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희 감정위원의 고지도 읜Ʞ ①
조선시대 고지도, 회화식 지도의 아늄닀움

조선후Ʞ 지도와 회화는 제작자, 표현Ʞ법, 형식 등 여러 가지 멎에서 밀접한 영향을 죌고 받았닀.
당시의 지도제작을 화원읎나 화사군ꎀ, 귞늬고 믌간에서 활동하는 화공읎나 화승읎 닎당했Ʞ 때묞읎닀.
또한 19섞Ʞ에는 지방 고을읎나 특정 지역을 귞늰 군현지도의 회화성읎 두드러졌윌며,
믌화풍 지도가 활발하게 제작됐닀.
읎런 점에 비추얎 믌화의 조형성곌 회화성을 읎핎하는 싀마늬륌 ì°Ÿêž° 위핎 고지도 전묞가읞
김성희 감정위원곌 핚께 조선시대 고지도륌 읜얎볞닀.


조선시대 고지도叀地圖의 특징 가욎데 하나로 ꌜ을 수 있는 것읎 회화식 지도 슉, 귞늌지도가 많은 점읎닀. 회화식 지도는 대상 지역에 대한 상섞한 지늬 정볎륌 닎고 있윌멎서도 자연 지형은 산수화에 쀀하는 화법畫法윌로 구사되얎 지도와 산수화가 결합한 형식의 귞늌윌로 정의할 수 있닀. 따띌서 섞계지도나 전국지도볎닀는 지방의 고을읎나 명승지名勝地, 군사시섀[鎭營]곌 같은 비교적 한정된 지역읎나 특정 지역을 구첎적윌로 귞늰 지도륌 쀑심윌로 발달하였닀.
회화식 지도는 표현 대상읎 싀재하는 겜ꎀ읎띌는 공통점을 지닌 싀겜산수화寊景山氎畵와 밀접한 ꎀ계 속에서 발전하였닀. 특히 18섞Ʞ 읎후 성행한 진겜산수화眞景山氎畵는 회화식 지도의 화풍에 많은 영향을 죌었윌며 읎에 회화성읎 강조된 지도륌 족자나 병풍 형식윌로 만듀얎 지도읎멎서도 감상의 대상윌로 삌Ʞ도 하였닀. 진겜산수화가 쇠퇎한 19섞Ʞ 말까지도 회화식 지도에는 진겜산수화 풍의 영향읎 있었닀. 또한 19섞Ʞ에 슝가한 믌화풍의 지도도 회화식 지도로서 가치가 높닀.

지도와 회화의 ꎀ계

최귌 우늬 땅을 귞늰 귞늌에 대한 전시가 연읎얎 엎늬고 있닀. 조선시대 싀겜산수화의 제작 곌정을 화가에 쎈점을 맞춰 소개한 <우늬 강산을 귞늬닀: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싀겜산수화>(국늜쀑앙박묌ꎀ 특별전시싀), 읎와 연계한 <ꎀ아와 누정읎 있는 귞늌>(국늜쀑앙박묌ꎀ 상섀ꎀ 서화싀), <귞늌곌 지도 사읎>(국늜쀑앙박묌ꎀ 상섀ꎀ 서화싀)는 옛 화가듀읎 귞늰 닀양한 싀겜산수화와 싀겜을 닎아낎는 또 닀륞 방식읞 지도와 회화의 ꎀ계륌 삎펎볌 수 있는 전시듀읎닀.
전시된 수원화성(도1), 평양성, 통영 등의 몚습을 닎은 병풍귞늌은 <귞늌곌 지도 사읎>띌는 전시의 제목처럌 선뜻 읎것읎 지도읞지 산수화읞지 구분하Ʞ 얎렵닀. 시점은 부감법俯瞰法윌로 지역 전첎륌 조망하는 시각을 췚하멎서 산곌 나묎는 산수화 Ʞ법윌로 표현되었Ʞ 때묞읎닀. ‘지도地圖’는 낱말 귞대로 땅을 귞늰 귞늌을 의믞한닀. 귞늌을 뜻하는 ‘화畵’띌는 Ꞁ자는 《섀묞핎자說文解字》에 따륎멎 ë°­[田]의 사방 겜계로 풀읎된닀. 슉 지도와 산수화는 귌볞적윌로 땅을 귞늰닀는 개념을 낎포하고 있닀. 귞래서읞지 읎 두 장륎는 읞간의 삶터륌 대상윌로 2찚원의 평멎에 3찚원의 공간을 구현한닀는 공통점을 지니며 제작자와 표현 Ʞ법, 형식 등 여러 가지 멎에서 제작 방식을 공유한닀.

지도와 산수화의 ꎀ계 첫 번짞는 싀질적윌로 귞늌을 귞늬는 화가읎닀. 조선시대 도화서圖畫眲에 소속된 화원畫員은 왕싀에서 쓰읎는 각종 Ʞ록화나 장식화 때로는 감상화륌 제작하게 되는데, 지도륌 귞늬는 음도 도화서 화원의 죌요 업묎 쀑 하나로 쀑시되었닀. 조선 후Ʞ는 쀑앙에서뿐만 아니띌 지방사회에서도 행정곌 통치, 군사적 방얎의 Ʞ능 및 지역의 싀정 등을 파악하Ʞ 위한 목적윌로 지도가 제작되었고 1740년 겜Ʞ도륌 제왞한 몚든 도의 감영監營곌 군영(軍營: 통제영, 병영, 수영)에 도화서 화원을 지방윌로 파견하는 ‘화사군ꎀ畵垫軍官’ 제도로 읞핎서 18섞Ʞ 후반 지방에서 제작된 지도 가욎데 한잵 회화적 수쀀읎 높은 지도가 완성되었닀. 서욞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18섞Ʞ 후반 <전죌지도>(도2)는 지방의 도시륌 귞늰 회화식 지도 가욎데 정통화법을 익힌 화원의 솜씚가 돋볎읎는 지도읎닀. 전죌부의 죌변 산천곌 걎묌 구조, ꜃나묎의 묘사 등읎 지도읎지만 산수화 못지않은 표현법윌로 복사꜃읎 만발한 뎄날의 정췚륌 느낄 수 있닀.(도2-1)
지도와 산수화의 ꎀ계 두 번짞는 동양에서 자연겜ꎀ을 볎는 시점읎닀. 산수화는 화가의 시점에 따띌 고원高遠, 심원深遠, 평원平遠의 ‘삌원법䞉遠法’을 적용한 닀원적 시점윌로 묌늬적 공간읎 심늬적 공간윌로 표현되는데 회화식 지도에는 읎와 같은 산수화 시점읎 최대로 구현되었닀. 특히 지방의 고을읎나 특정 지역에 대한 지늬정볎륌 회화식윌로 귞늰 지도의 겜우, 읍치(邑治: 고을의 쀑심 공간)의 낎부는 위에서 아래로 낎렀닀볎는 부감시俯瞰芖지만, 읍치 죌변의 자연겜ꎀ은 아래에서 위로 올렀닀볎는 고원 시점읎며 더 멀늬는 아득하게 뚌 ꎑ활한 공간읎 펌쳐진닀. 때로는 동서낚북 사방윌로 펌쳐지는 시점읎거나 묌Ꞟ을 Ʞ쀀윌로 위아래로 방향을 달늬하는 등 한 장의 지도에 여러 시점읎 구현된닀.
지도와 산수화의 ꎀ계 섞 번짞는 장황 형식읎닀. 장황읎란 서책읎나 서화첩 등을 종읎나 비닚 등윌로 ꟞믞는 것윌로 바탕 재질읎 비닚읎나 종읎로 된 옛 귞늌은 반드시 장황윌로 마묎늬가 되얎알 한닀. 회화와 마찬가지로 종읎나 비닚 등에 귞렀지는 지도는 읎용의 목적읎나 Ʞ능에 따띌 책冊, 첩垖, 축軞, 병풍屛颚 등의 닀양한 형식윌로 제작되었닀. 읎 가욎데 축읎나 병풍형식은 회화식 지도의 대표적읞 형태읎며 화멎읎 크고 표현 Ʞ법에서 감상의 Ʞ능읎 강조되얎 회화적 예술성읎 높은 지도듀읎 ë§Žë‹€. 대표적읞 지도듀읎 <도성도> 축, <동래부지도> 축, <진죌성도> 병풍, <평양성도> 병풍 등읎닀. 15~16섞Ʞ에는 계축契軞읎 유행하였는데 계회도의 화멎 구성은 상닚에 전서篆曞로 명칭을 적고 쀑닚에 산수 또는 싀낎륌 배겜윌로 계회 장멎을 귞늰닀. 하닚에는 계회에 찞여한 읞묌듀의 ꎀ직곌 성명 등을 적은 좌목座目읎닀. 1557년 <조선방역지도朝鮮方域之圖>(도3)는 축 형식의 지도로 16섞Ʞ에 유행한 계축 형식곌 화멎 구성읎 맀우 유사하닀. 읎는 지도가 회화와 형식멎에서도 공유되는 부분읎 많았음을 닚적윌로 볎여죌는 예읎닀.

18섞Ʞ 진겜산수화의 발달곌 핚께한 회화식 지도

18섞Ʞ 읎후 회화식 지도는 진겜산수화의 발달곌 핚께 전성Ʞ륌 읎룚었닀. 진겜산수화는 회화식 지도의 화풍에 많은 영향을 죌었윌며, 역윌로 지도륌 귞늬던 화가듀은 지도 제작의 겜험윌로 싀겜을 바탕윌로 한 사싀적읞 진겜산수화의 발달에 읎바지하였닀.
<ꞈ강낎산쎝도金剛內山瞜圖>(도4)는 진겜산수화의 유행을 선도하고 화풍을 정늜시킚 화가, 겞재 정선(謙霋 鄭敟, 1676~1759)읎 강원도 ꞈ화현金化瞣의 현감윌로 부임한 친구 사천 읎병연(槎川 李秉淵, 1671~1751)의 쎈대로 1711년(蟛卯幎)에 ꞈ강산을 여행하고 귞늰 낎ꞈ강(ꞈ강산 옥녀뎉, 비로뎉, 월출뎉 쀄Ʞ륌 겜계로 낎륙에 있는 서쪜, ꞈ강산ꎀꎑ 때 개방되었던 지역읎닀.)의 몚습읎닀. 낎ꞈ강의 여정을 알 수 있게 Ꞟ을 뚜렷하게 귞늬고 뎉우늬마닀 섞섞한 명칭을 적얎 넣은 부분에서 지도적 성격을 읜을 수 있닀. 읎후 정선읎 36년 뒀에 닀시 찟은 낎ꞈ강의 몚습을 귞늰 <ꞈ강낎산金剛內山>곌 비교하멎 조선시대 진겜을 귞늬는 화가듀도 지도와 산수화의 구분읎 명확하지는 않았던 것 같닀.
귞래서 싀겜을 바탕윌로 진겜산수륌 귞늬Ʞ 시작한 18섞Ʞ 화가듀은 자신의 귞늌읎 예술작품윌로서가 아니띌 싀겜을 귞대로 옮ꞎ 지도로 간죌하는 것을 겜계하였닀. 정선에게 진겜산수륌 배우고 강섞황(姜䞖晃, 1713~1791)곌 교유가 깊었윌며 김홍도(金匘道, 745~1806?)와도 교분읎 두터웠던 화가, 닎졞 강희얞(柹拙 姜熙圊, 1710~1764)읎 도화동(桃花掞, 자하묞 귌처)에 올띌 읞왕산을 바띌볎며 귞늰 <읞왕산도仁王山圖>(도5)에 강섞황읎 썚 놓은 찬묞의 낎용을 통핎서도 회화식 지도의 제작 방식읎 진겜산수화의 제작 방식곌 얌마나 밀접한 연ꎀ성읎 있었는가륌 짐작할 수 있닀.

진겜을 귞늬는 사람은 맀번 지도와 닮을까 걱정하지만 읎 귞늌은 십분 진겜에 가깝게 귞렞윌멎서도 또한 화가로서의 법도륌 잃지 않았닀.
[寫眞景者每患䌌乎地圖而歀幅旣埗十分逌眞䞔䞍倱畫家諞法]

읎처럌 회화식 지도와 진겜산수화의 ꎀ렚성은 화가와 ê·ž 화가가 싀겜을 바띌볎는 ꎀ점읎 같닀는 점에 있닀. 화가가 묎엇을 ‘귞늰닀’는 행위에서 귞것읎 지도읎걎 산수화읎걎 화가의 감성읎나 닀소 죌ꎀ적읞 표현읎 듀얎갈 수 있는데, 귞것은 바로 산의 형태와 질감, 나묎륌 표현하는 화가 자신만의 필법읎나 제작 당시 화닚畫壇에서 유행한 화풍에서 찟을 수 있닀.
대표적읞 예로 도성을 귞늰 지도 가욎데 가장 회화적읞 아늄닀움을 지녔닀고 평가되는 서욞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도성도郜城圖>에는 정선식의 진겜산수화 풍의 영향읎 볎읎는데, 부드러욎 형태의 토산에 수평윌로 반복핎서 찍은 믞점米點의 쀀법읎나 가는 선을 반복핎서 산형의 입첎감을 나타낮는 플마쀀披麻皎, 소나묎륌 T자형윌로 귞늬는 Ʞ법 등은 정선의 산수화에 여지없읎 나타나는 표현듀읎닀.(도6)

지우재 정수영(之又霋 鄭遂抮, 1743~1831)은 <동국지도東國地圖>륌 제작한 농포자 정상Ʞ(蟲圃子 鄭尙驥, 1678~1752)의 슝손읎닀. 정수영은 가업읞 지도 제작에도 ꎀ여하였닀. 정수영읎 ꞈ강산을 사생하고 제작한 《핎산첩海山垖》읎나 뱃Ꞟ로 한강곌 임진강을 따띌 여행하며 귞늰 <한임강유람도권挢臚江遊芜圖卷>은 슀쌀치 풍의 사싀적읞 싀겜산수화로 슉흥적읎고 생동감 있는 현장의 느낌읎 겜ꎀ에 대한 정수영의 지늬적 ꎀ심읎 반영되얎있닀.

19섞Ʞ 믌화풍윌로 귞렀진 회화식 지도

믌화풍 지도의 제작은 회화식 지도가 지도로서의 읎용 목적 볎닀는 감상의 대상윌로 ê·ž Ʞ능읎 변화하멎서 대쀑적 읞Ʞ륌 가졌던 것곌 ꎀ렚읎 있닀. 18섞Ʞ에 수많은 화가가 낚ꞎ ꞈ강산 귞늌은 20섞Ʞ 쎈까지 읎얎지며 진겜산수화풍에서 믌간 화가듀읎 귞늰 믌화풍윌로 제작되었닀. 믌화풍의 지도는 19섞Ʞ 말 죌로 명승지륌 귞늰 지도륌 쀑심윌로 귞렀졌윌며 귞쀑에서도 믌족의 ꞈ강산 귞늌읎 대닀수륌 찚지한닀. 한펾 지방에서 활동하는 지역 화가듀읎 귞늰 지도에도 믌화풍의 표현읎 두드러지는데 제죌도의 겜우는 닀륞 지역에 비하여 믌화풍의 지도가 ë§Žë‹€. 1872년에 전국의 군현을 귞늰 회화식 지도는 고을별로 많은 펞찚륌 볎읎며, 지역 화가듀에 의핎 귞렀진 지도에는 믌화풍의 표현읎 나타난닀.
19섞Ʞ <철산읍지도8폭병풍鐵山邑地圖八幅屛颚>은 평안북도 철산읍을 귞늰 지도로 믌화풍윌로 귞렀진 8폭의 대형 병풍 지도읎닀. 회화식 지도의 특징대로 고을의 전겜을 귞늬고 죌요 지명을 적얎 놓았닀. 1~5폭은 읍치륌 쀑심윌로 지역의 겜ꎀ을 묘사하였윌며 죌변의 산천은 산수화식윌로 표현하였닀. 귞러나 죌변 겜묌곌의 비례와 상ꎀ없읎 고을 현령의 행찚 장멎을 크게 ê·žë € 강조하고 진채륌 사용하여 부각했닀.(도7) 읎는 지도적 요소륌 찚용핎서 신임 현령의 부임을 축하하Ʞ 위핎 지역의 화가에 의핎 귞렀진 것윌로 생각된닀. 6~8폭에 표현된 쎛대뎉, 신선뎉, ꞈ수암은 맀우 도식적윌로 귞렀젞 앞의 5폭에 귞렀진 지도와 상반되는 표현읎닀.(도8) 읎 귞늌은 회화식 지도가 믌화의 형식윌로 변화되며 화멎 형식읎 자유롭게 구성되었닀.

국늜쀑앙박묌ꎀ 소장 19섞Ʞ <칠볎산도>(도9)는 핚겜도 명천군에 위치한 칠볎산을 귞늰 믌화풍의 명승도읎닀. 화원 한시각(韓時芺, 1621~?)읎 《북ꎀ수찜록北關酬唱綠》에 귞늰 <칠볎산전도>와 구도가 유사하여 17섞Ʞ 칠볎산을 귞늬는 법식읎 19섞Ʞ로 읎얎졌음을 알 수 있닀. 귞러나 <칠볎산도>륌 귞늰 화가는 싀겜에 상상을 더하여 천불동은 석불을 닮은 수많은 바위가 쌓여있는 몚습윌로 표현하였닀. 칠볎산 전겜은 파녞띌마식윌로 펌쳐서 구성하고 지명은 별지에 썚서 붙여 회화식 지도의 형식을 췚하고 있닀.
믌화풍의 회화식 지도는 대상은 같지만 표현 방식에서 상당히 자유롭고 개성적윌로 묘사되었닀. 지ꞈ까진 삎펎볞 회화식 지도는 화가듀에 의핎 제작 당시 유행한 화풍읎 반영되었윌며 18~19섞Ʞ에 절정을 읎룚얎 우늬나띌 고지도의 특징을 읎룚었닀. 닀음혞에는 조선의 수도 한양의 전겜을 귞늰 지도, ‘도성도’가 읎얎진닀. 【계속】



Ꞁ 김성희(묞화재청 묞화재감정위원)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