì´ìš” [處ä¸å·¢å±…則其儉也].
ë•Œì— ì‘하며 ìžì‹ ì˜ í•  ë„리를 지키어 울어대니 ì‹ ì˜ë¥¼ 갖춘 것ì´ë‹¤[應候守節則其信也].
-육운 <한선부寒蟬賦> 서문

유êµì—서 매미는 머리가 ê´€å† ì˜ ëˆì´ 늘어진 형ìƒì´ë¯€ë¡œ ë¬¸æ–‡ì´ ìžˆê³ , ì´ìŠ¬ë§Œ 먹고 살므로 ì²­æ·¸ì´ ìžˆê³ , 곡ì‹ì„ 먹지 않으니 ì—¼å»‰ì´ ìžˆìœ¼ë©°, ì§‘ì„ ì§“ê³  ì‚´ì§€ 않아 ê²€å„‰ì´ ìžˆê³ , ì² ì— ë§žì¶”ì–´ í—ˆë¬¼ì„ ë²—ê³  ì ˆë„를 지키니 ì‹ ä¿¡ì´ ìžˆì–´, êµ°ìžê°€ 지녀야 í•  오ë•äº”å¾·ì„ ê°–ì¶”ì—ˆë‹¤ 하여 êµ°ìžì§€ë„å›å­ä¹‹é“를 ìƒì§•한다. 그래서ì¸ì§€ 문ì¸ì„ ìƒì§•하는 ì±…ê³¼ ë¬¸ë°©êµ¬ë¥˜ë“¤ì„ í•¨ê»˜ 그린 ì±…ê±°ë¦¬ì— ìž¥ì‹ ë¬¸ì–‘ìœ¼ë¡œ 매미가 ë“±ìž¥í•˜ê¸°ë„ í•œë‹¤(ë„1).
그리스 서사시 <ì¼ë¦¬ì•„스>를 ì“´ 호메로스(Homeros) ë˜í•œ ë¨¹ì§€ë„ ë§ˆì‹œì§€ë„ ì•Šê³ , í”¼ë„ ë‚˜ì§€ 않으며, ë°°ì„¤ì„ í•˜ì§€ 않는 매미를 신神과 같다며 극찬했다. 송나ë¼ì˜ ë¬¸ì¸ êµ¬ì–‘ìˆ˜æ­é™½è„©ë¥¼ 비롯한 옛 ì„ ë¹„ë“¤ì€ ë§¤ë¯¸ë¥¼ êµ°ìžë¡œ 여기며, ê·¸ 미ë•ì„ ë°°ìš°ê³ ìž ë…¸ë ¥í–ˆë‹¤.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ë„2 <ì†¡ë¦¼í•œì„ æ¾æž—寒蟬> 부분, 1742, 견본담채, 29.5×21.3cm, 간송미술관 소장
(ì´ë¯¸ì§€ 출처: 최완수, 2009, 《겸재 ì •ì„ 2》, 현암사)
ë„3 <백선병> 6í­ ë³‘í’ ë¶€ë¶„, 지본채색, ê° 772×543cm, ë…ì¼í•¨ë¶€ë¥´í¬ë¯¼ì¡±í•™ë°•물관 소장
(ì´ë¯¸ì§€ 출처: 정병모, 2015, 《한국ì˜ì±„색화2》, 다할미디어)
ë„3-1 ë„3 백선병 부분

쓸ë°ì—†ëŠ” ì˜ë¡ ê³¼ 형편없는 ë¬¸ìž¥ì˜ ë¹„ìœ , 매미 울ìŒì†Œë¦¬

장마 후 ë§´ë§´ 우는 매미소리는 í•œì—¬ë¦„ì˜ ë¬´ë”위와 때를 ê°™ì´ í•œë‹¤. ë”위를 가르는 ë§¤ë¯¸ì˜ ë¹„íŒŒì¤„ì²˜ëŸ¼ 팽팽한 울ìŒì†Œë¦¬ëŠ” 무ë”ìœ„ì— ì‹œì›í•¨ì„ 주고 때론 ì—¬ìœ ë¡œì›€ì„ ê°–ê²Œë„ í•œë‹¤. ì´ì²˜ëŸ¼ 매미소리는 í•œì—¬ë¦„ì˜ ë™¤ì•½ë³•ê³¼ 함께 한 ìš°ë¦¬ì˜ ì •ì„œë¼ê³  í•  수 있다. 한여름ì´ë©´ ë§¤ë¯¸ì˜ ìš¸ìŒì†Œë¦¬ê°€ 시ë„럽게 ëŠê»´ì§ˆ ì •ë„로 요란하게 들리곤 한다. 그래서ì¸ì§€ ë§¤ë¯¸ì˜ ìš¸ìŒì†Œë¦¬ëŠ” 부정ì ì¸ ë¹„ìœ ë¡œë„ ì‚¬ìš©ë˜ê³¤ 했는ë°, 쓸ë°ì—†ëŠ” ì˜ë¡ ê³¼ 형편없는 ë¬¸ìž¥ì„ ë‘ê³  개구리와 ë§¤ë¯¸ì˜ ìš¸ìŒì†Œë¦¬[蛙鳴蟬俳]ì— ë¹—ëŒ€ê¸°ë„ í–ˆë‹¤.

ë¶ˆì‚¬ä¸æ­»ì™€ 재ìƒ, ìƒì„±ê³¼ ì†Œë©¸ì„ ë°˜ë³µ

ë•…ì†ì—서 ìœ ì¶©ì˜ ìƒíƒœë¡œ 4~6ë…„ì„ ì§€ë‚¸ 후 번ë°ê¸°ê°€ ë˜ê³ , ê»ì§ˆì„ ë²—ê³  ì„±ì¶©ì´ ë˜ëŠ” ì¼ë ¨ì˜ 변태기로 ë˜ì—ˆë‹¤ê°€, 다시 ê»ì§ˆì„ ë²—ê³  ì„±ì¶©ì´ ë˜ëŠ” ë§¤ë¯¸ì˜ ë³€íƒœê³¼ì •ì€ ë¶ˆì‚¬ä¸æ­»ì™€ 재ìƒì„ ìƒì§•하며, 고대ì¸ì—게 ìƒì„±ê³¼ ì†Œë©¸ì„ ë°˜ë³µí•˜ëŠ” ë‹¬ì˜ ìž‘ìš©ê³¼ ë™ì¼ì‹œë˜ì—ˆë‹¤. 매미는 í—ˆë¬¼ì„ ë²—ìŒìœ¼ë¡œì¨ ì‹ ìƒì„ 누리므로 재ìƒê³¼ 부활과 탈ì†ì˜ ìƒì§•으로 찬미ë˜ì—ˆë‹¤.
매미는 대략 6~7ë…„ê°„ ë•…ì†ì—서 ì‚´ë©° 수차례 탈피를 하다가 ì„±ì¶©ì´ ë˜ì–´ ë•… 위 나무로 올ë¼ê°€ 우화羽化한다. ì´ì²˜ëŸ¼ ë§¤ë¯¸ì˜ ìˆ˜ì°¨ë¡€ 탈피는 재ìƒê³¼ 때론 탈ì†ì˜ ìƒì§•으로 여겨져, 신선으로 ë¹„ìœ ë  ì •ë„로 칭송받아왔다. ë˜í•œ, ë§¤ë¯¸ì˜ ì§§ì€ ì‚¶ì€ ìš°ë¦¬ì—게 ë§ì—†ëŠ” 목숨으로 ì€ìœ ë˜ê¸°ë„ 하였다.

(왼쪽) ë„4 <ì–´ë½ë„>, 19세기, 지본채색, 54×30cm,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오른쪽) ë„5 <ì„류한선ë„>, 조선시대, 지본채색, 경기대학êµì†Œì„±ë°•물관 소장

매미와 나무

매미 ì„±ì¶©ì€ ëŒ€ë¶€ë¶„ì˜ ìƒí™œì„ 나무 위ì—서 한다. 빨대처럼 ìƒê¸´ 주둥ì´ë¥¼ ë‚˜ë¬´ì— ì°”ëŸ¬ì„œ ìˆ˜ì•¡ì„ ë¹¨ì•„ 먹는다. ì•Œì€ ë§ˆë¥¸ ë‚˜ë­‡ê°€ì§€ì— ë‚³ìœ¼ë©°, 부화한 ìœ ì¶©ì€ ë•…ì†ì—서 나무 ë¿Œë¦¬ì¦™ì„ ë¹¨ì•„ 먹으며 성장하고, 다 ìžë¼ë©´ ë•… 위로 나와 í’€ì´ë‚˜ ë‚˜ë¬´ì— ì˜¬ë¼ê°€ 번ë°ê¸°ë¥¼ ë²—ê³  ì„±ì¶©ì´ ëœë‹¤. ê°“ ì„±ì¶©ì´ ëœ ë¬´ë µì—는 ëª¸ì´ ìœ ì—°í•˜ì§€ë§Œ ê³§ 단단해진다.
ë§¤ë¯¸ì˜ ì‚¶ì˜ í˜•íƒœì™€ ê·¸ ìƒê¹€ìƒˆë¡œë¶€í„° êµ°ìžì§€ë„å›å­ä¹‹é“를 ì½ì–´ë‚¸ ì„ ë¹„ë“¤ì€ ì²­ê³ æ·¸é«˜í•œ êµ°ìžì˜ ë•ì„ ìƒì§•하는 ì´ˆê±´è²‚å·¾ì„ ì´ˆì„ è²‚èŸ¬ ë˜ëŠ” 초선관貂蟬冠ì´ë¼ ë¶€ë¥´ê¸°ë„ í•˜ì˜€ë‹¤. êµ°ìžë¥¼ ìƒì§•하는 매미는 ì´í›„ ë§Žì€ ì‹œë¬¸ê³¼ ê·¸ë¦¼ì˜ ì†Œìž¬ë¡œ 사랑받게 ë˜ì—ˆìœ¼ë©°, 조선시대 선비들ì—ê²Œë„ ê´€ì‹¬ì˜ ëŒ€ìƒì´ì—ˆë‹¤.
조선시대 ë§¤ë¯¸ê·¸ë¦¼ì˜ ëŒ€í‘œë¡œëŠ” 조선후기 ì§„ê²½ì‚°ìˆ˜í™”ì˜ ëŒ€ê°€ ì •ì„ (鄭敾, 1676~1759)ì´ ê·¸ë¦° <ì†¡ë¦¼í•œì„ ë„æ¾æž—寒蟬圖>를 들 수 있다(ë„2). êµ°ìžì˜ 지조를 ìƒì§•하는 솔가지를 대ê°ì„ ìœ¼ë¡œ 배치하고 ê·¸ ìœ„ì— ì•‰ì€ ë§¤ë¯¸ë§Œì„ í¬ê²Œ ë¶€ê°í•˜ì—¬ 주제를 강조하였다. 특히 ì´ ê·¸ë¦¼ì€ ë›°ì–´ë‚œ ê´€ì°°ë ¥ì´ ë‹ë³´ì´ëŠ”ë°, ë§¤ë¯¸ì˜ ë‹¤ë¦¬ë‚˜ 눈ë™ìžëŠ” 물론 커다란 투명 ë‚ ê°œ ì•ˆì˜ ìž‘ì€ ë‚ ê°œê¹Œì§€ ìƒì„¸ížˆ 그려 넣었다. 주제를 제외하고 비워둔 화면과 솔잎 ë“±ì— ê°€í•´ì§„ 담채는 시ì›í•¨ì„ 전해준다. 그림으로 세ìƒì— ì´ë¦„ì„ ë„리 알렸지만 ë‚´ë©´ ê¹Šìˆ™ì´ ì„ ë¹„ì˜ í¬ë¶€ë¥¼ ê°„ì§í–ˆë˜ ì •ì„  ìžì‹ ì˜ 마ìŒì„ ë§¤ë¯¸ì— ì˜íƒí•˜ì—¬ 표현한 것으로 ìƒê°ëœë‹¤.
매미 ì• ë²Œë ˆë“¤ì€ ë•…ì†ì—서 버드나무, 미루나무 등 ê°ì¢… í™œì—½ìˆ˜ì˜ ë¿Œë¦¬ë¥¼ í ì§‘ ë‚´ì–´ ìˆ˜ì•¡ì„ ë¨¹ê³  산다. 그래서 매미는 í†µìƒ ë‚˜ë¬´ë‚˜ 나뭇가지 ë“±ì— ë§¤ë‹¬ë¦° 모습으로 그려진다. ì´ëŠ” 백선ë„ì˜ ë¶€ì±„ê·¸ë¦¼ì— ê·¸ë ¤ì§„ 매미그림ì—ì„œë„ ë°œê²¬í•  수 있다(ë„3). ë˜í•œ 매미는 버드나무 ê°€ì§€ì— ë§¤ë‹¬ë¦° 모습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가장 많다(ë„4).
조선시대 êµ°ìžë¥¼ ìƒì§•한 매미그림으로는 17ì„¸ê¸°ì— í™œë™í–ˆë˜ 월봉月峰 ê¹€ì¸ê´€(金ä»å¯¬, 1636~1706)ì˜ <화훼초충화권축花å‰è‰èŸ²ç•µå·è»¸> 12í­ ê·¸ë¦¼ 중 세 ë²ˆì§¸ì˜ <ìœ ì„ ë„æŸ³èŸ¬åœ–>ê°€ 있다.
매미가 버드나무와 함께 그려진 예가 ë§Žì€ ì´ìœ ëŠ” 바로 ë§¤ë¯¸ì˜ ìƒíƒœì  특성과 ì—°ê´€ëœë‹¤. ë²„ë“¤ì€ ë™ì§„ì˜ ì „ì›ì‹œì¸ ë„연명(陶淵明, 365~427)ì´ ê³ í–¥ì— ì€ê±°í•˜ë©° ì§‘ ì£¼ìœ„ì— ë‹¤ì„¯ ê·¸ë£¨ì˜ ë²„ë“¤ì„ ì‹¬ê³  스스로 오류五柳선ìƒì´ë¼ 부른 ì´ëž˜ë¡œ ì€ìžì˜ ì‚¶ì†ì— ìžì—°ìŠ¤ëŸ½ê²Œ 등장하는 소재였다. 고목ì—서 새롭게 ë‹ì•„난 버들가지와 ê·¸ 가지 ëì— ì•‰ì•„ìžˆëŠ” 매미는 ë°”ëžŒì— ê°€ë³ê²Œ í”들리고 있다. 버들가지 ì•„ëž˜ì˜ í…… 빈 공간과 수채화 ê°™ì€ ë§‘ì€ ë‹´ì±„, 경쾌하게 í”들리는 버들잎 ë“±ì€ ì‹œì›í•˜ê³  ë§‘ì€ ë¶„ìœ„ê¸°ë¥¼ 만들어내 무ë”위를 잠시 잊게 해준다. 매미는 새롭게 ë‹ì€ 가지처럼 새로운 ê°ì˜¤ë¡œ ìžì‹ ì˜ ëœ»ì„ íŽ¼ì¹  수 있는 때를 기다리고 있는 선비 ìžì‹ ì„ 표현한 것으로 ë³´ì¸ë‹¤.
ì¼ë°˜ì ìœ¼ë¡œ 소나무나 ë²„ë“œë‚˜ë¬´ì— ë§¤ë‹¬ë ¤ 있는 ë§¤ë¯¸ì˜ ëª¨ìŠµì„ ì£¼ë¡œ 그리는ë°, ì´ëŠ” 민화ì—ì„œë„ ë§ˆì°¬ê°€ì§€ë‹¤. 특히 <ì–´ë½ë„>(ë„4)ì—는 커다란 ìž‰ì–´ë„ í•¨ê»˜ 그려져 있어 í¥ë¯¸ë¡­ë‹¤. 물고기[é­š]는 ì—¬ìœ é¤˜è£•ì˜ ì—¬é¤˜ì™€ ë™ìŒë™ì„±ì´ê¸° 때문ì—, ì‚¬ëžŒë“¤ì— ì˜í•´ 길ìƒìœ¼ë¡œ 여겨져 옷ê°, ê±´ì¶•, 여러 기물 ë“±ì— ê°ì¢… 물고기와 ë¹„ëŠ˜ì´ ë„ì•ˆí™”ëœ ë¬¸ì–‘ì´ ì‚¬ìš©ëœë‹¤. 즉 ì´ ê·¸ë¦¼ì—는 물고기 한 마리를 ë” ê·¸ë ¤ ë„£ìŒìœ¼ë¡œì¨ 길ìƒì  ì˜ë¯¸ê°€ ë”í•´ì§„ 것ì´ë¼ ë³¼ 수 있다. 한편 매미는 불수ê°ë‚˜ë¬´ë‚˜ ì„ë¥˜ë‚˜ë¬´ê°€ì§€ì— ë§¤ë‹¬ë¦° 모습으로 ê·¸ë ¤ì§€ê¸°ë„ í•œë‹¤(ë„5).
매미는 연꽃과 함께 ê·¸ë ¤ì§€ê¸°ë„ í•˜ëŠ”ë°(ë„6), ì´ ê²½ìš° ë§¤ë¯¸ì˜ ì˜¤ë• ì¤‘ í•˜ë‚˜ì¸ ì²­ë ´í•¨ì´ ì—°ê½ƒì˜ ìƒì§• 중 í•˜ë‚˜ì¸ ì²­ì •í•¨ê³¼ 만나 ê·¸ ì˜ë¯¸ê°€ ë”ìš± ê°•ì¡°ë˜ëŠ” 그림ì´ë¼ í•  수 있다. ì²­ì •í•¨ì€ ì—°ê½ƒì˜ ì¤‘ìš”í•œ ìƒì§• 중 하나ì¸ë°, 민화ì—서는 ì´ëŸ¬í•œ ìƒì§•ì´ ê±°ì˜ ë“œëŸ¬ë‚˜ì§€ 않았다. 하지만 ì´ ê·¸ë¦¼ì—ì„ (ë„6) ì—°ê½ƒì´ ë§¤ë¯¸ì™€ 함께 그려ì§ìœ¼ë¡œì¨ ì²­ì •í•¨ì„ ì˜ë¯¸í•˜ëŠ” ê·¸ë¦¼ì´ ë˜ì—ˆë‹¤.

ë„6 와타나베 가잔(渡邊崋山,1793~1841) í•„, 화금ë„중 중 <우화봉선>, ì¼ë³¸-ì—ë„시대, 지본담채, 22.2×35.9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류선성高柳蟬è²

매미와 버드나무는 ë§Žì€ ë¬¸ì¸ë“¤ì—게 ì‹œì  ì˜ê°ì„ ì£¼ê¸°ë„ í–ˆë‹¤. ê·¸ 중 대표ì ì¸ ë¬¸í•™ì  í‘œí˜„ì´ ë°”ë¡œ ‘고류선성高柳蟬è²â€™ì´ë‹¤. 고류선성高柳蟬è²ì´ëž€ ë†’ì€ ë²„ë“œë‚˜ë¬´ì˜ ë§¤ë¯¸ì†Œë¦¬ë¼ëŠ” ë§ë¡œ ì²­ëŸ‰í•¨ì„ ëœ»í•œë‹¤(김윤ì‹é‡‘å…æ¤ì˜ 《운양집雲養集》 참고).
한편 ì´ìƒ‰(æŽç©¡, 1328~1396)ì€ <매미 소리[蟬è²]>ì—서 “매미 소리 ê·€ì— ë“¤ìž ë‚´ 마ìŒì´ 움ì§ì¸ë‹¤[蟬è²å…¥è€³å‹•徿ƒ…]â€ê³  ì¼ìœ¼ë©°, 윤기(尹愭·1741~1826)는 <매미 소리를 듣다가[è½èŸ¬]>ì—서 “빈 ì‚°ì— í•´ë¬µì€ ë‚˜ë¬´ê°€ ë§Žì•„, 여기저기 매미 ìš¸ìŒ ê·¸ìœ½ë„ í•˜ë‹¤. 그대여 시ë„럽다 ì‹«ì–´ ë§ê²Œë‚˜, 시ë„러운 ê°€ìš´ë° ê³ ìš”í•¨ 있네[ç©ºå±±è€æ¨¹å¤š, 處處蟬è²é‚ƒ. è«‹å›èŽ«å«Œå–§, å–§ä¸­æœ‰éœæ„]â€ë¼ê³  ì¼ë‹¤.
김윤ì‹(金兿¤, 1835~1922)ì˜ ì‹œ <ì‹ ê±°æ–°å±…>ì—ë„ â€œí‚¤ í° ë²„ë“¤ 매미 소리 여름ì—ë„ ì„œëŠ˜í•œë°, ì„ì–‘ 무렵 난간ì—서 바람 ì´ìЬ 노래하네. 성 ê°€ë“ ìžì˜¥í•œ ê²€ì€ ë¨¼ì§€ 가운ë°, ì´ê³³ë§Œ 초연하게 깨ë—한 ë•… 차지했네[高柳蟬è²å¤äº¦å¯’, 談風åŸéœ²å¤•陽欄. 滿城滾滾緇塵è£, 地ä½è¶…ç„¶å æ·¨ä¹¾]â€ë¼ëŠ” ë¬¸ìž¥ì´ ìžˆë‹¤. ì´ëŠ” 서울로 ì´ì‚¬í•œ ë²—ì˜ ìƒˆì§‘ì„ ì¶•ë³µí•œ 글로 “그대가 서울로 ì´ì‚¬ë¥¼ 오니, ìžë„¤ ì§‘ 버들엔 매미가 울어 시ì›í•˜êµ°. í‹°ëŒë¿ì¸ ì„œìš¸ì— íŠ¹ë³„í•œ ì²­ì • êµ¬ì—­ì´ ë§Œë“¤ì–´ì§„ ëŠë‚Œì¼ì„¸â€ì˜ ë‚´ìš©ì„ ì§€ë…”ë‹¤.
한편 송시열(宋時烈, 1607~1689)ì´ ì°½ê°•æ»„æ±Ÿ ì¡°ì†(趙涑, 1595~1668)ì„ ìœ„í•´ ì“´ 만시는 ì´ë ‡ë‹¤. “여러 ë‚  매미 소리 ë§‘ë”란 얘기, ê¸€ì— ì¨ì„œ 어른께 보내드렸지. ê·¸ 어른 ì´ì œëŠ” 계시지 않으니, ì´ ë§ˆìŒ ë§ˆì¹¨ë‚´ 뉘게 ë§í• ê¹Œ[數日蟬è²èªž, 書之寄丈人. 丈人今ä¸åœ¨, æ­¤æ„竟誰陳]?â€

ë„7 심사정, <화훼초충ë„>, 조선시대, 지본채색, 163×43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ì•žì˜ êµ¬ì ˆì€ ì „ê±°ê°€ 있다. 주ìžê°€ 여백공呂伯æ­ì—게 편지를 보냈다. “며칠 ì‚¬ì´ ë§¤ë¯¸ 소리가 ë”ìš± 맑습니다. ë“¤ì„ ë•Œë§ˆë‹¤ ë†’ì€ í’ë„를 그리워하지 않ìŒì´ 없습니다[數日來, 蟬è²ç›Šæ·¸. æ¯è½ä¹‹, æœªå˜—ä¸æ‡·é«˜é¢¨ä¹Ÿ].â€ ì´ 17ìžê°€ íŽ¸ì§€ì˜ ì „ë¬¸ì´ë‹¤. ì†¡ì‹œì—´ì€ ì•žì„  편지ì—서 ì¡°ì†ì—게 ì´ íŽ¸ì§€ì˜ ì‚¬ì—°ìœ¼ë¡œ 그리운 마ìŒì„ 전했는ë°, ì´ì œëŠ” 그런 편지를 쓸 곳마저 없어져 서운하다는 ì´ì•¼ê¸°ë‹¤.
ã€Šì˜ˆê¸°ç¦®è¨˜ã€‹ì˜ <월령月令> íŽ¸ì„ ë³´ë©´, â€˜ì´ˆê°€ì„ ë‹¬(ìŒë ¥ 7ì›”)ì— ì„ ë“¤ë°”ëžŒì´ ë¶€ë‹ˆ, ì´ìŠ¬ì´ ë‚´ë¦¬ê³ , í•œì„ å¯’èŸ¬ì´ ìš´ë‹¤[孟秋之月, 凉風至, 白露é™, 寒蟬鳴]’는 êµ¬ì ˆì´ ìžˆë‹¤. 한선寒蟬ì´ëž€ ê°€ì„ ë§¤ë¯¸ë¥¼ ì¼ì»«ëŠ”ë°, 앞서 언급한 것처럼 중국 진晉나ë¼ì˜ ë¬¸ì‚¬ì˜€ë˜ ìœ¡ìš´é™¸é›²ì€ <한선부寒蟬賦>ì˜ ì„œåºì—서 ë§¤ë¯¸ì˜ ì˜¤ë•äº”å¾·ì„ ì´ì•¼ê¸°í•˜ì˜€ë‹¤.
ì´í›„ 매미는 ë§Žì€ ë¬¸ì¸ë¬µê°ë“¤ì˜ 시화 소재로 사랑받아왔다. 송나ë¼ì˜ 유명한 ë¬¸ì¸ êµ¬ì–‘ìˆ˜(æ­é™½ä¿®, 1007~1072)ê°€ ì§€ì€ <명선부鳴蟬賦>를 ì¡°ì„ ì˜ ì„ ë¹„ë“¤ì´ ìžì£¼ ìŠì—ˆìœ¼ë©°, 화가들 역시 매미를 ìžì£¼ 그렸다. 《개ìžì›í™”보芥å­åœ’畵譜》 ë“±ì˜ í™”ë³´ì—ë„ ë§¤ë¯¸ ê·¸ë¦¼ì´ ìžˆì–´, ì´ë¥¼ 참고하여 ê·¸ë ¸ì„ ê°€ëŠ¥ì„±ë„ ìžˆë‹¤.
ì •ì„ , ì¡°ì˜ì„(趙榮ç¥, 1686~1761)ê³¼ ë”불어 조선시대 3대 선비화가로 ì†ê¼½ížˆëŠ” 심사정(沈師正, 1707~1769) 역시 ë§¤ë¯¸ì˜ ìƒì§•ì„±ì— ìžì‹ ì˜ ì‹¬ì •ì„ ì˜íƒí•œ ê·¸ë¦¼ì„ ì œìž‘í•˜ì˜€ë‹¤. ê·¸ì˜ ì§‘ì•ˆì€ ì¦ì¡°ë¶€ 심지ì›(沈之æº, 1593~1662)ì´ ì˜ì˜ì •ì„ ì§€ëƒˆì„ ë¿ ì•„ë‹ˆë¼ ì™•ì‹¤ê³¼ 혼ì¸ìœ¼ë¡œ ì—°ê²°ë˜ëŠ” 등 명문ì´ì—ˆë‹¤. 그러나 할아버지 심ìµì°½(沈益昌, 1652~1725)ì˜ ê³¼ê±° 부정 사건과 ì™•ì„¸ìž ì‹œí•´ 미수사건 등으로 ì¸í•´ ì§‘ì•ˆì´ ì™„ì „ížˆ 몰ë½í•˜ì—¬ ê³¼ê±°ì— ì§„ì¶œí•´ ì„ ë¹„ì˜ í¬ë¶€ë¥¼ 펼칠 ê¿ˆì„ ì¼ì°ë¶€í„° 접어야만했다. 그는 그림으로 ì–»ì€ ëª…ì„±ìœ¼ë¡œ ì˜ì •모사ë„ê°å½±å¹€æ¨¡å¯«éƒ½ç›£ì˜ ê°ë™ç›£è‘£ì´ë¼ëŠ” ë²¼ìŠ¬ê¸¸ì— ì˜¬ëžìœ¼ë‚˜, ì´ ì—­ì‹œ ì—­ì  ì‹¬ìµì°½ì˜ ì†ìžë¼ëŠ” ì´ìœ ë¡œ 그만ë‘어야만 했다. ìƒê³„를 위해 í‰ìƒ ê·¸ë¦¼ì— ëª°ë‘하여 ê·¸ë¦¼ì„ íŒ”ì•„ì•¼í–ˆë˜ ê·¸ëŠ” ì •ì‹ ì  ê³ ë‡Œê°€ ì»¸ì„ ê²ƒì´ë‹¤.
ì‹¬ì‚¬ì •ì€ <화훼초충ë„>ì—서 화면 오른쪽 아래 í•œê²°ê°™ì´ êµ³ê±´í•œ 바위를 그려 넣었고, ê·¸ 뒤로 í™”ë©´ì˜ ì¢Œìš°ë¥¼ 가르며 ë°°ì¹˜ëœ ë‚˜ë­‡ê°€ì§€ì™€ 가지 ì¤‘ì•™ì— ì•‰ì€ ë§¤ë¯¸ë¥¼ 그려내었다(ë„7). ì§™ì€ ë¨¹ì„ ìœ¼ë¡œ ê´´ì„ê³¼ 나무를 ê±°ì¹¨ì—†ì´ ê°„ëžµí•˜ê²Œ 그린 반면 매미는 눈ë™ìž, ë‚ ê°œ ë“±ì„ ì„¸ë°€í•˜ê²Œ 묘사하였다. 6~7ë…„ê°„ì˜ ë•…ì†ìƒí™œì„ ëë‚´ê³  ë‚˜ë¬´ì— ì˜¬ë¼ì˜¨ 매미가 막 우화羽化를 ë낸 ë’¤ 아침 ì´ìŠ¬ì„ ë¨¹ê³  있는 것으로 ìƒê°ëœë‹¤.
선비로서 íŽ¼ì¹˜ê³ ìž í–ˆë˜ ì‹¬ì‚¬ì •ì€ ëŠ˜ 때를 기다렸으나 ê·¸ì—게 ê·¸ 때는 ê²°êµ­ 오지 않았다. 바위, 나뭇잎 ë“±ì— ê°€í•´ì§„ í‘¸ë¥¸ìƒ‰ì€ ì´ ê·¸ë¦¼ì— í™”ì‚¬í•¨ê³¼ ê²½ì¾Œí•¨ì„ ì£¼ê¸°ë³´ë‹¤ëŠ” ìš°ìš¸í•¨ì„ ëŠë¼ê²Œ 하여 í™”ê°€ì˜ ë¬´ê±°ìš´ 마ìŒì„ 전해주는 듯하다. ì‹¬ì‚¬ì •ì€ ë°”ìœ„ì™€ ë§¤ë¯¸ì— ìžì‹ ì˜ ì£¼ê´€ì  ê°ì •ì„ ì´ìž…하여 ìžì‹ ì´ 지향하는 바를 ë‚˜íƒ€ë‚´ê³ ìž í•œ 것으로 ë³´ì¸ë‹¤.
ë™ì–‘ì˜ ì„ ë¹„ë“¤ì—게 바위와 고목 ë“±ì€ í˜•íƒœë¥¼ 닮게 그리는 것[形似]보다 ìžì‹ ì˜ 마ìŒì„ 그려 내는 것[寫æ„]ì„ ê°•ì¡°í•˜ëŠ” ë° ì¤‘ìš”í•œ í‘œí˜„ì˜ ìˆ˜ë‹¨ì´ì—ˆë‹¤. ì´ëŸ¬í•œ ë°°ê²½ 아래 êµ°ìžì˜ 미ë•ì„ ê°–ì¶˜ ë§¤ë¯¸ì˜ ë“±ìž¥ì€ ì„ ë¹„ì˜ ì§€ê³ ì§€ìˆœí•œ 지조를 ë”ìš± ë” ê°•ì¡°í•  수 있는 수단ì´ì—ˆì„ 것ì´ë‹¤. 조선시대 ë§¤ë¯¸ê·¸ë¦¼ì€ ë°°ê²½ì˜ ë‚˜ë¬´ë‚˜ 바위 ë“±ì€ ê°•í•œ 필선으로 간략하게 ìƒì§•ì ìœ¼ë¡œ 그려낸 반면, ì´ë¥¼ 배경으로 한 매미는 보다 세밀하게 표현하였다. ì´ë ‡ê²Œ 극명한 시ê°ì  대비를 통해 주제는 ë”ìš± ë¶€ê°ë˜ì—ˆë‹¤.


[표] ë§¤ë¯¸ì˜ ìƒì§•


êµ°ìž                      유êµ
문文: ë§¤ë¯¸ì˜ ë¨¸ë¦¬ëŠ” ê´€å† ì˜ ëˆì´ 늘어진
        형ìƒì´ë¯€ë¡œ ë¬¸æ–‡ì´ ìžˆìŒ
ì²­æ·¸: ì´ìŠ¬ë§Œ 먹고 살므로 ì²­æ·¸ì´ ìžˆìŒ
염廉: 곡ì‹ì„ 먹지 않으니 ì—¼å»‰ì´ ìžˆìŒ
검儉: ì§‘ì„ ì§“ì§€ 않으니 ê²€å„‰ì´ ìžˆìŒ
ì‹ ä¿¡: ì² ì— ë§žì¶”ì–´ í—ˆë¬¼ì„ ë²—ê³  ì ˆë„를
          지키니 ì‹ ä¿¡ì´ ìžˆìŒ
êµ°ìžê°€ 지녀야 í•  오ë•五德,
즉 문文, ì²­æ·¸, 염廉, 검儉, ì‹ ä¿¡ì„
갖추었다 하여 êµ°ìžì§€ë„å›å­ä¹‹é“를
ìƒì§•
쓸ë°ì—†ëŠ” ì˜ë¡ ê³¼
형편없는 문장ì˜
비유
매미 울ìŒì†Œë¦¬
ë¶ˆì‚¬ä¸æ­»ì™€ 재ìƒ,
ìƒì„±ê³¼ 소멸ì„
반복
매미가 ë•…ì†ì—서 ìœ ì¶©ì˜ ìƒíƒœë¡œ 4~6ë…„ì„ ì§€ë‚¸ í›„ì— ë²ˆë°ê¸°ë¡œ ë˜ì—ˆë‹¤ê°€,
ê»ì§ˆì„ ë²—ê³  ì„±ì¶©ì´ ë˜ëŠ” ì¼ë ¨ì˜ 변태기로 ë˜ì—ˆë‹¤ê°€, 다시 ê»ì§ˆì„ ë²—ê³ 
ì„±ì¶©ì´ ë˜ëŠ” 변태과정
íƒˆì† ì‹ ì„  수차례 탈피는 재ìƒ, 때로는 탈ì†ì˜ ìƒì§•
ì¸ìƒì˜ ë§ì—†ìŒ 6~7ë…„ê°„ ë•…ì†ì—서 ì‚´ë©° 수차례 탈피를 하다가 ì„±ì¶©ì´ ë˜ì–´ ë•… 위 나무로
올ë¼ì™€ ì§§ì€ ì„±ì¶©ì˜ ì‚¶ì„ ì‚´ë‹¤ 죽ìŒ

 

[참고ìžë£Œ]
《움ì§ì´ëŠ” ë„ê° Move 곤충》, 고단샤, 루ë´ìŠ¤ë¯¸ë””ì–´, 2019
《간송문화》,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4

 


김취정 | 서울대학êµë°•물관 ê°ì›ì—°êµ¬ì›

ê³ ë ¤ëŒ€í•™êµ ëŒ€í•™ì›ì—서 미술사학 ì„·박사학위를 받았고,
ê³ ë ¤ëŒ€í•™êµ ì•„ì„¸ì•„ë¬¸ì œì—°êµ¬ì†Œ ì—°êµ¬ì› ë“±ì„ ì—­ìž„í–ˆë‹¤.
현재 고려대 강사, 서울대학êµë°•물관 ê°ì›ì—°êµ¬ì›, 한국민화학회 ì´ì‚¬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