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취정 ë°•ì‚¬ì˜ ë¯¼í™” ì† ê³¤ì¶©ì´ì•¼ê¸° â‘  장수와 ë¶€ë¶€í™”ëª©ì˜ ìƒì§•, 나비

길ìƒì„±ì´ íŠ¹ì§•ì¸ ë¯¼í™”ë¥¼ ê°ìƒí•˜ê³  ì´í•´í•˜ê¸° 위해선 ë„ìƒì˜ ì˜ë¯¸ë¥¼ 파악하는 ê²ƒì´ ì¤‘ìš”í•˜ë‹¤. 2018ë…„ 1월부터 2019ë…„ 10월까지 ê½ƒì„ ì¤‘ì‹¬ìœ¼ë¡œ 민화 ì½ê¸°ë¥¼ 연재해온 김취정 박사가 ì´ë²ˆí˜¸ë¶€í„° ê³¤ì¶©ì„ ì¤‘ì‹¬ìœ¼ë¡œ 새로운 연재를 시작한다. ë¯¼í™”ì— ê·¸ë ¤ì§„ ìž‘ì€ ìƒëª…ì„ í†µí•´ ì¸ê°„ì˜ ì‚¶ê³¼ ìš•ë§ì„ ì½ì„ 수 ìžˆì„ ê²ƒì´ë‹¤. (편집ìžì£¼)
글 김취정 (서울대학êµë°•물관 ê°ì›ì—°êµ¬ì›)


붓으로 그린 곤충ë„ê° <초충ë„>

성리학ìžë“¤ì€ ì‚¬ëžŒì´ ë³¸ëž˜ ë°›ì€ ë³¸ì„±[性]ì´ í•˜ëŠ˜ì˜ ì´ì¹˜[ç†]와 같다는 전제를 가진다. 성리학ìžë“¤ì€ í•˜ëŠ˜ì´ ì¤€ ë³¸ì„±ì„ í„°ë“하기 위하여 í•˜ëŠ˜ì˜ ì´ì¹˜ë¥¼ íƒêµ¬í•˜ë©°, í•˜ëŠ˜ì˜ ì´ì¹˜ëŠ” ì²œì§€ê°„ì˜ ë§Œë¬¼ì„ ê´€ì°°í•¨ìœ¼ë¡œì¨ ê¹¨ë‹«ëŠ”ë‹¤. 만물 ê°€ìš´ë° â€˜ì´ˆì¶©â€™ 즉 풀벌레는 가장 ìž‘ì€ ê²ƒì´ê¸°ì—, 만물 중 미물微物ì´ë©° ë§ë‹¨ì´ë‹¤. ë”°ë¼ì„œ ì‹ ì‚¬ìž„ë‹¹ì´ ì´ˆì¶©ì—까지 관찰과 ì‚¬ëž‘ì´ ì´ë¥´ëŸ¬ ì´ë¥¼ 그렸다는 ê²ƒì€ ì„±ë¦¬í•™ìžë“¤ì´ ë³´ê¸°ì— ë§¤ìš° 바람ì§í•˜ê³ ë„ 품위 있는 주제였다.
ì´ˆì¶©ì„ ê·¸ë¦¼ì— ìžˆì–´ì„œ 중요한 ì—­í• ì„ í–ˆë˜ ê²ƒì€ ã€Šê³ ì”¨ì—­ëŒ€ëª…ì¸í™”ë³´é¡§æ°æ­·ä»£å人畵譜》, 《십죽재화보å竹齋畵譜》, 《당시화보å”詩畵譜》 ë“±ì„ ë¹„ë¡¯í•œ ëª…Â·ì²­ëŒ€ì˜ í™”ë³´ë“¤ì´ë¼ 하겠다. ì‚¬ì‹¤ìƒ í˜„ìž¬ 전해지고 있는 ì ì§€ ì•Šì€ ìˆ˜ì˜ ìž‘í’ˆë“¤ì´ ê·¸ëŸ¬í•œ 중국 í™”ë³´ë“¤ì˜ ì˜í–¥ì„ 보여주고 있다.
민화 ì† ê³¤ì¶© ê·¸ë¦¼ì€ ê·¸ ìƒì§•하는 뜻과 ì˜ë¯¸ê°€ 제대로 í•´ì„ë˜ì§€ 못한 ë©´ì´ ë§Žë‹¤. 아무리 ìž‘ì€ ê²ƒì¼ì§€ë¼ë„ ê·¸ê²ƒì´ ê·¸ë¦¼ìœ¼ë¡œ 그려진 ê²ƒì€ ê·¸ ë‚˜ë¦„ì˜ ì´ìœ ê°€ 있기 때문ì´ë‹¤.

ë‚˜ë¹„ì˜ ê¿ˆ, 호접지몽

ë¯¼í™”ì— ê°€ìž¥ ë§Žì´ ë“±ìž¥í•˜ëŠ” ê³¤ì¶©ì€ ë‚˜ë¹„ì´ë‹¤. 가장 잘 알려진 나비 ì´ì•¼ê¸°ëŠ” 장ìžì˜ 호접지몽胡è¶ä¹‹å¤¢ì´ë‹¤. í˜¸ì ‘ì§€ëª½ì€ ë‚˜ë¹„ì˜ ê¿ˆì´ë¼ëŠ” ë§ë¡œ, ì¸ìƒì˜ í—ˆë¬´í•¨ì„ ë‚˜íƒ€ë‚´ê±°ë‚˜ 나와 나 아닌 ê·¸ ë¬´ì—‡ì´ í•˜ë‚˜ê°€ ë˜ëŠ” 물아ì¼ì²´ç‰©æˆ‘一體 경지를 표현하는 ë§ë¡œ ì“°ì´ê³¤ 한다. 장ìžì˜ í˜¸ì ‘ì§€ëª½ì€ ë™ì•„ì‹œì•„ì˜ ë¬¸ì¸ë“¤ì—게 í° ê°í¥ì„ 주었으며, ì´ì— ë§Žì€ ë¬¸ì¸ë“¤ì´ 장ìžì˜ 나비 꿈과 ê´€ë ¨ëœ ì‹œë¥¼ 짓는 경우가 많았다.

한낮 ì°½ê°€ì— ì•‰ì•„ 졸다 장ìžì˜ ê¿ˆì„ ê¾¸ë©°
ë´„ 찾아 나선 나비를 ë”°ë¼ ì‹­ë¦¬ 먼 ê¸¸ì„ ê°€ë„¤
– ì´ìž¬í˜•, <ì²˜ìŒ ë‚˜ë¹„ë¥¼ ë³´ê³  ê°íšŒê°€ ì¼ì–´[åˆè¦‹è¶æœ‰æ„Ÿ]>,《송암집》 ì œ2ê¶Œ

나비 ê·¸ë¦¼ì˜ ì˜ë¯¸

나비는 한ìžë¡œëŠ” 호접è´è¶Â·í˜‘접蛺è¶Â·ì ‘è¶ì´ë¼ 하였고, 분접粉è¶Â·ì••ì ‘Â·ë‹¬ë§æ©½æœ«Â·ì„œèƒ¥Â·ì˜¥ìš”노玉腰奴·옥비전玉飛錢·í’접風è¶Â·ë´‰ìžé³³å­Â·ë´‰ì°¨é³³è»ŠÂ·ê·€ì°¨é¬¼è»ŠÂ·ì´Œì´ëž˜æ‘è£ä¾† 등ì´ë¼ê³ ë„ 하였다. 우리ë§ë¡œëŠ” 1481ë…„ì— ë‚˜ì˜¨ 《ë‘ì‹œì–¸í•´ã€‹ì— â€˜ë‚˜ë¹„â€™ ë˜ëŠ” ‘나뵈’로 나오고, 1527ë…„ì— ë‚˜ì˜¨ 《훈몽ìžíšŒã€‹ì—는 ‘나뵈’로 나오며, 숙종 때 나온 《시몽언해물명》ì—는 남ᄋᆡ로 나온다. ê·¸ 뒤부터는 ‘나뵈’ ë˜ëŠ” ‘나비’로 불리어 ì˜¤ëŠ˜ì— ì´ë¥´ë €ë‹¤.
나비 ê·¸ë¦¼ì€ ì£¼ë¡œ 장수를 ì˜ë¯¸í•˜ëŠ” 경우가 많다. ë™ì•„시아 문화ì—서 ë³´ì´ëŠ” ë„ìƒì˜ ìƒì§•ì„±ì€ ëŒ€ê°œ 한ìžìŒê³¼ ê¹Šì€ ê´€ë ¨ì´ ìžˆëŠ”ë°, 나비[è¶]와 ë…¸ì¸ì´ë‚˜ 여든 ì‚´ì„ ëœ»í•˜ëŠ” ì§ˆè€‹ì´ ë™ìŒì´ì„±ì´ê¸° 때문ì´ë‹¤. ã€Šì˜ˆê¸°ç¦®è¨˜ã€‹ì— â€œ70세를 ëª¨è€„ë¼ í•˜ê³ , 80세를 질耋ì´ë¼ 하며, 100세를 ê¸°ì´æœŸé ¤ë¼ê³  한다[ä¸ƒåæ›°è€„ å…«åæ›°è€‹ 百年曰期頤]â€ê³  하였다.

[표1] 초충ë„ì˜ ë‚˜ë¹„


<ì„죽호접石竹胡è¶> 부분
ã€Šì¶˜ê³¡ì•µìƒæ˜¥è°·å˜¤ç¿”》 부분


[표2] 나비 ë„ì•ˆì˜ ìƒì§•
* 출처 ë…¸ìží‚¤ 세ì´í‚¨ ì €, 《중국미술ìƒì§•사전》, p292, p350, p397




장수

수거모질壽居耄耋
장수하기를 ì¶•ì›í•˜ëŠ” ë„안

â—Ž ëŒ[壽石] ì˜†ì— êµ­í™”, 호랑나비,
ê³ ì–‘ì´ë¥¼ 배치한 그림으로 ë„안


부귀
장수

부귀모질富貴耄耋
부귀와 장수를 누리기를 ì¶•ì›í•˜ëŠ” ë„안

â—Ž 모란 ì˜†ì— ê³ ì–‘ì´ì™€ 호랑나비를 배치


ìžì† 번성
[다남]

과질면면瓜瓞綿綿
ìžì†ì´ 번성하여 ëŠìž„ì—†ì´
ì´ì–´ì§€ê¸°ë¥¼ ì¶•ì›í•˜ëŠ” ë„안

â—Ž 호박 ìœ„ì˜ í˜¸ëž‘ë‚˜ë¹„[è´è¶]
ë˜ëŠ” í˜¸ë°•ë§Œì˜ ê·¸ë¦¼ìœ¼ë¡œ ë„안
민화 ì† ë‚˜ë¹„

나비가 그려진 민화를 살펴보면 대개 í¬ê³  화려한 색과 ë¬¸ì–‘ì„ ì§€ë‹Œ 호랑나비나 비단나비류가 주를 ì´ë£¬ë‹¤. 특히 산호랑나비는 양지바른 ê³³ì—서 날개를 편 채로 ì¼ê´‘욕하는 ìŠµì„±ì´ ìžˆê³ , ê´€ì°°ì´ ìš©ì´í•´ì„œ 다른 나비보다 ë§Žì´ ê·¸ë ¤ì¡Œì„ ê°€ëŠ¥ì„±ì´ ë†’ë‹¤. ìƒíƒœì  습성 ë•ë¶„ì— ìžì„¸ížˆ ë³´ê³  비êµì  정확히 묘사할 수 있는 나비 ì¢…ë¥˜ì¸ ê²ƒì´ë‹¤.


(왼쪽부터) ë„1ì˜ ë‚˜ë¹„ë¶€ë¶„ / ë„2ì˜ ë‚˜ë¹„ë¶€ë¶„ / 신호랑나비, 제주민ì†ìžì—°ì‚¬ë°•물관

나비와 함께 등장한 꽃과 새

ë¯¼í™”ì˜ ë‚˜ë¹„ ê·¸ë¦¼ì€ ì£¼ë¡œ 장수하기를 ì¶•ì›í•˜ëŠ” ë„안ì´ë‚˜ 장수와 부귀를 함께 누리기를 ì¶•ì›í•˜ëŠ” ë‚´ìš©ì˜ ë„ì•ˆì´ ëŒ€ë¶€ë¶„ì´ë‹¤. 가장 ë§Žì´ ê·¸ë ¤ì§„ 나비 관련 ê·¸ë¦¼ì€ ëª¨ëž€ê³¼ 나비 그림, ê´´ì„ê³¼ 모란과 나비 그림ì´ë‹¤. 향기 없는 꽃 ëª¨ëž€ì— ëŒ€í•œ ì´ì•¼ê¸°ëŠ” ì„ ë•여왕과 당시 ì‚¬ëžŒë“¤ì´ ì¤‘êµ­ì˜ í™”í’ì„ ìž˜ 알지 못했기 ë•Œë¬¸ì— ìƒê¸´ ì—피소드ë¼ê³  í•  수 있다. 당 íƒœì¢…ì€ ì‚¬ì ˆë‹¨ì„ ë³´ë‚´ë©´ì„œ ì„ ë•여왕ì—게 벌과 나비가 없는 모란화를 그려 보냈다. ì„ ë•ì—¬ì™•ì€ ì´ ê·¸ë¦¼ì´ ë‚¨íŽ¸ì´ ì—†ëŠ” ìžì‹ ì„ ë†ë½í•œ 것ì´ë¼ 했지만, ë‹¹ì‹œì˜ ì¤‘êµ­ì˜ í™”í’ì„ ì•Œë©´ 다르게 ì´í•´í•  ìˆ˜ë„ ìžˆë‹¤.
ëª¨ëž€ì€ ìž¥ìˆ˜ë¥¼ ì˜ë¯¸í•˜ê³ , 나비는 80세를 ì˜ë¯¸í•œë‹¤. ë•Œë¬¸ì— ëª¨ëž€ê³¼ 나비를 ê°™ì´ ê·¸ë¦¬ê²Œ ë˜ë©´, ‘80세까지 장수하ë¼â€™ëŠ” ì˜ë¯¸ë¡œ 한정ë˜ê¸° ë•Œë¬¸ì— ì¤‘êµ­ì—서는 모란과 나비를 ê°™ì´ ê·¸ë¦¬ì§€ 않는 ê´€ìŠµì´ ìžˆì—ˆë‹¤ê³  한다.
우리나ë¼ëŠ” 중국과는 달리, 나비가 80세ë¼ëŠ” 나ì´ë³´ë‹¤ëŠ” 장수ë¼ëŠ” ë„“ì€ ë²”ìœ„ì—서 ì´í•´ë˜ì—ˆê¸° ë•Œë¬¸ì— ëª¨ëž€ê³¼ 나비를 함께 그려진 ìž‘í’ˆì˜ ì˜ˆë¥¼ ìƒë‹¹ížˆ ë§Žì´ ê·¸ë ¤ì¡Œìœ¼ë©°, 특히 민화ì—서는 부귀(ì˜í™”)를 ìƒì§•하는 모란과 장수를 ìƒì§•하는 나비를 함께 그려서 부귀와 장수를 누리기를 ë°”ë¼ëŠ” 마ìŒì„ 담는 경우가 ì••ë„ì ìœ¼ë¡œ ë§Žì´ ë³´ì¸ë‹¤.
<화조ë„>(ë„1)ì˜ ê²½ìš°ì²˜ëŸ¼ 모란과 나비 ê·¸ë¦¼ì— ìˆ˜íƒ‰ì´ í•¨ê»˜ 그려져 부귀와 ìž¥ìˆ˜ë¿ ì•„ë‹ˆë¼ ìž…ì‹ ì¶œì„¸ë„ ì¶•ì›í•œ ê·¸ë¦¼ë„ ë³´ì¸ë‹¤. 수탉[雄鷄]ì€ ì˜ì›…[雄]ì˜ ê¸°ìƒì„ ìƒì§•한다. ë˜í•œ ìˆ˜íƒ‰ì´ ìš°ëŠ” ê²ƒì„ í•œìžë¡œ 공계명共鷄鳴ì´ë¼ê³  쓰는ë°, 여기서 ê³µëª…ì€ ê³µì„ ì„¸ì›Œ ì´ë¦„ì„ ë“œë‚ ë¦°ë‹¤ëŠ” 공명功åê³¼ ë°œìŒì´ 같다.


ë„2 <화조ë„>, 19세기, 지본채색, 45×24ãŽ,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왼쪽) ë„3 <화조ë„>, 20세기, 지본채색, 69×29.5ãŽ,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오른쪽) ë„4 <화조ë„>, 19세기, 지본채색, 75×41.5ãŽ,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모란과 나비 그리고 ê¿© 암수 한 ìŒì´ 함께 그려진 ìž‘í’ˆë„ ìžˆëŠ”ë°(ë„3), 보통 암수 한 ìŒì˜ 새 ê·¸ë¦¼ì€ ë¶€ë¶€í™”ëª©ì„ ëœ»í•˜ëŠ” 경우가 많다(ë„2). ë”°ë¼ì„œ 모란과 나비와 ê¿© 한 ìŒì˜ ë„ì•ˆì€ ìž¥ìˆ˜ì™€ 부귀, ë¶€ë¶€í™”ëª©ì„ ì¶•ì›í•˜ëŠ” ì˜ë¯¸ë¥¼ 지닌 그림ì´ë¼ í•  수 있겠다. ê¿©ì€ ê°•ì¸í•œ ìƒì¡´ë ¥ì„ ìžëž‘하며, ê¿©ì˜ ê¼¬ë¦¬ëŠ” 무ê¶í•œ 발전ì´ë¼ëŠ” ëœ»ì„ ë‹´ê³  있다.
주로 나비 ê·¸ë¦¼ì€ ë‚˜ë¹„ 한 ìŒì´ 국화꽃ì´ë‚˜ 모란꽃 ì£¼ë³€ì„ ë‚ ì•„ë‹¤ë‹ˆëŠ” 모습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ë§Žì€ë°, <화조ë„>(ë„4)ì—는 장수를 ìƒì§•하는 ê´´ì„ê³¼ 함께 어우러져 부부가 화목하게 부귀를 누리며 장수를 하기를 ë°”ë¼ëŠ” ì—¼ì›ì„ 담았다. ë˜í•œ 나비와 꽃과 ê´´ì„ì„ ê·¸ë¦° ê·¸ë¦¼ì€ ì—¬ëŸ¬ í­ì˜ 병í’으로 ê¾¸ë¯¸ê¸°ë„ í•˜ì˜€ë‹¤(ë„5). 화려한 색과 선명한 ë¬¸ì–‘ì„ ê°–ì¶˜ 나비가 ë§Žì´ ê·¸ë ¤ì¡Œì§€ë§Œ, 묘사하기 비êµì  수월한 ë‹¨ìƒ‰ì˜ í° ë‚˜ë¹„ë„ ìžì£¼ 그려졌으며 나비 ê·¸ë¦¼ì€ ë¶€ì±„ì—ë„ ì ì§€ 않게 등장한다. 부채는 ë°”ëžŒì„ ì¼ìœ¼í‚¬ ë¿ ì•„ë‹ˆë¼ ë³‘ì´ë‚˜ ì‚¿ëœ ê²ƒì„ ì«“ëŠ”ë‹¤ê³  믿어 ë¶€ì±„ì˜ ë‚˜ë¹„ ê·¸ë¦¼ì€ ê¸¸ìƒì„±ì´ ë°°ê°€ ë다.
나비 ê·¸ë¦¼ì€ í™”ì›ì„ 비롯한 ì§ì—…전문화가나 문ì¸ë“¤ë„ ì¦ê²¨ 그린 소재 중 하나였다. ë°±ì€ë°°, ê¹€ì„í¬, 서병건, 송수면 ë“±ì— ì˜í•´ ì¦ê²¨ 그려졌고, 특히 ë‚¨êµ¬ë§Œì˜ 5대ì†ì¸ 남계우(å—啓宇, 1811-1888)는 ì¡°ì„ ì‹œëŒ€ì— ë‚˜ë¹„ ê·¸ë¦¼ì˜ ì¼ì¸ìžë¡œ 꼽혀 남나비[å—è¶]ë¼ëŠ” ë³„ëª…ì„ ì–»ì—ˆë‹¤. 그는 주로 나비를 ì¦ê²¨ 그렸으며 섬세하고 사실ì ì¸ 필치를 보여준다(ë„6).


ë„5 <화조ë„>, 20세기, 지본채색, 51.5×26ãŽÃ—10,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ë„6 <남계우필 êµ°ì ‘ë„> 부분, 지본채색, ê° 13.3×10.6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í’ìŠµì— ì—°ìœ í•œ 나비 ë„ìƒì˜ ìƒì§•성

나비는 ê·¸ ìžì²´ê°€ 갖는 아름다움과 길ìƒì ì¸ ìƒì§•성으로 ì¸í•˜ì—¬ ë§Žì€ ì‚¬ëžŒë“¤ì—게 ì‚¬ëž‘ë°›ì•˜ë˜ ê·¸ë¦¼ 소재 중 하나ì´ë‹¤. ë¯¼í™”ì— ê·¸ë ¤ì§„ 곤충 중 가장 ë§Žì´ ê·¸ë ¤ì¡Œìœ¼ë©°, 주로 노랑나비나 호랑나비를 그린 ì—°ìœ ì— ê´€í•´ì„œëŠ” ë‚˜ë¹„ì˜ ìƒíƒœì  íŠ¹ì§•ë¿ ì•„ë‹ˆë¼ ë‚˜ë¹„ 관련 í’습ì—ì„œë„ ì°¾ì•„ë³¼ 수 있다. ì•„ì¹¨ì— í˜¸ëž‘ë‚˜ë¹„ë¥¼ ë³´ë©´ ì¢‹ì€ ì¼ì´ ìƒê¸´ë‹¤ê³  하고, ì´ë¥¸ ë´„ì— í˜¸ëž‘ë‚˜ë¹„ë¥¼ ë³´ë©´ 신수가 좋다는 ë§ì´ 있다. 길ìƒì  íšŒí™”ì¸ ë¯¼í™”ì—서 í–‰ìš´ì„ ìƒì§•하는 나비가 그려진 ê²ƒì€ ì–´ì©Œë©´ 너무나 당연한 ì¼ì¼ 것ì´ë‹¤. ë¯¼í™”ì˜ ë‚˜ë¹„ ê·¸ë¦¼ì€ ë¯¼í™”ì—서 ë§Žì´ ê·¸ë ¤ì¡Œë˜ í˜¸ëž‘ë‚˜ë¹„ë‚˜ ë¹„ë‹¨ë‚˜ë¹„ë¥˜ì˜ í¬ê³  화려한 ë‚˜ë¹„ì˜ í˜•íƒœë¥¼ ê·¸ë¦¬ë˜ ê·¸ 문양ì´ë‚˜ ì±„ìƒ‰ì€ ì°¸ì‹ í•œ ìƒìƒë ¥ì„ 가하여 ê·¸ë ¤ì¡Œê¸°ì— ì„¸ìƒì— 없는 ìƒìƒì˜ 존재를 만들어낸 것 ê°™ì€ ì¸ìƒì„ ì£¼ê¸°ë„ í•œë‹¤.
ì´ë°–ì— ë‚˜ë¹„ ë„ìƒì€ í’류를 대표하는 ë„ìƒì´ê¸°ê¸°ë„ 하며, ë™ì•„시아ì—서는 꽃과 나비를 ì—°ì¸ ì‚¬ì´ì˜ í–‰ë³µì„ ì€ìœ ì ìœ¼ë¡œ í‘œí˜„í•˜ê¸°ë„ í•œë‹¤. ì¢‹ì€ ì˜ë¯¸ë¥¼ ë‘루 ë‹´ê³  있는ë°ë‹¤ê°€ 아름다운 용모를 갖춘 ë•ë¶„ì— ë‚˜ë¹„ ê·¸ë¦¼ì€ ì˜¤ëžœ 세월 ë§Žì€ ì‚¬ëžŒë“¤ì—게 사랑받아 다양한 í™”ê²©ì„ ì§€ë‹Œ 그림으로 남아 있다.


김취정 | 서울대학êµë°•물관 ê°ì›ì—°êµ¬ì›
ê³ ë ¤ëŒ€í•™êµ ëŒ€í•™ì›ì—서 미술사학 ì„·박사학위를 받았고,
ê³ ë ¤ëŒ€í•™êµ ì•„ì„¸ì•„ë¬¸ì œì—°êµ¬ì†Œ ì—°êµ¬ì› ë“±ì„ ì—­ìž„í–ˆë‹¤.
현재 고려대 강사, 서울대학êµë°•물관 ê°ì›ì—°êµ¬ì›,
한국민화학회 ì´ì‚¬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