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권 êµìˆ˜ì˜ â€˜ì§§ì€ ê¸€ 긴 ìƒê°â€™ â‘¥ ì´ë°©ì¸ì˜ 눈으로 본 ê·¼ëŒ€ê¸°ì˜ ìš°ë¦¬ 민화Ⅰ

ì´ë°©ì¸ì˜ 눈으로 본 ê·¼ëŒ€ê¸°ì˜ ìš°ë¦¬ 민화Ⅰ

ê·¼ëŒ€ê¸°ì— ìš°ë¦¬ë‚˜ë¼ë¥¼ 왕래한 외국ì¸ë“¤ì´ ì“´ ì±…ì´ë‚˜ 여러 기ë¡ë¬¼ì—는 우리 ì„œë¯¼ë“¤ì´ ì£¼íƒì„ 장ì‹í•˜ëŠ” ê´‘ê²½ì— ëŒ€í•œ 설명과 함께 다양한 ê·¸ë¦¼ì´ ë‚˜ì˜¨ë‹¤. 당시ì—는 ì¸ì ‘한 ì¼ë³¸ì´ë‚˜ 중국 외ì—ë„ ë¯¸êµ­, ë…ì¼, ì˜êµ­, 러시아, 프랑스 등 ì„œì–‘ì˜ ì—¬ëŸ¬ 나ë¼ì™€ 외êµê´€ê³„를 맺었다. 그때 화가, 외êµê´€, êµ°ì¸, ì˜ì‚¬, êµìœ¡ìž, ìƒì¸, ì„ êµì‚¬, 여행가, íƒí—˜ê°€ 등 여러 서구 ì‚¬ëžŒë“¤ì´ ë‚´í•œí–ˆëŠ”ë° ë°”ë¡œ ê·¸ë“¤ì´ ë¯¼í™”ì— ëŒ€í•´ ë§Žì€ ê´€ì‹¬ì„ ê°€ì§€ê³  ì±…ì´ë‚˜ 기ë¡ë¬¼ë¡œ 남겨 놓았다.
우리 민화가 ì„¸ê³„ì— ì²˜ìŒ ì•Œë ¤ì§„ 것ì€, 1883년부터 1885년까지 ì¡°ì„ ì˜ ê´‘ì‚°ì‚¬ì—… 조사차 파견ë˜ì—ˆë˜ 미국 í•´êµ°ìž¥êµ ë²„ë‚˜ë„(J.B. Bernadou)와 스미소니언박물관 ì—°êµ¬ì› ì£¼ì´(Pierre.L.Jour)ì— ì˜í•´ì„œì˜€ë‹¤. ê·¸ë“¤ì€ ì—¬ëŸ¬ ì§€ë°©ì„ ëŒë©´ì„œ 우리 민화를 광범위하게 수집해 갔는ë°, 그때 구입한 민화를 미국 국립 박물관(현재 스미소니언 ìžì—°ì‚¬ë°•물관)ì— ê¸°ì¦í–ˆë‹¤. 당시 버나ë„는 “조선ì¸ë“¤ì´ 집안 장ì‹ì„ 위해 ìƒì ì—서 민화를 ë§Žì´ ì‚¬ê°”ë‹¤â€ëŠ” 기ë¡ì„ ë‚¨ê¸°ê¸°ë„ í–ˆë‹¤.
1890ë…„ ì„œìš¸ì— ì˜¨ í”„ëž‘ìŠ¤ì˜ ë™ì–‘í•™ìžì¸ 모리스 ì¿ ëž‘Maurice Courantì€ â€œê´‘í†µêµë¥¼ 비롯한 ë™ëŒ€ë¬¸ê³¼ 남대문 ì¼ëŒ€ì—서 ë„“ì€ íšŒëž‘å›žå»Š ì•ˆì— ìˆ˜ë§Žì€ ê·¸ë¦¼ì´ ì§„ì—´ë˜ì–´ 있는 ê´‘ê²½ì„ ëª©ê²©í•˜ì˜€ë‹¤â€ëŠ” 기ë¡ì„ 남겨 놓았다. ë˜í•œ ë¯¸êµ­ì¸ ì„ êµì‚¬ì´ìž 외êµì ì¸ ì—­í• ì„ ë‹´ë‹¹í•˜ì˜€ë˜ ì•Œë Œ(Horace.N. Allen, 1858〜1932)ê³¼ 1887년부터 1903년까지 프랑스 공사로 ê·¼ë¬´í•˜ì˜€ë˜ ë¹…í† ë¥´ 골랭 드 플앙시(Victor Collin de Plancy, 1853~1922)ê°€ 수집한 물품 가운ë°ëŠ” 민화가 ë§Žì€ ë¶€ë¶„ì„ ì°¨ì§€í•˜ëŠ”ë° ì´ë“¤ë„ 역시 ë‹¹ì‹œì— â€œì¡°ì„  ì‚¬ëžŒë“¤ì´ ë¯¼í™”ë¥¼ 팔고 사는 ê´‘ê²½ì„ ìžì£¼ 목격했다â€ëŠ” 기ë¡ì„ 남겨 놓았다.
한편 당시 민화는 외국ì¸ë“¤ì—게 ìƒí’ˆìœ¼ë¡œì„œë¿ ì•„ë‹ˆë¼ ë¯¼ì†í•™ì  ìžë£Œì˜ 대ìƒì´ê¸°ë„ 하였다. 1888ë…„ í”„ëž‘ìŠ¤ì˜ ë¯¼ì†í•™ìžì¸ ë°”ë¼(Charles Varat, 1842~1893)는 50ì¼ê°„ 우리나ë¼ë¥¼ 여행하면서 구입한 2,000ì—¬ ì ì˜ 민화와 민ì†í’ˆì„ 1891ë…„ â€˜íŒŒë¦¬ê¸°ë©”ë°•ë¬¼ê´€â€™ì— ê¸°ì¦í–ˆëŠ”ë° ì´ë¡œì¨ë„ ë‹¹ì‹œì˜ ìš°ë¦¬ 민화가 얼마나 ë§Žì´ í–¥ìœ ë˜ì—ˆëŠ”ì§€ 충분히 ì§ìž‘í•˜ê³ ë„ ë‚¨ëŠ”ë‹¤.
1900ë…„ëŒ€ì— ë“¤ì–´ì„œì„œëŠ” ë”ìš± ë§Žì´ ë¯¼í™”ê°€ 향유ë˜ì—ˆë‹¤ëŠ” ê²ƒì„ ì´ë°©ì¸ì˜ ëˆˆì„ í†µí•´ì„œ 쉽게 알 수 있다. 1902년부터 1903년까지 서울ì—서 ì´ì˜ì‚¬ë¡œ ê±°ì£¼í–ˆë˜ ì´íƒœë¦¬ì¸ 까를로 로제티Carlo Rossetti(1876〜1948)는 종ê°ì—서 ë™ëŒ€ë¬¸ë¡œ 쪽으로 모여 ìžˆë˜ â€˜ë³µì œí™”ì™€ 종ì´â€™ë¥¼ 파는, 즉 지전으로 ì§ìž‘ë˜ëŠ” ê³³ì—서 “몇 ì „ë§Œ 주면 ì‚´ 수 있는 ìš©ì´ë‚˜ 호랑ì´, ë‚ ê°œ ë‹ì¹œ ë§, 옛 ì „ì‚¬ë“¤ì˜ í™˜ìƒì ì¸ 형ìƒë“¤ì„ 보았는ë°, ê·¸ë“¤ì€ ì´ê²ƒë“¤ì„ 문ì§ì— 붙여 놓고 ì§‘ì—서 악귀를 내쫓았다â€ë¼ê³  기ë¡í•´ 놓고 있다. ì´ë¿ë§Œ ì•„ë‹ˆë¼ ê·¸ëŠ” â€œí•œêµ­ì˜ ì–´ëŠ ì§‘ì—나 ê°™ì€ ê·¸ë¦¼ë“¤ì´ ê±¸ë ¤ 있다â€ë¼ê³  기ë¡í•´ 놓고 있으며, ì´ë“¤ 벽사용 ê·¸ë¦¼ë“¤ì´ ì–¼ë§ˆë‚˜ 범람했ë˜ì§€ “한국ì¸ë“¤ì€ 악령과 ìž¡ê·€ë“¤ì˜ ì„¸ìƒì—서 ë‘ë ¤ì›€ì„ ëŠë¼ë©° ë³´ì´ì§€ 않는 ê·€ì‹ ë“¤ì— ëŒ€í•œ ëŠìž„없는 악몽 ì†ì—서 살아가고 있다â€ë¼ê³ ê¹Œì§€ 언급해 놓고 있다. ë˜í•œ ê°™ì€ í•´ì¸ 1902ë…„ì— ì¡°ì„ ì„ ë‹¤ë…€ê°„ í”„ëž‘ìŠ¤ì˜ ì—¬í–‰ê°€ 조르주 ë’¤í¬ë¡œGeorges Ducrocq(1874〜1927)ê°€ 1904ë…„ 발행한 저서 《Pauvre et Douce Coree》는 조선여행기로 ì¡°ì„ ì˜ ë¬¸í™”ë¥¼ 따뜻한 시선으로 ë°”ë¼ë³´ê³  있는ë°, 그는 â€œì„œë¯¼ë“¤ì´ ë°©ì„ í›¤í•˜ê²Œ(장ì‹) 하기 위해 사서 ë¶™ì´ëŠ” 벽지용 ê·¸ë¦¼ì´ ì•„ì£¼ ì¸ìƒ 깊었다â€ëŠ” 기ë¡ì„ 남겨 놓았다. ì´ë ‡ë“¯ 우리 민화는 근대기부터 ì´ë¯¸ ì´ë°©ì¸ë“¤ì—게 ì£¼ëª©ì˜ ëŒ€ìƒì´ì—ˆ 으며, ê·¸ë“¤ì€ ë‹¹ì‹œ ë¯¸ìˆ ì‹œìž¥ì˜ ì¤‘ìš”í•œ ê³ ê° ì¶•ì´ì—ˆë‹¤.

글 : 김용권(문학박사/ê²½í¬ëŒ€í•™êµ êµìœ¡ëŒ€í•™ì› êµìˆ˜)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