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부터 차근차근⑬ 수중 ë‚™ì› í—¤ì—„ì¹˜ëŠ” ì²œíƒœë§Œìƒ ë¬¼ê³ ê¸°ë“¤, ì–´í•´ë„ ê·¸ë¦¬ê¸°

ì–´í•´ë„
ì–´í•´ë„ ê·¸ë¦¬ê¸°

ì–´í•´ë„는 ìƒë™ê° 넘치고 구ë„ì— ì–½ë§¤ì´ì§€ 않는 수중세계를 ìƒìƒí•˜ê²Œ 표현한 그림ì´ë‹¤. 그려지는 ì†Œìž¬ì— ë”°ë¼ ë‹¤ì–‘í•œ ëœ»ì´ ìžˆì§€ë§Œ, 주로 초복벽사, 부귀ì˜í™”, 부부화합, ìžì†ë²ˆì˜, 수복강령, 다산다복, 장ì›ê¸‰ì œ, 지조와 ì ˆê°œì˜ ì˜ë¯¸ë¥¼ 담는다. í‰í™”로운 ë¬¼ê³ ê¸°ë“¤ì„ ê·¸ë ¤ ë‚¨ë…€ì˜ í™”í•©ì„ ëœ»í•˜ê³ , í©ì–´ì¡Œë‹¤ 모였다 헤엄치는 모습ì—서 ì¸ìƒë¬´ìƒ, 세ìƒì‚´ì´ì˜ 변화무ìŒí•¨ì„ ë‚˜íƒ€ë‚´ê¸°ë„ í•œë‹¤. 다양한 수중 ë‚™ì›ê³¼ 물가 í’ê²½ì´ ì–´ìš°ëŸ¬ì§€ëŠ” ì–´í•´ë„ ê·¸ë¦¬ê¸°.

성립연대와 소재

ì–´í•´ë„ì˜ ì„±ë¦½ì—°ëŒ€ëŠ” 실학 사조가 ë„리 행하게 ëœ ì˜ì¡°(1724~1776) 대 무렵ì´ë©°, ì¡°ì„  ë§ê¸°ì— 임전 ì¡°ì •ê·œì— ì˜í•´ 마무리ë다. ì–´í•´ë„ì˜ ì†Œìž¬ëŠ” 매우 다양하여, 잉어, ë¶•ì–´, 숭어, ë°©ì–´, 병어, ìƒì–´, 고등어, ì€ì–´, 민어, ì²­ì–´, í™ì–´, 가오리, ê°€ìžë¯¸, 오징어, 메기, 복어, 갈치, 꺽지, ì˜ê°€ë¦¬, 모래무지, 열목어, 가물치, 명태, 준치, 꼴뚜기, 피ë¼ë¯¸, 미꾸ë¼ì§€, 송사리, 개구리, í™í•©, 소ë¼, ì¡°ê°œ, ì „ë³µ, 게, 새우 등 민물고기와 바닷고기를 가리지 않았다. ë˜ ë¬¼ê°€ì—는 ì² ì­‰, 금강화, 나리꽃, 제비꽃, 패랭ì´ê½ƒ, 복사꽃, 매화, 연꽃, 작약, 수초, 버드나무와 소나무, 백로와 í•™, 촉새 ë“±ì´ í•¨ê»˜ 그려진다.

ì–´í•´ë„
 

ì–´í•´ë„ì˜ ìƒì§•

물고기는 ëˆˆêº¼í’€ì´ ì—†ì–´ 항시 ëˆˆì„ ëœ¨ê³  있으므로 학문 ìˆ˜í–‰ì„ ë°¤ìƒˆì›Œ 정진하ë¼ëŠ” 뜻으로 ë°›ì•„ë“¤ì—¬ì§€ê¸°ë„ í–ˆê³ , ìž¬ë¬¼ì„ ë°¤ë‚®ì—†ì´ ì§€í‚¨ë‹¤ëŠ” ì˜ë¯¸ê°€ 있다. ë˜ ë¹„ëŠ˜ì´ ê°‘ì˜·ì— ë¹„ìœ ë˜ì–´ 수호와 제액 ì˜ˆë°©ì˜ ëœ»ìœ¼ë¡œ 쓰였다. 물고기가 ê³§ ì§‘ì•ˆì˜ íŒŒìˆ˜ë³‘ì´ë©° 수호신ì´ì—ˆë˜ 것ì´ë‹¤. ë˜ ë§Žì€ ì•Œì„ ë‚³ì•„ í’요와 다산, ìƒëª…ë ¥, 부귀ì˜í™”ì˜ ëœ»ì´ ìžˆë‹¤.
물고기는 오ìƒì‚¬ìƒìœ¼ë¡œ ë³´ë©´ ë‚˜ë¬´ì— í•´ë‹¹a하며, ê°™ì€ ë¬¼ê³ ê¸°ë¼ê³  하ë”ë¼ë„ 사는 ë¬¼ì˜ ë†’ì´ì— ë”°ë¼ 3ìŒé™°, 3양陽으로 나눴다. 맨 위는 ìš©ì´ê³  가장 아래는 미꾸ë¼ì§€ë‚˜ 모래무지였으며, ìŒì— 해당하는 ë¬¼ê³ ê¸°ë“¤ì€ í•˜ì°®ì€ ë¬¼ê³ ê¸°, ì–‘ì— í•´ë‹¹í•˜ëŠ” 물고기는 ë“±ìš©ë¬¸ì„ í†µê³¼í•œ ë¬¼ê³ ê¸°ì— ë¹„ìœ ë다. ì´ì¤‘ 잉어는 1ì–‘ì´ë¼ 하여, ‘어중왕魚中王’ì´ë¼ê³  했다. 등용문 고사를 배경으로 하는 약리ë„ì˜ ê²½ìš° 수면 위로 힘차게 뛰어오르는 잉어를 그리는ë°, ì´ë•Œ 한 마리는 ê³¼ê±°ì— í•©ê²©í•œ ì˜ê´‘ì„ ëˆ„ë¦°ë‹¤ëŠ” ì˜ë¯¸ê³ , ë‘ ë§ˆë¦¬ëŠ” 뛰어난 학문으로 소과와 ëŒ€ê³¼ì— í•©ê²©í•¨, 세 마리는 ì˜ìƒ, 좌ìƒ, ìš°ìƒì— 오름 ë˜ëŠ” ë…서삼여(ë†ì‚¬ì—서 세 가지 여유로운 때-ë°¤, 겨울, 비 오는 ë‚ -ì±…ì„ ì½ìŒ)ì—서 따와 삼여ë„三餘圖ë¼ê³  í•˜ê¸°ë„ í–ˆë‹¤.
어변성룡ë„는 ì„ ë¹„ë“¤ì˜ ë“±ìš©ë¬¸ì¸ ê³¼ê±°ê¸‰ì œë¥¼ ì´ë£¨ê¸° 위한 í•™ë¬¸ì˜ ì„±ì·¨ ê³¼ì •ì„ ë¬¼ì‚´ì„ ê±°ìŠ¬ëŸ¬ 오르는 ìž‰ì–´ì˜ ê³ êµ°ë¶„íˆ¬ì— ë¹„ìœ í•œ 것ì´ë‹¤. 잉어는 ìš©ì™•ì˜ ì‹œë…€ê°€ ë‚³ì€ ìš©ì™•ì˜ ì•„ë“¤ì´ë¼ëŠ” ì´ì•¼ê¸°ê°€ 있다. ë”°ë¼ì„œ 어룡ë„는 ìž‰ì–´ì˜ ëª¨ìŠµì— ìš©ì‹ ì‚¬ìƒì´ ë”í•´ì§„ 그림ì´ë‹¤. ì‹ ì–´ë„(호어)는 머리가 용처럼 ìƒê¸°ê³  ëª¸ì€ ìž‰ì–´ì²˜ëŸ¼ ìƒê¸´ 그림ì´ë‹¤. ì—°ëª»ì˜ ìž‰ì–´ëŠ” ë¶€ê·€ì˜ ìƒì§•ì´ê¸°ë„ 하다.
메기는 투구를 ì“´ 모습ì´ë¼ 하여 ìž¥ìˆ˜ì— ë¹„ìœ ë˜ì—ˆê³ , ì² ê°‘ìƒì–´ëŠ” ê³ ê´€ëŒ€ìž‘ì¸ ê²½ëŒ€ë¶€å¿å¤§å¤«, 송사리 떼는 다산, 새우는 ì‚¬ëžŒì´ ëŠ™ì–´ 꼬부ë¼ì§€ëŠ” ëª¨ìŠµì— ë¹—ëŒ€ì–´ ìž¥ìƒ ë“±ì„ ìƒì§•했다. 복어는 ë³µç¦ê³¼ ë™ìŒìœ¼ë¡œ 삼았다. 게는 수중군ìžì— 비유ë다.
백어ë„나 êµ°ì–´ë„는 물고기 무리를 그린 그림ì´ê³ , 약리ë„는 잉어가 ë¬¼ì„ ë°•ì°¨ê³  뛰어오르는 그림ì´ë‹¤. 어류화는 성애를 í¬êµ¬í•˜ëŠ” ì˜ë¯¸ê°€ 담겨있다. ë˜ êµ¬ë© ëš«ë¦° 바위와 함께 그려진 물고기는 부부ìƒí™”å¤«å©¦ç›¸å’Œì˜ ì˜ë¯¸ë¡œ í•´ì„ë다.

ì–´í•´ë„ ìŠ¤ì¼€ì¹˜
ì–´í•´ë„
 

ì–´í•´ë„ ê·¸ë¦¬ëŠ” 법

물고기는 ê·¸ 종류만í¼ì´ë‚˜ 성질과 íŠ¹ì§•ì´ ë‹¤ì–‘í•˜ë¯€ë¡œ, 그리려는 물고기가 ì–´ë–¤ 물고기ì¸ì§€ 잘 ì´í•´í•˜ê³  그리ë„ë¡ í•œë‹¤. 민화ì—서는 과학ì ì¸ 사실과 달리 바닷고기와 민물고기가 함께 ê·¸ë ¤ì§€ê¸°ë„ í•˜ëŠ”ë°, ì´ë•ŒëŠ” í‰í™”롭게 화합하여 행복과 번ì˜ì´ ì´ë¤„지기를 ì—¼ì›í•˜ê¸° 위해 사실과 달리 그렸다.

1. 스케치(ë°ìƒ)

모조지나 í™”ì§€ì— ê·¸ë¦¬ë ¤ê³  하는 ì–´í•´ë„를 팔분할법으로 스케치를 하고 í™”ë„(밑그림)를 만든 ë‹¤ìŒ í•œì§€ë¥¼ ìœ„ì— ë†“ê³  먹으로 본 ìž‘ì—…ì„ í•œë‹¤. 물고기와 ë°°ê²½, 꽃나무를 그린다. ì—°ê²° ê·¸ë¦¼ì¼ ê²½ìš° 물고기와 ê½ƒì´ ìž˜ë¦¬ì§€ 않ë„ë¡ í•˜ê³ , ë°°ê²½ì€ ìž˜ë ¤ë„ ìƒê´€ì—†ë‹¤.

2. 한지 재단하기

í•œì§€ì— ê·¸ë¦¬ë ¤ê³  하는 ê·¸ë¦¼ì˜ í­ë‹¹ 사ì´ì¦ˆë¥¼ 재고 난 ë‹¤ìŒ ì–‘ì˜†ì— 2~3㎠간격으로 송곳으로 조기대(미장나무ìž)를 대고 눌러 접는다. 그래야만 병í’ì„ ê¾¸ë°€ 때 든든하다. ì—°ê²° 병í’ì´ê¸° ë•Œë¬¸ì— ìž¬ë‹¨ì„ ì‹ ì¤‘ížˆ 한다. ì´ˆì•ˆì„ ìž¡ì„ ë•Œë¶€í„° ìš°ì¸¡ì„ 1번으로 하여 1번ì—서 8번까지 ê³„ì† ì—°ê²°í•´ì„œ 그리고, 1번과 8ë²ˆì„ 2~7번보다 4~5㎠작게 한지를 재단한다.

3. ì–´í•´ë„ ê·¸ë¦¬ê¸°

í™”ë„(밑그림)를 ë°‘ì— ëŒ€ê³  재단한 한지를 ìœ„ì— ë†“ê³  본격ì ìœ¼ë¡œ 작업한다. 물고기부터 먹선 ìž‘ì—…ì„ í•œë‹¤. ë°°ê²½(바위 등)ì€ í”¼ë§ˆì¤€ì´ë‚˜ 난마준으로 ì™¸ê³½ì„ ì„ ë¨¼ì € 그리고 세밀하게 ê³¨ì„ ë§Œë“¤ë©´ì„œ ì¤€ì„ ì¹œë‹¤. 꽃과 나무, 수초ì ì„ 그린다. ì•„êµí¬ìˆ˜ëŠ” 물2/3, ì•„êµ1/3ì„ ì„žì–´ì„œ 중탕한 후, ì‹í˜€ì„œ 한다.

â€»í”¼ë§ˆì¤€ì€ ì‹¤ì´ íœ˜ë‚ ë¦¬ë“¯ì´ ê·¸ë¦¬ëŠ” 준법ì´ê³  ë‚œë§ˆì¤€ì€ ì—‰í‚¨ ë“¯ì´ ê·¸ë¦¬ëŠ” 준법ì´ë‹¤.

ì–´í•´ë„ ê·¸ë¦¬ê¸°
 

ì–´í•´ë„ ì±„ìƒ‰í•˜ê¸°

1. 물고기

등 위쪽과 ì§€ëŠëŸ¬ë¯¸, 꼬리는 ê°ìƒ‰ì„ 담채로 넓게 채색하고 바림한다. 주둥ì´, 아가미, ì§€ëŠëŸ¬ë¯¸, 꼬리 ë, 배는 ë°±ìƒ‰ì„ ì‚¬ìš©í•´ 담채로 채색하고 바림한다. 등 위쪽, ì§€ëŠëŸ¬ë¯¸ 안쪽, 꼬리 ì•žìª½ì— ë‹´ë¬µìœ¼ë¡œ ê°ìƒ‰ê°™ì´ ì¢ê²Œ 다시 바림한다. ëˆˆì€ ë°±ìƒ‰ìœ¼ë¡œ 채색하고 ë†ë¬µìœ¼ë¡œ 눈ë™ìžë¥¼ ì ì•ˆí•œë‹¤. ë°°, ì§€ëŠëŸ¬ë¯¸, 꼬리 ë으로 대ìžìƒ‰ì„ 바림하고, 배와 아가미 ëì—서 안쪽으로 대ìžìƒ‰ì„ 담채로 하여 굵게 ì„ ì„ ê·¸ë¦¬ê³  바림한다. ë“±ì˜ ë¹„ëŠ˜ì€ ë§ˆë¦„ëª¨ê¼´ì˜ ì ˆë°˜ì¯¤ 앞ì—서 뒤쪽으로 진한 중묵으로 무늬를 만들고, ë°‘ì—는 담묵으로 무늬를 만든다. 선으로 ë¹„ëŠ˜ì´ ë˜ì–´ìžˆëŠ” 경우 머리ì—서 ë³¼ 때 ì„  뒤쪽으로 중묵, 위ì—는 넓게 ë°° 쪽으로 ì„ ì„ ê·¸ìœ¼ë©´ì„œ ì‚친다. ìœ„ìª½ì— ë†ë¬µìœ¼ë¡œ, ì•„ëž˜ìª½ì— ë‹´ë¬µìœ¼ë¡œ 무늬를 그리고 중묵으로 무늬를 그린다. 꼬리 쪽으로 굵게 ì„ ì„ ê¸‹ëŠ”ë‹¤. 그래야 ë¹„ëŠ˜ê°™ì´ ë³´ì¸ë‹¤.

※아가미와 배는 대ìžìƒ‰ìœ¼ë¡œ 먹선 ì•ˆìª½ì„ ì„  긋는다.

2. 바위

ë°°ê²½ì´ ë˜ëŠ” ë°”ìœ„ì— ì¤€ì¹˜ì§€ ì•Šì€ ë¶€ë¶„ì„ ëŒ€ìžìƒ‰ìœ¼ë¡œ í리게 하여 바림한다. 골(ì¤€ì„ ì¹œ ê³³)ì€ ê°ìƒ‰ìœ¼ë¡œ 바림한다. 즉 난마준으로 그린 바위를 능선 쪽으로 대ìžìƒ‰ 담채를 채색하고 골 쪽으로 ê°ìƒ‰ì„ 바림한다.

3. 꽃과 나무

꽃과 나무는 í™”ì¡°ë„ ì±„ìƒ‰ê³¼ 같게 한다. ë„í™”, ì² ì­‰ì€ ë°±ìƒ‰ ë°”íƒ•ì— ì—°ì§€ìƒ‰ìœ¼ë¡œ 바림하고 연지색으로 ë§ì„ ì„ 그린다. 여뀌는 ë°±ìƒ‰ì„ ë¬µë²•ì‹ìœ¼ë¡œ 먼저 ë¶“ì— ë¬»ížŒ 다ìŒ, 연지색으로 위ì—서부터 ì ì ì´ ì°ì–´ 내려온다. 금강화와 패랭ì´ê½ƒì€ 주(í™ìƒ‰) ë°”íƒ•ì— ì—°ì§€ìƒ‰ìœ¼ë¡œ ë°”ë¦¼ì„ í•˜ê³  연지색으로 ë§ì„ ì„ 그린다. í™ì ë‚˜ë¬´ëŠ” ê½ƒì´ í•€ 것 ê°™ì´ í™ì ìœ¼ë¡œ ì ì„ ì°ëŠ”ë‹¤. ì œë¹„ê½ƒì€ ë‚¨ìƒ‰ìœ¼ë¡œ 3번 ì ì„ ì°ê³  ê°€ìš´ë° í° ì ìœ¼ë¡œ ì ì„ ì°ëŠ”ë‹¤.

※잎사귀는 ëª¨ë‘ í™©í† ìƒ‰ ë°”íƒ•ì— ë…¹ì²­ìƒ‰ìœ¼ë¡œ 바림하고 먹선으로 ìžŽë§¥ì„ ê·¸ë¦°ë‹¤.

4. 수조ì (수초)

황토하고 ê°ìƒ‰ì„ 봉채로 따로 ì ‘ì‹œì— ê°ˆì•„ë‘”ë‹¤. 먼저 ë¶“ì— í™©í† ìƒ‰ì„ ë¬»ížˆê³  ë¶“ì´‰ì— ê°ìƒ‰ì„ 묻힌다. ë°‘ì—서 위로 ì„ ì„ ê·¸ìœ¼ë©´ ë°‘ì—는 진하고 위로 올ë¼ê°ˆìˆ˜ë¡ í™©í† ìƒ‰ì´ ë¹„ì³ ì—°í•˜ê²Œ ë³´ì¸ë‹¤. 즉 고기가 움ì§ì´ëŠ” ë°©í–¥ì— ê°ìƒ‰ìœ¼ë¡œ 물로 바림하면 마치 움ì§ì´ëŠ” 것처럼 ë³´ì´ëŠ” 효과를 ì–»ì„ ìˆ˜ 있다. 수조ì ì€ 반차륜법으로 ì†¡ì—½ì  ê°™ì´ ë°‘ì—서 위로 ë”°ë¼ ì˜¬ë¼ê°€ë©´ì„œ 지그재그로 ì„ ì„ ê·¸ì–´ ë°‘ì—는 진하고 위ì—는 í리게 한다. 단 ì†”ìžŽì„ ê·¸ë¦´ ë•Œì˜ ì†¡ì—½ì ì€ ì§ì„ ìœ¼ë¡œ ë˜ì–´ 있지만, 수조ì ì€ 곡선으로 휘어야 한다.

ì–´í•´ë„

 

글·그림 : 박수학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