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ì½ëŠ” ìŒì•… ì´ì•¼ê¸°
– ê°•ìœ å‰›æŸ”ì˜ ë†ë‹´æ¿ƒæ·¡, 거문고 í˜„ì— í’류를 엮다 â‘ 

ìžì—°ì˜ 소리를 재현하는 거문고. 거문고는 ë§Œë¬¼ì„ í‘œìƒí•˜ëŠ” ã€Šì£¼ì—­ã€‹ì˜ ê´˜ê°€ 6효로 구성ë˜ì–´ ìžˆë“¯ì´ ì—¬ì„¯ 줄로 ì´ë£¨ì–´ì ¸ 있다. 그림 ì† ì˜› ì‚¬ëžŒë“¤ì€ ê±°ë¬¸ê³  현 위ì—서 í’류를 엮으며 물아ì¼ì²´ì˜ 깨달ìŒì„ 얻었다. ë„ì—°ëª…ì´ ë§í•œ ‘줄 없는 거문고’는 ì–´ë–¤ 소리를 냈ì„까? ì´ë²ˆí˜¸ì™€ 다ìŒí˜¸ì— 걸ì³ì„œ 귀가 ì•„ë‹ˆë¼ ë§ˆìŒìœ¼ë¡œ 듣는 í’류를 ì¦ê²¨ë³¸ë‹¤. (íŽ¸ì§‘ìž ì£¼)


달 아래 거문고를 탄다. ë°”ëžŒì˜ ìˆ¨ê²°ì„ ë”°ë¼ ê±°ë¬¸ê³  소리가 강함과 부드러움, ì§™ìŒê³¼ 옅ìŒì´ 반복ë˜ë©´ì„œ í¡ì‚¬ ëˆì˜¤ì ìˆ˜é “悟漸修(부처가 ë˜ê¸° 위해서 ì§„ì‹¬ì˜ ì´ì¹˜ë¥¼ 먼저 깨친 ë’¤ì— ì˜¤ëžœ 번뇌를 제거하여 가는 수행방법)ì˜ ê²½ì§€ì²˜ëŸ¼ í른다. ê°•ìœ å‰›æŸ”ì˜ ë†ë‹´æ¿ƒæ·¡ìœ¼ë¡œ ì¤„ì„ ëˆ„ë¥´ë©° 놀고, 술대로 ë²¼ë½ ì¹˜ë“¯ 누르다가 바람처럼 살랑하게 놀려가며 ê±°ë¬¸ê³ ì˜ ì²­ì§•í•œ 소리가 ë°¤í•˜ëŠ˜ì„ ê°€ë¥¸ë‹¤. í’류風æµë‹¤. ë°”ëžŒì˜ íë¦„ì„ íƒ€ëŠ” ì ˆë¡œì ˆë¡œì˜ ê²½ì§€. 산중 ì–¸ë• ë„ˆë¨¸ êµêµí•œ 달빛 아래 ë°”ëžŒì€ ì²­ì•„í•œ 양금洋ç´(18ì„¸ê¸°ì— ìœ ëŸ½ì—서 청나ë¼ë¥¼ 통해 들어온 현악기) 소리처럼 불어온다. 선비는 ì¤„ì„ ê³ ë¥´ê³  천하제ì¼ì˜ 줄 í’류를 탄다. ì„¸ì›”ì€ ëŠì§“í•œë° ë°”ëžŒì€ ì´‰ê¸‰ì„ íƒ€ë©° í˜ëŸ¬ê°€ê³ , 달과 ë‚´ê°€ í•˜ë‚˜ì˜ ê²½ì§€ì— ì´ë¥´ëŠ” ì°°ë‚˜ì— ë‚™íŒŒé§±å¡ ì´ê²½ìœ¤æŽæ…¶èƒ¤ì€ 누굴 ìƒìƒí–ˆì„까.(ë„1) ì¡°ì„  중기 산수ì¸ë¬¼í™”ì˜ ëŒ€ê°€ì¸ ê·¸ëŠ” 누구를 그린 것ì¼ê¹Œ! 그림ì—는 ì¸ìƒì— 대한 íšŒí•œì´ ê°€ë“하지만, 마ìŒì˜ í’류를 ì–»ì€ ë„é“ì˜ ê²½ì§€ì— ì´ë¥´ëŸ¬ ê°•í˜¸ê°€ë„æ±Ÿæ¹–æ­Œé“ì˜ ì ˆê²½ì„ êµ¬ê°€í•˜ê³  있다. ë…¸ìžê°€ ë§í•œ ‘ë„ê°€ë„비가ë„é“å¯é“éžå¯é“(ë„ë¼ê³  ë§í•˜ëŠ” ê²ƒì€ ì´ë¯¸ ë„ê°€ 아니다)â€™ì˜ ìˆœê°„ì´ ëŠê»´ì§„다. ë„ì¸ë° ë„ê°€ 아닌 그런 ê²½ì§€ì˜ ìŒì•…처럼 줄 없는 거문고를 타고 있다. í’ë¥˜ì˜ ê²½ì§€ì— ë“  ë„ì¸ì˜ ìˆ¨ê²°ì´ ì€ì€í•œ 달처럼 다가온다.

í•˜ëŠ˜ì˜ ê¸°ìš´ì„ ë‹´ì€ ì‹ ì˜ ì•…ê¸°

거문고를 í”히 백악지장百樂之丈ì´ë¼ 한다. 모든 ìŒì•…ì˜ ìœ¼ëœ¸ì´ë¼ëŠ” ì˜ë¯¸ë‹¤. 거문고는 ì„ ë¹„ì˜ ì•…ê¸°ë¡œ 대별ë˜ì§€ë§Œ 멀리 ê³ êµ¬ë ¤ì˜ ì•…ê¸°ì´ë‹¤.(ë„2) ê³ êµ¬ë ¤ì˜ ì œ2ìž¬ìƒ ì™•ì‚°ì•…çŽ‹å±±å²³ì´ ì°½ì œí•´ 소리를 타니 ê²€ì€ í•™ì´ ë‚ ì•„ì™€ ì¶¤ì„ ì¶”ì—ˆë‹¤í•˜ì—¬ 현학금玄鶴ç´ì´ë¼ 했다. â€˜í˜„çŽ„â€™ì˜ ì˜ë¯¸ëŒ€ë¡œ 하늘과 ìš°ì£¼ì˜ ê¸°ìš´ì„ ë‹´ì€ ì‹ ì˜ ì•…ê¸°ì´ë‹¤. ì‹ ë¬¼ç¥žç‰©ì¸ ì…ˆì´ë‹¤. 그런 ë§Œí¼ ê±°ë¬¸ê³  소리는 ë¹„ê³¡ç§˜æ›²ì˜ ê²½ì§€ë¡œ ì´ì–´ì§„다. 통ì¼ì‹ ë¼ 시대 지리산 ê³„ê³¡ì— ì§‘ê±°í•œ 악사樂士 ì˜¥ë³´ê³ çŽ‰å¯¶é«˜ì˜ ê±°ë¬¸ê³  소리를 어렵게 전승하고, 고려와 ì¡°ì„ ì„ ì´ì–´ ë°±ì•…ì˜ ìœ¼ëœ¸ìœ¼ë¡œ 정좌해있다.
ë‹¤ìŒ ê·¸ë¦¼ì€ ì¡°ì„  성종 때 ì§‘ì„±ëœ ìŒì•…문화백과사전 ã€Šì•…í•™ê¶¤ë²”æ¨‚å­¸è»Œç¯„ã€‹ì— ì„¤ëª…ëœ ê±°ë¬¸ê³ ì˜ ëª¨ìŠµì´ë‹¤.(ë„3) 거문고는 여섯 줄로 ì´ë£¨ì–´ì ¸ 있다. 천부경天符經(í™˜ì›…ì´ ì²œë¶€ì¸ ì„¸ 개를 가지고 와서 êµí™”í•  때 우주 ì°½ì¡°ì˜ ì´ì¹˜ë¥¼ í’€ì´í•œ 경전)ì˜ ì¤‘ì‹¬ 수가 바로 육六ì´ë‹¤. 육ìƒå…­ç”Ÿ, 즉 모든 ê²ƒì„ ìƒì„±í•˜ëŠ” 여섯 ì¤„ì´ ê±°ë¬¸ê³  ìœ„ì— ìžˆë‹¤. ê·¸ ì²«ì¤„ì´ ë¬¸í˜„æ–‡çµƒì´ìš”, 마지막 ì¤„ì´ ë¬´í˜„æ­¦çµƒì´ë‹¤. 소리가 주로 노는 문현 ë‹¤ìŒ ì¤„ 유현éŠçµƒì— ì´ì–´, ë²¼ë½ ì¹˜ë“¯ 대ì å¤§é»žìœ¼ë¡œ 내리 꽂히는 대현大絃, 그리고 개방 줄로 소리가 청청하게 í„°ì ¸ 나가는 ê´˜ìƒì²­æ£µä¸Šæ·¸, ê´˜í•˜ì²­æ£µä¸‹æ·¸ì´ ìžˆë‹¤. 줄 ë°‘ì— ì—´ì—¬ì„¯ ê°œì˜ ê´˜æ£µê°€ 산처럼 가지런히 놓여있다. 그리고 오죽çƒç«¹ì´ëž€ 단단한 대나무로 만든 술대를 잡고 ì¤„ì„ íƒ„ë‹¤. 여섯 줄 열여섯 ê´˜ ìœ„ì— ì„¸ìƒì„ 펼ì³ë†“ê³  거문고 í’류를 엮어 나간다. 나는 94ë…„ë„쯤 ê±°ë¬¸ê³ ì— ëŒ€í•œ ê¸€ì„ ì“°ë©° 소위 정악正樂ì´ë¼ 칭하는 ìŒì•…ì˜ ê²½ì§€ë¥¼ ‘거문고 현 ìœ„ì— ì£¼ì œì™€ 변주로 노는 ê°•ìœ ì˜ ë†ë‹´ì´ë‹¤â€™ë¼ê³  정리한 ì ì´ 있다. í•˜ë‚˜ì˜ í…스트가 ë„드리ë¼ëŠ” ë°˜ë³µì„ í†µí•´ ëˆì˜¤ì ìˆ˜ì˜ 경지처럼 빙빙 ëŒì•„드는 변주야ë§ë¡œ ë³€ì¦ë²•ì  ì´ì¤‘성으로 펼ì³ì§€ëŠ” 놀ìŒì´ë¼ ìƒê°í–ˆë‹¤.

조선 성리학과 거문고 미학

ì¡°ì„  후기 거문고 명ì¸ì´ìž í•™ìžì¸ 오í¬ìƒ(å³ç†™å¸¸, 1763∼1833)ì€ ê±°ë¬¸ê³ ë¥¼ 탈 때 오불탄五ä¸å½ˆ(다섯 가지 ìƒí™©ì— ìžˆì„ ë•Œ 거문고를 타지 않는다는 불문율)ì„ ì§€ì¼°ë‹¤. 강한 ë°”ëžŒì´ ë¶ˆê³  비가 심할 때, ì†ëœ ì‚¬ëžŒì„ ëŒ€í•  때, ì €ìž£ê±°ë¦¬ì— ìžˆì„ ë•Œ, ì•‰ì€ ìžì„¸ê°€ ì ë‹¹í•˜ì§€ 못할 때, ì˜ê´€ì„ 제대로 갖추지 ì•Šì•˜ì„ ë•ŒëŠ” 연주를 안했다고 한다. ë˜í•œ 오능탄五能彈ì´ë¼ 하여 ì•‰ì€ ìžì„¸ë¥¼ ì•ˆì •ê° ìžˆê²Œ 하고, ì‹œì„ ì€ í•œ ê³³ì„ í–¥í•˜ë©°, ìƒê°ì€ 한가롭게 하고, ì •ì‹ ì„ ë§‘ê²Œ 유지하며, ì§€ë²•æŒ‡æ³•ì„ ê²¬ê³ ížˆ 한 후ì—야 ì—°ì£¼ì— ìž„í–ˆë‹¤. 그는 거문고 연주를 철저한 ìžê¸°ìˆ˜ì–‘ì˜ ìžì„¸ë¡œ 임했다. ì¡°ì„  ì„ ì¡° ë•Œì˜ ìŒì•…ê°€ ì–‘ë•수æ¢å¾·å£½ëŠ” 임진왜란 ì´í›„ í트러진 세ìƒì„ 다듬듯 《양금신보æ¢ç´æ–°è­œã€‹ë¥¼ 만든다. ê·¸ ì²«ë¨¸ë¦¬ì— â€˜ê±°ë¬¸ê³ ë¥¼ 탄다는 ê²ƒì€ ì‚¬ì•…í•˜ê³  í—›ëœ ê²ƒì„ ê¸ˆí•˜ê³  마ìŒì„ 바르게 하는 것[ç´è€…ç¦ä¹Ÿ ç¦æ­¢æ–¼è€¶ä»¥æ­£å¿ƒä¹Ÿ]’ì´ë¼ 했다. 거문고를 통해 ìžì—°ê³¼ì˜ 부단한 물아ì¼ì²´ë¥¼ ì´ë£¨ë©° ì„±ì •æ€§æƒ…ì„ ë°”ë¡œ 세우는 ì„±ë¦¬í•™ì˜ ì„±ì •ë¯¸í•™æ€§æƒ…ç¾Žå­¸ì„ êµ¬í˜„í•˜ì˜€ë‹¤.
ì¡°ì„  왕조 ì„±ë¦¬í•™ì˜ ê½ƒì€ ê±°ë¬¸ê³  ë¯¸í•™ê³¼ë„ ìƒí†µí• ë§Œí•˜ë‹¤. 해현경장解弦更張. ê±°ë¬¸ê³ ì˜ ì¤„ì„ ë°”ê¾¸ì–´ 맨다는 뜻ì´ë‹¤. 늘어진 ì¤„ì„ ë‹¤ì‹œ ê³ ì³ ë§¤ëŠ” ê²ƒì€ ê°‘ì˜¤ê²½ìž¥ç”²åˆæ›´å¼µì²˜ëŸ¼ 부단한 세ìƒì‚´ì´ê°€ 아닌가. 우리는 매ì¼ê°™ì´ ì§‘ì„ ë‚˜ì„œë©° 구ë‘ëˆì„ 풀고 ì¡°ì´ëŠ” í•´í˜„ê²½ìž¥ì„ í•˜ë©° 산다. ê±°ë¬¸ê³ ì˜ ì¤„ì„ í’€ê³  묶는 과정ì—서 부단한 ìžê¸° 연마를 ì´ë£¬ë‹¤. 늘 경장하는 초심으로 ì¤„ì„ ê³ ë¥¸ë‹¤. ë„ë“œë¦¬ìž¥ë‹¨ì´ ìˆ˜ì–‘ì˜ ê²½ì§€ë‹¤. 그런 ë§ì•„å¿˜æˆ‘ì˜ ìƒíƒœì—서 ë„를 깨우치고, ë³¸ì„±ì„ íšŒë³µí•˜ëŠ” ì´ë¶€ê¸°ì„±ä»¥å¾©å…¶æ€§ì˜ ê²½ì§€ì— ì´ë¥´ëŠ” ê²ƒì´ í’류다. ì„±ë¦¬í•™ì˜ ì‚¬ë‹¨ì¹ ì •å››ç«¯ä¸ƒæƒ…(ì¸ê°„ì˜ ë³¸ì„±ì—서 우러나오는 네가지 ë„ë•ì  ëŠ¥ë ¥ê³¼ ì‚¬ë¬¼ì„ ì ‘í•˜ë©´ì„œ 표현ë˜ëŠ” ì¼ê³± 가지 ìžì—°ì  ê°ì •)ì´ëž€ ì„±ì •æ€§æƒ…ì„ ë°”ë¡œ 세워나가는 것, ì´ë¥¼ 놓고 ì¡°ì„ ì˜ ì„±ë¦¬í•™ì€ ì£¼ê¸°ä¸»æ°£, 주리主ç†ë¥¼ 논하고 í’ˆê²©ë¡ å“æ ¼è«–ì„ ë…¼í•˜ëŠ” ì„±ì •ë¯¸í•™ì˜ ì„¸ê³„ë¥¼ 연다. 대단한 ê²ƒì€ ë°”ë¡œ 그런 ê°•í˜¸ê°€ë„æ±Ÿæ¹–æ­Œé“(ì¡°ì„  시대 í˜„ì‹¤ì„ ë„피하여 ìžì—°ì„ ë²— 삼아 지내면서 ì¼ìœ¼í‚¨ 시가 ì°½ìž‘ì˜ í•œ 경향)ì˜ ê²½ì§€ê°€ 성리학ì´ê³  미학론ì´ë¼ëŠ” 사실ì´ë‹¤.

보통 í’ì†í™”ì—는 ê°€ì•¼ê¸ˆì„ íƒ€ëŠ” ì—¬ì¸ì˜ ëª¨ìŠµì´ ë§Žì€ë°, í˜œì› ì‹ ìœ¤ë³µ(蕙園 申潤ç¦, 1758∼?)ì´ ê·¸ë¦° 그림ì—는 거문고 ì¤„ì„ ê³ ë¥´ëŠ” ì—¬ì¸ì˜ 모습ì´ë‹¤.(ë„4) 왼ì†ìœ¼ë¡œëŠ” ê´˜ ìœ„ì˜ ì¤„ì„ ê³ ë¥´ê³ , 오른ì†ìœ¼ë¡œ 거문고 ë°‘ë™ì˜ ëŒê´˜(줄조임새)를 만지고 있다. ì˜†ì˜ ì—¬ì¸ì€ 거문고 장ì‹ì¤„ì¸ ë¶€ë“¤ê³¼ 안족é›è¶³(ê±°ë¬¸ê³ ì˜ ì¤„ì„ ë– ë°›ì¹˜ëŠ” 받침대)ì„ ë§Œì§€ëŠ” 것처럼 ë³´ì¸ë‹¤. ì‹ ìœ¤ë³µì´ ê·¸ë¦´ ì •ë„ì˜ ì—¬ì¸ì´ë¼ë©´ 대단한 ê±°ë¬¸ê³ ì˜ ëª…ì¸ì¸ 듯하다.

물아ì¼ì²´ë¥¼ 깨닫는 ë¬´í˜„ê¸ˆì˜ ì„¸ê³„

ì´ì œ 거문고를 타보ìž. ì¤„ì„ ê³¨ëžìœ¼ë‹ˆ 둥둥 문현 ì†Œë¦¬ì— ìŠ¬ê¸°ë‘¥ 소리(연주ìžê°€ 왼ì†ì˜ ì‹ì§€ë¡œ ëŒ€í˜„ì„ ëˆ„ë¥´ê³  나서 오른ì†ì˜ 술대로 문현ì—서 ìœ í˜„ì„ ê±°ì³ì„œ ëŒ€í˜„ì„ ì°¨ë¡€ë¡œ 튕길 때 ìƒê¸°ëŠ” 소리)ê°€ 열린다. 고려가요 〈í’ìž…ì†¡ê³¡é¢¨å…¥æ¾æ›²(태í‰ì„±ëŒ€ë¥¼ 기ì›í•˜ê³  왕ë•çŽ‹å¾·ì„ ì°¬ì–‘í•˜ëŠ” 노래)ã€‰ì˜ ì•„ë¦„ë‹¤ì›€ì€ ì¡°ì„ ì—ë„ ì—¬ì „ížˆ ì´ì–´ì§„다.송강 ì •ì² (æ¾æ±Ÿ 鄭澈, 1536∼1593)ì˜ ê°€ì‚¬ì—ì„œë„ â€˜ê±°ë¬¸ê³  ì¤„ì— ì–¹ì–´ í’입송ì´ë¡œêµ¬ë‚˜. ì†ì¸ì§€ 주ì¸ì¸ì§€ 다 잊어 버렸ë„다. ì°½ê³µì— ë–  있는 í•™ì´ ê³ ì„ì˜ ì°¸ ì‹ ì„ ì´ë¼. ìš”ëŒ€ç‘¤è‡ºì˜ ë‹¬ë¹›ì•„ëž˜ 행여 아니 만나지 않았ë˜ê°€â€™ë¼ê³  노래할 ì •ë„였다. ì•„ì§ë„ 충남 ì˜ˆì‚°ì˜ ìˆ˜ë•ì‚¬ì— ê°€ë©´ 고려가 살아있다. ê³ ë ¤ ì œ31대 공민왕(æ­æ„王, 1330∼1374)ì´ íƒ€ë˜ ê±°ë¬¸ê³ ê°€ 유전한다.(ë„5) ì¡°ì„  후기 화가ì´ìž 금ì„ê³ ì¦ì˜ ì „ë¬¸ê°€ì˜€ë˜ ìœ¡êµ ì´ì¡°ë¬µ(å…­æ©‹ æŽç¥–默, 1792∼1840)ì´ ì •ìœ ë…„(1837ë…„)ì— ì´ ê±°ë¬¸ê³ ì— ìƒˆê¸´ ì°¬ë¬¸ì— ë”°ë¥´ë©´ ê³µë¯¼ì™•ì´ ê±°ë¬¸ê³ ë¥¼ 만들어 ì¦ê¸°ë‹¤ê°€ í›„ì— ì•¼ì€ ê¸¸ìž¬(冶隱 å‰å†, 1353∼1419)ì—게 전해졌다고 한다. ê³µë¯¼ì™•ì˜ ìŠ¬í”ˆ 애가가 담겨 ìžˆì„ ì´ ê±°ë¬¸ê³ ëŠ” 지금까지 현존하며, ê³ ë ¤ì˜ ì—­ì‚¬ë¥¼ ìƒê°í•˜ê²Œ 한다.
《ë™êµ­ì´ìƒêµ­ì§‘æ±åœ‹æŽç›¸åœ‹é›†ã€‹ì„ 만든 ê³ ë ¤ì˜ ì²œìž¬ ì´ê·œë³´(æŽå¥Žå ±, 1168∼1241)는 시와 ìˆ ì„ ì¢‹ì•„í•˜ê³ , 거문고 연주ì—서 ì¼ê°€ë¥¼ ì´ë£¨ëŠ” 삼혹호三酷好 ì„ ìƒì´ì—ˆë‹¤. ì´ê·œë³´ê°€ ì“´ 금명ç´éŠ˜ì´ ìžˆë‹¤. ê±°ë¬¸ê³ ì— ì§ì ‘ 새기거나 í˜¹ì€ ìƒˆê¸°ê¸° 위해 ì§€ì€ ìš´ë¬¸í˜•ì‹ì˜ 글ì´ë‹¤. “거문고를 켜면서 거문고와 혼연ì¼ì²´ê°€ ëœ ê²ƒì´ë‹¤. 옛ë§ì— ì´ë¥´ê¸°ë¥¼ 거문고는 ì•…ì˜ ìœ¼ëœ¸ì´ë¼, êµ°ìžê°€ í•­ìƒ ì‚¬ìš©í•˜ì—¬ 몸ì—서 떠나지 않는다 하였다. 나는 êµ°ìžê°€ 아니지만 오히려 거문고 하나를 ê°„ì§í•˜ê³  ì¤„ë„ ê°–ì¶”ì§€ 않고서 어루만지며 ì¦ê²¼ë”니, ì–´ë–¤ ì†ë‹˜ì´ ì´ê²ƒì„ ë³´ê³  웃고는 ì´ì–´ì„œ 다시 ì¤„ì„ ê°–ì¶”ì–´ 주었다. 나는 사양하지 않고 받아서 길게 í˜¹ì€ ì§§ê²Œ 타며 마ìŒëŒ€ë¡œ 가지고 놀았다. 옛날 ì§„ë‚˜ë¼ ë„ì—°ëª…ì€ ì¤„ì´ ì—†ëŠ” 거문고를 ë‘ì–´ ê·¸ì— ì˜í•´ ëœ»ì„ ë°íž ë¿ì´ì—ˆëŠ”ë°, 나는 ì´ êµ¬êµ¬í•œ 거문고를 가지고 ê·¸ 소리를 들으려 하니 ì–´ì°Œ 반드시 옛 ì‚¬ëžŒì„ ë³¸ë°›ì•„ì•¼ 하겠는가?†줄 없는 거문고든 줄 있는 거문고든 ì´ê·œë³´ëŠ” 절대 경지ì—서 거문고를 ì¦ê²¼ë‹¤. 앞서 〈월하탄금ë„〉ì—서 줄 없는 거문고를 타는 ì„ ì¸ì´ 바로 ì´ê·œë³´ê°€ ì•„ë‹ê¹Œ ìƒê°ë„ 해본다. í•™ë¬¸ì˜ ì ˆëŒ€ 경지처럼 거문고 ë˜í•œ ì¤„ì´ ì•„ë‹Œ 마ìŒì˜ ì¤„ì„ íƒ€ëŠ” 경지를 ì¡°ì„ ì˜ í•™ìžë“¤ì€ 구가하고 있다. 화담 서경ë•(花潭 徿•¬å¾·, 1489∼1546)ì´ë‚˜ 율곡 ì´ì´(æ —è°· æŽç¥, 1536∼1584)ë„ ë¬´í˜„ê¸ˆç„¡çµƒç´ì˜ 세계를 구가했다.

â€œê±°ë¬¸ê³ ì˜ ì¤„ì„ ì“°ëŠ” ê²ƒì´ ì•„ë‹ˆë¼ ê·¸ ì¤„ì˜ ì¤„ì„ ë‚˜ëŠ” ê±°ë¼ë„¤. ìŒì„ ì¦ê¸°ëŠ” ê²ƒì´ ì•„ë‹ˆë¼ ìŒì˜ ìŒì„ ì¦ê¸°ëŠ” 것ì´ìš”, 귀로 듣는 ê²ƒì´ ì•„ë‹ˆë¼ ë‚´ 마ìŒìœ¼ë¡œ 듣는 것ì´ë¼ë„¤.â€
– 서경ë•ì˜ ã€ˆë¬´í˜„ê¸ˆëª…ç„¡çµƒç´éŠ˜ã€‰
“쓸쓸하고 ì ë§‰í•œ 외로운 오ë™ë‚˜ë¬´, ë§‘ê³  시ì›í•œ 옛 소리여, 한번 ì—°ì£¼í•¨ì— ê·€ë¥¼ 깨우고, ë‘ ë²ˆ ì—°ì£¼í•¨ì— ë§ˆìŒì´ 맑아지네. 줄 없으면 너무 담백하고 번거로운 ê³¡ì¡°ë„ ë„ˆë¬´ 지나치네. ë‚´ ì´ ê±°ë¬¸ê³  안고 있지만 누가 ë‚´ ë§ˆìŒ ì¤„ê¹Œë‚˜?â€
– ì´ì´ì˜ 〈금명ç´éŠ˜ã€‰

ìµœê³ ì˜ ì§€ìŒì§€êµê°€ 여는 í’류íŒ

19ì„¸ê¸°ì— í™œë™í•œ 성협æˆå¤¾ì˜ 그림ì—서 아주 섬세한 ì†ê°€ë½ 사ì´ë¥¼ 넘나드는 거문고 연주가 ìƒìƒížˆ 들려온다.(ë„6) 아름다운 ìŒì„ 내는 요금瑤ç´ì„ í•œê°€ë¡œì´ íƒ€ê³  있는ë°, ê³¡ì€ ì°¨ì¸° ëŠì§“ì´ ëŒì•„가고, 가는 구름 ë”°ë¼ ë¬¼ê¸¸ ë˜í•œ 차오른다. í¡ì‚¬ ì‹œì ˆì„ ë…¼í•˜ë“¯ ëˆˆë¹›ì´ ì‚´ì•„ìžˆë‹¤. 제발題跋(ì±…ì´ë‚˜ ê·¸ë¦¼ì— ê·¸ 유래나 펴내는 뜻, ê°ìƒ, ë¹„í‰ ë“±ì„ ì ì€ 글)ì˜ â€˜ì§€ìŒì†Œëª…ì›”çŸ¥éŸ³å°‘æ˜Žæœˆâ€™ì€ ì†Œë¦¬ë¥¼ ì•Œìˆ˜ë¡ ì„¸ìƒì€ 작아진다는 ë§ì¸ 듯하다. ì§€ìŒçŸ¥éŸ³. 종ìžê¸°é¾å­æœŸë¼ëŠ” 소리를 알아주는 친구가 죽ìž, ì ˆí˜„çµ¶çµƒì„ í•œ 중국 춘추 시대 ê±°ë¬¸ê³ ì˜ ëª…ì¸ ë°±ì•„ä¼¯ç‰™ì˜ â€˜ì§€ìŒì§€êµçŸ¥éŸ³ä¹‹äº¤â€™ë¥¼ 줄여서 ì§€ìŒì´ë¼ê³  칭한다. ìžì‹ ì„ 가장 잘 알아주는 ë²—ì„ ëœ»í•˜ëŠ” 지기지우知己之å‹ì˜ 대명사ì´ìž 극치ì´ë‹¤. ê³ ì‚° 윤선ë„(孤山 尹善é“, 1587∼1671) 역시 알아주는 거문고 연주ìžì˜€ë‹¤. 윤선ë„와 ê¶Œí•´æ¬Šæµ·ì˜ ì§€ìŒì€ 여전히 기억ëœë‹¤.

íƒìš•ì´ ë§ˆìŒì—서 절제ë˜ë©´ 천기가 ì†ê°€ë½ 아래서 울려
ì‚°ìˆ˜ì˜ í¥ì·¨ë¡œ 하여금 늘 종ìžê¸°ì™€ 함께하ë„ë¡ í•  것ì´ë„¤
ë¶€ìš©ì˜ ë³‘ë“  늙ì€ì´ê°€ 반금ì—게 지어주다
ì˜¤ì„¸ì† ì¤€ì´ ìƒˆê¸°ë‹¤ 고요히 ì¤‘í™”ì˜ ê¸°ìš´ 기르니
성나고 욕심스런 마ìŒì´ 사ë¼ì§„다

윤선ë„ê°€ ìžì‹ ì´ ì§ì ‘ 만들어 ì—°ì£¼í–ˆë˜ ê±°ë¬¸ê³  하íŒì— 새긴 시다. 그리고 ì œì¦ë°˜ê¸ˆé¡Œè´ˆä¼´ç´ì€ ‘반금ì—게 지어주다’ë¼ëŠ” 뜻으로, 여기서 ë°˜ê¸ˆì€ ê¶Œí•´ì˜ í˜¸ì´ë‹¤. 거문고를 잘 탔기 ë•Œë¬¸ì— í˜¸ë¥¼ 반금伴ç´ì´ë¼ê³  했다. ë°˜ê¸ˆì€ ê³ ì‚°ê³¼ ì§€ìŒì„ ì´ë£¨ì—ˆë‹¤. 윤선ë„ê°€ ì§€ì€ ã€ˆì¦ë°˜ê¸ˆè´ˆä¼´ç´ã€‰ì´ëž€ 시ì—서 “소리는 혹ì´ì‹ ë“¤ 마ìŒì´ ì´ëŸ¬í•˜ëž´, 마ìŒì€ 혹ì´ì‹ ë“¤ 소리를 뉘하나니, 마ìŒì´ ì†Œë¦¬ì— ë‚˜ë‹ˆ, 그를 좋아 하노ë¼â€ë©° 노래하고 있다. ë°˜ê¸ˆì€ ë‹¹ì‹œ ìµœê³ ì˜ ê±°ë¬¸ê³  연주ìžì˜€ë‹¤. ë˜í•œ 순조 때 거문고 ëª…ì¸ ì´ê¸ˆì‚¬æŽç´å¸«ë¼ëŠ” ì´ê°€ 연주를 하면 슬í¼ì„œ ë까지 듣지 못할 ì •ë„로 절창ì´ì—ˆë‹¤ 한다.
ì–´ëŠ ì–‘ë°˜ì§‘ì˜ í›„ì›ì¸ 듯, ìƒë‚˜ë¬´ë¡œ 둘러친 취병翠屛으로 ëœ í›„ì›ì—서 í¡ì‚¬ ìµœê³ ì˜ ê¸ˆê°ç´å®¢(ì¡°ì„  ì‹œëŒ€ì— ê±°ë¬¸ê³  ì—°ì£¼ì— ëŠ¥í–ˆë˜ ì „ë¬¸ ìŒì•…ì¸)ì„ ì´ˆì²­í•˜ì—¬ 연주를 듣는 모습ì´ë‹¤.(ë„7) 대금 부는 ì´ê°€ ë¬´ë¦Žì„ ê´´ê³  ìŒì„ 맞추고 있다. 주ì¸ì¸ 듯한 ì¸ë¬¼ì€ 소리 ì‚¼ë§¤ê²½ì— ë¹ ì ¸ 있고, 주변 ì‚¬ëžŒë“¤ë„ ìˆ¨ì£½ì´ë©° 소리를 듣고 있다. ë°–ì—는 ë‘ ì„ ë¹„ì™€ ì—¬ì¸ì´ ì†Œë¦¬ì— ê·€ë¥¼ 기울ì´ë©´ì„œ ë§ì„ 나누고 있는 듯하다. 금ê°ì€ ê°€ê°æ­Œå®¢ì´ì—ˆë‹¤.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하고, 때로는 대금과 병주倂å¥ë¥¼ í•˜ê¸°ë„ í•œë‹¤. ì² í•™ìœ¼ë¡œì„œì˜ ê±°ë¬¸ê³ ê°€ ì´ì œ 연주로서 ë§ë¬¸ì„ 튼다. 그림 ì† 18세기 세ìƒì´ 열리고, 거문고는 시회詩會와 악회樂會를 ì—´ë©° í’류íŒì„ 새로 연다.

<다ìŒí˜¸ 계ì†>


글 김태균(ìŒì•…í‰ë¡  ë° ê¸°íšì—°ì¶œê°€, (사)전통예술êµìœ¡ë¬¸í™”협회 대표, 문화재전문위ì›)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