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부터 시작하는 채색화 그리기, 채색 방법과 안료 구분법①

채색 방법과 안료 구분법
채색 방법과 안료 구분법①

채색화를 그리기 위해서는 ì•ˆë£Œì˜ íŠ¹ì„±ì„ íŒŒì•…í•˜ê³ , ê° ì•ˆë£Œì— ë§žì¶˜ 채색 ë°©ë²•ì„ ê¾¸ì¤€ížˆ 숙련해야 한다. ë˜í•œ, 채색ë˜ì–´ì•¼ í•  대ìƒì˜ íŠ¹ì„±ì„ ìž˜ 파악해 ì±„ìƒ‰ì˜ ë†ë„, 바림 방법 ë“±ì˜ í‘œí˜„ë°©ì‹ì„ 습ë“해야 한다. ì±„ìƒ‰í™”ì˜ ê¸°ì´ˆë¥¼ 다지기 위해 채색 방법과 안료 êµ¬ë¶„ë²•ì— ê´€í•´ 알아보ìž.

1.ì±„ìƒ‰ì˜ ë°©ë²•

ê·¸ë¦¼ì˜ ì£¼ì œê°€ 정해졌다면, ê·¸ 대ìƒì˜ íŠ¹ì„±ì— ë”°ë¼ ì±„ìƒ‰ì˜ ì•ˆë£Œ 종류를 구별하는 ê²ƒì´ ì±„ìƒ‰ê³¼ì •ì˜ ì²« 번째다. ë”°ë¼ì„œ 꽃ì´ë‚˜ 잎 ê°™ì€ ìž‘ì€ ì‹ë¬¼ì„ 표현하든, 소나무나 오ë™ë‚˜ë¬´, ë™ë¬¼, 바위를 표현하든 í˜¹ì€ ë°°ê²½ì„ í‘œí˜„í•˜ë“  그리는 ì´ëŠ” í•­ìƒ ê·¸ë¦´ 대ìƒì„ 관찰하고 연구해야 한다. 대ìƒì˜ íŠ¹ì„±ì„ ìž˜ 파악해 부드럽고 섬세해야 í•  부분과 대담하고 힘차게 표현해야 í•  부분 ë“±ì„ ê²°ì •í•´ì•¼ 한다. ì´ì— ë”°ë¼ ì±„ìƒ‰ì˜ ë†ë‹´, 명ë„, 채ë„ê°€ 정해지고, ì±„ìƒ‰ì˜ ìˆœì„œë„ ì •í•´ì§„ë‹¤.
모든 ê³¼ì •ì´ ê·¸ë ‡ì§€ë§Œ 특히 ì±„ìƒ‰ì„ í•  때는 ê·¸ë¦¼ì„ ì „ì²´ì ìœ¼ë¡œ 파악하고 ì•ˆë£Œì˜ êµ¬ë¶„, ì±„ìƒ‰ì˜ ìˆœì„œ, 그릴 대ìƒì— 따른 ì±„ìƒ‰ì˜ ì ì ˆí•œ í‘œí˜„ë°©ë²•ì„ ì±„ìƒ‰ ì „ 구ìƒí•´ë‘어야 한다. ì´ê²ƒì€ ì±„ìƒ‰ì— ìžˆì–´ 가장 중요한 과정ì´ë‹¤. í•„ìžë„ ì²˜ìŒ ìž‘ì—…í•˜ëŠ” ê·¸ë¦¼ì€ ì´ì²˜ëŸ¼ 그리기 ì „ 충분한 시간 ë™ì•ˆ 관찰하며 ì±„ìƒ‰ì˜ ìˆœì„œë¥¼ 구ìƒí•œë‹¤.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2.ì•ˆë£Œì˜ êµ¬ë¶„

ì±„ìƒ‰ì˜ í‘œí˜„ë°©ë²•ì— ìžˆì–´ì„œ 가장 중요한 ê²ƒì€ ì•ˆë£Œì˜ êµ¬ë¶„ì´ë‹¤. 그릴 대ìƒì˜ íŠ¹ì„±ì— ë§žì¶”ì–´ 호분, 봉채, 분채, ì„채 ë“±ì˜ ì•ˆë£Œë¥¼ ì„ íƒí•´ì•¼ 한다. ì•ˆë£Œì˜ íŠ¹ì„±ì— ë”°ë¼ ê·¸ 채색 ë°©ë²•ë„ ë‹¬ë¼ì§€ê¸° ë•Œë¬¸ì— ëª¨ë“  ì•ˆë£Œì˜ íŠ¹ì„± ë˜í•œ 파악해야 한다.

1) í˜¸ë¶„ì˜ íŠ¹ì„±

ë°±ìƒ‰ì˜ ëŒ€í‘œì ì¸ 안료로 구름, ê½ƒì„ í‘œí˜„í•˜ê±°ë‚˜ 혼색하는 ë° ì‚¬ìš©ëœë‹¤. ì•ˆë£Œì˜ íŠ¹ì„±ìƒ ë‘께ê°ì´ 있으며, ë°•ë½ì´ 쉬우므로 ë†ë‹´ì´ 중요하다. 너무 얇게 칠하면 ì§„ì±„í™”ë§Œì´ ê°€ì§€ëŠ” í‘œë©´ì˜ ì§ˆê°ì„ ëŠë‚„ 수 없고, 너무 ë‘ê»ê²Œ 칠하면 í˜¸ë¶„ì´ ë°”ë¦¼ë¶“ì— ë‹¦ì—¬ì„œ ë°”ë¦¼ì´ íž˜ë“¤ì–´ì§„ë‹¤. í˜¸ë¶„ì„ ì–‡ê²Œ 여러 번 ì¹ í•  ìˆ˜ë„ ìžˆì§€ë§Œ, ì´ë³´ë‹¤ëŠ” 한 ë²ˆì— ì•„êµìˆ˜ì˜ ë†ë„를 ë§žì¶° 마를 때까지 기다렸다가 ë°‘ê·¸ë¦¼ì˜ ë¨¹ì„ ì´ í¬ë¯¸í•˜ê²Œ ë³´ì¼ ì •ë„ì˜ ë†ë„ê°€ ë˜ì—ˆì„ 때 사용하는 ê²ƒì´ ì ë‹¹í•˜ë‹¤. í˜¸ë¶„ì´ ì –ì—ˆì„ ë•Œì—는 ë¨¹ì„ ì´ ìž˜ ë¹„ì³ ë³´ì´ì§€ë§Œ, ì‹œê°„ì´ ì§€ë‚˜ê³  í˜¸ë¶„ì´ ë§ˆë¥´ë©´ ë¨¹ì„ ì´ ì•ˆë³´ì´ê²Œ ë‘ê»ê²Œ ì¹ í•´ì ¸ 바림할 때 낭패를 보는 경우가 종종 있다.
호분ì´ë‚˜ 분채 ëª¨ë‘ ì•ˆë£Œì˜ íŠ¹ì„±ìƒ ë¬¼ê°ì„ 한 ë²ˆì— ë‘ê»ê²Œ 올릴 수 있으므로, 조금 ì¹ í•´ 본 후 마른 ìƒíƒœë¥¼ ë³´ê³  나머지 ë¶€ë¶„ì„ ì±„ìƒ‰í•˜ëŠ” ê²ƒì´ í˜„ëª…í•œ 방법ì´ë‹¤. ë˜í•œ í˜¸ë¶„ì„ ì¹ í•  때는 외곽선까지 고르게 칠해야 한다. 그래야 바림 후 ì„ ì„ ê³ ë¥´ê²Œ ê·¸ì„ ìˆ˜ 있다.
호분으로 물ê°ì„ 만들 시ì—는 사용하려하는 양보다 30%ì •ë„ ë„‰ë„‰í•˜ê²Œ 만드는 ê²ƒì´ ì¢‹ë‹¤. ê·¸ ì–‘ì— ë¹„ë¡€í•´ ì ‘ì‹œë„ ì ë‹¹í•œ í¬ê¸°ë¡œ ë§žì¶° ì¨ì•¼ 하는ë°, ì ‘ì‹œì— ì±„ìƒ‰ë¶“ì´ ìž ê¸¸ ì •ë„ê°€ ì ë‹¹í•˜ë‹¤. 납작한 ì ‘ì‹œì— íƒ€ê²Œ ë˜ë©´ ìˆ˜ë¶„ì´ ë¹ ë¥´ê²Œ ì¦ë°œí•˜ëŠ”ë° ê³„ì† ë¬¼ì„ ì¶”ê°€í•˜ë‹¤ë³´ë©´ ì¹ í•  때 ë†ë„ê°€ 달ë¼ì§€ë¯€ë¡œ 주ì˜í•´ì•¼ 한다.

2) 호분 고르는 요령

호분 고르는 ìš”ë ¹í˜¸ë¶„ì˜ ê²½ìš° 분채, 봉채, ì„채와는 다르게 종류가 다양해 ì„ íƒí•˜ê¸°ê°€ 쉽지 않다. ì¼ë°˜ì ì¸ ìƒì‹ëŒ€ë¡œ 대개 ê³ ê°€ì˜ í˜¸ë¶„ì€ í’ˆì§ˆì´ ì¢‹ë‹¤. ì¸ì‚¬ë™ì˜ 경우 필방마다 ì•½ê°„ì˜ ê°€ê²© ì°¨ì´ëŠ” 있지만, 부풀리거나 ì†ì´ëŠ” ê³³ì€ ì—†ë‹¤.
가장 ê³ ê°€ì˜ í˜¸ë¶„ì€ í’ˆì§ˆì´ ìš°ìˆ˜í•˜ê³  ë¶ˆìˆœë¬¼ì´ ì ì–´ ì•„êµì™€ í˜¼í•©ì´ ìž˜ëœë‹¤. ì¹  ë˜í•œ 잘ë˜ë©° 칠한 ë’¤ 하얀 ë°œìƒ‰ë„ ë§¤ìš° 뛰어나다. 그러나 다른 색과 혼색할 때는 뚜렷한 í°ìƒ‰ì´ 단ì ìœ¼ë¡œ ìž‘ìš©í•˜ê¸°ë„ í•œë‹¤. 마르기 ì „ê³¼ 마른 í›„ì˜ ìƒ‰ê°ì´ ì°¨ì´ê°€ 나는 것ì¸ë°, ì´ë¥¼ 보완하기 위해 여러 ë²ˆì— ê±¸ì³ ìƒ‰ì„ ë§žì¶°ë´ì•¼ 한다. í˜¼ìƒ‰ì„ ìœ„í•´ì„œëŠ” ì¤‘ê¸‰ì˜ í˜¸ë¶„ì„ ë”°ë¡œ 쓰는 ê²ƒë„ ë°©ë²•ì´ë‹¤. 중급ì´ë¼ 하면 중간 ì •ë„ì˜ ê°€ê²©ìœ¼ë¡œ íŒë§¤ë˜ëŠ” í˜¸ë¶„ì„ ìƒê°í•˜ë©´ 쉬울 것ì´ë‹¤.

3) 호분 개는 요령

호분 개는 ìš”ë ¹í˜¸ë¶„ì€ ì‚¬ìš©í•  때 ê·¸ ìž…ìžê°€ ëŠê»´ì§€ì§€ ì•Šì„ ë§Œí¼ ê³±ê²Œ ì•„êµì— 개는 ìž‘ì—…ì´ ì¤‘ìš”í•˜ë‹¤. ì´ ìž‘ì—…ì„ ì†Œí™€ížˆ í–ˆì„ ê²½ìš° 그림ì—서 í˜¸ë¶„ì´ ë–¨ì–´ì§€ê±°ë‚˜ 호분 ìœ„ì— ìƒ‰ì„ ë°”ë¦¼í•  때 ì–¼ë£©ì´ ì‹¬í•˜ê²Œ 진다.
먼저 호분 알갱ì´ë¥¼ ê³ ìš´ ìž…ìžë¡œ 만들어야 하는ë°, ì‚¬ë°œì— ê°ˆì•„ì„œ ê³ ìš´ 가루로 만든다.

ê·¸ 후 ê³ ì²´ ì•„êµì™€ ë¬¼ì„ ì¤‘íƒ•í•œ 것 ë˜ëŠ” 시íŒìš© 물아êµì™€ í˜¸ë¶„ì„ ì„žì–´ 개는ë°, 처ìŒì—는 ì•„êµë¬¼ì„ ì ê²Œ 타서 가능한 한 ë˜ì§í•˜ê²Œ 개야 ë†ë„를 맞추는 ìž‘ì—…ì´ ìˆ˜ì›”í•˜ë‹¤. ì†ìœ¼ë¡œ 개면서 ìž…ìžê°€ ëŠê»´ì§€ì§€ 않고 ì§„í™ì²˜ëŸ¼ 부드럽게 ëŠê»´ì§ˆ 때 ì•„êµìˆ˜ë¥¼ ì ë‹¹ëŸ‰ 부어 다시 한 번 개어준다. í˜¸ë¶„ì€ ë†ë‹´ì— ë”°ë¼ ê·¸ 표현 ë°©ë²•ì„ ë‹¤ì–‘í•˜ê²Œ í•  수 있으며 ë‘꺼운 ì±„ìƒ‰ì— ìœ ìš©í•˜ë‹¤.(계ì†)

 

글·사진 : 송창수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