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부터 차근차근⑯ 옛ì´ì•¼ê¸° ì† ì¸ë¬¼ë“¤ì´ 주는 êµí›ˆ, 고사ì¸ë¬¼ë„ 그리기

ì œìž ì „ì •ì‹ä½œ

â–²ì œìž ì „ì •ì‹ä½œ

고사ì¸ë¬¼ë„ 그리기

옛ì´ì•¼ê¸°ë‚˜ 소설 ì†ì˜ 여러 ì¸ë¬¼ ê°€ìš´ë° í›„ì„¸ì— ê¸¸ì´ íšŒìžë˜ëŠ” ì¸ë¬¼ë“¤ì€ 고결한 ì¸í’ˆê³¼ ë³¸ë°›ì„ ì ì„ ë‘루 갖추고 있다. ì´ëŸ° ì¸ë¬¼ë“¤ì€ ì´ë¦„ë§Œ ë“¤ì–´ë„ ì–´ë–¤ ì´ì•¼ê¸°ì˜ 주ì¸ê³µì¸ì§€ 알 ì •ë„로 ë„리 알려졌으며, ê·¸ë¦¼ìœ¼ë¡œë„ ìˆ±í•˜ê²Œ 그려졌다. 민화ì—서는 ì¸ë¬¼ë“¤ì˜ ì´ì•¼ê¸°ë¥¼ 가장 함축ì ìœ¼ë¡œ 보여주는 ìƒí™©, ì†Œìž¬ë“¤ì„ ê·¸ë¦¬ë˜, 어리숙하고 친숙하게 그려져 웃ìŒì„ ìžì•„ë‚´ê¸°ë„ í•œë‹¤. 고사ì¸ë¬¼ë„를 그려보ìž.

êµí›ˆì ì¸ 고사ì¸ë¬¼ë„ì˜ ì œìž‘ ë°°ê²½

고사ì¸ë¬¼ë„å¤äº‹äººç‰©åœ–는 옛날부터 전해오는 ì´ì•¼ê¸°ë¥¼ 그린 그림ì´ë‹¤. 역사 ì† íŠ¹ì • 실존ì¸ë¬¼ì´ë‚˜ ê³ ì „ 소설ì†ì˜ 주ì¸ê³µì´ 주로 주제가 ëœë‹¤. ì´ ê·¸ë¦¼ì€ ëœ»ì´ ê³ ìƒí•˜ê³  ì¸ê²©ì´ ì²­ë ´, 고결하며 ë²¼ìŠ¬ì„ íƒë‚´ê¸°ë³´ë‹¤ëŠ” 지조와 절개를 중하게 여겨 ì†ì„¸ë¥¼ 떠나 유유ìžì í•˜ëŠ” ì¸ë¬¼ì´ 등장한다.
성현, ì¶©ì‹ , 시ì¸ì´ë‚˜ í•™ìž, 고승, ì€ì¼ì²˜ì‚¬ë“¤ì´ 주로 등장하며, ì´ë“¤ì˜ 고결한 ë•ê³¼ ì¸í’ˆ, ì´ìƒì ì¸ ì‚¶ì˜ ì¶”êµ¬ì™€ ì€ë‘”세계를 나타내 보는 ì´ë¡œ 하여금 êµí›ˆì„ 얻게 하기위한 êµìœ¡ì ì¸ 목ì ìœ¼ë¡œ 그려졌다. 고사ì¸ë¬¼ë„는 대부분 ì¤‘êµ­ì˜ ê³ ì „ì ì¸ ì´ì•¼ê¸°ë¥¼ 그린 그림ì´ì§€ë§Œ, 마치 우리 ê³ì—서 ì¼ì–´ë‚˜ëŠ” ì¼ì²˜ëŸ¼ 실ê°ë‚˜ê²Œ 풀어놓아 친근하게 ëŠê»´ì§€ëŠ” ì ì´ í¥ë¯¸ë¡­ë‹¤.
ì¡°ì„  후기 ê¹€í™ë„, 장승업, 안중ì‹, ì¡°ì„ì§„, 황성하 ë“±ì´ ê·¸ë¦° ê·¸ë¦¼ì´ ì „í•˜ê³  있다. ì‹ ì„ ë“¤ì˜ ëª¨ìŠµì„ ê·¸ë¦° êµ°ì„ ë„나 ì‹ ì„ ë„ ë“±ë„ ë„“ê²Œ ë³´ì•„ 고사ì¸ë¬¼ë„ì— í¬í•¨ë˜ë‚˜, 따로 다루기로 하고 ì´ë²ˆ 호ì—서는 실존ì¸ë¬¼ì˜ 고사ì—서 유래한 그림들만 다루기로 한다.

고사ì¸ë¬¼ë„ì˜ ê²°ì •ì  ìž¥ë©´

고사ì¸ë¬¼ë„는 화제畵題나 ì¸ë¬¼ì˜ ì´ë¦„ì„ ì§ì ‘ ì ì–´ë†“는 ê²½ìš°ë„ ìžˆê³ , 그렇지 ì•Šì€ ê²½ìš°ê°€ 있다. 화제가 없다고 í• ì§€ë¼ë„ ê°™ì€ ë„ìƒì´ 반복ë˜ê¸° ë•Œë¬¸ì— ì–´ëŠ ì¸ë¬¼ì˜ ì–´ë–¤ 고사ì¸ì§€ 알 수 있다. ë”°ë¼ì„œ ìžì£¼ 등장하는 고사는 알아ë‘는 ê²ƒì´ ì¢‹ë‹¤. ì¼ë¶€ ì¸ë¬¼ì€ 실존ì¸ë¬¼ìž„ì—ë„ ì‹ ì„ ìœ¼ë¡œ 추앙ë˜ì–´ ì‹ ì„ ë„ì— ë“±ìž¥í•˜ê¸°ë„ í•œë‹¤.

ë°±ì´ìˆ™ì œ ì€ë‚˜ë¼ 때 형제 성ì¸ì¸ ë°±ì´ì™€ 숙제는 ì¶©ì ˆì„ ì§€í‚¤ê¸° 위해 ìˆ˜ì–‘ì‚°ì— ìˆ¨ì–´ ì‚´ë©°, 주나ë¼ì—서 나는 곡ì‹ì€ 먹지 않고 ê³ ì‚¬ë¦¬ë§Œì„ ìºì–´ ê·¼ê·¼ì´ ì‚´ë‹¤ê°€ êµ¶ì–´ 죽었다.

소부허유 허유는 ìš”ìž„ê¸ˆì´ ì™•ìœ„ë¥¼ 물려준다는 ì œì•ˆì„ ë§ˆë‹¤í•˜ê³  ì˜ì²œì—서 귀를 닦고 기산ì—서 ì€ê±°í•˜ì—¬ 세ì†ì˜ ì˜ì˜ˆë¥¼ 물리쳤다. ì´ë¥¼ 본 소부는 ë¬¼ì„ ë¨¹ì´ë ¤ë˜ 소ì—게 ë”럽혀진 ì˜ì²œìˆ˜ë¥¼ 먹ì´ì§€ 않고 ìƒë¥˜ë¡œ ëŒê³  갔다고 한다.

왕í¬ì§€ ë™ì§„ì˜ ìœ ëª…í•œ 서예가ì´ìž 문ì¸, 화가로 서성으로 추앙받고 있다. 예서를 잘ì¼ìœ¼ë©°, 해서, 행서, 초서를 완성했다. 그가 못가ì—서 글씨를 공부하는 ë™ì•ˆ ëª»ë¬¼ì´ ì˜¨í†µ 검게 ë³€í–ˆì„ ì •ë„로 ë¶“ê¸€ì”¨ì— ë§¤ì§„í–ˆë‹¤ê³  한다.

ì´ë°± 시선ì´ìž, 시중천ìžë¼ê³  추앙ë˜ëŠ” 대시ì¸ìœ¼ë¡œ, 당 현종 때 살았다. 중국 ì „ì—­ì„ ë‘루 유랑하며 시를 지었고, í˜„ì¢…ì˜ ì‚¬ëž‘ì„ ë°›ì•„ ì™•ì‹¤ì— ë¶ˆë ¤ê°”ë‹¤. 고래를 타고 ë‹¬ì„ ê±´ì§€ë ¤í•˜ë‹¤ 채ì„ê°•ì— ë¹ ì¡Œë‹¤ëŠ” ì´ì•¼ê¸°ê°€ 전한다. ì´íƒœë°±ì´ 당나귀를 타고 화산으로 가는 ìž¥ë©´ì´ ê·¸ë ¤ì§„ë‹¤.

ê°œìžì¶” ì§„ë‚˜ë¼ ë¬¸ê³µì˜ ì¶©ì„±ìŠ¤ëŸ¬ìš´ 신하로, ë¬¸ê³µì´ ì™•ì´ ëœ í›„ ê°œìžì¶”를 불렀으나 금산ì—서 어머니와 ê°™ì´ ì€ê±°í•˜ë‹¤ ë¶ˆì— íƒ€ì£½ì—ˆë‹¤ê³  한다. 한ì‹ì€ ê°œìžì¶”ì˜ ë„‹ì„ ê¸°ë¦¬ê¸° 위해 ë¶ˆì„ ì§€í”¼ì§€ 않고 ì°¬ë°¥ì„ ë¨¹ëŠ”ë‹¤ê³  한다.

ì—„ìžë£¡ í›„í•œì˜ ê´‘ë¬´ì œì™€ 어릴 ì  ë™ë¬¸ìˆ˜í•™í•œ 사ì´ë¡œ, í›—ë‚  황제가 ëœ ê´‘ë¬´ì œê°€ ì—„ìžë£¡ì„ 찾았으나, ì´ë¦„ì„ ë°”ê¾¸ê³  나타나지 않았다. 광무제가 백방으로 수소문하여 ê¶ì¤‘으로 ë°ë ¤ë‹¤ 잘 대접하고 ê°™ì´ ìž ì„ ìž¤ë‹¤. ëë‚´ ë²¼ìŠ¬ì„ ì‚¬ì–‘í•˜ê³  ë¶€ì¶˜ì‚°ì— ë“¤ì–´ê°€ 숨어살며 í•™ì„ ë²— 삼아 ë°­ì„ ê°ˆê³  낚시로 ì„¸ì›”ì„ ë³´ëƒˆë‹¤.

부열 ìƒë‚˜ë¼ì˜ ì–´ì§„ 신하로, ë‹´ì„ ìŒ“ëŠ” ì¼ì„ í•˜ë˜ ì‚¬ëžŒì´ì—ˆë‹¤. ì–´ëŠ ë‚  ìƒë‚˜ë¼ ê³ ì¢…ì´ ê¿ˆì— ì–´ì§„ ì‹ í•˜ë“¤ì˜ ëª¨ìŠµì„ ë³´ê³  그림으로 그려 ì´ ì‚¬ëžŒì„ ì°¾ì•„ì˜¤ê²Œ 하였다. 그래서 ë‹´ìž¥ì„ ìŒ“ëŠ” ì¼ì„ í•˜ë˜ ë¶€ì—´ì´ ì™•ì„ ë„와 ì–´ì§„ 정치를 하게 ë˜ì—ˆë‹¤ê³  한다.

맹호연 중국 당나ë¼ì˜ 시ì¸ìœ¼ë¡œ ì „ì›ê³¼ ìžì—°ì˜ 한ì í•œ 정취를 노래했다. ì„¤ì¤‘ì— ë‹¹ë‚˜ê·€ë¥¼ 타고 매화를 찾아다닌다.

ìž„í¬(임화정) ë¶ì†¡ëŒ€ì˜ ì€ì¼ì‹œì¸ìœ¼ë¡œ, 매화를 아내로 삼고 í•™ì„ ì•„ë“¤ 삼았다고 하여 ë§¤ì²˜í•™ìžæ¢…妻鶴å­ë¼ê³  한다. ì†ì„¸ë¥¼ 떠나 유유ìžì í•œ ì‚¶ì„ ì‚´ì•˜ë‹¤.

죽림칠현(완ì , 혜강, ì‚°ë„, 향수, 유ì˜, 완함, 왕융) 위나ë¼ì—서 진나ë¼ë¡œ 바뀌는 í˜¼ëž€ê¸°ì— ì„¸ì†ì˜ ì–´ì§€ëŸ¬ì›€ì„ í”¼í•´ 대나무 ìˆ²ì— ì€ê±°í•œ 선비들ì´ë‹¤.

*ì¸ë¬¼ì´ 워낙 많으므로 나머지 ì¸ë¬¼ì€ 차차 소개하기로 한다.

고사ì¸ë¬¼ë„
 

고사ì¸ë¬¼ë„ 그리는 법

ì¸ì²´ëŠ” 잘못 그리면 ë™ìž‘ì´ ë¶€ìžì—°ìŠ¤ëŸ½ê³  어색한 ëŠë‚Œì´ 들어 그리기 매우 어려운 소재 ì¤‘ì— í•˜ë‚˜ë‹¤. 특히 ì¸ë¬¼ê³¼ ë°°ê²½ì´ ì–´ìš°ëŸ¬ì§€ëŠ” 고사설화ë„ì˜ ê²½ìš°, ì˜ë³µê³¼ 기물, ë™ë¬¼, 건축물, 산수를 ë‘루 그릴 수 있어야 한다. 여러 ì¸ë¬¼ì´ 등장하는 ê·¸ë¦¼ì€ ì¸ë¬¼ê°„ì˜ êµ¬ë„와 ì›ê·¼ë²•ì—ë„ ë”ìš± ì‹ ê²½ ì¨ì•¼ 하는ë°, 민화ì—서는 ì´ëŸ° ë¯¸ìˆ ì˜ í‘œí˜„ë°©ë²•ì„ ë”°ë¥´ê¸°ë³´ë‹¤ ë‚´ìš© ì „ë‹¬ì— ë”ìš± 중ì ì„ ë‘ê³  ìžìœ ë¡­ê²Œ ê·¸ë¦¬ê¸°ë„ í•œë‹¤.

1. 스케치(ë°ìƒ)

모조지나 í™”ì§€ì— ê·¸ë¦¬ë ¤ê³  하는 고사ì¸ë¬¼ë„를 팔분할법으로 1í­~8í­ ë˜ëŠ” 10í­ì„ 연결해서 스케치를 한다. 먼저 전체를 파악한 후 í° í˜•ì²´ë¶€í„° 스케치를 하고 서서히 세밀한 ê³³ì„ ìŠ¤ì¼€ì¹˜í•˜ì—¬ í™”ë„(밑그림)를 만든다. ì¸ë¬¼ì—서 얼굴과 ì†ì€ 주색과 ë¨¹ìƒ‰ì„ ì„žì€ í›„ 세필로 운필한다. ì¸ë¬¼ì˜ 옷, ê±´, ê´€, 허리ë , ë™ë¬¼, 기타 기물, ì§‘ ë“±ì€ ì¤‘ë¬µê³¼ 담묵으로 운필한다. 산수 ë°°ê²½ì„ í”¼ë§ˆì¤€ì´ë‚˜ 난마준으로 운필한 다ìŒ, 골짜기를 대미법ì´ë‚˜ 소미법으로 표현한다. ì‚°ê³¼ 바위는 ì ì„ 옆으로 ê¸‹ë“¯ì´ ê·¸ë ¤ 표현한다. 나무는 ê°œìžì , 호초ì , 수등ì , 단í’ì , ì†¡ì—½ì  ë“±ì„ ì‚°ìˆ˜í•„ì´ë‚˜ 세필로 그린다.

2. ì•„êµ í¬ìˆ˜

ì•„êµ í¬ìˆ˜ëŠ” 물2/3, ì•„êµ1/3ì„ ì„žì–´ì„œ 중탕한 후, ì‹í˜€ì„œ 한다.

고사ì¸ë¬¼ë„ 채색하기

1. ë°°ê²½

ì‚°ê³¼ ë°”ë‹¥ì€ ëŒ€ìžìƒ‰(주색 + 먹)으로 중간중간 바림하고 골짜기는 ê°ìƒ‰ìœ¼ë¡œ 바림한다. 먼 ì‚°ì€ ê°ìƒ‰ì´ë‚˜ 군청색으로 위ì—서 아래쪽으로 바림한다.
나무는 대ìžìƒ‰ìœ¼ë¡œ, ì†”ìžŽì€ ê°ìƒ‰ìœ¼ë¡œ 채색한다. 다른 ë‚˜ë­‡ìžŽì€ ë‹¨í’ì , ê°œìžì , 호초ì , 수등ì , ë¶ì›ìˆ˜ì ì„ í™©ìƒ‰ì„ ë¬»ížŒ 붓으로 그리는ë°, ë¶“ ëì— ì£¼í™©ìƒ‰, 녹청색, êµ°ì²­ìƒ‰ì„ ë¬»í˜€ì„œ 그린다. 그리는 ë°©ë²•ì€ ëª°ê³¨ë²•ìœ¼ë¡œ 그린다. ë˜ëŠ” 먹으로 그린 ê°ì • ì ë²•ì— ì±„ìƒ‰í•œë‹¤. 버드나무는 í™©ìƒ‰ì„ ë¬»ížŒ ë¶“ ëì— ì—°í•œ êµ°ì²­ì„ ë¬»í˜€ 몰골법으로 그리거나 채색한다. 매화(ë„í™”ì )는 ì—°ì§€ìƒ‰ì„ í리게 하여 ë°”íƒ•ìƒ‰ì„ ë„“ê²Œ 바림한 다ìŒ, ë¶“ì— í˜¸ë¶„(백색)ì„ ë¬»ížˆê³  ë¶“ ëì— ì—°ì§€ìƒ‰ì„ ë¬»í˜€ ì ì„ ì°ëŠ”ë‹¤.
ë¬¼ê²°ì€ ê°ìƒ‰ìœ¼ë¡œ 넓게 바림한다.
소, ë§, ì§‘, íƒìž, 지게, 지팡ì´ëŠ” 대ìžìƒ‰ìœ¼ë¡œ ë°”íƒ•ì„ ì±„ìƒ‰í•˜ê³  중ë¶ìœ¼ë¡œ 바림한다.
겨울 í’ê²½ì€ ë°”ìœ„ ì¼ë¶€ë¶„, 다리, ê¸°ì¤‘ì— ëŒ€ìžìƒ‰ìœ¼ë¡œ 바림하고 전체를 ê°ìƒ‰ìœ¼ë¡œ 중담채하여 전체를 채색하고 먼 ì‚°ì´ ìžˆì„ ê²½ìš°ëŠ” ê·¸ ê³³ì„ ë¹„ì›Œë‘ê³  채색한다. 나뭇가지 사ì´ì‚¬ì´ë¥¼ ê°ìƒ‰ìœ¼ë¡œ 채색한다.

고사ì¸ë¬¼ë„

고사ì¸ë¬¼ë„

2. ì¸ë¬¼

ì‚¬ëžŒì˜ í”¼ë¶€ëŠ” 황색 2/10 + 주색 1/10 + 백색 7/10ì„ ìž˜ 섞어 ì†ê³¼ ì–¼êµ´ì„ ì±„ìƒ‰í•œë‹¤. ì´ë§ˆ, ë³¼, ì†ì€ ì£¼ìƒ‰ì— ë¨¹ì„ ì•½ê°„ ì„žì€ ìƒ‰ìœ¼ë¡œ 중담채로 하여 바림한다. 눈ì¹, ëˆˆì„ ì¼ìží˜•ì‹ìœ¼ë¡œ í•˜ë˜ ì•½ê°„ 반달처럼 곡선으로 그리고 눈ë™ìžëŠ” 양쪽 ë˜‘ê°™ì´ ë†ë¬µìœ¼ë¡œ ì ì„ ì°ëŠ”ë‹¤.

3. ë³µì‹

ê±´, ê´€, 허리ë ëŠ” 중묵으로 ë°”íƒ•ìƒ‰ì„ ì±„ìƒ‰í•˜ê³  ë†ë¬µìœ¼ë¡œ 바림한 ë‹¤ìŒ ë§ì„ ì„ 그린다. ì˜·ì˜ ê¹ƒê³¼ 소매ëì€ ë†ë¬µì´ë‚˜ 주í™ìƒ‰ì„ 진하게 채색한다. 군청색 ì˜·ì€ ë°”íƒ•ìƒ‰ë³´ë‹¤ 진한 색으로 바림하고 ë§ì„ ì„ 그린다. 주í™ìƒ‰ ì˜·ì€ ì—°ì§€ìƒ‰ë³´ë‹¤ 진한 색으로 바림하고 ë§ì„ ì„ 그린다. ì—°ë‘색 ì˜·ì€ ë…¹ì²­ìƒ‰ë³´ë‹¤ 진한색으로 바림하고 ë§ì„ ì„ 그린다. 백색 ì˜·ì€ ê°ìƒ‰ë³´ë‹¤ 진한 색으로 바림하고 ë§ì„ ì„ 그린다.

4. 기타 기물

ë¶“ì€ í™©ìƒ‰ìœ¼ë¡œ 채색한다. 바둑íŒì€ 황색으로 채색하고 ë°‘ë°”ë‹¥ì€ ì£¼í™ìƒ‰ìœ¼ë¡œ 채색한다. ë§ ì•ˆìž¥ì€ ì£¼í™ìƒ‰ê³¼ 군청색 ë°”íƒ•ì— ì—°ì§€ìƒ‰ê³¼ 중묵으로 바림한다. 그릇, 화분, ì±…ì€ ì£¼í™ìƒ‰ê³¼ 군청색으로 채색한다. 주전ìžëŠ” 백색 ë°”íƒ•ì— ì£¼í™ìƒ‰ìœ¼ë¡œ 바림한다. 화로는 갈색 ë°”íƒ•ì— ì¤‘ë¬µìœ¼ë¡œ 바림한다. í•™ì€ ë°±ìƒ‰ ë°”íƒ•ì— í™©ìƒ‰ì„ ìœ¼ë¡œ ë§ì„ ì„ 그린다.

고사ì¸ë¬¼ë„

고사ì¸ë¬¼ë„

*ë¹ ì§„ ê³³ì´ ì—†ë‚˜ 확ì¸í•˜ê³  완성한다. ì´ë²ˆ 호ì—는 ì§€ë‚œë²ˆì— ì„¤ëª…í–ˆë˜ ê°ì¢… ì ë²• ë“±ì´ ë§Žì´ ì‚¬ìš©ë˜ì—ˆë‹¤. ê·¸ë¦¼ì— ë”°ë¼ ì‚¬ìš©ë˜ëŠ” ê¸°ë²•ì´ ë‹¤ë¥´ì§€ë§Œ, 기본ì ì¸ ìš´í•„ë°©ë²•ì€ ìˆ˜ì‹œë¡œ 복습하여 ìµížˆë„ë¡ í•˜ìž.

 

글·그림 : 박수학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One comment on “기초부터 차근차근⑯ 옛ì´ì•¼ê¸° ì† ì¸ë¬¼ë“¤ì´ 주는 êµí›ˆ, 고사ì¸ë¬¼ë„ 그리기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