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권 ê´€ìž¥ì˜ â€˜ì§§ì€ ê¸€ 긴 ìƒê°â€™ (63) 고려시대 í™”ì› ì œë„â…¡

글 김용권 (겸재정선미술관 관장)


고려시대 중앙 ì •ë¶€ì— ë„í™”ì›ì´ 있었다는 ì‚¬ì‹¤ì€ ë‹¹ì‹œì˜ ëŒ€í‘œì ì¸ 화공 ì´ë…•æŽå¯§, ì´ê´‘í•„æŽå…‰å¼¼, 고유방高維訪 ë“±ì„ í†µí•´ì„œë„ ì•Œ 수 있다. 12세기 ì¤‘Â·í›„ë°˜ê¸°ì— í™œë™í•œ 화공 ì´ë…•æŽå¯§ì€ ê¶ì¤‘ íšŒí™”ì— ê´€í•œ 모든 ì¼ì„ 주관했으며 <예성강ë„ç¦®æˆæ±Ÿåœ–>, <천수사남문ë„天壽寺å—門圖> ë“±ì„ ì œìž‘í–ˆë‹¤. 기ë¡ì— ì˜í•˜ë©´, 그는 1124ë…„(ì¸ì¢…2) 추밀사 ì´ìžë•æŽè³‡å¾·ì„ ë”°ë¼ ìˆ˜í–‰í™”ì›ìœ¼ë¡œ ë¶ì†¡ì— 갔다가 ì†¡ì˜ í™©ì œ íœ˜ì¢…å¾½å®—ì˜ ìš”ì²­ìœ¼ë¡œ <예성강ë„>를 그렸다고 한다.
ê·¸ì˜ ì˜í–¥ë ¥ì€ 명종明宗(재위1740〜1197)ëŒ€ì— í™œë™í•œ 아들 ì´ê´‘í•„æŽå…‰å¼¼ë¡œ ì´ì–´ì¡Œìœ¼ë©°, 고유방 역시 ëª…ì¢…ëŒ€ì˜ ëŒ€í‘œì ì¸ 화공으로 활발히 활ë™í–ˆë‹¤ê³  한다.
한편, 고려시대 ë„í™”ì›ì— 대해서는 ë‹¹ì‹œì˜ ê´€ë¦¬, 문신으로 활ë™í•œ ì´ì¸ë¡œæŽä»è€(1152〜1220)ì˜ ã€ŠíŒŒí•œì§‘ç ´é–‘é›†ã€‹ì— ê¸°ë¡ë˜ì–´ 있는 화국畵局’, ‘채공彩工’ ë“±ì˜ ëª…ì¹­ì„ í†µí•´ì„œë„ ê·¸ 존재를 확ì¸í•  수 있다.

昔ç¿çŽ‹æ™‚ 畵局æŽå¯§çŠ¬å·¥å±±æ°´
æŽä»è€ì˜ 《破閑集, 中å·ã€‹å¤©å£½å¯º æ¢

癸己冬 定山縣雜鳩驛新修公館畢, è«‹å·¥æ–½å£ å½©å·¥ 當時妙手, 姓朴亡å
《 ç ´ é–‘ 集 , 下å·ã€‹

위 기ë¡ì—ì„œì˜ í™”êµ­ç•µå±€ì€ ë°”ë¡œ 중앙 ì •ë¶€ì˜ ë„í™”ì›ì„ ë§í•˜ë©°, 그곳ì—서 활ë™í•œ í™”ì›ì„ ‘채공採工’ ë˜ëŠ” ‘화공畵工’ ì´ë¼ 불렀ìŒì„ 알 수 있다.
ê³ ë ¤ì‹œëŒ€ì˜ ë„í™”ì› ì œë„는 조선왕조로 그대로 ì´ì–´ì ¸ 시행ë˜ì—ˆë‹¤. 개국 ëœì§€ 8ë…„ì´ ì§€ë‚œ ë’¤ì— ê°±ì‹ ì•ˆæ›´æ–°æ¡ˆì´ ì œê¸°ë˜ì—ˆìœ¼ë‚˜ 1471ë…„ 성종대(재위1469∼1494)까지 바뀌지 않고 그대로 유지ë˜ì—ˆë‹¤. ê³ ë ¤ ë„í™”ì›ê³¼ ê´€ë ¨ëœ ì •ë³´ëŠ” ì¡°ì„ ì „ê¸°ì˜ ë„í™”ì› ì œë„를 í†µí•´ì„œë„ ìƒë‹¹ 부분 파악할 수 있는ë°, ì´ì— 대해서는 ë‹¤ìŒ 11월호 ì§€ë©´ì— ë³´ë‹¤ ìžì„¸í•˜ê²Œ ì„œìˆ í•˜ê³ ìž í•œ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