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부터 차근차근⑲ 삼국지ì´ì•¼ê¸°ë¥¼ ìƒìƒí•˜ê²Œ ë‹´ì€ ì‚¼êµ­ì§€ì—°ì˜ë„ 그리기

â–²ì œìž ê¶Œë§¤í™”ä½œ

삼국지연ì˜ë„ 그리기

삼국지연ì˜ë„는 14세기 중국소설 《삼국지통ì†ì—°ì˜ã€‹, ì¼ëª… ã€Šì‚¼êµ­ì§€ã€‹ì˜ ì£¼ìš”ìž¥ë©´ê³¼ ì¸ë¬¼ì˜ ì´ì•¼ê¸°ë¥¼ 그린 그림ì´ë‹¤. 소설 ì†
주ì¸ê³µë“¤ì˜ ì¸ë¬¼í™”는 ë„êµì ì¸ 내용과 설화ì ì¸ ë‚´ìš©ì´ í•¨ê»˜ ë„ì„í™”ë˜ì–´ìžˆëŠ” ê²ƒì„ ë„êµì—서 그림화하여 발전시켰다. 삼국지연ì˜ë„ì—
등장하는 ìž¥ë©´ë“¤ì„ ì‚´íŽ´ë³´ê³  다양한 ê¸°ë²•ë“¤ì„ ìµí˜€ 그려보ìž.

삼국지연ì˜ë„ì— ë“±ìž¥í•˜ëŠ” 주요 장면

유비, 관우, 장비 세 ì˜ì›…ì„ ì¤‘ì‹¬ìœ¼ë¡œ 위촉오 ì‹œì ˆì˜ ë¬´ìš©ë‹´ì„ ê·¸ë¦° 《삼국지》는 ì¤‘êµ­ì€ ë¬¼ë¡  우리나ë¼ì—ì„œë„ ì‚¬ëž‘ë°›ëŠ” 소설ì´ë‹¤. 세 ì˜ì›… 중 ê´€ìš°ìž¥êµ°ì€ ì‹ ê²©í™”ë˜ì–´ ì¤‘êµ­ë¬¸í™”ê¶Œì˜ ì¤‘ìš”í•œ ì‹ ì•™ì´ ë˜ì—ˆë‹¤.
삼국지연ì˜ë„ì—는 유비·관우·장비가 ì˜í˜•제를 맺는 ë„ì›ê²°ì˜æ¡ƒåœ’çµç¾©ì—서부터, 장비가 장íŒêµì—서 ì¡°ì¡°êµ°ì„ ë§‰ëŠ” 장면, ì ë²½ëŒ€ì „ì—서 패한 ì¡°ì¡°ê°€ 오림으로 ë„ë§ê°€ëŠ” 모습 등 여러 ì˜ì›…ì˜ ì „íˆ¬ 장면과 주요한 ì¼í™”ê°€ ìƒìƒí•˜ê²Œ 표현ëœë‹¤.

-유비, 관우, 장비 세 í˜¸ê±¸ì´ ë„ì›ê²°ì˜ë¥¼ 맺는 장면
-유비가 ì œê°ˆê³µëª…ì„ ì–»ê³ ìž ì„¸ 번ì´ë‚˜ 찾아가는 ì‚¼ê³ ì´ˆë ¤ì˜ ìž¥ë©´
-ìƒì‚° ì¡°ìžë£¡(ì¡°ìš´)ì´ ìœ ë¹„ì˜ ì•„ë“¤ì„ í’ˆê³  구출하는 장면
-장íŒêµì—서 ìž¥ë¹„ì˜ í˜¸í†µì„ ë“£ê³  í•˜í›„ê±¸ì´ ë‚™ë§ˆí•˜ëŠ” 장면
– ì ë²½ëŒ€ì „ì—서 ì†ê¶Œ, 유비 ì—°í•©êµ°ì´ í™”ê³µí•˜ë ¤ í–ˆì„ ë•Œ ì œê°ˆëŸ‰ì´ ì œë‹¨ì„
쌓아놓고 ë™ë‚¨í’ì„ í•˜ëŠ˜ì— ë¹„ëŠ” 장면
-ì œê°ˆëŸ‰ì˜ ì§šì„ ê°€ë“ ì‹¤ì€ ë°°ê°€ ì¡°ì¡°ì˜ êµ°ëŒ€ë¡œë¶€í„° í™”ì‚´ì„ ë¹¼ì•—ëŠ” 장
-ì ë²½ëŒ€ì „ì—서 패배해 ë„ë§ì¹˜ëŠ” ì¡°ì¡°ì˜ ëª¨ìŠµì„ ë‹´ì€ ìž¥ë©´
-ì¡°ì¡°ê°€ 관우ì—게 ëª©ìˆ¨ì„ êµ¬ê±¸í•˜ëŠ” 장면
-ì¡°ì¡°ê°€ 마초ì—게 쫓기다 ë„í¬ë¥¼ 버리고 할수기í¬í•˜ëŠ” 장면
– ì œê°ˆëŸ‰ì´ ë¹ˆ 성 위ì—서 홀로 거문고를 타면서 ì‚¬ë§ˆì˜ ì˜ëŒ€êµ°ì„ 물리치
는 장면
– ì˜¤ë‚˜ë¼ êµ°ì‚¬ì— ì˜í•´ ìœ„í—˜ì— ë¹ ì§„ ìž¥ë¹„ì˜ ì•„ë“¤ 장í¬ë¥¼ ê´€ìš°ì˜ ì•„ë“¤ì¸ ê´€
í¥ì´ê°€ 구해주는 장면
-장비가 ìµì£¼ì„±ì„ 지키는 장면
-ì œê°ˆëŸ‰ì´ ë‚¨ë§Œì˜ ë§¹íšì„ 7번 잡고 7번 풀어주는 칠종칠금하는 장면
기타 등등 ë§Žì€ ìž¥ë©´ì´ ìžˆë‹¤.

삼국지연ì˜ë„ 그리는 법
1. 스케치(ë°ìƒ)

모조지나 í™”ì§€ì— ê·¸ë¦¬ë ¤ê³  하는 삼국지연ì˜ë„를 팔분할법으로 스케치를 하고 출초를 만든 ë‹¤ìŒ ì´ˆ(í™”ë„)를 ë°‘ì— ë†“ê³  한지를 ìœ„ì— ë†“ì€ ë’¤ 먹으로 본 ìž‘ì—…ì„ í•œë‹¤. ì—°ê²° 병í’ì¼ ê²½ìš° í­ë‹¹ 사ì´ì¦ˆë¥¼ 재고 난 ë‹¤ìŒ ì–‘ì˜†ìœ¼ë¡œ 1.5~2ãŽì •ë„ ì ‘ì€ í›„ì— ì—°ê²°í•´ì„œ 그려야만 정확하고 병í’ì„ ìž¥í™©í•  때 튼튼하다.
12

2. ì¸ë¬¼ 그리기

ì£¼ì— ë¨¹ì„ ì•½ê°„ ì„žì€ ìƒ‰ìœ¼ë¡œ 얼굴, ì† ë“±ì„ ìš´í•„í•œë‹¤. 세필로 ê±´, 투구, 갑옷, ì°½, 옷, 천막, 성곽 í•  것 ì—†ì´ ë†ë¬µìœ¼ë¡œ ì„ ì„ ìš´í•„í•œë‹¤.

3. 배경 그리기

â‘ ì‚°ê³¼ 바위는 산수필로 ë¬µë²•ì„ ì‚´ë ¤ 피마준, 난마준, 부벽준으로 그리고, 태ì ì„ ì°ë“¯ì´ 바위 ëì´ë‚˜ ê³¨ì´ íŒŒì ¸ 있는 ê³³ì„ ëŒ€ë¯¸ë²•, 소미법으로 ì ë‹¹ížˆ ì ì„ ì°ëŠ”ë‹¤.
-피마준 : ë§ê¼¬ë¦¬ê°€ íœ˜ë‚ ë¦¬ë“¯ì´ ê·¸ë¦¬ëŠ” 준법
-난마준 : ë§ê¼¬ë¦¬ê°€ ì—‰í‚¤ë“¯ì´ ê·¸ë¦¬ëŠ” 준법
-부벽준 : ë„ë¼ë¡œ ì°ë“¯ì´ 위ì—는 넓게 ë°‘ì—는 날카롭게 그리는 준법
-대미법 : ê³¨ì§œê¸°ì— ì˜†ìœ¼ë¡œ ê¸‹ë“¯ì´ ê·¸ë¦¬ëŠ” 법(í¬ê²Œ)
-소미법 : ê³¨ì§œê¸°ì— ì˜†ìœ¼ë¡œ ê¸‹ë“¯ì´ ê·¸ë¦¬ëŠ” 법(작게)

 
②나무는 ë…¹ê°ë²•, 해조법, ìš°ì¦ìˆ˜ë²•, 거치법, ë¶ì›ìˆ˜ë²• 등으로 그린다.
-ë…¹ê°ë²• : ì‚¬ìŠ´ë¿”ê°™ì´ ë‚˜ë­‡ê°€ì§€ë¥¼ 그리는 법
-해조법 : 나뭇가지가 밑으로 향하게 그리는 법
-오ì¦ìˆ˜ë²• : 나무줄기가 ë©”ë§ˆë¥´ë“¯ì´ ì˜†ìœ¼ë¡œ ì‚치는 법
-거치법 : 멀리 있는 나무를 그리는 법 (大 中 å°)
-ë¶ì›ìˆ˜ë²• : ì‚° ìœ„ì— ë©€ë¦¬ 있는 옆으로 ì²©ì²©ì´ ê·¸ë¦¬ëŠ” 법

 
â‘¢ë‚˜ë­‡ìžŽì€ êµ¬ë¥µê°œìžì , 송엽ì , 수등ì , 단í’ì , í˜¸ì¡°ì  ë“±ì˜ ê¸°ë²•ìœ¼ë¡œ 세밀하게
표현한다.
-구륵개ìžì  : ì™¸ê´€ì„ ì„ ê·¸ë¦¬ê³  ê°œìžì ì„ 그리는 법
-ì†¡ì—½ì  : 솔잎ì (차륜법, 난침법, 거치법 등)
-ìˆ˜ë“±ì  : 버드나무 ì¤„ê¸°ê°™ì´ ë‚´ë¦¬ê¸‹ëŠ” ì 
-ëŒ€í˜¼ì  : 옆으로 í¬ê²Œ ì ì„ 그리는 법
-ì†Œí˜¼ì  : 옆으로 작게 ì ì„ 그리는 법
-단í’ì  : 단í’ìžŽê°™ì´ ì‚¼ê°í˜•, ë™ê·¸ëž€ 것, ê°œìžì ê°™ì´ ìƒê¸´ ì 
-í˜¸ì¡°ì  : ì ì„ ë™ê·¸ëž—게 ì°ëŠ” ì (ì¼ëª… í›„ì¶”ê°™ì´ ì°ëŠ” ì )
-êµ­í™”ì  : êµ­í™”ìžŽê°™ì´ ê·¸ë¦¬ëŠ” ì 

 
④풀ì ì€ 호조ì ê°™ì´ ì ë‹¹ížˆ ì ì„ ì°ê³  ë°”ë‹¥ì„ ìˆ˜ì´ˆì ìœ¼ë¡œ 무성하게 그린다.
â‘¤ë¬¼ê²°ì€ ì§€ë‹¹ ì˜ë ¨ë²•ê³¼ íŒŒëž‘í™”ë²•ì„ ì´ìš©í•´ ë¬¼ê²°ì´ ì‹¬í•˜ê²Œ í”ë“¤ì–´ì§€ë“¯ì´ ê·¸ë¦°ë‹¤.
â‘¥ë¨¼ì‚°ì€ ê°ìƒ‰ìœ¼ë¡œ 위ì—서 밑으로 바림한다.

삼국지연ì˜ë„ 채색하기
1. ë°°ê²½

ì‚°ì€ ë°ì€ ìª½ì„ ëŒ€ìžìƒ‰ìœ¼ë¡œ 바림하고 골 íŒŒì¸ ê³³ì„ ê°ìƒ‰ìœ¼ë¡œ 바림한다. ë¨¼ì‚°ì€ ê°ìƒ‰ìœ¼ë¡œ 바림한다. 파ë„는 ì„ ì´ ë§Žì€ ê³³ì— ê°ìƒ‰ìœ¼ë¡œ 넒게 바림한다.

2. 나무와 나뭇잎

나무는 대ìžìƒ‰ìœ¼ë¡œ 채색한다. ì†Œë‚˜ë¬´ìžŽì€ ê°ìƒ‰ìœ¼ë¡œ 바림한다. 구륵개ìžì ì˜ 표현으로 ë¶“ì— í™©ìƒ‰ì„ ë¬»í˜€ ëì— í™ìƒ‰ìœ¼ë¡œ 채색한다. 몰골개ìžì ì˜ 표현으로 ê°ìƒ‰ìœ¼ë¡œ 바림해 채색한다. 호초ì ì˜ 표현으로 황색+í™ìƒ‰ìœ¼ë¡œ 채색한다. 대혼ì Â·ì†Œí˜¼ì ì€ ê°ìƒ‰ìœ¼ë¡œ 채색한다. ìš”ì¦ìˆ˜ë²•ì˜ í‘œí˜„ìœ¼ë¡œ 대ìžìƒ‰ì— ì„ ì„ ê·¸ì–´ 채색한다. 단í’ì ì˜ 표현으로 ë¶“ì— í™©ìƒ‰ì„ ë¬»ížˆê³  ë¶“ ëì— í™ìƒ‰ì„ 묻혀 몰골법으로 채색하고 í™©ìƒ‰ë°”íƒ•ì— í™ìƒ‰ìœ¼ë¡œ 바림한다.

3. ì¸ë¬¼

투구는 먹색으로 채색한 ë‹¤ìŒ ìž¥ì‹ì€ 황색으로 채색하고 ìˆ˜ìˆ ì€ í™ìƒ‰ìœ¼ë¡œ 채색한다. ì–¼êµ´ì€ í™©ìƒ‰ 2/10+í™ìƒ‰1/10+백색7/10ìƒ‰ì„ ì„žì€ í›„ 얼굴, ì† ë°”íƒ•ìƒ‰ì„ ì±„ìƒ‰í•œë‹¤. 봉채 주색으로 ì´ë§ˆ, ë³¼, ì†ì„ 담채로 í•´ 바림한 ë‹¤ìŒ ì¼ìží˜•ì‹ìœ¼ë¡œ 눈ì¹ê³¼ ëˆˆì„ ë†ë¬µìœ¼ë¡œ 약간 반달형으로 휘어지게 한 ë‹¤ìŒ ì„ ì„ ê·¸ë¦¬ê³  눈ë™ìžë¥¼ ë†ë¬µìœ¼ë¡œ ë˜‘ê°™ì´ ì ì„ ì°ëŠ”ë‹¤.

4. ì˜ìƒ

ì˜·ì€ í™ìƒ‰ë°”íƒ•ì— ì—°ì§€ìƒ‰ìœ¼ë¡œ 바림하고 황색으로 무늬를 그린다. 군청색 ë°”íƒ•ì— ì¤‘ë¬µìœ¼ë¡œ 바림하고 백색으로 무늬를 그린다. 녹청색 ë°”íƒ•ì— ì¤‘ë¬µìœ¼ë¡œ 바림하고 백색으로 무늬를 그린다. 황색 ë°”íƒ•ì— í™ìƒ‰ìœ¼ë¡œ 바림하고 백색으로 무늬를 그린다. ì—°ë‘ë°”íƒ•ì— ì¤‘ë¬µìœ¼ë¡œ 바림하고 백색으로 무늬를 그린다. 하늘색 ë°”íƒ•ì— ì¤‘ë¬µìœ¼ë¡œ 바림하고 백색으로 무늬를 그린다.
※깃발, ê°‘ì˜·ì±„ìƒ‰ë„ ë™ì¼í•˜ë‹¤.

5. 창, 칼, 배, 막사

창대는 대ìžìƒ‰ìœ¼ë¡œ 채색하고 ì°½ì´ë‚˜ ì¹¼ì„ í•˜ëŠ˜ìƒ‰ ë°”íƒ•ì— ìœ„ìª½ì€ êµ°ì²­ìƒ‰ìœ¼ë¡œ 채색하고 ì°½ë, ì¹¼ëì€ ë°±ìƒ‰ìœ¼ë¡œ 바림한다. 막사는 ë°±ìƒ‰ë°”íƒ•ì— ìœ„ìª½ì—는 황색ì´ë‚˜ ë†ë¬µìœ¼ë¡œ 채색한 ë‹¤ìŒ ë§ì„ ì„ 그린다. 배는 대ìžìƒ‰ ë°”íƒ•ì— ì¤‘ë¬µìœ¼ë¡œ 사ì´ì‚¬ì´ë¥¼ 바림한다.

6. ë§ê³¼ 관련기물

백마는 ë°±ìƒ‰ë°”íƒ•ì— ê°ìƒ‰ìœ¼ë¡œ 바림한다. í‘마는 ì¤‘ë¬µë°”íƒ•ì— ë†ë¬µìœ¼ë¡œ 바림한다.
ì í† ë§ˆëŠ” 대ìžìƒ‰+연지색 ë°”íƒ•ì— ì¤‘ë¬µìœ¼ë¡œ 바림한다. 갈색ë§ì€ 대ìžìƒ‰ ë°”íƒ•ì— ì¤‘ë¬µìœ¼ë¡œ 바림한다. 소는 ì¤‘ë¬µë°”íƒ•ì— ë†ë¬µìœ¼ë¡œ 바림한다. 중간중간 얼룩ë§ì´ 있으므로 바탕색보다 ë”ìš± 진하게 얼룩ì ì„ 그린다.
ë§ì•ˆìž¥ì€ í™ìƒ‰, êµ°ì²­, 녹청, í™©ìƒ‰ë°”íƒ•ì— í™©ìƒ‰ì´ë‚˜ 백색으로 무늬를 그린다. ë§ ëˆì€ 녹청, í™ìƒ‰, 군청색 ë°”íƒ•ì— í™©ì ì´ë‚˜ ë°±ì ìœ¼ë¡œ 촘촘히 ì ì„ ì°ê³  ë§ ëˆì´ ì´ì–´ì§„ ê³³ì— í™©ìƒ‰ìœ¼ë¡œ 채색하고 수술ì´ë‚˜ ë§ ë’¤ìª½ ì•ˆìž¥ì— í™ìƒ‰ìœ¼ë¡œ 채색하고 연지색으로 바림한다. ë§ë°œêµ½ì€ 중묵으로 ë’¤ìª½ì— ì•žìª½ìœ¼ë¡œ 바림한다. 장화는 중묵으로 ë°”íƒ•ìƒ‰ì„ ì±„ìƒ‰í•˜ê³  ë†ë¬µìœ¼ë¡œ 바림한다.

y6

 

글·그림 : 박수학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