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부터 차근차근 ⑫구름 부르고 비 내리는 ìƒìƒì˜ ë™ë¬¼ 용그림 그리기

ì œìž ê°•ì¸ìˆ™ 作
용그림 그리기

ìš©ì€ í˜¸ëž‘ì´ì™€ 함께 문배그림으로 사용ë˜ì–´ ì‚¿ëœ ê²ƒì„ ì«“ëŠ” ì˜ë¯¸ë¡œ 그려지거나, 방위를 수호하는 ê°œë…으로 사신ë„(ë¶-현무, 남-주작, 서-백호, ë™-청룡)ì˜ í•˜ë‚˜ë¡œ ê·¸ë ¤ì§€ê¸°ë„ í–ˆë‹¤. ë˜, 홀로 그려질 ë•Œë„ ê°œì¸ì˜ ìž…ì‹ ì–‘ëª…ì„ ê¸°ì›í•˜ëŠ” ì˜ë¯¸ë¥¼ ë‹´ì•„ 그려지곤 했다. ìƒìƒì˜ ë™ë¬¼ì´ì§€ë§Œ, 우리ì—게 친숙한 ë™ì‹œì— 강력한 믿ìŒì˜ 대ìƒì´ì—ˆë˜ ìš©ì„ ê·¸ë ¤ë³´ìž.

ë¬¼ì„ ë‹¤ìŠ¤ë¦¬ëŠ” ìš©ì˜ ìƒì§•ê³¼ ì“°ìž„

ë†ê²½ì‚¬íšŒì—서 ê°•ìˆ˜ëŸ‰ì€ í’ë…„ê³¼ í‰ë…„ì„ ê°€ë¥´ëŠ” 절대ì ì¸ 요건 ì¤‘ì˜ í•˜ë‚˜ì˜€ë‹¤. 그러므로 비를 관장하는 ì‹ ì¸ ìš©ì„ ìž˜ 모셔야 한다고 믿었다. 기우제는 분노한 ìš©ì„ ë‹¬ëž˜ëŠ” ìžë¦¬ì´ë©°, ë†ê¸°ì— 주로 ìš©ì´ ê·¸ë ¤ì¡Œë˜ ê²ƒë„ ì´ëŸ° ë°°ê²½ì—서 비롯ëœë‹¤.
ë˜ ìš©ì€ ë°”ë‹¤ë¥¼ 지배하는 존재로, ìš©ì˜ ê±°ì²˜ë¥¼ ìš©ê¶ì´ë¼ê³  하고 ìš©ì„ ìš©ì™•ì´ë¼ê³  하여 í’어제나 해신굿ì—ì„œë„ ë¹ ì§€ì§€ 않는 ê¸°ì› ëŒ€ìƒì´ì—ˆë‹¤. ì‹ ë¼ì˜ 왕 ë¬¸ë¬´ì™•ì€ ë™í•´ì˜ ìš©ì´ ë˜ì–´ 나ë¼ë¥¼ 지키겠다는 서ì›ì„ 남겨 ëŠ¥ì„ ë°”ë‹·ì†ì— ëª¨ì…¨ì„ ì •ë„로 ìš©ì€ ìš°ë¦¬ 민족ì—게 가까운 존재였다.
ì´ì²˜ëŸ¼ ìƒìƒì˜ ë™ë¬¼ìž„ì—ë„ ì‚¬ëžŒë“¤ì—게 강력한 믿ìŒì˜ 대ìƒì´ ëœ ìš©ì€ ê³§ 강력한 ì™•ê¶Œì„ ìƒì§•하는 ì˜ë¯¸ë¡œ 쓰였다. 황실과 왕실ì—서 ìž„ê¸ˆì„ ìƒì§•하는 ë™ë¬¼ë¡œ ìš©ì„ ì‚¬ìš©í–ˆìœ¼ë©°, ìž„ê¸ˆì˜ ì–¼êµ´ì„ ìš©ì•ˆé¾é¡”ì´ë¼ê³  칭하는 등 왕가와 관련해 ìš©ì´ ë“¤ì–´ê°„ ëª…ì¹­ì´ ë§Žê³ , ìš©í¬ì—는 ìš©ì˜ ëª¨ìŠµì´ ë“œëŸ¬ë‚˜ê¸°ë„ í–ˆë‹¤. 주작, 현무, 백호와 함께 방위를 수호하는 신격 ì¤‘ì— í•˜ë‚˜ë¡œ ì²­ë£¡ì´ ì“°ì´ê¸°ë„ 했다.

용 그리기
 

용 그리는 법

ìš©ì€ ìƒìƒì˜ ë™ë¬¼ë¡œ, 현존하는 여러 ë™ë¬¼ì„ 조합한 형태ì´ë‹¤. 얼굴 ìƒê¹€ì€ ë‚™íƒ€ì˜ ë¨¸ë¦¬, 토ë¼ì˜ 눈, ì†Œì˜ ê·€, ë±€ì˜ ì´ë§ˆ(ë˜ëŠ” 목), ë¼ì§€ì˜ ì½”ì— ì‚¬ìŠ´ë¿”ì´ ë‹¬ë¦° 모습으로, 몸체는 ì§€ë ì´ë‚˜ 뱀과 같으며, ìž‰ì–´ì˜ ë¹„ëŠ˜ë¡œ ë®ì—¬ìžˆê³  호랑ì´ì˜ ë°œì— ë§¤ ë°œí†±ì„ ê°–ê³  있다고 여겨졌다.
êµ¬ë¦„ì„ ë¶€ë¥´ê³  비를 내리는 ì‹ ë ¥ì´ ìžˆì–´ 구름 ì†ì„ 노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날개가 달린 ì„œì–‘ì˜ ìš©ê³¼ 달리 í™”ì—¼ë¬¸ì´ ë‚ ê°œë¥¼ 대신한다.

1. 그리기

모조지나 í™”ì§€ì— ê·¸ë¦¬ë ¤ê³  하는 ìŒë£¡ë„를 팔분할법으로 스케치를 하고 í™”ë„(밑그림)를 만든 ë‹¤ìŒ í•œì§€ë¥¼ ìœ„ì— ë†“ê³  먹으로 본 ìž‘ì—…ì„ í•œë‹¤. 먹ì´ë‚˜ 연필로 운필한다. ìœ„ìª½ì€ í™©ë£¡ìœ¼ë¡œ, ì•„ëž˜ìª½ì€ ì²­ë£¡ìœ¼ë¡œ 그린다. 먹으로 황룡과 ì²­ë£¡ì„ ìš´í•„í•˜ì—¬ 그린다. ë¬¼ê²°ì„ í•´ì¡°í™”ë²•ìœ¼ë¡œ 운필하여 그린다. ê·¸ë¦¼ì„ ê·¸ë¦¬ëŠ” ìžì²´ë¥¼ ë‘ê³  ìš´í•„ì´ë¼ê³  한다. ì•„êµí¬ìˆ˜ëŠ” 물 2/3ê³¼ ì•„êµ 1/3ì„ ìž˜ 섞어서 중탕한 후, ì‹í˜€ì„œ 한다.

청룡

▲청룡

í‘룡

â–²í‘룡

2. 채색하기

í™©ë£¡ì€ ë°”íƒ•ìƒ‰ì„ í™©(노란색)으로 머리, 몸통, 다리를 채색한다. ë“±ì˜ ë¬´ëŠ¬ëŠ” 주(í™)색으로 ê°€ìš´ë° í¬ê²Œ ì ì„ ì°ê³  ì ì  작게 ì ì„ ì°ëŠ”ë‹¤. 배는 ë°”íƒ•ìƒ‰ì„ ë°±ìƒ‰ìœ¼ë¡œ 채색하고 군청색으로 무늬를 채색한 ë‹¤ìŒ ì§„í•œ 백선으로 ë§ì„ ì„ 그린다. 몸통 ë°° ì‚¬ì´ ë¨¹ì„ ì„ ê¸‹ê³  촘촘한 ê³³ì€ ë…¹ì²­ìƒ‰ìœ¼ë¡œ 채색한다. ëˆˆì€ í™©ìƒ‰ 바탕으로 칠하고 ê°ìƒ‰ìœ¼ë¡œ 눈ë™ìž 주위를 바림한다. 진한 먹으로 눈ë™ìžë¥¼ ì ì•ˆí•œë‹¤. 코와 눈 주위, ìž…, 다리 ì£¼ìœ„ì˜ ì„œê¸°ç‘žæ°£, ìš© 몸통 ìœ„ìª½ì˜ ì„œê¸°ë¥¼ 주(í™)색으로 ë°”íƒ•ìƒ‰ì„ ì¹ í•˜ê³  연지색으로 바림하고 연지색 ë§ì„ ì„ 그려 완성한다. 눈ì¹, ìž… 주위, ë¿”, ì´ë¹¨, 발톱, 꼬리 ëìª½ì€ ë°±ìƒ‰ìœ¼ë¡œ ë°”íƒ•ì„ ì¹ í•˜ê³  ê°ìƒ‰ìœ¼ë¡œ 바림하고 ê°ìƒ‰ìœ¼ë¡œ ë§ì„ ì„ 그린다. ê·“ì†ì€ 백색 ë°”íƒ•ì— ì—°ì§€ìƒ‰ì„ í리게 바림한다. 머리 주변과 턱 ë°‘, í„¸ì€ ì—°ë‘색으로 채색한다.

ì²­ë£¡ì€ ë°”íƒ•ìƒ‰ì„ ë¶„ì²­(하늘색)으로 머리, 몸통, 다리를 채색한다. 등 무늬를 남색(êµ°ì²­)으로 채색한다. 머리와 다리를 남색으로 ê°€ìš´ë° ì ì„ ì°ê³  ì ì  작게 ì ì„ ì°ëŠ”ë‹¤. 배는 ë°”íƒ•ì„ ë°±ìƒ‰ìœ¼ë¡œ 채색하고 연지색으로 무늬를 채색한 ë‹¤ìŒ ì§„í•œ 백선으로 ë§ì„ ì„ 그린다. 나머지는 황룡과 ë™ì¼í•˜ë‹¤.

í‘ë£¡ì€ ë°”íƒ•ìƒ‰ì„ ë¨¹ìœ¼ë¡œ 채색하고 ëª¸í†µì€ ì§„í•œ 먹으로 바림하고 ë§ì„ ì„ 그린다. ë°°, 등, 눈ì¹, ìž… 주위, ë¿”, ì´ë¹¨ì„ 백색으로 ë°”íƒ•ìƒ‰ì„ ì±„ìƒ‰í•˜ê³  갈색ì´ë‚˜ ê°ìƒ‰ìœ¼ë¡œ 바림한 후 먹으로 진하게 하여 ë§ì„ ì„ 그린다. ì—¬ì˜ì£¼ëŠ” 주(í™ìƒ‰) ë°”íƒ•ì— ì—°ì§€ìƒ‰ìœ¼ë¡œ 바림하고 연지색으로 ë§ì„ ì„ 그린다.

ì—¬ì˜ì£¼ëŠ” ì—°ë‘색 ë°”íƒ•ì— ì£¼ë³€ 서기는 주(í™ìƒ‰)로, ë°”íƒ•ìƒ‰ì„ ì±„ìƒ‰í•˜ê³  연지색으로 ë§ì„ ì„ 그린다. ë¬¼ê²°ì€ í•´ì¡°í™”ë²•ìœ¼ë¡œ ë¬¼ê²°ì„ ê·¸ë¦° ê³³ì— ì‚¬ì´ì‚¬ì´ë¥¼ ê°ìƒ‰ì˜ 중간색으로 바림하고 진한 색으로 ë§ì„ ì„ 그린다. 진한 백색으로 ë¿Œë¦¬ë“¯ì´ í•´ì„œ 튀어 오르는 ë¬¼ê²°ì˜ ì ì„ ì°ëŠ”ë‹¤.

êµ¬ë¦„ì€ ì§„í•œ 먹으로 ìš© 주위를 칠한다. 삼묵법(ë†ë¬µ, 중묵, 담묵)으로 진하고 í리게 하여 구운화법으로 운필한다.

청룡

▲청룡

í‘룡

â–²í‘룡

 

글·그림 : 박수학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