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부터 차근차근③ 모든 ì¸ë¥˜ì˜ 소ë§, 무병장수 기ì›í•˜ëŠ” 십장ìƒë„â‘ 

십장ìƒë„

ê³ ë ¤ ë§ì˜ 문장가ì´ìž ë¬¸ì‹ ì¸ ëª©ì€ ì´ìƒ‰ì˜ ì‹œë¬¸ì§‘ì¸ <목ì€ì§‘>ì—는 ì‹­ìž¥ìƒ ì‹œè©©ê°€ 남아있다.
“내 ì§‘ì—는 십장ìƒì„ ê°„ì§í•˜ê³  있는ë°, ë³‘ì¤‘ì˜ ì†Œì›ì€ 탈 ì—†ì´ ì˜¤ëž˜ 사는 것 ë¿ì´ë‹¤. 차례로 찬사를 붙여 구름, 물, 바위, 소나무, 대나무, ì˜ì§€, ê±°ë¶ì´, í•™, ë‹¬ì„ ì œëª©ìœ¼ë¡œ 시를 지었다.â€
무병장수는 ë™ì„œê³ ê¸ˆì„ 막론한 모든 ì¸ë¥˜ì˜ 소ë§ì´ë‹¤. ì´ë¥¼ 기ì›í•˜ëŠ” ì—´ 가지 ë„ìƒì„ 그림으로 그려낸 ê²ƒì´ ì‹­ìž¥ìƒë„. 산수와 화조, ì˜ëª¨ê¹Œì§€ 다양한 소재를 잘 그려야 하는 그림ì´ë‹¤. ì–‘ì´ ë°©ëŒ€í•´ 5가지 기물씩 나누어 ì´ë²ˆ 호와 ë‹¤ìŒ í˜¸ì— ì†Œê°œí•œë‹¤.

ìž¥ìˆ˜ì˜ ìƒì§•, 십장ìƒë„ì˜ ê¸°ë¡ê³¼ 유래

십장ìƒë„ë¼ê³  하면 ì—´ 가지 장ìƒì˜ ìƒì§•으로 êµ¬ì„±ëœ ê²ƒìœ¼ë¡œ ê²½ìš°ì— ë”°ë¼ í•´, 달, ì‚°, 바위, ë‚´å·, 물, 대나무, 소나무, ê±°ë¶, í•™, 사슴, 불로초(ì˜ì§€) ë“±ì„ ê·¸ë¦° 것ì´ë‹¤. 장ìƒê³¼ ê´€ë ¨ëœ ì‚¬ë¬¼ì„ ê·¸ë¦° ê²ƒì€ ì¤‘êµ­ê³¼ ì¼ë³¸ì—ë„ ë‚¨ì•„ìžˆìœ¼ë‚˜ 십장ìƒë„ì˜ ìœ ë¬¼ì€ ì•Œë ¤ì§„ ê²ƒì´ ì—†ë‹¤. 우리 ê³ ìœ ì˜ ì²œì‹ , ì¼ì›”ì‹ , ì‚°ì•…ì‹  ë“±ì˜ ë¬´ì†ì‹ ì•™ì— ì¤‘êµ­ì˜ ì‹ ì„ ì‚¬ìƒì„ 수용하여 ë°œìƒí•œ 것으로 ë³´ì¸ë‹¤.
고려시대ì—는 기본ì ì¸ 장ìƒë„ì— ë‹¬ì„ ë”하여 ì¼ë˜ ê²ƒì„ ì¡°ì„ ì¡°ì— êµ¬ë¦„ì„ ë”í•´ 그리는 것으로 통ì¼ëœ ëª¨ìŠµì´ ì •í†µí™”í’ì˜ ì‹­ìž¥ìƒ ë³‘í’ì—서 ë³´ì¸ë‹¤. ë˜ ê¶ì²´ì˜ í° ë³‘í’ì—는 천ë„天桃, ì‹ ì„ ë“¤ì´ ë¨¹ê³  오래 산다는 복숭아가 ê·¸ë ¤ì§€ê¸°ë„ í•œë‹¤. ì´ë ‡ë“¯ 십장ìƒë„는 ë„화서 í™”ì›ë“¤ë„ ë§Žì´ ê·¸ë ¸ë‹¤. ì •ì´ˆì— ì™•ì´ ì‹ í•˜ë“¤ì—게 선물로 내렸다는 기ë¡ì´ 남아있는ë°, ìƒë¥˜ê³„ì¸µì´ í–¥ìœ í•˜ëŠ” 세화로서 주고받는 í’ìŠµì´ ìžˆì—ˆë˜ ê²ƒì´ë‹¤. ì •ì´ˆ, 회갑연, ê²°í˜¼ì‹ ë“±ì˜ ì˜ì‹ì´ ìžˆì„ ë•Œ ì§‘ì•ˆì„ ìž¥ì‹í•˜ê³ , ë…¸ì¸ì˜ ë°©ì„ ê¾¸ë¯¸ê±°ë‚˜ ê¶ì¤‘í–‰ì‚¬ì— ì™•ë¹„ì˜ ë’¤íŽ¸ì— ë†“ì—¬ 축수ç¥å£½ì˜ 뜻으로 쓰였다.
ê·¸ëŸ°ë° ì´ ì—´ 가지 장ìƒë¬¼ì„ 정확하게 지켜 그린 ê²ƒì€ ì˜¤ížˆë ¤ ë¯¼ì²´ì˜ ê·¸ë¦¼ì—서였으며, ìˆ«ìž ì‹­ì€ ì˜ˆë¡œë¶€í„° 완전한 숫ìžë¡œ 여겨졌기 때문ì´ë‹¤.

장ìƒë¬¼ì˜ ìƒì§•ì  ì˜ë¯¸â‘  (í•´, 구름, 물, ëŒ, ì˜ì§€)

해는 ë§Œë¬¼ì´ ìƒìž¥í•˜ëŠ”ë° ì—†ì–´ì„œëŠ” 안 ë˜ëŠ” 소중한 존재로, ì¸ë¥˜ëŠ” 예로부터 ê·¸ ì†Œì¤‘í•¨ì„ ì•Œê³  신격화해왔다. ë™ì–‘미술사ì—서는 태양 ì†ì— 삼족오가 산다는 설화를 바탕으로 ë„ìƒí™”í•˜ê¸°ë„ í–ˆë‹¤.
그러면 변화무ìŒí•˜ê³  실체가 없는 êµ¬ë¦„ì€ ì–´ë–»ê²Œ 장ìƒì˜ ìƒì§•ì´ ë˜ì—ˆì„까? 문양 중ì—는 ìš´ê¸°ë¬¸é›²æ°£æ–‡ì´ ìžˆë‹¤. ìƒë™í•˜ëŠ” êµ¬ë¦„ì˜ ëª¨ìŠµì´ë‹¤. êµ¬ë¦„ì„ ë§Œë¬¼ì˜ ìƒê¸°ç”Ÿæ°£ë¼ëŠ” ê´€ì ì—서 ë³´ìž. 불변으로 장ìƒì´ ëœ ê²ƒì´ ì•„ë‹ˆë¼, ë³€í•¨ìœ¼ë¡œì¨ ì˜ì›ížˆ 존재하는 것으로 ì—­í•™ì˜ ì—­ê³¼ ë¶ˆì—­ì„ ê²°ë¶€ì‹œí‚¨ 것과 ë§¥ì„ ê°™ì´í•œë‹¤.
ë¬¼ì€ ë¯¼ê°„ì—서 전해지는 ìƒì§•ê´€ì´ ë°˜ì˜ëœ 것ì´ë‹¤. ì˜¤í–‰ì˜ ì›ì²œìœ¼ë¡œ 모든 ìƒëª…ì˜ ê·¼ì›, 즉 ìƒëª…수ì´ê¸° 때문ì´ë‹¤. 장ìƒë¬¼ì´ 장ìƒí•˜ê¸° 위한 ì›ì²œì´ê³  보니 당연한 결과다.
ëŒì€ ì§€ê¸ˆë„ ê´€ìƒìš© ìžì—°ì„ì„ ìˆ˜ì„壽石ì´ë¼ê³  í•  ë§Œí¼ ì¼ë°˜ì ìœ¼ë¡œ ìž¥ìˆ˜ì˜ ìƒì§•으로 받아들여졌다. ë™ì–‘í™”ì—서는 ëŒì˜ 족보ë¼ê³  í•  수 있는 ‘ì„보’가 전해질 ë§Œí¼ ê´´ì„화怪石畵가 중요한 ìžë¦¬ë¥¼ 차지하고 있다. 민화ì—서는 ë”ìš± ì¶”ìƒí™”하고 ì˜ì¸í™”한 ë…특한 ëŒ ê·¸ë¦¼ì´ ë°œë‹¬ë˜ì—ˆë‹¤.
ì˜ì§€ëŠ” 불로초ë¼ê³ ë„ 한다. ì˜¤ëŠ˜ë‚ ë„ ë²„ì„¯ì˜ ì¼ì¢…으로 ì˜ì§€ê°€ 재배ëœë‹¤. 장수하는 신약으로 ì·¨ê¸‰ëœ ê¸°ë¡ì´ 남아있다. ì‹ ì„ ë„ì—서는 ì˜ì§€ ìžì²´ê°€ 신성시ë˜ê¸°ë„ 한다. ì˜ì§€ë¥¼ ê·¸ë¦¼ì— ê²°ë¶€ì‹œí‚¨ ê²ƒì€ ì •í†µí™”ê°€ 아닌 민화ë¼ëŠ” ê²ƒì´ íŒëª…ë˜ì—ˆë‹¤.

장ìƒë¬¼ì˜ ìƒì§•ì  ì˜ë¯¸

ì‹­ìž¥ìƒ ê·¸ë¦¬ëŠ” 법

1. 스케치(ë°ìƒ)
모조지나 í™”ì§€ì— ê·¸ë¦¬ë ¤ê³  하는 소재(십장ìƒ)를 2í­, 8í­, 10í­, 12í­ì— ê°ê° 8등분하여 팔분할법으로 스케치한다. 먼저 전체를 파악한 후 í° ì™¸ê³½í˜•ì²´ë¶€í„° 스케치한다. ì´í›„ 서서히 세밀한 ê³³ì„ ê·¸ë¦°ë‹¤. 다 했으면 í™”ë„(밑그림)ê°€ 완성ë˜ì—ˆìœ¼ë‹ˆ ë°‘ê·¸ë¦¼ì„ ë°‘ì— ë‘ê³  재단한 한지를 올려 본 ìž‘ì—…ì„ í•œë‹¤.

2. 한지 재단하기
한지를 그리려고 하는 그림 í­ ë‹¹ 사ì´ì¦ˆë¥¼ 재고 난 다ìŒ, ì–‘ ì˜†ì— 2~3㎠간격으로 송곳으로 눌러 조기대(미장나무 ìž)를 대고 눌러 접는다. 그래야 ë³‘í’ ê¾¸ë°€ 때 든든하다. ì—°ê²° 병í’ì´ê¸° ë•Œë¬¸ì— ìž¬ë‹¨ì„ ì‹ ì¤‘ížˆ 하고, 그릴 ë•Œë„ ì—°ê²°ë¶€ë¶„ì„ ì •í™•í•˜ê²Œ 잘 해야 한다.

3. ì‹­ìž¥ìƒ ê·¸ë¦¬ê¸°
소나무부터 진먹(ë†ë¬µ)으로 그린다. ë°”ìœ„ë„ ì§„ë¨¹ìœ¼ë¡œ 그린다. 물, 파ë„, í­í¬ëŠ” 중묵으로 그린다. 천ë„화는 진먹으로 그린다. 연지색 선으로 그릴 ìˆ˜ë„ ìžˆë‹¤. 사슴, ê±°ë¶, í•™ì„ ì§„ë¨¹ìœ¼ë¡œ 그린다. 대나무, 불로초를 진먹으로 그린다. 불로초는 연지색으로 ì„ ì„ ê·¸ë¦´ ë•Œë„ ìžˆë‹¤. í’€ì€ í˜¸ì´ˆì ìœ¼ë¡œ 위ì—는 진하고 ë°‘ì—는 í리게 하며, í¬ê³  작게 그린다. êµ¬ë¦„ì€ ì¤‘ë¬µìœ¼ë¡œ 그린다. 해는 기물(콤파스나 접시 등)ì„ ì´ìš©í•˜ì—¬ ë™ê·¸ëž—게 ì„ ì„ ê·¸ì–´ 표시해 둔다. ì•„êµí¬ìˆ˜ë¥¼ 한다. 물 2/3ê³¼ ì•„êµ 1/3ì„ ì„žì–´ 쓴다. ë°”ì¸ë”나 ë³´ì¼ìœ ë¡œ í¬ìˆ˜í•´ë„ ëœë‹¤.

십장ìƒë„

ì‹­ìž¥ìƒ ì±„ìƒ‰í•˜ê¸°

1. 바위 채색
í° ë©ì–´ë¦¬ 안쪽으로 갈색톤(황(노란색)2/3ê³¼ 주(í™ìƒ‰)1/3)으로 ë°‘ì—서 위로 먼저 바림한다. 모든 바위를 위와 ê°™ì´ í•˜ë©´ ëœë‹¤. 황ë¡(ì—°ë‘색)으로 바위 전체를 칠하면서 갈색으로 바림한 ê³³ì€ ë°˜ëŒ€ë¡œ 바림한다. 진한 êµ°ì²­(남색)으로 ë©ì–´ë¦¬ì˜ 가장ìžë¦¬ëŠ” 넓게 바림하고 안쪽으로 조금 ì¢ê²Œ 바림한다. êµ°ì²­ìƒ‰ì„ ë‹¤ 칠했으면 ì„ ì´ ê·¸ì–´ì§„ ìœ„ì— ë‹¤ì‹œ 진한 먹(ë†ë¬µ)으로 ë©ì–´ë¦¬ 가장ìžë¦¬ ìª½ì€ ë„“ê²Œ 바림하고 ì•ˆìª½ì€ ì¡°ê¸ˆ ì¢ê²Œ 바림한다. êµ°ì²­ìƒ‰ì„ ë‹¤ 칠했으면 ì„ ì´ ê·¸ì–´ì§„ ìœ„ì— ë‹¤ì‹œ 진한 먹(ë†ë¬µ)으로 ë©ì–´ë¦¬ 가장ìžë¦¬ëŠ” 굵게 ì•ˆìª½ì€ ì¡°ê¸ˆ 가늘게 ì„ ì„ ë„£ì–´ 사ì´ì‚¬ì´ ì‚´ì„ ë¶™ì¸ë‹¤. ì„ ì„ ë„£ê³  사ì´ì— ì„ ì„ ì¶”ê°€ë¡œ 그어 ìž…ì²´ê°ì„ 주는 ê²ƒì„ ì‚´ë¶™ì¸ë‹¤ê³  한다. ë¨¹ì„ ì„ ê·¸ì—ˆìœ¼ë©´ 먹선 안쪽으로 황(노란색)ì„ ì§„í•˜ê²Œ 그대로 그린다. 금분으로 í•´ë„ ëœë‹¤.

2. 구름 채색
ë°±0.7, 황1.5, 주1.5를 섞어 ì„ ì´ ìž˜ ë³´ì¼ ì •ë„로 ë¬¼ì˜ ë†ë„를 ë§žì¶° ë°”íƒ•ì„ ì¹ í•œë‹¤. ì˜¤ìƒ‰êµ¬ë¦„ì„ í•´ì•¼ ë˜ê¸° ë•Œë¬¸ì— êµ¬ë¦„ ë©ì–´ë¦¬ë¥¼ 세어본 ë‹¤ìŒ ì „ì²´ì—서 주(í™ìƒ‰)1/2, 황1/2ì„ í리게 하여 바림해 칠하고 ë¹ ì§„ ê³³(허전한 ê³³)ì„ ì—°ë‘나 êµ°ì²­ìƒ‰ì„ í리게 하여 바림한다. ë°”íƒ•ìƒ‰ì„ ì§„í•˜ê²Œ 하면 ìž‘ì—…í•˜ê¸°ë„ íž˜ë“¤ê³  다시 ë¨¹ì„ ì„ ê·¸ë ¤ì•¼ 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ì˜í•´ì•¼ 한다. 마지막으로 ë°±ìƒ‰ì„ ì§„í•˜ê²Œ 하여 먹선 안쪽으로 ì„ ì„ ê·¸ì–´ 완성한다.

3. 하늘 채색
황5/10, 주3/10, ë°±2/10ì„ ì„žì–´ 진하게 하늘 ë°”ë‹¥ì„ ì¹ í•œë‹¤.

4. 해 채색
주(í™ìƒ‰)를 진하게 하여 칠한다.

5. 바닥 채색
미색(황3/10ê³¼ ë°±7/10)ì„ ë§Œë“¤ì–´ 칠한다. 갈색(황과 주(í™ìƒ‰), 먹 약간)으로 중간 중간 사슴다리 밑으로는 í리게 한다. êµ­í™”ì ì„ 진하고 í리게 ì„ ì„ ê·¸ì–´ 작업한다.

6. 물, 파ë„, í­í¬ 채색
ë¬¼ì€ êµ°ì²­ìœ¼ë¡œ í리게 하여 중간 중간 ë°”ë¦¼ì„ í•˜ë©´ì„œ ë°”ë‹¥ì„ ì¹ í•˜ê³  군청으로 ë¬¼ê²°ì„ ì„ ì˜ˆì˜ê²Œ 긋는다. 파ë„는 갈색(황2/3ê³¼ 주(í™ìƒ‰)1/3, 먹 약간)ì„ ë°”ë‹¥ ì „ì²´ì— ì¹ í•œë‹¤. 그리고 êµ°ì²­2/3ê³¼ 먹1/3ì„ ì„žì–´ íŒŒë„ ì•ˆìª½ì—서 위 1~2ãŽë¥¼ 남겨ë‘ê³  바림한다. 파ë„ê°€ ì¹  경우 í°ìƒ‰ ë°”íƒ•ì„ ì¹ í•˜ê³  ê°ìƒ‰ìœ¼ë¡œ ë°‘ìª½ì„ ë°”ë¦¼í•˜ê³  ê°ìƒ‰ìœ¼ë¡œ ì„ ì„ ê¸‹ëŠ”ë‹¤. íŒŒë„ ìœ„ì—는 í° ì ì„ ì°ëŠ”ë‹¤. í­í¬ëŠ” í°ìƒ‰ ë°”íƒ•ì„ ì¹ í•˜ê³  중간 중간 바림하고 ì„ ì„ ê¸‹ëŠ”ë‹¤.

7. 불로초 채색
ë°”íƒ•ì„ í°ìƒ‰1/3ê³¼ 주(í™ìƒ‰)2/3로 칠한다. 연지색으로 í° ë°”íƒ•ì€ í리게 주색 바탕ì—는 진하게 바림한다. ì™¸ê³½ì„ ì„ ì—°ì§€ìƒ‰ìœ¼ë¡œ 진하게 긋는다.

ì‹­ìž¥ìƒ ê·¸ë¦¬ëŠ” 법
<바위 그리기>
â‘  진한 먹으로 ì„ ì„ ê¸‹ëŠ”ë‹¤.
â‘¡ ë°ì€ 대ìžìƒ‰ìœ¼ë¡œ 바위 중간 ì¤‘ê°„ì„ ì¹ í•˜ê³  바림한다.
â‘¢ 남색으로 바위 위쪽과 ì˜†ìª½ì„ ë°”ë¦¼í•œë‹¤.
â‘£ 진한 먹선으로 바위 외곽과 ì•ˆìª½ì— ì„ ì„ ê¸‹ëŠ”ë‹¤.
⑤ 진한 황색으로 먹선 안쪽으로 ì„ ì„ ê¸‹ëŠ”ë‹¤.
â‘¥ 호초ì ì„ 넣는ë°, 황색으로 ë°”íƒ•ì„ ì¹ í•˜ê³  ê°ìƒ‰ìœ¼ë¡œ ìœ„ì— ì‚´ì§ ë°”ë¦¼í•œë‹¤.

<구름 그리기>
⑦-1 중간 먹으로 ì„ ì„ ê¸‹ëŠ”ë‹¤.
⑦-2 í™ìƒ‰, 황색, ì—°ë‘색, ê°ìƒ‰ì„ 칠하고 바림한다.
⑦-3 진한 í° ì„ ìœ¼ë¡œ 먹선 안쪽으로 ì„ ì„ ê¸‹ëŠ”ë‹¤. êµ¬ë¦„ì€ í™”ì—°ë²•ìœ¼ë¡œ 그린다.
⑦-4 갈색으로 êµ¬ë¦„ì‚¬ì´ ë°”íƒ•ì„ ì¹ í•œë‹¤.

<물결 그리기>
â‘§ 중간 먹으로 ì„ ì„ ê¸‹ëŠ”ë‹¤.
⑨ ê°ìƒ‰ìœ¼ë¡œ 바림한다.
â‘© 파ë„ì˜ í°ìƒ‰ ë°”íƒ•ì„ ì¹ í•œë‹¤.
⑪ 지당ì˜ë ¨ë²•으로 파ë„를 그리고 ê°ìƒ‰ìœ¼ë¡œ ì„ ì„ ê¸‹ëŠ”ë‹¤.
â‘« 파ë„ì˜ ë¬¼ê²°ì„ í‘œí˜„í•˜ê¸° 위해 í° ì ìœ¼ë¡œ ë¬¼ë°©ìš¸ì„ ì°ëŠ”ë‹¤.

<천ë„í™” 그리기>
⑬ 진한 먹으로 ì„ ì„ ê¸‹ê³  천ë„í™” ë°”íƒ•ì€ í°ìƒ‰ìœ¼ë¡œ 칠한다.
â‘­ 천ë„í™” ìžŽì„ í™©ìƒ‰, 녹색 바탕으로 칠하고 진한 먹으로 ìžŽë§¥ì„ ê·¸ë¦°ë‹¤.
â‘® 천ë„í™” 나무를 대ìžì™€ ë¨¹ì„ ì„žì–´ 바탕칠하고 중묵으로 나무 ì–‘ìª½ì„ ë°”ë¦¼í•œë‹¤.
⑯ 천ë„화를 연지색으로 바림하고 ì ì„ ì°ì€ 후 ì™¸ê³½ì„ ì„ ê¸‹ëŠ”ë‹¤.
â‘° 태ì ì€ ë¨¹ì„ ì°ê³  ì—°ë‘색으로 ì ì°ì–´ 마무리한다.

<불로초 그리기>
⑱ 진한 먹선으로 ì„ ì„ ê¸‹ëŠ”ë‹¤.
⑲ ë°”íƒ•ìƒ‰ì€ í°ìƒ‰ê³¼ í™ìƒ‰ìœ¼ë¡œ 칠한다.
⑳ 연지색으로 바림한다. 진한 연지색으로 ì„ ì„ ê¸‹ëŠ”ë‹¤.

 

구름 그리기

※참고
êµ¬ë¦„ì€ êµ¬ìš´í™”ë²•ê³¼ 화연법으로 그린다.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í° êµ¬ë¦„ì€ êµ¬ìš´í™”ë²•, 연기처럼 아스ë¼ì´ 피어오르는 êµ¬ë¦„ì€ í™”ì—°ë²•ìœ¼ë¡œ 그리고 ê²½ìš°ì— ë”°ë¼ ë‘ ê°€ì§€ë¥¼ 섞어 ì“°ê¸°ë„ í•œë‹¤.

 
 
 

 

글·그림 : 박수학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