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부터 차근차근21 – 장수와 í˜„ì„¸ê¸°ë³µì˜ ì—¼ì› ë‹´ì€ ìš”ì§€ì—°ë„ ê·¸ë¦¬ê¸°

장수와 í˜„ì„¸ê¸°ë³µì˜ ì—¼ì› ë‹´ì€
ìš”ì§€ì—°ë„ ê·¸ë¦¬ê¸°

요지연ë„는 ì„œì™•ëª¨ì˜ ì—°íšŒìž¥ë©´ì„ ê·¸ë¦° ì‹ ì„ ë„ì´ë‹¤. ë§Žì€ ì‹ ì„ ê³¼ ë³´ì‚´ì´ ë“±ìž¥í•˜ëŠ” 그림으로 장수와 í˜„ì„¸ê¸°ë³µì˜ ì—¼ì›ì„ 담고있다. 요지연ë„ì˜ íŠ¹ì§•ê³¼ 소재를 살펴보고 다양한 ì±„ìƒ‰ê¸°ë²•ì„ í†µí•´ 그려보ìž.

요지연ë„란?

신비로운 ê³¤ë¥œì‚°ì˜ ìš”ì§€ì—서 서왕모가 ì£¼ë‚˜ë¼ ëª©ì™•ê³¼ 불보살과 모든 ì‹ ì„ ë“¤ì„ ì´ˆëŒ€í•˜ì—¬ 연회를 베푸는 ìž¥ë©´ì„ ê·¸ë¦° ê²ƒì„ ìš”ì§€ì—°ë„ë¼ í•œë‹¤. ë°˜ë„대회 í˜¹ì€ ì„œì™•ëª¨ 탄신ì¼ì´ë‚˜ 3천년 마다 ì„ ë„ê°€ ìµëŠ” ê²ƒì„ ê¸°ë…하여 불보살과 ì‹ ì„ ë“¤ì´ ìš”ì§€ì— ëª¨ì´ëŠ” ê²ƒì„ ë¬˜ì‚¬í–ˆë‹¤. 서왕모 ì—°íšŒì˜ ê³ ì‚¬ì™€ êµ°ì„ ì´ ëª¨ì´ëŠ” 고사는 ì›ëŒ€ì— ê²°í•©ë˜ì—ˆìœ¼ë©°, 명대를 지나며 ì˜ë¯¸ê°€ 혼ë™ë˜ì–´ ê°™ì€ ì˜ë¯¸ë¡œ ì“°ì´ëŠ” 경우가 많았다. ë˜í•œ, 명·청대 소설 ì†ì—서 ì¦ê²¨ 묘사ë˜ì—ˆë‹¤.

요지연ë„ì˜ íŠ¹ì§•
중국

요지연ë„ë¼ëŠ” ì œëª©ì˜ ê·¸ë¦¼ì„ ì°¾ê¸° 어려우며 요지헌부ë„, 군선회축수ë„와 ê°™ì´ ì„œì™•ëª¨ì˜ ì¶•ìˆ˜í•œ ì œëª©ì˜ ê·¸ë¦¼ë“¤ì´ ë§Žë‹¤. ë‚¨ì†¡ì˜ í™”ì›í™”ê°€ ìœ ì†¡ë…„ì˜ ìš”ì§€í—Œìˆ˜ë„, ëª…ëŒ€ì˜ ì¸ë¬¼í™” í™”ì›ìœ¼ë¡œ 유명한 구ì˜ì˜ ì¸ë¬¼ê³ ì‚¬ë„ ì±…ì—서 확ì¸í•  수 있다.

한국

조선시대 요지연ë„는 ìœ¡ì§€ì˜ ì—°íšŒìž¥ë©´ê³¼ 불보살과 êµ°ì„ ë“¤ì´ ë„해하는 장면으로 ë…립ì ì¸ ê²ƒì´ íŠ¹ì§•ì´ë‹¤. 18세기초 윤ë‘ì„œì˜ ìš”ì§€ì—°ë„나 요지군선ë„ì— ì¸ìž¥ì´ ì°í˜€ìžˆë‹¤. 정조시대ì—는 ê·œìž¥ê° ì°¨ë¹„ 대령화ì›ì˜ ë…¹ì·¨ì œì— ì¶œì œëœ ë°” 있다.(ì„œìª½ì„ ë°”ë¼ë³´ë‹ˆ 서왕모가 내려오다 – ë„í™”ì› í™”ì œ) 18세기 ì´ˆ 숙종시대ì—는 ì—´ì„ ë„와 요지ë„ëŒ€íšŒë„ ë“± ê´€ë ¨ëœ ë‚´ìš©ì´ ìžˆë‹¤.

요지연ë„ì˜ ì†Œìž¬
ì¸ë¬¼

í•™ì„ íƒ„ ì‹ ì„ , êµ°ì„ , 불보살, ì„ ë…€

악기

편종, 편경, 비파, 대금, ìƒí™©, ë¶, 피리, ë°•

ë™ë¬¼

봉황, ë§, 호랑ì´, 소, ì½”ë¼ë¦¬, 기린, 사슴

나무

천ë„복숭아, 대나무, 오ë™ë‚˜ë¬´, ëŠí‹°ë‚˜ë¬´, 소나무, 장미, 모란

기타

ì „ê°ê³¼ 누대, 아름다운 산수와 구름, 파ë„, ê´´ì„
요지연ë„는 길ìƒì ì¸ 장ì‹í™”로 ì“°ì´ê¸°ë„ 했지만, 1800ë…„(ì •ì¡°24ë…„) ì™•ì„¸ìž ìˆœì¡° ì±…ë´‰ì„ ê¸°ë…하여 선전관청ì—서 ì™•ì„¸ìž ì±…ë¡€ ê³„ë³‘ì´ ìžˆë‹¤. 1912ë…„(순조12ë…„) íš¨ëª…ì„¸ìž ì™•ì„¸ìžê°€ ì±…ë´‰ëœ ê²ƒì„ ê¸°ë…하여(1809ë…„ 왕세ìžê°€ íƒœì–´ë‚¬ì„ ë‹¹ì‹œ) 산실
ì²­ì—서 ì™•ì„¸ìž íƒ„ê°• ê³„ë³‘ì´ ìžˆë‹¤.
※1800ë…„ 책혜 ê³„ë³‘ì€ í˜¸ëž‘ì´ íƒ„ ì‹ ì„ , 불보살과 사천왕, 나한, ì‹ ì„ , 민간신앙ì—서 불êµì™€ 결합하여 토착화해 불êµì  색채가 나타나는 ê²ƒì´ íŠ¹ì§•ì´ë‹¤.

ìš”ì§€ì—°ë„ ê·¸ë¦¬ëŠ” 법
1. 스케치(ë°ìƒ)

모조지나 í™”ì§€ì— ê·¸ë¦¬ë ¤ê³  하는 요지연ë„를 팔분할법으로 스케치를 하고 출초를 만든 ë‹¤ìŒ ì´ˆ(í™”ë„)를 ë°‘ì— ë†“ê³  한지를 ìœ„ì— ë†“ì€ ë‹¤ìŒ ë¨¹ìœ¼ë¡œ 본 ìž‘ì—…ì„ í•œë‹¤. ì—°ê²° 병í’ì¼ ê²½ìš° í­ë‹¹ 사ì´ì¦ˆë¥¼ 재고 난 ë‹¤ìŒ ì–‘ì˜†ìœ¼ë¡œ 1.5ãŽ~2ãŽì •ë„로 ì ‘ì€ ë‹¤ìŒ ì—°ê²°í•´ì„œ 그려야만 정확하고 병í’ì„ ìž¥í™©í•  때 튼튼하다.

2. ì¸ë¬¼ 그리기

ì†ê³¼ ì–¼êµ´ì€ ì£¼ìƒ‰ì— ë¨¹ ì•½ê°„ì„ ì„žì–´ 운필한다. ê±´, ê´€, 허리ë , 공작, 오리, 사슴 ë“±ì€ ì„¸í•„
ì„ ì‚¬ìš©í•´ ë†ë¬µìœ¼ë¡œ 운필한다. 깃과 소매ëì€ ë†ë¬µìœ¼ë¡œ 채색한다.

3. 배경 그리기

바위 세필 ë†ë¬µìœ¼ë¡œ 운필한다. 구름 화연법과 구운화법으로 세필로 ì„ ì„ ê·¸ì–´ 운필한다.
íŒŒë„ í•´ì¡°í™”ë²•ìœ¼ë¡œ 물결 맨 ìœ„ì— ì„ ì„ êµµê²Œ 긋고 ì•„ëž˜ìª½ì„ ì„¸í•„ë¡œ 촘촘히 ì„ ì„ ê·¸ì–´ 운필한다. 소나무 난침법으로 ì†”ìžŽì„ ìš´í•„í•˜ê³  나무는 비늘무늬로 ì–‘ì˜†ì„ ì§„í•˜ê²Œ 하고 가운ë°ìª½ìœ¼ë¡œ í리게 산수필로 운필한다. 오ë™ë‚˜ë¬´, 모란나무 ë‚˜ë­‡ìžŽì„ ì„¸í•„ì— ë†ë¬µìœ¼ë¡œ 운필하고 나무는 ì‚°ìˆ˜í•„ì— ë†ë¬µìœ¼ë¡œ 양옆ì—서 ì‚ì¹˜ë“¯ì´ ì•ˆìª½ìœ¼ë¡œ ì„ ì„ ê¸‹ëŠ”ë‹¤. ëŠí‹°ë‚˜ë¬´, 단í’나무 ê°œìžì , êµ­í™”ì , 차륜ì ì„ 활용해 묵법으로 ì„ ì„ ê·¸ì–´ 운필한다. 괴목 ì™¸ê³½ì„ ì„ ê·¸ì€ ë‹¤ìŒ ë‚˜ë¬´ë¬´ëŠ¬ë¥¼ ì–‘ì˜†ì— ì‚¬ì„ ìœ¼ë¡œ 선수 그어 운필한다. 대나무, 천ë„화나무 ì„¸í•„ì— ë†ë¬µìœ¼ë¡œ ì„ ì„ ì„ ì„ ê·¸ì–´ 운필하고, 나무무늬는 ëŠí‹°ë‚˜ë¬´ì™€ ë™ì¼í•˜ë‹¤. í’€ì  ì´ˆì´ˆì ì´ë‚˜ ê°œìžì ì„ 산수필로 위ì—는 진하게, 아래는 í리게 하여 ì ì„ ì°ì–´ 운필한다. 괴목잎 ì™¸ê³½ì„ ì„ ê·¸ë ¤ë†“ê³  ë°”íƒ•ìƒ‰ì„ ì±„ìƒ‰í•œ ë‹¤ìŒ ê°œìžì ì´ë‚˜ ìš´ìš©ì ì‹ìœ¼ë¡œ ì ì„ ì°ì–´ 완성한다.

4. ì•„êµí¬ìˆ˜

ì•„êµí¬ìˆ˜ëŠ” 물 2/3, ì•„êµ 1/3ì„ ì„žì–´ì„œ 중탕한 후 ì‹í˜€ì„œ 한다.

ì¸ë¬¼ 채색하기
1. 바위

바위 ë©ì–´ë¦¬ì˜ ì¤‘ê°„ì¤‘ê°„ì„ ì£¼ìƒ‰ê³¼ ë¨¹ìƒ‰ì„ ì„žì–´ 바림한다. ì—°ë‘색으로 전체를 채색한 후 대ìžìƒ‰ 채색 바림한 ê³³ì—서 바림한다. êµ°ì²­ìƒ‰ì„ ë°”ìœ„ 위쪽ì´ë‚˜ 중간쯤ì—서 바림한다. êµ°ì²­ìƒ‰ì„ ì±„ìƒ‰í•œ 후 ê°ˆìª½ì— ì„¸í•„ ë†ë¬µìœ¼ë¡œ 굵게 ì„ ì„ ê¸‹ê³ , 안쪽ì—는 가늘게 ì„ ì„ ê¸‹ëŠ”ë‹¤. ë°”ìœ„ì„ ì„ ê·¸ë¦° 안쪽으로 í™©ìƒ‰ì„ ì„ ê·¸ë¦°ë‹¤.

2. ê´´ì„바위

ë°±ìƒ‰ë°”íƒ•ì— êµ°ì²­ìƒ‰ìœ¼ë¡œ 바림하고 ë§ì„ ì„ 그린다. ê´´ì„ ì¤‘ê°„ì— ë™ê·¸ëž€ ê²ƒì€ ë°˜ë‹¬ê°™ì´ ë‚¨ê¸°ê³  바림한 색으로 채색한다.

3. 구름

주색, 황색, ë°±ìƒ‰ì„ 1:2:7ì˜ ë¹„ìœ¨ë¡œ ì„žì€ í›„ êµ¬ë¦„ì„ ì´ ìž˜ ë³´ì´ê²Œ 전체를 채색한다. 먹색, 주색, í™©ìƒ‰ì„ 0.5:1.5:8ì˜ ë¹„ìœ¨ë¡œ ì„žì€ í›„ 구름 ë©ì–´ë¦¬ê°€ 나온 ê³³ì´ë‚˜ ë­‰ì³ìžˆëŠ” ê³³ì— ë„“ê²Œ 바림한다. 백색(호분)ì„ ë†ì±„로 하여 ë©ì–´ë¦¬ 안쪽ì—서부터 ì„ ì„ ê¸‹ëŠ”ë‹¤.

4. 바닥

백나무 ë°‘, ì¸ë¬¼ 앞쪽, 바위 꺾어진 ê³³ì„ í™©ìƒ‰ê³¼ ì£¼ìƒ‰ì„ ì„žì€ í›„ 넓게 바림하고 꺾어진 ê³³ì€ ì „ì²´ë¥¼ 채색한다.

5. 파ë„

대ìžìƒ‰ìœ¼ë¡œ 전체를 채색한다. 아래쪽 ìž”ì„ ì´ ë§Žì€ ê³³ì— ê°ìƒ‰(군청색)ê³¼ 주색 ì•½ê°„ì„ ì„žì€ ë‹¤ìŒ ìž”ì„  ë까지 채색하고 바림한다. 파ë„ë¬¼ê²°ì˜ ë°±ë°”íƒ•ì— ê°ìƒ‰ìœ¼ë¡œ ì•„ëž˜ìª½ì— ì‚´ì§ ë°”ë¦¼í•˜ê³  ê°ìƒ‰ì„ 좀 ë” ì§„í•˜ê²Œ í•´ ë§ì„ ì„ 그린 ë‹¤ìŒ ì§„í•œ 백색으로 ë¬¼ë°©ìš¸ì´ íŠ•ê¸°ë“¯ ì ì„ ì°ëŠ”ë‹¤.

6. 나무채색

소나무는 ë°ì€ 대ìžìƒ‰ìœ¼ë¡œ ì–‘ìª½ì„ ë°”ë¦¼í•œë‹¤. ì†”ìžŽì€ ê°ìƒ‰ê³¼ 녹청색으로 ì•„ëž˜ìª½ì„ ì§„í•˜ê²Œí•´ 전체를 채색한다. 오ë™ë‚˜ë¬´ëŠ” 나무와 ìžŽì„ í™©ìƒ‰ 중담채로 ë°”íƒ•ìƒ‰ì„ ì±„ìƒ‰í•˜ê³  ê°ìƒ‰ìœ¼ë¡œ ë‚˜ë¬´ì˜ ì–‘ì˜†ì„ ë°”ë¦¼í•œë‹¤. ë‚˜ë­‡ìžŽì€ ì¤‘ë‹´ì±„ë¡œ 아래ì—서 위쪽으로 넓게 바림한다. 대나무는 녹청색으로 채색한다. ì™¸ê³½ì„ ì€ ë†ë¬µìœ¼ë¡œ ì„ ì„ ê¸‹ê³  ê°€ìš´ë° ë°±ì„ ì„ ê·¸ì–´ 마무리 한
다. ëŠí‹°ë‚˜ë¬´ì˜ ëª¸í†µì€ ëŒ€ìžìƒ‰ìœ¼ë¡œ 바림하고, ìžŽì€ í™©ìƒ‰ê³¼ 주색과 먹 ì•½ê°„ìƒ‰ì„ ì„žì–´ 아래ì—서 위쪽으로 바림한다. ê´´ëª©ì€ êµ°ì²­ìƒ‰ìœ¼ë¡œ 바탕 전체를 채색한 ë‹¤ìŒ ì—°ë‘색으로 ê°œìžì  무늬를 그린다. 나무는 대ìžìƒ‰ìœ¼ë¡œ ì–‘ì˜†ì„ ë°”ë¦¼í•œë‹¤. 천ë„í™”ë‚˜ë¬´ì˜ ëª¸í†µì€ ëŒ€ìžìƒ‰ìœ¼ë¡œ 바림하고 ìžŽì€ í™©ìƒ‰ê³¼ 녹청색으로 반반씩 채색한다. ìžŽë§¥ì€ ë†ë¬µìœ¼ë¡œ 그린다. 천ë„는 ë°±ìƒ‰ë°”íƒ•ì— ê¼­ì§€ë¥¼ 연지색으로 바림하고 ë§ì„ ì„ 그린 ë’¤ ì ì„ 2~3ê°œ í리게 ì°ëŠ”ë‹¤. í’€ì ì€ 황토색 ë°”íƒ•ì„ ì „ì²´ 채색하고, ê°ìƒ‰ìœ¼ë¡œ 바림한다. êµ°ì²­ë°”íƒ•ìƒ‰ì€ ì—°ë‘색으로 진하게 í•´ ê°œìžì ë¬´ëŠ¬ë¥¼ 그린다.

7. 계단, 뜨ë½

계단 ëœ¨ë½ ìœ„ìª½ì„ ë°±ìƒ‰ìœ¼ë¡œ 채색한 후 ê°ìƒ‰ì„ í리게 í•´ 바림한다. 뜨ë½ì˜ 꺾어진 ê³³(뜨ë½ë²½)ì— í™©í† ìƒ‰ê³¼ 주색, ë¨¹ì•½ê°„ìƒ‰ì„ ì„žì€ í›„ 아래ì—서 위쪽으로 넓게 바림한다. 무늬가 그려진 ê³³ì—는 ì„  안쪽으로 ë°±ìƒ‰ì„ ë†ì±„로 í•´ ì„ ì„ ê·¸ë¦°ë‹¤.

8. 난간

ì—°ë‘색과 ì£¼ìƒ‰ì„ ì„žì€ í›„ 난간 전체를 채색한다. ê·¸ 후 ë” ì§„í•œìƒ‰ìœ¼ë¡œ 난간 ì¡°ê°ëœ ê³³ì— ì˜†ìœ¼ë¡œ ë§ì„ ì„ 그린다. 가운ë°(ì¤‘ì‹¬ì´ ë˜ëŠ” ê³³)ì—는 ë°±ìƒ‰ë°”íƒ•ì— ë†ë¬µìœ¼ë¡œ ë„ìžê¸° ë¬´ëŠ¬ê°™ì´ ë°”ë¦¼í•œë‹¤.
q1

9. ë§

팔준마는 í•˜ì–€ë§ 3마리, ê°ˆìƒ‰ë§ 3마리, ì í† ë§ˆ 2마리다. ì í† ë§ˆëŠ” 얼룩ë§ì„ 표현한다.
ë§ë“±ì•ˆìž¥ê³¼ ì•ˆìž¥ì€ ì£¼í™ìƒ‰, 군청색, ì—°ë‘색으로 ë°”íƒ•ì„ ì±„ìƒ‰í•˜ê³  무늬를 그린다. ë§ëˆì€ 군청색 ë°”íƒ•ì— í°ì ì„ 촘촘히 ì°ëŠ”ë‹¤. ëˆê³¼ ëˆì´ ì—°ê²°ë˜ëŠ” ê³³ì€ í™©ìƒ‰ì´ë‹¤. 마차 위와 둘레 ëª¨ë‘ í™©ìƒ‰ì´ê³ , ì²œìž¥ì€ ë†ë¬µ, 휘장 황색, ì—°ë‘색, 군청색으로 ë°”íƒ•ì„ ì±„ìƒ‰í•˜ê³  무늬를 그린다. 깃발, ì°½ëì€ í•˜ëŠ˜ìƒ‰ì´ê³  주í™ìƒ‰ê³¼ êµ°ì²­ìƒ‰ì´ ìžˆìœ¼ë©°, ë„ë¼ ì£¼ìœ„ì˜ ìž¥ì‹ë¬¼ë„ 황색ì´ë‹¤. 행사 ê¹ƒë°œì€ ë†ë¬µë°”íƒ•ì— ë¬´ëŠ¬ë¥¼ 그리고 í…Œë‘리ì—는 군청색 ë°”íƒ•ì— ë°±ì„ (ë§ì„ )ì„ ê·¸ë¦°ë‹¤.

10. 사슴, 소, ê±°ë¶, 잉

ì‚¬ìŠ´ì€ ê°ˆìƒ‰ìœ¼ë¡œ, 소는 푸르게, ê±°ë¶ì´ëŠ” 대ìžìƒ‰ë°”íƒ•ì— êµ°ì²­ìœ¼ë¡œ 바림한다. 잉어 역시 군청색ì´ë©°, ë´‰í™©ì€ íŒ”ìƒ‰, 공작새는 ì—°ë‘색, í•™ì€ ì²­í•™ì´ë‚˜ 백학으로 나타낸다.

11. 기물

주í™, êµ°ì²­, ì—°ë‘, ë°±, í™ ë“± 여러 가지 색으로 표현한다.

12. 악기

피리는 황토색, ìƒí™©, 비파, 거문고, 딱따기, 기타 ë“±ì€ ëŒ€ìžìƒ‰ìœ¼ë¡œ 채색한다. ë¶ì€ 둘레를 주í™ìƒ‰ìœ¼ë¡œ, 맨위 태극 ë¬¸ì–‘ì„ í™©ìƒ‰ìœ¼ë¡œ, 다리는 ì—°ë‘색으로 채색하고 무늬를 그려 넣는다.

13. 태ì 

나무, 바위, ê´´ì„바위를 ë†ë¬µìœ¼ë¡œ í트러지게 ì ì„ ì°ê³  ì—°ë‘색으로 ë¨¹ì  ì•ˆì— ì ì„ ì°ëŠ”ë‹¤.
â€»ë¨¹ì  ë°–ìœ¼ë¡œ 나오면 안ëœë‹¤.

ì¸ë¬¼ 채색하기
1. 남ìž

남ìžëŠ” ê±´, ê´€, ì‹ ë°œì„ ì¤‘ë¬µìœ¼ë¡œ ë°”íƒ•ìƒ‰ì„ ì±„ìƒ‰í•˜ê³  ë†ë¬µìœ¼ë¡œ ë°”ë¦¼ì„ í•œë‹¤. ì–¼êµ´ì€ ì£¼ìƒ‰, 황색, ë°±ìƒ‰ì„ 1:2:7로 섞어 ë°”íƒ•ìƒ‰ì„ ì±„ìƒ‰í•˜ê³  주색과 먹 ì•½ê°„ì„ ì„žì–´ 얼굴, ì†, ì´ë§ˆ, ë³¼, ì†ë“±ì„ 위ì—서 아래로 바림한다. ë°±, ì—°ë‘, êµ°ì²­, 주í™ìƒ‰ìœ¼ë¡œ 바탕색으로 채색하고 무늬를 그린다. 백색 ë°”íƒ•ì— ì—°ì§€, ì—°ë‘, 군청색으로(황색 í¬í•¨) 바림하고 ë§ì„ ì„ 그린다.

2. ì—¬ìž

ì—¬ìžëŠ” 머리를 ê²½ê³„ì„ ì„ ë¹¼ê³  ë†ë¬µìœ¼ë¡œ 진하게 채색한다. ì–¼êµ´ì€ ì£¼ìƒ‰, 황색, ë°±ìƒ‰ì„ 0.5:1:8.5로 ì„žì€ í›„ ë°”íƒ•ìƒ‰ì„ ì±„ìƒ‰í•˜ê³  주색으로 ì´ë§ˆ, ë³¼, ì†ë“±ì„ 위ì—서 아래로 바림한다. ì˜·ì€ ìƒì˜ë¥¼ 주í™ìƒ‰, 군청색, ë…¹ì²­ìƒ‰ì„ ë°”íƒ•ìœ¼ë¡œ 채색하고 중간 치마는 백색(호분)으로 전체를 채색한 ë‹¤ìŒ ë¶„í™ìƒ‰, 분청색, ë¶„ë¡ìƒ‰ìœ¼ë¡œ 바림하고 ë§ì„ ì„ 그린 ë‹¤ìŒ ë¬´ëŠ¬ë¥¼ 그린다. 활옷 날개는 황색으로 ë°”íƒ•ì„ ì±„ìƒ‰í•˜ê³  주í™ìƒ‰ìœ¼ë¡œ 꺾어진 ê³³ì„ ë°”ë¦¼í•˜ê³  ë§ì„ ì„ 그린다. 허리ëˆì€ ì›í™”를 ë³´ê³  ë³´ë¼ìƒ‰(êµ°ì²­+í™)ì„ ì„ ì„ êµµê²Œ 날렵하면서 길게 ì„ ì„ ì‚ì¹˜ë“¯ì´ ê·¸ë¦°ë‹¤.

3. 기타

남ìžì™€ ì—¬ìž ëª¨ë‘ ëˆˆì€ ì¼ìžì  ê°™ì´ ì•½ê°„ 휘어지면서 가늘게 반달형으로 눈ì¹, ëˆˆì„ ê·¸ë¦°ë‹¤ìŒ ë†ë¬µìœ¼ë¡œ 눈ë™ìžë¥¼ 좌우 ë™ì¼í•˜ê²Œ ì ì„ ì°ëŠ”ë‹¤. ìž…ìˆ ì€ ì£¼í™ìƒ‰ìœ¼ë¡œ 앵ë‘처럼 작게 그린다. ì†ë°”지나 ì†ì¹˜ë§ˆëŠ” ë°”íƒ•ì„ ë°±ìƒ‰(호분)으로 ì „ì²´ 채색한 후 ê°ìƒ‰ìœ¼ë¡œ í리게 바림하고 ë§ì„ ì„ 그린다.
주ì¸ê³µ ë’¤ ì•¡ìž íŒë„¬ì€ ì™¸ê³½ì— ëŒ€ìžìƒ‰ì„ 채색하고 êµ°ì²­ìƒ‰ì„ ì±„ìƒ‰í•œ ë’¤ 무늬를 그린다. ì•¡ìžíŒë„¬ ì˜†ì€ ëŒ€ìžìƒ‰ê³¼ 백색으로 ë°”íƒ•ì±„ìƒ‰ì„ í•˜ê³  사선으로 겹치게 ì„ ì„ ê·¸ë¦° ë’¤ 무늬를 그려 넣는다. ì–‘ê·€í‰ì´ì˜ ëì€ ê¸ˆë‹ˆë¡œ 무늬를 그려 장ì‹í•œë‹¤. 행사용 ê¹ƒë°œì€ ë¨¹ë°”íƒ•ì— ë¬´ëŠ¬ë¥¼ 그려 넣고 둘레는 군청색으로 채색한 ë‹¤ìŒ ë°±ì„ ì„ ê·¸ë¦°ë‹¤.
o

 

글·그림 : 박수학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