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부터 차근차근 â‘©í•˜ëŠ˜ì— ì‚¬ëŠ” ê´€ë… ì† ë‹­ì˜ ëª¨ìŠµ 황계ë„

í™©ê³„ë„ ì™„ì„±
황계ë„

중국 서한西漢ì—서 살았다는 ë™ë°©ì‚­æ±æ–¹æœ”ì´ ì§€ì—ˆë‹¤ëŠ” ì±…, 《신ì´ê²½ç¥žç•°ç¶“》ì—는 첫닭(옥계)ì´ ìš¸ê³  ë‘ ë²ˆì§¸ ë‹­(금계)ì´ ìš¸ê³  세 번째 ë‹­(ì„계)ì´ ìš¸ê³  나면 온 세ìƒì˜ 모든 ë‹­ì´ ê°™ì´ ìš¸ì–´ ê·€ì‹ ì´ ë„ë§ê°€ê³  ë‚ ì´ ë°ëŠ”ë‹¤ëŠ” ì´ì•¼ê¸°ê°€ 있다. 친숙한 가축ì´ê¸°ë„ 한 ë‹­ì˜ ì´ë©´ì—는 천ìƒì„¸ê³„와 ì§€ìƒê³„를 잇고 ìƒˆë‚ ì´ ë°ì•˜ìŒì„ 알리며 ê·€ì‹ ì„ ì«“ëŠ” ì˜ë¬¼ë¡œì„œì˜ 면모가 있다. 황계ë„를 그려보ìž.

새로운 ë‚ ì˜ ì‹œìž‘ì„ ì•Œë¦¬ëŠ” ì˜ë¬¼, ë‹­

황계ë„황계ë„ì—서 ë‹­ì€ ì‚¬ì‹¤ì ì¸ ë™ë¬¼ë¡œì„œì˜ ë‹­ì´ ì•„ë‹Œ ë´‰é³³ì˜ ëª¨ìŠµìœ¼ë¡œ 그려진 수탉ì´ë‹¤. ì´ëŠ” ê³§ ê´€ë…ìƒì˜ 천계天鷄를 그린 것ì´ë‹¤. ë‹­ì€ íƒœì–‘ê³¼ 밀접한 관계로 그려졌다. í•´ê°€ 뜨는 ê²ƒì„ ì•Œë ¤ì£¼ëŠ” 새ì´ê¸° 때문ì´ë‹¤. ì‹ ë¼ì˜ 왕ì´ì—ˆë˜ 김알지가 í° ë‹­ì´ ìš°ëŠ” 숲 ì†ì˜ 금궤ì—서 발견ë˜ì—ˆë‹¤ê³  하고, ë°•í˜ê±°ì„¸ì˜ ë¶€ì¸ ì•Œì˜ì€ ë‹­ì˜ ë¶€ë¦¬ë¥¼ 달고 태어났다고 전해질 ì •ë„로 우리 ì‹ í™”ì—ë„ ìžì£¼ 등장한다. ë§Œë¬¼ì´ ìž ë“  ìƒˆë²½ì— ë™ì´ í‹ˆì„ ì•Œë¦¬ê¸° 위해 ìš°ë ì°¨ê²Œ 회를 치며 우는 ìˆ˜íƒ‰ì„ ë°±ê¸ˆç™¾ç¦½ì˜ ì™•ìœ¼ë¡œ ì—¬ê¸°ê¸°ë„ í–ˆë‹¤.
황계ë„는 ì„ ë¹„ì˜ ì‚¬ëž‘ë°©ì— ë†“ì˜€ë‹¤. ìƒˆë²½ê°™ì´ ì¼ì–´ë‚˜ 우는 닭처럼 ëŠìž„ì—†ì´ í•™ë¬¸ì— ì •ì§„í•´ ë‹­ 벼슬 ê°™ì€ ê´€ì„ ì“°ê³  입신양명해서 ë¶€ê·€ê³µëª…ì„ ëˆ„ë¦¬ê¸¸ ë°”ë¼ëŠ” ì—¼ì›ì„ 담았다. ë‹­ì˜ ë³ê³¼ ëª¨ì–‘ì´ ë¹„ìŠ·í•˜ë‹¤ê³  하여 계ë‘í™”, 계관화ë¼ê³  불린 맨드ë¼ë¯¸ì™€ ë‹­ì´ í•¨ê»˜ 그려진 화조ë„는 ê´€ ìœ„ì— ê´€ì„ ë”함, 즉 ê´€ì§ì—서 ë” ë†’ì€ ë²¼ìŠ¬ì— ì˜¤ë¥´ê¸¸ 기ì›í–ˆë‹¤. 병아리를 ëŒë³´ëŠ” ë‹­ì€ ìžì†ì˜ 번창과 번ì˜ì„ ë°”ë¼ëŠ” ì˜ë¯¸ë¡œ 그려졌다. ë˜, ë‹­ì€ ì–´ë‘ ê³¼ ì‚¿ëœ ê²ƒì„ ì«“ëŠ”ë‹¤ê³  해서 ì •ì›” 초하룻날 ëŒ€ë¬¸ì— ë‹­ê·¸ë¦¼ì„ ë¶™ì—¬ ì§‘ì•ˆì— ì•¡ìš´ì´ ë“¤ì§€ 않기를 ë°”ë¼ëŠ” í’ìŠµë„ ìžˆì—ˆë‹¤. ë‹­ì˜ í”¼ì— ì˜ë¬˜í•œ íž˜ì´ ìžˆë‹¤ê³  해서 ì „ì—¼ë³‘ì´ ëŒ ë•Œ, ê·€ì‹ ì„ ì«“ê¸° 위해 ë‹­ì˜ í”¼ë¥¼ ë‹­ì´ë‚˜ ë²½ì— ë°œëžë‹¤ê³ ë„ 한다.

í™©ê³„ë„ ê·¸ë¦¬ëŠ” 법

황계ë„는 국화와 단í’ì´ í드러진 ê°€ì„ ì–¸ë•ì„ ë°°ê²½ìœ¼ë¡œ 그려져, 9월부터 작업하기 ì¢‹ì€ ê·¸ë¦¼ì´ë‹¤. ê³¼ê°í•œ 구ë„ì˜ ë°”ìœ„ 절벽과 물가가 ìž‘í’ˆì˜ ë¬˜ë¯¸ë¥¼ ë”한다. ë´‰í™©ì˜ ê¸°ê°œì— ë§žë¨¹ëŠ” 황계를 잘 그리는 ê²ƒë„ ì¤‘ìš”í•˜ì§€ë§Œ, ë¬¼ìƒˆì¸ ì˜¤ë¦¬ì™€ 기러기, 수중ìƒë¬¼ì¸ 옥잠화를 묘사해 작품ì—서 물가가 차지하는 ë¹„ì¤‘ì´ í° íŽ¸ì´ë‹¤. í•„ìžëŠ” ë°°ê²½ì— ë”ìš± ê³¼ê°í•œ 색ê°ì„ 사용해서 ê´€ë… ì†ì˜ 세계를 표현했다.

1. 그리기

모조지나 í™”ì§€ì— ê·¸ë¦¬ë ¤ê³  하는 황계ë„를 팔분할법으로 스케치하고 í™”ë„(밑그림)를 만든 ë‹¤ìŒ í•œì§€ë¥¼ ìœ„ì— ë†“ê³  먹으로 본 ìž‘ì—…ì„ í•œë‹¤.
ë‹­(황계), 오리, 기러기, 단í’나무, 바위, 구름, êµ­í™”, 옥잠화, ë‚œì´ˆê°™ì€ ìžŽ 순으로 그린다.
ì•„êµí¬ìˆ˜ëŠ” 물 2/3와 ì•„êµ 1/3ì„ ìž˜ 섞어서 중탕한 후, ì‹í˜€ì„œ 한다.

í™©ê³„ë„ ì´ˆë³¸

â–²í™©ê³„ë„ ì´ˆë³¸

2. 채색하기

바위는 세 가지로 채색한다. ìš°ì„  êµ°ì²­ 2 + 먹 1 + 백색 7ì„ ì„žì–´ 만든 ë¶„ì²­ìƒ‰ì— ë¨¹ì„ ì„žì–´ 바위 전체를 채색한다. ë°”ìœ„ì˜ ê³¨ íŒ¨ì¸ ê³³ì€ êµ°ì²­ê³¼ ë¨¹ìƒ‰ì„ ì„žì–´ 바림한다. ë¶‰ì€ ëŒ€ìžìƒ‰ 바위는 주(í™ìƒ‰) 7 + ë°± 2 + 먹 1ì„ ì„žì–´ ë°”íƒ•ì„ ì±„ìƒ‰í•˜ê³  êµ°ì²­ê³¼ ë¨¹ìƒ‰ì„ ì„žì–´ ê³¨íŒ¨ì¸ ê³³ì„ ë°”ë¦¼í•œë‹¤. ì—°ë‘색 바위와 ë°”ë‹¥ì€ í™©ë¡(ì—°ë‘색) ë°”íƒ•ì„ ì±„ìƒ‰í•˜ê³  êµ°ì²­ê³¼ ë¨¹ìƒ‰ì„ ì„žì–´ 바림한다.

태ì ì€ ì—°ë‘색으로 ë°”íƒ•ì„ ì±„ìƒ‰í•˜ê³  군청색으로 ì—°ë‘색 ë°”íƒ•ì´ ì¹ í•´ì§„ ê³³ì— ì ì„ ìƒê¹€ëŒ€ë¡œ ì°ëŠ”ë‹¤. ì£¼ìœ„ì— ë°±ìƒ‰ì˜ ìž‘ì€ ì ì„ ë¹™ 둘러 ì°ì–´ì¤€ë‹¤.

êµ¬ë¦„ì€ ì£¼(í™ìƒ‰)와 ë°±ìƒ‰ì„ ì„žì–´ 담채로 바탕 채색하고 ê·¸ ìœ„ì— ê¸ˆê°€ë£¨ë¥¼ í©ë¿Œë¦°ë‹¤.

í˜¸ìˆ˜ì˜ ë¬¼ì€ ë¶„ì²­ìƒ‰ìœ¼ë¡œ ì „ì²´ ë°”íƒ•ì„ ì±„ìƒ‰í•˜ê³  í˜¸ìˆ˜ì˜ ë쪽으로 ì¤‘ë¬µì„ ì¨ì„œ 바림한다.

단í’나무는 나무와 잎, 태ì ì„ 나누어 진행한다. 나무는 ë°”ìœ„ì— ì¹ í–ˆë˜ ë¶„ì²­ìƒ‰ìœ¼ë¡œ ë°”íƒ•ì„ ì±„ìƒ‰í•˜ê³  군청색으로 ë‚˜ë¬´ê²°ì˜ ê³¨ì´ íŒ¨ì¸ ë¶€ë¶„ì„ ë°”ë¦¼í•œë‹¤. 단í’ìžŽì€ ì „ì²´ì˜ 3/4ì€ ë¶‰ì€ ë‹¨í’으로 주(í™ìƒ‰)를 ë†ì±„로 채색하고 나머지 1/4ì€ í™©ìƒ‰, ë…¹ì²­ìƒ‰ì„ ì‚¬ìš©í•´ ë†ì±„로 채색한다. 태ì ì€ ë°”ìœ„ì— ì°ëŠ” 태ì ê³¼ ê°™ì€ ë°©ë²•ìœ¼ë¡œ 한다.

국화와 ë°±ì¼í™ ì±„ìƒ‰ì€ ë‹¤ìŒê³¼ 같다. í° ê½ƒì€ í™©ìƒ‰ ë°”íƒ•ì— ë°±ìƒ‰ì„ ì§„í•˜ê²Œ 하여 바림하고, ë¶‰ì€ ê½ƒì€ ì£¼(í™ìƒ‰) ë°”íƒ•ì— ì—°ì§€ìƒ‰ìœ¼ë¡œ 바림한다. ë°”ë¦¼ì„ ë‹¤ 하면 ì—°ì§€ìƒ‰ì„ ë†ì±„로 해서 ë§ì„ ì„ 그려준다. ê½ƒì‹¬ì€ í™©ìƒ‰ ë°”íƒ•ì— ì—°ì§€ìƒ‰ ì ì„ ì°ì–´ 표현한다. ìžŽì€ ë…¹ì²­ìœ¼ë¡œ 절반쯤 ë°”íƒ•ì„ ì¹ í•˜ê³  황ë¡(ì—°ë‘색)으로 절반쯤 ë°”íƒ•ìƒ‰ì„ ì±„ìƒ‰í•œë‹¤. ë†ë¬µìœ¼ë¡œ ê°€ìš´ë° ì„ ì„ ê¸‹ê³  ì–‘ ì˜†ì„ ì•ˆìª½ìœ¼ë¡œ ì“¸ë“¯ì´ í•´ì„œ 잎맥 ì„ ì„ ê¸‹ëŠ”ë‹¤.

옥잠화는 녹청으로 진하게 ë°”íƒ•ìƒ‰ì„ ì±„ìƒ‰í•˜ê³  ê°€ìš´ë° ìžŽë§¥ì€ ë†ë¬µìœ¼ë¡œ ë‹¨ì„ ì„ ê¸‹ëŠ”ë‹¤. 가운ë°ëŠ” í° ì ì„ 4ê°œ ì°ëŠ”ë‹¤.

난초처럼 ìƒê¸´ ìžŽì€ ì§„í•œ 녹청색으로 절반쯤 ë°”íƒ•ìƒ‰ì„ ì±„ìƒ‰í•˜ê³  ë°±ë¡ìƒ‰ìœ¼ë¡œ 나머지를 채색한다. ê°€ìš´ë° í° ì„ ì„ ê·¸ì–´ì¤€ë‹¤.

대나무는 녹청으로 ë°”íƒ•ìƒ‰ì„ ì±„ìƒ‰í•˜ê³  ë†ë¬µìœ¼ë¡œ ì™¸ê³½ì„ ì„ ê¸‹ëŠ”ë‹¤. 잎 ê°€ìš´ë° í°ìƒ‰ ì„ ì„ ê¸‹ëŠ”ë‹¤.

ë‹­(황계)ì€ ë¨¸ë¦¬ì™€ 턱 벼슬, 눈 ì£¼ìœ„ì— ì£¼(í™ìƒ‰) ë°”íƒ•ì„ ì¹ í•˜ê³  연지색으로 바림한 후 ë†ì±„로 연지색 ë§ì„ ì„ 그려준다. 몸과 꼬리는 녹황색 ë°”íƒ•ì— ë°±ìƒ‰ìœ¼ë¡œ ê¹ƒí„¸ì„ í•˜ë‚˜í•˜ë‚˜ 바림하고 중묵으로 ë§ì„ ì„ 그린다. 다리는 황색으로 채색한다.

ê¸°ëŸ¬ê¸°ì˜ ë¨¸ë¦¬ëŠ” ë†ë¬µìœ¼ë¡œ 채색한다. 2마리는 ë“±ì„ ë°± 9 + êµ°ì²­ 1ì„ ì„žì–´ ë°”íƒ•ìƒ‰ì„ ì±„ìƒ‰í•˜ê³  나머지 2마리는 황색으로 칠한다. 깃 ë¶€ë¶„ì€ ì•žìª½ì— ì—°ë‘색 ë°”íƒ•ì— ë…¹ì²­ìƒ‰ìœ¼ë¡œ ì„ ì„ ê¸‹ê³  뒤쪽ì—는 하늘색 ë°”íƒ•ì— êµ°ì²­ìƒ‰ ì„ ì„ ê¸‹ëŠ”ë‹¤. 배는 백색으로 채색한다.

오리는 머리를 백색으로 ë°”íƒ•ìƒ‰ì„ ì±„ìƒ‰í•˜ê³  ê°ìƒ‰ìœ¼ë¡œ í리게 해서 ì ì°¨ 바림한다. ë“±ì€ í™©ìƒ‰ìœ¼ë¡œ ë°”íƒ•ìƒ‰ì„ ì¹ í•˜ê³  주(í™ìƒ‰)로 í„¸ì„ ì„ ì²˜ëŸ¼ 그린다. ë“±ê¹ƒì€ ì•žìª½ì—는 황ë¡ìƒ‰ì„ 채색하고 녹청색으로 ë§ì„ ì„ 그린다. 뒤쪽ì—는 ë¶„ì²­(하늘색) ë°”íƒ•ì— êµ°ì²­ìœ¼ë¡œ ë§ì„ ì„ 그린다. 다리는 주(í™ìƒ‰)로 채색한다.

í™©ê³„ë„ ì±„ìƒ‰ê³¼ì •

â–²í™©ê³„ë„ ì±„ìƒ‰ê³¼ì •

 

※ ë‹­, 오리, ê¸°ëŸ¬ê¸°ì˜ ëˆˆë™ìžëŠ” 황색 ë°”íƒ•ì— ë†ë¬µìœ¼ë¡œ ë™ê·¸ëž—게 ì°ì–´ì¤€ë‹¤.

 

글·그림 : 박수학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