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부터 차근차근② ìš©ìƒì— ìœ„ì—„ì„ ë”하는 ì¼ì›”ì˜¤ë´‰ë„ ê·¸ë¦¬ê¸°

ì¼ì›”오봉ë„

《시경》 ì†Œì•„ì²œë³´íŽ¸ì„ ë³´ë©´ ìž„ê¸ˆì˜ ë•ì„ ì¹­ì†¡í•˜ëŠ” ë‚´ìš©ì´ ë‚˜ì˜¨ë‹¤.
â€œí•˜ëŠ˜ì´ ìž„ê¸ˆì„ ë„와 정하시니 í’성하지 않ìŒì´ 없으시ë„다. ì‚°ê³¼ 같고 ì–¸ë•ê³¼ë„ ê°™ìœ¼ë©° 등성ì´ì™€ë„ 같고 ë´‰ìš°ë¦¬ì™€ë„ ê°™ë‹¤.â€
ì´ë¥¼ 그림으로 옮기면 ì¼ì›”오봉ë„ê°€ ëœë‹¤. 왕과 왕비를 ìƒì§•하는 해와 달, 성스럽고 ë†’ì€ ë‹¤ì„¯ ë´‰ìš°ë¦¬ì˜ ì‚°, ìž¥ìˆ˜ì˜ ìƒì§•ì¸ ì†Œë‚˜ë¬´ì™€ 물결까지 ì–´ëŠ í•œ êµ°ë°ë„ 소홀히 í•  수 없는, 수준 ë†’ì€ ê¸°ëŸ‰ì´ í•„ìš”í•œ 그림ì´ë‹¤.

ìž„ê¸ˆì˜ ìƒì§•, 오봉산 ì¼ì›”ë„

ì¼ì›”오봉ë„ì¼ì›”ë„는 ìž„ê¸ˆì´ ì•‰ì€ ìš©ìƒì˜ ë’¤íŽ¸ì„ ìž¥ì‹í•˜ëŠ” 그림ì´ë‹¤. 오봉산 ì¼ì›”ë„ë¼ê³  하면 다섯 ë´‰ìš°ë¦¬ì˜ ëŒì‚°ê³¼ 파ë„치는 물결, 소나무를 배경으로 해와 ë‹¬ì´ ë–  있는 ê·¸ë¦¼ì„ ë§í•œë‹¤. ì¼ë³¸í•™ê³„ì—서는 ì¼ì›”산수ë„, 우리는 그저 ê°€ë³ê²Œ ì¼ì›”ë„ë¼ê³  불러왔다. 그러다 ê¹€ì² ìˆœì´ ë°œí‘œí•œ 한양가ì—서 오봉산 ì¼ì›”ë„ë¼ëŠ” ì´ë¦„ì´ ë°œê²¬ë˜ë©´ì„œ ë³¸ëª…ì„ ì°¾ê²Œ ë˜ì—ˆë‹¤. 중국ì—서는 만제 대부터 오악 ì‹ ì•™ì´ ìƒê²¨ 행했으며, ë™ì•…ì€ ê³½ì‚°, ì„œì•…ì€ í™”ì‚°, ë‚¨ì•…ì€ ìˆ­ì‚°, ë¶ì•…ì€ í•­ì‚°, ì¤‘ì•…ì€ íƒœì‚°ì´ë¼ê³  여겼다. 우리나ë¼ì—서는 ë™ì•…ì´ ê¸ˆê°•ì‚°, ì„œì•…ì€ ë¬˜í–¥ì‚°, ë‚¨ì•…ì€ ì§€ë¦¬ì‚°, ë¶ì•…ì€ ë°±ë‘ì‚°, ì¤‘ì•…ì€ ì‚¼ê°ì‚°ìœ¼ë¡œ 여겼으며, ì‹ ë¼ì‹œëŒ€ì—ë„ ê²½ì£¼ë¥¼ 중심으로 하는 ì˜¤ì•…ì´ ìžˆì—ˆë‹¤. ìŒì–‘오행설ì—서 유래한 ì´ ì‹ ì•™ì€ ì˜¤ë°©ì‹ ìž¥ì˜ ìˆ˜í˜¸ì‹  ê´€ë…ì´ ë°˜ì˜ëœ 것으로, 오악부ë¼ëŠ” ë¶€ì ì´ ìžˆì„ ì •ë„로 성행했다. ì¼ì›”ë„ì— ë‚˜íƒ€ë‚˜ë‚˜ í•´, 달, ì‚°, 소나무, ë¬¼ì€ ì²œê³„, 지계, ìƒë¬¼ê³„를 대표하는 ì˜êµ¬í•œ ìƒëª…ë ¥ì˜ í‘œìƒì´ë‹¤. ì¼ì›”오봉ë„는 단순한 ê·¸ë¦¼ì„ ë„˜ì–´ 제신諸神(여러 ì‹ )ì˜ ë³´í˜¸ë¥¼ 받아 ì™•ì‹¤ì˜ ìžì†ì´ 오래오래 번창하ë¼ëŠ” êµ­ê°€ê´€ì˜ íˆ¬ì˜ì´ìž, ì™•ì‹¤ì˜ ì§€ê³ í•˜ê³  성스러운 권위를 나타낸 것ì´ë‹¤.

ì¼ì›”ë„ ê·¸ë¦¬ëŠ” 법

1. 스케치(ë°ìƒ)
모조지나 í™”ì§€ì— ê·¸ë¦¬ë ¤ê³  하는 소재(ì¼ì›”ë„)를 팔분할법으로 1í­ 8ë“±ë¶„ì„ í•˜ê³  2í­, 8í­, 10í­ìœ¼ë¡œ í•  ë•Œë„ ê° ìž¥ì„ ë˜‘ê°™ì´ 8등분으로 스케치한다. 먼저 전체를 파악한 후 í° ì™¸ê° í˜•íƒœë¶€í„° 스케치한 후, 서서히 세밀한 ê³³ì„ ìŠ¤ì¼€ì¹˜í•´ í™”ë„(하ë„)를 만든다. 해와 ë‹¬ì„ ìžë‚˜ ì»´í¼ìŠ¤ë¡œ 8ë“±ë¶„ëœ ê³³ê³¼ ìƒí•˜ì¢Œìš° 위치를 잡고 ë™ê·¸ëž—게 ì„ ì„ ê¸‹ëŠ”ë‹¤.

2. 한지 재단하기
í•œì§€ì— ê·¸ë¦¬ë ¤ê³  하는 ê·¸ë¦¼ì˜ í­ë‹¹ 사ì´ì¦ˆë¥¼ 재고 난 ë‹¤ìŒ ì–‘ì˜†ì— 2~3㎠간격으로 송곳으로 조기대(미장나무ìž)를 대고 눌러 접는다. 그래야만 병í’ì„ ê¾¸ë°€ 때 든든하다. ì—°ê²° 병í’ì´ê¸° ë•Œë¬¸ì— ìž¬ë‹¨ì„ ì‹ ì¤‘ížˆ 한다.

3. ì¼ì›”ë„ ê·¸ë¦¬ê¸°
í™”ë„(밑그림)를 ë°‘ì— ëŒ€ê³  재단한 한지를 ìœ„ì— ë†“ê³  본격ì ìœ¼ë¡œ 작업한다. 소나무부터 진한 먹(ë†ë¬µ)으로 그린다. 바위를 그리고 파ë„와 í­í¬, 해와 달 순으로 그린다. ì•„êµí¬ìˆ˜ëŠ” 물2/3, ì•„êµ1/3ì„ ì„žì€ í›„ í¬ìˆ˜í•œë‹¤.

ì¼ì›”ë„ ê·¸ë¦¬ëŠ” 법

ì¼ì›”ë„ ì±„ìƒ‰í•˜ê¸°

ì¼ì›”ë„ ì±„ìƒ‰í•˜ê¸°

1. 바위 채색
ë©ì–´ë¦¬ ì•ˆìª½ì„ ê°ˆìƒ‰í†¤ìœ¼ë¡œ 먼저 바림한다. ì´ë•Œ ê°ˆìƒ‰ì€ í™©2/3ê³¼ 주1/3ì„ ì„žëŠ”ë‹¤. ê°ˆìƒ‰ì´ ì—†ëŠ” ê²½ìš°ë„ ìžˆë‹¤. 황ë¡(ì—°ë‘색)으로 ë°”íƒ•ì„ ì¹ í•œë‹¤. 진한 êµ°ì²­(남색)으로 ë©ì–´ë¦¬ì˜ 가장ìžë¦¬ ìª½ì„ ë„“ê²Œ 바림하고 안쪽으로는 조금 ì¢ê²Œ 바림한다. ì„ ì´ ê·¸ì–´ì§„ ìœ„ì— ë‹¤ì‹œ 진한 먹(ë†ë¬µ)으로 ë©ì–´ë¦¬ 가장ìžë¦¬ ìª½ì€ êµµê²Œ 안쪽으로는 조금 가늘게 ì„ ì„ ê¸‹ê³  오봉산 ëìžë½ 쪽ì—는 매우 굵게 ì„ ì„ ê¸‹ëŠ”ë‹¤. ê·¸ë‹¤ìŒ í™©ìƒ‰(노란색)으로 ì„  ì•ˆìª½ì— ì„ ì„ ê·¸ì–´ 완성한다.

2. 소나무 채색
소나무는 진한 주í™ìƒ‰ìœ¼ë¡œ ë°”íƒ•ì„ ì¹ í•˜ê³  연지와 ë¨¹ì„ ì•½ê°„ 섞어 양쪽 나무 ëì„ ë°”ë¦¼í•˜ê³  ì„ ì„ ê¸‹ëŠ”ë‹¤. 소나무 무늬로 ê±°ë¶ë¬´ëŠ¬ë‚˜ 비늘무늬를 그려 넣는다. 무늬를 안 그리는 ê²½ìš°ë„ ìžˆë‹¤. ì†”ìžŽì€ ì§„í•œ 녹색(녹청)으로 ë°”íƒ•ì„ ì¹ í•˜ê³  솔잎 ë©ì–´ë¦¬ ë°‘ìª½ì— ì ˆë°˜ì¯¤ 수í‰ìœ¼ë¡œ ì¤‘ë¬µì„ ë°”ë¦¼í•œë‹¤. 솔잎 줄기를 진한 먹으로 반차륜법으로 지그재그 그린다. ì„ ì€ ìˆ˜í‰ìœ¼ë¡œ 긋는다. 소나무 ë ë¶€ë¶„ì— í™©ë¡, ë°±ë¡, 백색으로 Vìžë¥¼ ê·¸ë¦¬ë“¯ì´ ì ì„ ì°ëŠ”ë‹¤.

채색하기

3. íƒœì  ì°ê¸°
태ì ì€ 황ë¡(ì—°ë‘색)으로 불규칙하게 í¬ê³  작게 ì ì„ ì°ê³ , 마른 ë‹¤ìŒ êµ°ì²­(남색), 녹청(녹색)으로 ëª¨ì–‘ì´ ìƒê¸´ 대로 ì ì„ ì°ëŠ”ë‹¤. í°ìƒ‰ìœ¼ë¡œ 황ë¡(ì—°ë‘색)ì„ ì¹ í•œ ëìžë½ ìª½ì— ì´˜ì´˜ížˆ ì ì„ ì°ë“¯ì´ ì°ëŠ”ë‹¤.

4. íŒŒë„ ì±„ìƒ‰
ë¬¼ê²°ì€ ë¨¼ì € 갈색(황2/3ê³¼ 주1/3)으로 ë°”íƒ•ì„ ì¹ í•œë‹¤. êµ°ì²­(남색)ì— ë¨¹ì„ ì•½ê°„ 섞어 íŒŒë„ ì•ˆìª½ì„ ë™ê·¸ëž—게 바림한다. 물결 ëìª½ì— ì„ ì„ êµµê²Œ 긋고 안쪽으로 ì™¸ê³½ì„ ì— 1~2㎠남겨ë‘ê³  진한 먹(ë†ë¬µ)으로 ì„ ì„ ê°€ëŠ˜ê²Œ ì¸µì¸µì´ ê¸‹ëŠ”ë‹¤. 파ë„는 í°ìƒ‰ ë°”íƒ•ì„ ì¹ í•˜ê³  ê°ìƒ‰ìœ¼ë¡œ ë°‘ì„ ë°”ë¦¼í•œë‹¤. ê°ìƒ‰ 중간색으로 ì„ ì„ ê¸‹ê³  í°ìƒ‰ìœ¼ë¡œ 파ë„ì ì„ 예ì˜ê²Œ ì°ëŠ”ë‹¤.

5. í­í¬ 채색
 하늘 채색í­í¬ëŠ” êµ°ì²­(남색)으로 중간중간 위ì—서 밑으로 ë°”ë¦¼ì„ í•œë‹¤.

6. 하늘 채색
í•˜ëŠ˜ì€ ì§„í•œ 녹청(남색)으로 얼룩지지 않게 칠한다. 넓게 ìƒ‰ì„ ì¹ í•  경우 물기를 ë˜‘ê°™ì´ í•´ì„œ 좌측ì—서 우측으로 칠하면 얼룩지지 않는다. 그러나 마른 ê³³ì— ë˜ ì¹ í•˜ë©´ 100% ì–¼ë£©ì´ ì§€ë¯€ë¡œ 주ì˜í•œë‹¤.

7. ì¼ì›” 채색
해는 진한 주í™ìƒ‰ìœ¼ë¡œ, ë‹¬ì€ ì§„í•œ 백색으로 칠한다.

8. 마무리
ë¹ ì§„ ê³³ì´ ì—†ëŠ”ì§€ 꼼꼼히 확ì¸í•˜ê³  완성한다.

※참고
íŒŒë„ ë¬¼ê²°ë¬´ëŠ¬ëŠ” 파랑화법, 해조화법, 지당ì˜í˜„ë²•ì´ ìžˆë‹¤. ì¼ì›”ë„ì—는 파랑화법과 í•´ì¡°í™”ë²•ì´ ì£¼ë¡œ ì“°ì´ê³  십장ìƒë„ì—는 파랑화법과 지당ì˜í˜„ë²•ì´ ì£¼ë¡œ ì“°ì¸ë‹¤.

 

글·그림 : 박수학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2 comments on “기초부터 차근차근② ìš©ìƒì— ìœ„ì—„ì„ ë”하는 ì¼ì›”ì˜¤ë´‰ë„ ê·¸ë¦¬ê¸°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