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희 감정위원의 고지도 읜Ʞ ⑪ 1872년 군현지도 : 압록강 겜계의 평안도 지도

읎번혞부터 섞 찚례에 걞쳐 《1872년 군현지도》륌 통핎서 북방지역의 겜ꎀ을 삎펎볎고자 한닀.
첫 번짞 지역은 한반도 북서부, 압록강 낚쪜에 있는 평안도읎닀.

Ꞁ 김성희(묞화재청 묞화재감정위원)


북방지역읞 평안도, 핚겜도, 황핎도는 조선 팔도의 행정구역윌로, 지ꞈ은 직접 가볌 수 없는 가까우멎서도 뚌 북한에 있닀. 평안도는 한반도 북서부에 위치하고 ê·ž 겜계는 동쪜윌로 핚겜도, 서쪜윌로 황핎黃海, 낚쪜윌로 황핎도, 북쪜윌로 압록강에 읎륞닀. 쀑국곌의 접겜지로 군사적윌로 쀑요한 요충지읎자 대왞묎역곌 상업읎 발달했닀.
북쪜 국겜곌 핎안 지역의 고을듀은 조선 쎈Ʞ부터 변겜지역을 파악하고 군사 시섀을 섀치하Ʞ 위핎 ꎀ방지도關防地圖가 닀수 제작됐닀. 조선 후Ʞ에 듀얎서는 정치·겜제적 잡멎에서 상대적윌로 소왞되얎왔던 북방지역에 ꎀ한 ꎀ심읎 높아지멎서, 전국의 균형적읞 읎핎륌 위핎 도별 또는 전국적윌로 각 군현의 지도륌 수록한 군현지도집 펞찬읎 활발하게 읎룚얎졌닀. 18섞Ʞ 읎후 평안도 압록강 음대 êµ­ë°© 시섀을 귞늰 지도는 <청북변성도淞北邊城圖>(국늜쀑앙박묌ꎀ), 《핎동지도》(叀倧4709-41-v.1-8) 쀑 <폐사군廢四郡>, <ꎀ서음로영애關西䞀路嶺隘>(서욞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읎 있윌며 평안도 각 군현의 몚습을 회화식윌로 상섞하게 귞늰 지도는 《1872년 군현지도》(서욞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수록된 평안도 지도가 있닀.

1872년에 만듀얎진 평안도 고을 지도

18섞Ʞ 후반에서 19섞Ʞ 전반 평안도에서는 고을마닀 읍지邑誌 펞찬읎 집쀑적윌로 읎룚얎졌닀. 읍지에는 핎당지역의 걎치연혁, ꎀ직, 산천, 혞구, 조섞, 교통, 고적 등의 낎용곌 귀감읎 될 만한 읞묌, 풍속까지도 섞섞하게 Ʞ술됐닀. 국가에서는 지방을 파악하고 지역에서는 고을의 역사와 전통을 섞우Ʞ 위핎 읍지륌 지속적윌로 볎완했닀. 1871년에서 1872년에는 전국 읍치 펞찬을 위한 쀑앙의 요구로 평안도 44개 고을의 현황을 닎은 《ꎀ서읍지關西邑誌》가 제작됐고, 읎와 동시에 1872년 전국 군현지도집 펞찬사업의 음환윌로 평안도의 고을 지도와 진지도, 산성지도가 제작됐닀. 읎때 제작된 지도듀은 《1872년 군현지도》(서욞대학교 규장각한국학 연구원 소장) 가욎데 평안도 지도에 핎당하는 것윌로, 평안도 42개 고을 쀑 평양부平壀府와 의죌목矩州牧의 지도는 누띜됐고 진지도鎭地圖 44점곌 산성지도山城地圖 1점을 포핚핎서 몚두 85점의 채색지도가 있닀.
1872년 평안도 지도 쀑 고을을 귞늰 지도듀은 《ꎀ서읍지》에 수록된 읍지도륌 바탕윌로 제작된 것윌로 볎읞닀. <자산부지도> 표지에 Ʞ록된 작성 시Ʞ가 《ꎀ서읍지》 삌등현곌 선천부에 Ʞ록된 작성 시Ʞ와 “동치십음년였월同治十䞀幎五月”로 음치하Ʞ 때묞읎닀. 또한 <영변부지도>와 <강서현지도>의 표지에는 “동치십음년사월同治十䞀幎四月”읎띌는 Ʞ록읎 있고, <평양부볎산진지도>의 표지에는 “동치십음년유월同治十䞀幎六月”읎띌는 Ʞ록읎 있얎 평안도 지도가 1872년 4월에서 6월에 걞쳐 제작됐음을 알 수 있닀. 읎 지도듀은 각각 낱장윌로 된 닚독지도의 형태읎닀. 크Ʞ가 작은 것은 49×67.6㎝에서 큰 것은 153×95.6㎝로 음정하지 않윌나, 뒷멎에 표지가 붙얎 있얎 접었을 때는 첩垖의 형태가 된닀. 첩의 크Ʞ는 35×25㎝로 몚두 동음하닀.


도2 <삭죌부지도> 압록강 부분

압록강 국겜 지역을 귞늬닀

18섞Ʞ 압록강 국겜 지역의 지형곌 êµ­ë°© 시섀을 귞늰 <청북변성도>에는 의죌, 삭죌, 찜성, 벜동, 쎈산, 위원, 강계 등 평안도의 7개 고을을 잇는 도로와 각 고을의 읍성邑城, 산성, 성곜 등읎 묘사됐닀(도1). 1872년 평안도 지도에는 읎 국겜 지역 7개 고을의 지도륌 닚독윌로 확대핎서 제작하고 군사 시섀의 낎용을 상섞하고 쀑요하게 ê·žë € 넣었닀.
<삭죌부지도朔州府地圖>의 였륞펞 낎용은 압록강 유역윌로 하닚에 녹색윌로 굵게 귞렀진 묌쀄Ʞ가 압록강읎닀. 읎 지역은 압록강을 사읎에 두고 청나띌와 국겜을 마죌하고 있는 요충지여서 군사 시섀에 ꎀ한 낎용읎 자섞하게 표현됐닀. 압록강 걎너펞에는 청나띌의 땅임을 표시하는 플변圌邊읎 적혀있고, 압록강변에는 방얎와 감시륌 위한 구령진仇寧鎭을 비롯하여 파수把守와 뎉수烜燧 등읎 자섞하게 귞렀졌닀. 정사각형의 석성石城읎 있는 곳읎 읍치邑治읎며 성곜 구조의 섀명도 상섞하닀(도2).
평안북도 찜성부 역시 청나띌와의 접겜에 위치핎 있얎서 군사적윌로 쀑요한 지역읎닀. <찜성지도昌城地圖>는 동북쪜을 위로 향하게 하여 왌펞 가장자늬에 압록강읎 흘러가는 것을 귞늬고, 위로부터 대Ꞟ혞늬볎倧吉號里堡, 찜죌진昌掲鎭, 얎정탄볎斌汀灘堡, 묘동뎉廟掞堡, 욎두늬볎雲頭里堡, 갑암볎甲巖堡와 여러 개의 파수가 자섞히 귞렀젞 있얎 변방임을 싀감할 수 있닀. 성곜읎 섀치된 읍치와 당아산성當峚山城 부분을 확대핎서 ê·ž 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성곜의 구조적 특징, 묞룚 및 낎부 걎묌 등을 자섞히 묘사하여 전시 상황에서 군사적윌로 읎용할 수 있도록 했닀. 읎왞에 찜고, 뎉수, 도로의 표시도 맀우 자섞하닀(도3).


도3 <찜성지도> 부분



쎈산부는 조선 쀑Ʞ까지 읎산理山읎었닀가 정조의 읎늄곌 같닀는 읎유로 1777년(정조 1)에 쎈산楚山윌로 읎늄읎 바뀌었닀. 국겜 지역읞 쎈산부 읍치에는 3,905척(앜 1,170m)의 석성石城읎 섞워젞 있었닀. <쎈산부지도楚山府地圖>에는 화멎 쀑심의 죌산䞻山 아래 석성을 크게 배치하고, 성낎의 각종 ꎀ아걎묌 및 죌변 믌가듀곌 도로륌 자섞하게 표시했닀. 닀륞 국겜 지역 고을곌 마찬가지로 군사 시섀에 대한 낎용읎 자섞하게 묘사됐닀. 동북쪜에서 서낚쪜윌로 흐륎는 압록강읎 낚쪜에서 동쪜을 돌아 나가는 것처럌 왜곡되ꞎ 했지만, 압록강변의 읍성곌 산양회진山矊會鎭, 아읎진阿耳鎭을 비롯핎서 여러 개의 파수와 뎉수륌 자섞히 표시했닀(도4). <쎈산부지도>륌 제작하멎서 쎈산부에 소속된 아읎진, 우현진, 찚령진, 산양회진 등 여러 진지도가 별도로 귞렀졌는데, 한 사람에 의핎 믌화풍윌로 제작되얎 흥믞롭닀.

도4 <쎈산부지도>, 《1872년 군현지도》, 1872년, 채색필사볞, 81.3×52.5㎝,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지도 속 평안도의 명승

평안도는 철령鐵嶺 고개의 서쪜에 있닀고 하여 ꎀ서지방關西地方윌로도 불늬며, 사행로䜿行路읎자 조선 시대의 9대로 쀑 하나였던 ‘의죌로矩州路’의 쀑요한 Ꞟ목읎었닀. 따띌서 쀑국 사행을 닀녀였멎서 ꎀ서지방, 슉 평안도의 명승윌로 ꌜ히는 강계의 읞풍룚仁颚暓, 의죌의 통군정統軍亭, 선천의 동늌폭東林瀑, 안죌의 백상룚癟祥暓, 평양의 연ꎑ정緎光亭, 성천의 강선룚降仙暓, 만포의 섞검정掗劍亭, 영변의 앜산동대藥山東臺 등을 귞늰 명승도가 제작됐고, 《ꎀ서명구첩》(개읞소장), 《ꎀ서십겜도》(국늜쀑앙박묌ꎀ 소장), 《ꎀ서명승도첩》(서욞역사박묌ꎀ 소장) 등읎 알렀졌닀. 1872년 평안도 지도에도 명승윌로 읎늄난 누정暓亭읎 빠짐없읎 귞렀졌닀.

도5 <안죌목지도>, 《1872년 군현지도》, 1872년, 채색필사볞, 138.8×100㎝, 규장각한국학연구



도5-1 <안죌목지도> 백상룚 부분

<안죌목지도>는 1945년 ꎑ복 당시 평안낚도 안죌군에 핎당하는 지역윌로 지도에 볎읎는 것처럌 규몚가 큰 고을읎었닀. 평안도가 평양곌 안죌의 첫 Ꞁ자륌 따서 만든 지명읞 것만 볎아도 읎곳읎 쀑심 지역읎띌는 것을 알 수 있닀(도5). 안죌목은 의죌에서 평양을 거쳐 한양윌로 가는 요충지로서 안죌읍에 섞워진 성은 낎성內城, 왞성倖城, 신성新城의 삌쀑윌로 구성됐닀. 지도에는 죌변 지역에 비핎 성의 축척을 확대하고 지형을 읎용한 구조적 특징 등을 맀우 상섞하게 묘사했닀. 왌쪜의 낎성에는 ꎀ아 걎묌듀읎 빌곡하고 믌가듀은 였륞쪜 왞성에 밀집핎 있는 몚습읎닀. 낎성의 걎묌 쀑 특히 T자형의 누정읞 백상룚癟祥暓륌 강조하고 있는데, 백상룚는 ê³ ë € 때 왞적읎 칚입했을 때 병력을 지휘하던 쀑요한 장대將臺로 청천강淞川江읎 한눈에 낎렀닀볎읎는 곳에 섞웠닀. 조선 시대에 개볎수되멎서 탁 튞읞 조망윌로 더욱 읎늄나 ‘ꎀ서제음룚關西第䞀暓’띌는 현판읎 걞렞윌며 ꎀ서팔겜의 하나로 ꌜ혔닀. <안죌목지도>에 귞렀진 백상룚와 19섞Ʞ 싀겜산수화 《ꎀ서십겜도》의 백상룚륌 비교핎볎멎, 서쪜에서 동쪜을 향핎 부감한 시점, Ʞ닚 위 볞채에 곁채가 붙여진 구조, 누마룚로 였륎는 계닚 등읎 정확하게 귞렀진 점에서 읎 지도가 싀겜읎 충싀하게 묘사된 지도띌는 것을 알 수 있닀(도5-1, 도6). ê·ž 왞에도 뎉수, 사찰, 신당神堂 등의 낎용읎 상섞하여 고을의 읞묞적 낎용을 자섞히 알 수 있닀. 닀음혞에는 《1872년 군현지도》로 볞 핚겜도가 읎얎진닀.


도6 <안죌 백상룚>, 《ꎀ서십겜도》, 19섞Ʞ, 지볞채색, 58.3×42㎝, 국늜쀑앙박묌ꎀ



김성희 | 묞화재청 묞화재감정위원
명지대학교 믞술사학 박사곌정을 마쳀윌며,
현재 명지대학교 겞임조교수, 한국고지도연구학회 학술읎사읎닀.
공저로는 《옛지도로 재현하는 겜상도 상죌》가 있닀.
또한 고지도 칌럌 Ʞ고와 전시 자묞 등을 맡았닀.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