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부터 차근차근 ⑦꽃과 새 노니는 ìžì—°ì˜ ì¡°í™” 화조ë„

화조ë„

ê°–ì€ ìƒˆì™€ ê½ƒì´ ì–´ìš°ëŸ¬ì§„ 화조ë„ì—는 그려지는 소재만í¼, ë˜ ê·¸ ì¸ê¸°ë§Œí¼ì´ë‚˜ ë§Žì€ ì†Œë§ê³¼ ìƒì§•ì´ ë‹´ê²¨ìžˆë‹¤. ê°ê° ìƒì§•하는 바는 무수히 많지만, ì¼ë°˜ì ìœ¼ë¡œëŠ” 꽃과 ìƒˆì˜ ë‹¤ì •í•˜ê³  아름다운 ëª¨ìŠµì— ì°©ì•ˆí•´ ë¶€ë¶€ì˜ í™”í•©ì„ ê¸°ì›í•˜ëŠ” ì˜ë¯¸ë¡œ 여긴다.

가장 ë„리 사랑받는 그림, 화조ë„

화조ë„花鳥圖는 ë¬¸ìž ê·¸ëŒ€ë¡œ 꽃과 새를 그린 그림ì´ë‹¤. 문ì¸í™”ì—는 ì‹­êµ°ìžåå›å­ë¼ëŠ” ê°œë…ì´ ìžˆë‹¤. 우리가 í”히 사군ìžå››å›å­ë¼ê³  ì¼ì»«ëŠ” 매난국죽梅蘭èŠç«¹ì— 연꽃, 모란(목단), 목련, 파초, 소나무, í¬ë„(ë˜ëŠ” ì„류) 여섯 가지 ì‹ë¬¼ì„ ë”í•´ êµ°ìžì— 비유한 것ì´ë‹¤. ì´ë“¤ì€ ëª¨ë‘ êµ°ìžê°€ 갖춰야 í•  ë•ëª©ì„ ìƒì§•하고 있어 문ì¸í™”ì—서 오래 사랑받아온 화목ì´ë‹¤. 민화는 ì—¬ê¸°ì— ë”ìš± 다양한 ì‚°ì²œì´ˆëª©ì„ ë”한다. 작약, 산벚꽃, 해당화, 산딸기, 붓제비꽃, 장미, ë™ë°±, 수선화, ì² ì­‰, 오ë™ë‚˜ë¬´, 버드나무, 치ìžë‚˜ë¬´, 단í’나무 등 우리 주변ì—서 í”히 ë³¼ 수 있는 ê°ì–‘ê°ìƒ‰ì˜ ì‹ë¬¼ì„ í™”í­ì— 담는다. 산새와 물새 ë“±ì˜ ë‚ ì§ìŠ¹ê¹Œì§€ 한 í­ì— 어우러져 ìžì—°ì˜ 조화가 ë”ì—†ì´ ì•„ë¦„ë‹¤ìš´ ê·¸ë¦¼ì´ í™”ì¡°ë„다.

한 í­ì— 함께 그려지는 ë™Â·ì‹ë¬¼ë“¤
– 목련, 작약, 앵무새, 금계
– 산벚꽃, 해당화, 제비, 오리
– 해당화, 산딸기, 금계
– 해당화, 산딸기, 작약, 붓제비꽃, 산까치, 오리
– 모란, 장미, 산비둘기, ì€ê³„
– 연꽃, 오리, ì›ì•™, 물ì´ìƒˆ, 기러기, 물고기
– êµ­í™”, ì„류, ì›ì•™
– 매화, ë™ë°±, 수선화, ê¿©, 참새, 달토ë¼

 

화훼군방ë„, ì „ì •ì‹ ìž‘

▲화훼군방ë„, ì „ì •ì‹ ìž‘


í™”ì¡°ë„ ê·¸ë¦¬ëŠ” 법

화조ë„는 ìžì—°ìŠ¤ëŸ¬ìš´ 바림과 세심한 í•„ì„ ì´ ì¤‘ìš”í•˜ë‹¤. 화사한 ìžì—° 색ê°ì˜ 구현 능력과 ìƒˆë“¤ì˜ ì •êµí•œ 깃털, 날아다니는 ë™ìž‘ì„ ê·¸ë¦´ 수 있는 í•„ë ¥ì„ ê°–ì¶”ì–´ì•¼ 하므로 기본ì ì¸ ê¸°ë²•ì— ìˆ™ë‹¬í•´ì•¼ 한다. 본ì—ë§Œ ì˜ì§€í•˜ì§€ ë§ê³  ìžì—° ì†ì˜ 대ìƒì„ 잘 관찰하는 ê²ƒë„ í° ë„ì›€ì´ ëœë‹¤.

1. 스케치(ë°ìƒ)
모조지나 í™”ì§€ì— ê·¸ë¦¬ë ¤ê³  하는 화조ë„를 팔분할법으로 스케치를 하고 í™”ë„(밑그림)ì„ ë§Œë“  ë‹¤ìŒ í•œì§€ë¥¼ ìœ„ì— ë†“ê³  먹으로 본 ìž‘ì—…ì„ í•œë‹¤. 바위, 꽃, 나무, 새 순서로 그린다. ì•„êµí¬ìˆ˜ëŠ” 물 2/3ê³¼ ì•„êµ 1/3ì„ ìž˜ 섞어서 중탕한 후, ì‹í˜€ì„œ 한다.

새 그리는 순서

2. 바위 채색하기
바위 – 바위 ê³¨ì´ íŒŒì¸ ê³³ì€ ê°ˆìƒ‰(주(í™ìƒ‰) + 황 + 먹 약간)으로 ë°”íƒ•ì„ ì±„ìƒ‰í•œë‹¤. ì—°ë‘색(황ë¡7 + ë°±2 + 주1)으로 ë°”ìœ„ì˜ ë‚˜ë¨¸ì§€ ë°”íƒ•ì„ ì±„ìƒ‰í•œë‹¤. 군청색(êµ°ì²­7 + ë°±1 + 주1 + 먹1)으로 바위 ëìª½ì„ ë°”ë¦¼í•œë‹¤. êµ°ì²­7 + 먹3으로 바위 ë§ì„ ì„ 긋는다.

3. 꽃 채색하기
í° ê½ƒ – 백색(호분)ì„ ì ‘ì‹œì— ëœì–´ 개고 난 다ìŒ, ì‹ ë¬¸ì— ì¹ í•´ë´ì„œ 글씨가 ë³´ì¼ ì •ë„ë©´ ë†ë„ê°€ 알맞게 ê°  것ì´ë‹¤. ì´ê²ƒìœ¼ë¡œ 바탕 ì±„ìƒ‰ì„ í•œë‹¤. ì—°ì§€ìƒ‰ì„ ë‹´ì±„ë¡œ 준비해 꽃잎 하나씩 바림한다. ê·¸ í›„ì— ê°€ìš´ë° ìª½ì—ë§Œ 넓게 ì—°ì§€ë°”ë¦¼ì„ ë‹¤ì‹œ 한다. ì—°ì§€ìƒ‰ì„ ì¤‘ì±„(담채와 ì§„ì±„ì˜ ì¤‘ê°„ ì •ë„)로 하여 ê½ƒìžŽì˜ ì™¸ê³½ì„ ì„ ê¸‹ëŠ”ë‹¤. 꽃ì ì€ ê°€ìš´ë° ë‘¥ê·¸ë ‡ê²Œ 서족ì (ì¥ì˜ 발처럼 한쪽으로 ëª¨ì¸ ë™ê·¸ëž—ê³  길쭉한 ì )ì„ ì£¼(í™ìƒ‰)으로 ì°ëŠ”ë‹¤.

빨간 꽃 – 주 8 + 호분 2를 섞어 ì‹ ë¬¸ì— ì¹ í•´ë³´ê³  글씨가 ë³´ì¼ ì •ë„로 ë†ë„를 맞추어 바탕 ì±„ìƒ‰ì„ í•œë‹¤. ì—°ì§€ìƒ‰ì„ ì¤‘ê°„ì±„ìƒ‰ìœ¼ë¡œ 해서 ê½ƒìžŽì„ í•˜ë‚˜í•˜ë‚˜ 바림한다. ë°±ìƒ‰ì„ ê½ƒìžŽ ë부분ì—ë§Œ ì¼ë¶€ 바림한다. 연지색 ë°”ë¦¼ì„ í•œ 다ìŒì— ê°€ìš´ë° ìª½ì—ë§Œ 다시 넓게 바림한다. ì—°ì§€ìƒ‰ì„ ë†ì±„(진한 진채)로 하여 꽃잎 ì™¸ê³½ì„ ì„ ê¸‹ëŠ”ë‹¤. 꽃ì ì€ í° ê½ƒê³¼ ê°™ì€ ë°©ë²•ìœ¼ë¡œ í•˜ë˜ ìƒ‰ì€ í™©(노란색)으로 한다.

※ 철쭉꽃 ìˆ˜ìˆ ì€ 7~8ê°œ, 주(í™ìƒ‰)으로 양쪽 2개를 길게 하고 안쪽으로 짧게 6ê°œ ì •ë„ ì„ ì„ ê¸‹ëŠ”ë‹¤.

꽃 잎사귀 – 황색으로 ë°”íƒ•ì„ ì¹ í•˜ê³  부분ì ìœ¼ë¡œëŠ” 대ìžìƒ‰ìœ¼ë¡œ ë°”íƒ•ì„ ì¹ í•œë‹¤. ë°”íƒ•ì„ ì¹ í•œ ê³³ì— ë…¹ìƒ‰(녹청8 + 주2)ì„ ë§Œë“¤ì–´ ê°€ìš´ë° ìª½ìœ¼ë¡œ 넓게 바림하고 ì–‘ ëì—는 ì¢ê²Œ 바림한다. ìžŽë§¥ì€ ë†ë¬µìœ¼ë¡œ 안쪽ì—서 íœ˜ì–´ì§€ë“¯ì´ ê¸‹ëŠ”ë‹¤. 잎사귀 ë쪽으로 주색 담채로 바림한다.

화조ë„

4. 나무 채색하기
대ìžìƒ‰(주6 + 황3 + 먹1)으로 ë°”íƒ•ì„ ì±„ìƒ‰í•œë‹¤. 나무 ì–‘ìª½ì„ ëŒ€ìžìƒ‰ì— ë¨¹ì„ ì„žì–´ 바림한다. 목단 나무는 ë†ë¬µìœ¼ë¡œ 양쪽ì—서 ì„ ì„ ëŒë“¯ì´ ì„ ì„ ê¸‹ëŠ”ë‹¤. 철쭉나무는 ë†ë¬µìœ¼ë¡œ 나뭇결 ê°™ì´ ì¢Œìš°ë¡œ ì‚¬ì„ ì„ ê¸‹ëŠ”ë‹¤.

화조ë„

5. 새 채색하기
ìƒˆì˜ ëˆˆì€ í™©ìƒ‰ 바탕으로 칠하고 눈ë™ìžëŠ” ë†ë¬µìœ¼ë¡œ 그린다. 부리는 대ìžìƒ‰, 다리는 주(í™ìƒ‰)ì´ë‹¤. 특히 부리는 ìœ„ìª½ì´ ì¡°ê¸ˆ ë” ê¸¸ê³ , 아래는 짧게 그리며 숨구ë©ì„ 그리는 ê²ƒì„ ìžŠì§€ ë§ì•„야 한다. 금계와 산까치, 박새 그리는 ë²•ì„ ë” ìžì„¸ížˆ 살펴보ìž.

금계 – ìˆ«ì»·ì€ ë¨¸ë¦¬, 등, 꼬리 하늘색 ë°”íƒ•ì— êµ°ì²­ìƒ‰ 무늬를 그리고 바림한다. 배는 주(í™ìƒ‰) ë°”íƒ•ì— ì—°ì§€ìƒ‰ìœ¼ë¡œ 바림한다. 꼬리가 ì‚죽 나온 ê³³ì€ ì£¼(í™ìƒ‰)으로 바림한다. 눈 주위와 다리는 주(í™ìƒ‰)로 채색한다. 턱, 등쪽 ë, 배쪽 ëì€ ë°±ìƒ‰ìœ¼ë¡œ 칠하고 바림한다. ëª©ì€ í™©ìƒ‰ ë°”íƒ•ì— ì£¼(í™ìƒ‰)로 무늬를 넣고 연지색으로 ì„ ì„ ê¸‹ëŠ”ë‹¤. 꼬리는 황색 ë°”íƒ•ì— ì£¼(í™ìƒ‰)로 í„¸ê°™ì´ ì„ ì„ ê·¸ë¦°ë‹¤.
ì•”ì»·ì˜ ë“±ê³¼ 머리는 대ìžìƒ‰ìœ¼ë¡œ ë°”íƒ•ì„ ì¹ í•˜ê³  ë“±ìª½ì— ë†ë¬µìœ¼ë¡œ 무늬를 그리고 군청색으로 등쪽ì—서 넓게 바림한다. 배는 í° ë°”íƒ•ì— ëŒ€ìžìƒ‰ìœ¼ë¡œ 머리ì—서 배로 ì ì°¨ 바림한다.
금계는 암수 ëª¨ë‘ ë“±ì˜ ë‚ ê°œê¹ƒì´ íŠ¹ìƒ‰ì´ ìžˆë‹¤. ì•žìª½ì€ ì—°ë‘색 ë°”íƒ•ì— ë…¹ì²­ìœ¼ë¡œ ì„ ì„ ê¸‹ê±°ë‚˜ 무늬를 그리고 ë’¤ìª½ì€ í•˜ëŠ˜ìƒ‰(êµ°ì²­2 + ë°±8) ë°”íƒ•ì— êµ°ì²­ìƒ‰ìœ¼ë¡œ ì„ ì„ ê¸‹ê±°ë‚˜ 무늬를 그린다. ê¹ƒì€ ëŒ€ìžìƒ‰ ë°”íƒ•ì„ ì¹ í•˜ê³  군청으로 바림한다.

산까치 – 머리와 ëª©ì€ ë†ë¬µì„ 칠한다. 꼬리와 ë“±ì€ ê°ˆìƒ‰ ë°”íƒ•ì— ìœ„ì—서 밑으로 êµ°ì²­ìƒ‰ì„ ë°”ë¦¼í•œë‹¤. 등과 ë°°ì˜ ëìª½ì€ í°ìƒ‰ìœ¼ë¡œ 채색하고 바림한다. 배는 주(í™ìƒ‰) ë°”íƒ•ì„ ì¹ í•˜ê³  연지색으로 바림한다. 등꼬리 í„¸ì€ í™©ìƒ‰ ë°”íƒ•ì— ì£¼(í™ìƒ‰)로 ì„ ì„ ê¸‹ëŠ”ë‹¤. ê¹ƒì€ ëŒ€ìžìƒ‰ìœ¼ë¡œ 바탕칠하고 군청색으로 바림하며 ë‚ ê°œê¹ƒì˜ ì•žìª½ì€ ì—°ë‘색 ë°”íƒ•ì— ë…¹ì²­ìœ¼ë¡œ ì„ ì„ ê¸‹ê±°ë‚˜ 무늬를 그리고, ë’¤ìª½ì€ í•˜ëŠ˜ìƒ‰ ë°”íƒ•ì— êµ°ì²­ìƒ‰ìœ¼ë¡œ ì„ ì„ ê¸‹ê±°ë‚˜ 무늬를 그린다.

박새 – 머리는 백색ì„, 꼬리와 ë“±ì€ êµ°ì²­ìƒ‰ì„ ì¹ í•œë‹¤. 등 ëìª½ì€ í™©ìƒ‰ ë°”íƒ•ì— ì£¼(í™ìƒ‰)로 í„¸ì„ ê¸‹ë“¯ ì„ ì„ ê·¸ë¦¬ê³ . 날개깃 ì•žìª½ì€ ì—°ë‘색 ë°”íƒ•ì— ë…¹ì²­ìƒ‰, ë’¤ìª½ì€ í•˜ëŠ˜ìƒ‰ ë°”íƒ•ì— êµ°ì²­ìƒ‰ìœ¼ë¡œ ì„ ì„ ê¸‹ê±°ë‚˜ 무늬를 그린다. 배는 주(í™ìƒ‰) ë°”íƒ•ì— ì—°ì§€ìƒ‰ìœ¼ë¡œ, ê¹ƒì€ ëŒ€ìžìƒ‰ ë°”íƒ•ì— êµ°ì²­ìƒ‰ìœ¼ë¡œ 바림한다.

먹과 ì±„ìƒ‰ì˜ ë†ë‹´ì— 따른 구분
– ë†ë¬µì€ 진한 ë¨¹ì„ ë§í•œë‹¤.
– ì¤‘ë¬µì€ ì¤‘ê°„ ì •ë„ì˜ ë¨¹ì´ë‹¤.
– ë‹´ë¬µì€ í린 ë¨¹ì„ ë§í•œë‹¤.
– ë†ì±„는 진한 채색ì´ë‹¤.
– 중채는 ë†ì±„와 ë‹´ì±„ì˜ ì¤‘ê°„ì´ë‹¤.
– 담채는 ì˜…ì€ ì±„ìƒ‰ì„ ë§í•œë‹¤.

 
화조ë„

 

글·그림 : 박수학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