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권 êµìˆ˜ì˜ â€˜ì§§ì€ ê¸€ 긴 ìƒê°â€™ã‰— 겸재 ì •ì„ ì˜ ã€ˆì‚°ì²œìž¬ë„山天齋圖〉

겸재 ì •ì„ ì€ 1753ë…„ 11ì›”, 산천재ì—서 바람소리 ì€ì€ížˆ 들리는 ë°¤ì¤‘ì— ì¼ì–´ë‚˜ 앉아 ë“±ë¶ˆì„ ë°ížˆê³  ìƒê°ì— 잠기다가 ë¶“ì„ ìž¡ì•„ 〈산천재ë„〉를 그려냈다. 산천재 ì¼ëŒ€ì˜ 논과 ë…¼ë‘ë , 대나무 울타리가 있는 ì§‘, 소나무와 버드나무 그리고 봉우리 가운ë°ì˜ 초가집과 ë°­ ë“±ì˜ ê²½ì¹˜ë¥¼ 향토성 짙게 그렸다. 알다시피 겸재 ì •ì„ ì€ ìƒì „ì— ì „êµ­ ëª…ìŠ¹ì„ ë‘루 섭렵하면서 다양한 ìž‘í’ˆì„ ë‚¨ê²¼ìœ¼ë‚˜, 〈산천재ë„〉와 ê°™ì€ í‰ë²”한 논과 ë°­ì„ ì œìž¬ë¡œ 채íƒí•œ 예는 찾아볼 수가 없었다. 그가 ê´€ì‹¬ì„ ìŸì€ 장소는 주로 금강산과 ê´€ë™íŒ”ê²½, 서울과 한강, 개성, ì˜ë‚¨ì§€ë°© ë“±ì˜ ê²½ì¹˜ê°€ 빼어난 명승고ì ì´ì—ˆë‹¤.
ê·¸ì˜ ëŒ€í‘œì ì¸ 작품 《경êµëª…승첩》, 《관ë™ëª…승첩》, 〈금강전ë„〉, 〈ì¸ì™•제색ë„〉, 〈청í’계ë„〉, 〈박연í­ë„〉 ë“±ì€ í•˜ë‚˜ê°™ì´ í™”ë ¤í•˜ê³  장엄한 ì‚°ì´ë‚˜ ê°•ì´ ë“±ìž¥í•˜ëŠ” í’ê²½ì´ì—ˆë‹¤. 물론 산천재 역시 남명å—冥 ì¡°ì‹æ›ºæ¤(1501~1572)ì´ í•™ë¬¸ì„ ê°ˆê³  닦으면서 í›„í•™ì„ ì–‘ì„±í–ˆë˜ ì€ê±°ì§€ë¡œ ì‹œì¸ ë¬µê°ë“¤ì´ ì¦ê²¨ ì°¾ë˜ ëª…ì†Œì´ë‹¤(현재 경남 ì‚°ì²­êµ° 시천면). 하지만 시골 어디를 가든 í”히 ë³¼ 수 있는 논과 ë°­ì´ ìžˆëŠ” ì´ í’ê²½ì€ ì†Œë°•í•˜ê³  서정ì ì´ë©° 그래서 ì™ ì§€ 편안하고 ì •ê°ì´ ë„˜ì³ ê·¸ì˜ ë‹¤ë¥¸ 대표작과는 í¬ê²Œ 차별ëœë‹¤.
겸재 ì •ì„ ì˜ ã€ˆì‚°ì²œìž¬ë„ã€‰ì— ë‚˜íƒ€ë‚œ 기법표현 역시 ê·¸ì˜ ë‹¤ë¥¸ 작품과 확연히 구분ë˜ëŠ”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부ê°ì‹œâ€™ë¡œ í™”ë©´ì„ ê½‰ 채워 아주 í¬ê²Œ ë³´ì´ê²Œ 한 공간 구성력과 화면 ì¤‘ê²½ì„ ë¨¹ìƒ‰ìœ¼ë¡œ ê³¼ê°í•˜ê²Œ 늘어뜨려 처리한 실험ì ì¸ 시ë„는 매우 ì°½ì˜ì ì´ê³  ë…ìžì ì´ë©° 현대ì ì´ë¼ í•  수 있겠다. 한편, 화면 왼쪽 윗부분ì—는 화제畫題와 ‘謙齋’ë¼ëŠ” ê·¸ì˜ í˜¸è™Ÿê°€ ì í˜€ìžˆê³  ê·¸ ì•„ëž˜ì— â€˜å…ƒä¼¯â€™ì´ë¼ëŠ” 주문방ì¸ì´ 주목ë˜ëŠ”ë° í™”ì œì˜ ë‚´ìš©ì€ ë‹¤ìŒê³¼ 같다.

余於山天齋 / 有三宿之戀(急?) / 癸酉復月晦 / 爲 / æŽä»²å…ƒç‡­ä¸‹ä½œ / 謙齋
ë‚´ê°€ 산천재ì—서 사í˜ì„ 묵어 그리워하는 ì •ì´ ìžˆê¸°ì— ê³„ìœ ë…„ 11ì›” ê·¸ë¯ì— ì´ì¤‘ì›ì„ 위해 등불 아래ì—서 그리다. 겸재
– í•œêµ­í•™ì¤‘ì•™ì—°êµ¬ì› ìœ¤ì§„ì˜ ì±…ìž„ì—°êµ¬ì› í•´ì„
ë‚´ê°€ 산천재ì—서 삼ì¼ì˜ ì‹œê°„ì— ê¸‰ë°•í•˜ì—¬ 계유년(1753) 11ì›” ë§ ì´ì¤‘ì›ì„ 위해 촛불아래서 그렸다. 겸재
– KBS 진품명품 ê¹€ì˜ë³µ ê°ì •ìœ„ì› í•´ì„

어쩌면 겸재 ì •ì„ ì˜ ã€ˆì‚°ì²œìž¬ë„〉는 위와 ê°™ì€ í™”ì œê°€ ë” ì¤‘ìš”í•œ ìžë¦¬ë¥¼ 차지하고 있다고 í•  수 있겠다. 〈산천재ë„ã€‰ì˜ ì œìž‘ 시기, 제작 ë™ê¸°, 제작 장소, ì •ì„ ì˜ í•™ë¬¸ì  ê¹Šì´ ë“±ì„ ë¶„ëª…í•˜ê²Œ 알 수 있기 때문ì´ë‹¤. ë으로 겸재 ì •ì„ ì´ ã€ˆì‚°ì²œìž¬ë„〉ì—서 대담하게 휘갈긴 서체書體는, 그가 수십 ë…„ì— ê±¸ì¹œ 활ë™ì„ 통하여 í˜•ì„±ëœ ê³ ìœ í•œ í•„ë²•ì˜ íŠ¹ì§•ì´ë‚˜ ìŠµê´€ì´ ë“œëŸ¬ë‚˜ 있는 노필è€ç­†ì´ê¸°ì— ê·¸ì˜ ì´ˆê¸°ì™€ 중기 ë° ë§ê¸° ìž‘í’ˆì˜ ì„œì²´ 변화 전모를 파악, 비êµí•´ ë³¼ 수 있는 귀중한 ìžë£Œì  가치가 있다. ì´ë ‡ê²Œ 겸재 ì •ì„ ì´ 78세(1753ë…„)ì— ê·¸ë¦° 〈산천재ë„〉는 ê·¸ë™ì•ˆ ë¶€ì¡±í–ˆë˜ ì •ì„ ì˜ ë§Œë…„ê¸°ì˜ ìƒí™©ê³¼ í™”í’ì— ëŒ€í•´ 보다 깊게 접근해 연구할 수 있는 ìžë£Œë¼ í•  수 있으며, 우리 미술사ì ìœ¼ë¡œ 아주 í° ì˜ë¯¸ì™€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글 김용권(겸재정선미술관 관장)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