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권 êµìˆ˜ì˜ â€˜ì§§ì€ ê¸€ 긴 ìƒê°â€™ã‰š 2000년대 í•™ìžë“¤ì˜ 민화연구 활ë™â…£

2000년대 민화 ì—°êµ¬ì˜ ëœ¨ê±°ìš´ 분위기는 ì™¸êµ­ì¸ í•™ìžë“¤ì—게까지 ì˜í–¥ì„ 미쳤으며, ì´ì— ê·¸ë“¤ë„ ë¯¼í™”ì— ê¹Šì€ ê´€ì‹¬ì„ ê°–ê³  활발한 활ë™ì„ 보여주었다. 예컨대 ì¤‘êµ­ì˜ ë¯¼ê°„ 연화를 연구하는 대표ì ì¸ í•™ìžì¸ 보송니엔 êµìˆ˜(중국 ì¤‘ì•™ë¯¸ìˆ í•™ì› êµìˆ˜), ì¼ë³¸ì˜ 민화 연구가 카타야마 마리코와 ì´ì†Œìží‚¤ ì•„ë¼íƒ€ ë“±ë„ ë¯¼í™”ë¥¼ ì•Œë¦¬ëŠ”ë° ì¼ì¡°í•˜ì˜€ë‹¤. ë¿ë§Œ ì•„ë‹ˆë¼ ì¼ë³¸ë¯¼ì˜ˆê´€ì˜ 타카시 스기야마(ë™ì–‘부장)ì´ë‚˜ 미국 ìžì—°ì‚¬ë°•ë¬¼ê´€ì˜ ë¡œë  ì¼„ë‹¬(íë ˆì´í„°), 프랑스 기메ë™ì–‘ë°•ë¬¼ê´€ì˜ ì‚ì—르 깜봉(학예실장) ë“±ë„ ë¯¼í™”ì˜ ë©‹ì„ ì•Œë¦¬ëŠ”ë° í¬ê²Œ ì¼ì¡°í–ˆë‹¤.
한편 2014ë…„ 4ì›”, êµ­ë‚´ 첫 민화 ì „ë¬¸ìž¡ì§€ì¸ ì›”ê°„<민화>ê°€ ì°½ê°„ë¼ í˜„ìž¬ê¹Œì§€ 민화ì¸ë“¤ì˜ 징검다리 ì—­í• ì„ í†¡í†¡ížˆ 하고 있다. ë°œí–‰ì¸ ìœ¤ì—´ìˆ˜ëŠ” 2015ë…„ 1ì›” 월간<민화> 스타트 메시지ì—서 ‘월간<민화>ì˜ ì„±ê³¼ëŠ” 한국 ë¯¼í™”ê³„ì˜ í™œë™ê³¼ ë‚´ìš©ì„ ë”ìš± í’성하게 해주는 ìžì–‘ë¶„ì´ ë  ê²ƒì´ë¼ê³  믿어 ì˜ì‹¬ì¹˜ 않는다’ë¼ê³  ë§í–ˆë‹¤. ê°•ìš°ë°©ì€ ì›”ê°„<민화>ê°€ ì „ë¬¸ì§€ì¸ ë§Œí¼ ë¯¼í™”ì— ëŒ€í•œ ë”ìš± ê°ê´€ì ì´ê³  정확한 시ê°ì„ ê°–ê³  ì¶œíŒí•´ 줄 ê²ƒì„ ì£¼ë¬¸í–ˆìœ¼ë©°, ë„리 고른 시ê°ìœ¼ë¡œ 취재하고 소개한 ìž‘ì—…ë„ ì¤‘ìš”í•˜ì§€ë§Œ 작품 ìžì²´ì— 대한 주목과 ë¶„ì„하는 ì§€ë©´ë„ ìžˆì–´ì•¼ í•  것ì´ë¼ê³  당부하였다.
한편 민화 ì„¸ë¯¸ë‚˜ì— ë¹ ì§€ì§€ 않고 참여하고 있는 몇몇 í•™ìžì™€ 관장 ë“±ì„ ì†Œê°œí•˜ë©´ 다ìŒê³¼ 같다. í—ˆì˜í™˜ì€ êµ­ë‚´ ìµœì´ˆì˜ ì¤‘êµ­ë¯¸ìˆ ì‚¬ 박사ì´ë‹¤. ì Šì€ ë‚  ì‹ ë¬¸ì‚¬ì˜ ë¬¸í™”ë¶€ 기ìžë¡œ 활ë™í–ˆë‹¤. 그는 ë˜í•œ 1973ë…„ ë•성여ìžëŒ€í•™êµì— 초빙ë˜ì–´ ê°•ë‹¨ì— ì„  ì´í›„, 성신여ìžëŒ€í•™êµì—서 êµìˆ˜ì™€ 박물관 ê´€ìž¥ì„ ì—­ìž„í–ˆìœ¼ë©° 20ì—¬ê¶Œì˜ ì €ì„œì™€ 40ì—¬ íŽ¸ì˜ ë…¼ë¬¸ì„ ë‚¨ê²¼ë‹¤. ê°•ìš°ë°©ì€ í•œêµ­ 미술사 ì „ë°˜ì„ ì—°êµ¬í•˜ë©´ì„œ 40ë…„ 넘게 민화분야ì—ë„ ê´€ì‹¬ì„ ê°€ì§€ê³  íƒêµ¬í•´ 왔다. ì´íƒœí˜¸ëŠ” ëª…ì§€ëŒ€í•™êµ ë¯¸ìˆ ì‚¬í•™ê³¼ êµìˆ˜ë¡œ 재ì§í•˜ë©´ì„œ 대중ì—게 친숙한 미술사 서ì ì„ ë§Žì´ ë‚¸ í•™ìžì´ë‹¤. 그는 한국미술사 ì „ë°˜ì— ëŒ€í•œ 관심과 ì• ì •ì„ ê°–ê³  íƒêµ¬í•˜ê³  있으며 우리 민화ì—ë„ íŠ¹ë³„í•œ ê´€ì‹¬ì„ ê°€ì§€ê³  연구하고 있다. 민화와 관련하여 〈민화 문ìžë„ì˜ ë‚´ìš©ê³¼ 형ì‹(1988. 유í™ì¤€ê³¼ 공저)〉, 〈조선 후기 ë¯¼í™”ì˜ ìž¬ê²€í† (1989ë…„)〉 ë“±ì„ ë°œí‘œí–ˆë‹¤.
윤범모는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관장ì´ë©° 한국íë ˆì´í„°í˜‘회 회장, ê°€ì²œëŒ€í•™êµ êµìˆ˜,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ì±…ìž„ íë ˆì´í„° ë“±ì„ ì—­ìž„í–ˆë‹¤. 우리 민화계ì—ë„ ê¹Šì€ ê´€ì‹¬ì„ ë³´ì˜€ìœ¼ë©° 2014ë…„ 월간<민화> 10월호 ì¸í„°ë·°ì—서 “민화ì—ë„ ë¹„í‰ì´ ë”°ë¼ì•¼ 한다. 민화가 ë”ìš± 발전하기 위해서는 민화를 제대로 공부한 전문 ì´ë¡ ê°€ì˜ 충고를 귀담아들어야 한다. ë¯¼í™”ì˜ ê°œë…ì„ ì •í™•í•˜ê²Œ 알고 전시를 기íší•˜ê³ , í‰ë¡ í•˜ëŠ” ì¸ë¬¼ì´ 대거 ë°°ì¶œë˜ì–´ì•¼ 한다â€ê³  ë§í–ˆë‹¤.
ì´ì›ë³µ 경기ë„박물관 ê´€ìž¥ì€ êµ­ë¦½ì¤‘ì•™ë°•ë¬¼ê´€ì—서 미술부장과 í•™ì˜ˆì—°êµ¬ì‹¤ìž¥ì„ ì—­ìž„í–ˆë‹¤. 그는 한국미술사와 ê´€ë ¨ëœ 80ì—¬ íŽ¸ì˜ ë…¼ë¬¸ê³¼ 저서를 꾸준히 냈다. 그는 2014ë…„ 월간<민화> 8월호 ì¸í„°ë·°ì—서 â€œìˆ˜ë¬µë‹´ì±„ì™€ì˜ ëŒ€ì²™ì ì— 있는 채색화를 민화와 단순 ë™ì¼ì‹œí•˜ê¸° ì´ì „ì— ë” ë§Žì€ ì—°êµ¬ê°€ 필요하다. 작가가 불분명하다는 ì´ìœ ë¡œ ê¶ì¤‘장ì‹í™”나 고분벽화 ë“±ì„ ë¯¼í™”ì— í¬í•¨ì‹œí‚¤ëŠ” ê²ƒë„ ë¬´ë¦¬ê°€ 있고, 민화ì—ë„ ì±„ìƒ‰ì´ ì•„ë‹Œ ìˆ˜ë¬µì„ ì´ìš©í•œ ìž‘í’ˆì´ ìžˆê¸° 때문â€ì´ë¼ê³  ë§í–ˆë‹¤.
김세종 í‰ì°½ì•„트 대표는 민화수집가로 2002년부터 민화를 수집해 왔다. 그는 ê°™ì€í˜¸ ì¸í„°ë·°ì—서 “20대부터 ê³ ë¯¸ìˆ ì„ ì¢‹ì•„í–ˆìœ¼ë©° ì–´ëŠë‚  ë¬¸ë“ ë¯¼í™”ê°€ ëˆˆì— ë“¤ì–´ì˜¤ê¸° 시작했다. ê¶ì¤‘민화를 철저히 배제하고 ìˆœìˆ˜ë¯¼í™”ë§Œì„ ëª¨ì•˜ë‹¤. 민화는 예술ì´ë‹¤. 외국 ì‚¬ëžŒë“¤ì´ ë¯¼í™”ë¥¼ 어떠한 ì„ ìž…ê²¬ë„ ê°–ì§€ 않고 í•˜ë‚˜ì˜ íšŒí™”ìž‘í’ˆìœ¼ë¡œ ê°ìƒí•˜ë“¯ ìš°ë¦¬ë„ ë¯¼í™”ë¥¼ ì„œë¯¼ì´ ê·¸ë¦° 그림ì´ë¼ëŠ” 편견ì—서 벗어나 예술 ê·¸ ìžì²´ë¡œ ë´ì•¼ 한다â€ë¼ê³  ë§í–ˆë‹¤.


글 김용권(겸재정선미술관 관장)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