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녀 작가와 함께하는 ì†Œê³¼ë„ ê·¸ë¦¬ê¸° â…£

권성녀, <소과ë„(수박)>, 2022, ì¹˜ìž ë° ì»¤í”¼ë¡œ 염색처리 한 ìˆœì§€ì— ë¶„ì±„, 봉채, 먹, 30×20ãŽ



권성녀 작가와 함께하는 ì†Œê³¼ë„ ê·¸ë¦¬ê¸°, 마지막 시간ì—는 고혹ì ì¸ 색ê°ì´ ë‹ë³´ì´ëŠ” ìˆ˜ë°•ì„ ê·¸ë ¤ë³´ë„ë¡ í•œë‹¤.
ìˆ˜ë°•ì€ ì”¨ê°€ ë§Žì•„ 예로부터 다산, ìžì†ë²ˆì°½ ë“±ì„ ì˜ë¯¸í•˜ëŠ” 것으로 ë„리 알려져 있다.
ì´ì™€ ë”불어 ‘수복壽ç¦â€™ê³¼ ë°œìŒì´ 비슷하다고 하여 장수와 ë‹¤ë³µì„ ì˜ë¯¸í•˜ê¸°ë„ 한다.

정리 ê¹€ì†¡í¬ ê¸°ìž ì‚¬ì§„ ìš°ì¸ìž¬ 기ìž


초본 그리기


1
ì´ˆë³¸ì„ ê·¸ë¦°ë‹¤.
ì´ˆë³¸ì€ ìˆ˜ë°•ë¶€í„° 그리고 ì™¼ìª½ì— ìžˆëŠ” 가지와 ì˜¤ë¥¸ìª½ì— ìžˆëŠ” 수세미를
차례로 그린다. ì´í›„ 사발과 íƒìžë¥¼ 그려 마무리한다. íƒìž 무늬는
ì´ˆë³¸ì„ ê·¸ë¦¬ëŠ” 과정ì—서 미리 완성해주면 추후 바림할 때 수월하다.


밑색 칠하기


2
호분으로 ìˆ˜ë°•ì˜ ìž˜ë¦° ë‹¨ë©´ì„ ì¹ í•œë‹¤. ì´ë•Œ 씨 사ì´ì‚¬ì´ë¥¼
메꿀 필요는 없으며 ì „ì²´ì ìœ¼ë¡œ ë®ë“¯ 부드럽게 칠해주ë„ë¡ í•œë‹¤.


3
í˜¸ë¶„ì— ë´‰ì±„ 황토, ë¨¹ì„ ì„žì€ ìƒ‰ìœ¼ë¡œ 수박과 가지, ìˆ˜ì„¸ë¯¸ì˜ ë°”íƒ•ì„ ì¹ í•œë‹¤.


4
â‘¢ì— í˜¸ë¶„ ë¹„ìœ¨ì„ ì¡°ê¸ˆ ë” ëŠ˜ë¦° 색으로 ì‚¬ë°œì˜ ë°”íƒ•ì„ ì¹ í•œë‹¤.


5
봉채 대ìžì— 황토, ë¨¹ì„ ì„žì€ ìƒ‰ìœ¼ë¡œ íƒìžì˜ ë°”íƒ•ì„ ì¹ í•œë‹¤.


2ì°¨ 바림 ë° ì„¸ë¶€ë¬˜ì‚¬


6
분채 ëª¨ë‹¨ì— ë¨¹ì„ ì„žì€ ìƒ‰ìœ¼ë¡œ ìˆ˜ë°•ì„ 1차와 2ì°¨ì— ê±¸ì³ ë°”ë¦¼í•œë‹¤. 대략
삼등분하여 ê°€ìš´ë° ë¨¼ì € 바림한 후, 양옆 가장ìžë¦¬ë¥¼ 마저 바림한다.


7
â‘¥ì— ë¨¹ì„ ì¡°ê¸ˆ ë” ë„£ì–´ 진하게 만들어 준 후 3차로 ìˆ˜ë°•ì„ ë°”ë¦¼í•œë‹¤.


8
⑦로 가지 아래와 ì¤‘ê°„ì— ìžˆëŠ” 뾰족한 ëª¨ì–‘ì˜ ê»ì§ˆì„ 바림해준다.


9
봉채 ë“±í™©ì— ë³¸ë‚¨ì„ ì„žì–´ ì‘¥ìƒ‰ì„ ë§Œë“  후, 가지 맨 윗 ë¶€ë¶„ì„ ë°”ë¦¼í•œë‹¤.


10
⑨로 수세미를 바림한다. ì´ë•Œ 세로 ì¤„ì„ ê·¸ë¦° 후 바림 ë¶“ì„ ì´ìš©í•´
위ì—서 아래로 풀어주면 ìžì—°ìŠ¤ëŸ¬ìš´ ë²ˆì§ íš¨ê³¼ë¥¼ ì–»ì„ ìˆ˜ 있다.


11
봉채 본남, ë…¹ì²­ì„ ì„žì€ ìƒ‰ìœ¼ë¡œ ìˆ˜ë°•ì˜ ê¼­ì§€ë¥¼ 바림한다.


12
분채 í™ë§¤ë¡œ ìˆ˜ë°•ì˜ ë¶‰ì€ ì”¨ì•—ì„ ë°”ë¦¼í•œë‹¤.


13
진먹으로 ìˆ˜ë°•ì˜ ê²€ì€ ì”¨ì•—ì„ ë°”ë¦¼í•œë‹¤.


14
봉채 본남으로 ì‚¬ë°œì„ ë°”ê¹¥ì—서 안쪽으로 바림해준다.


15
⑭로 ì‚¬ë°œì— ê·¸ë ¤ì§„ 잎사귀 문양 ì•ˆìª½ì„ ë°”ë¦¼í•´ì£¼ë„ë¡ í•˜ëŠ”ë°,
ì´ë•Œ â‘­ì—서 사용한 색ìƒë³´ë‹¤ëŠ” ì‚´ì§ ì—°í•˜ê²Œ 바림해주면 강약
효과를 줄 수 있다.


16
ê³„ì† ê°™ì€ ìƒ‰ìœ¼ë¡œ 사발 맨 ìœ„ì— ìžˆëŠ” 문양 ì•ˆìª½ì„ ê¼¼ê¼¼í•˜ê²Œ 채워주고,
ê·¸ 문양 ì•„ëž˜ë„ ë°”ë¦¼í•˜ì—¬ ìŒì˜ì„ 넣어준다


17
ì‚¬ë°œì— ê·¸ë ¤ì§„ ì› ëª¨ì–‘ì˜ ë¬¸ì–‘ ë˜í•œ 안ì—서 바깥으로 바림하여
사발 ì „ë°˜ì ìœ¼ë¡œ ìŒì˜ì˜ 효과를 주ë„ë¡ í•œë‹¤.


18
봉채 ë³¸ë‚¨ì— ë¨¹ì„ ì„žì€ ìƒ‰ìœ¼ë¡œ 사발 ë¬¸ì–‘ì— ê·¸ë ¤ì§„ ìžŽì‚¬ê·€ì˜ ëì„ ì„ ì¹œë‹¤.


19
⑱로 문양 맨 ì•„ëž˜ì— ì—°ê½ƒ ë¬¸ì–‘ì˜ ëì„ ì„ ì¹œë‹¤.
ì´ë•Œ ì„ ì´ ë„ˆë¬´ ë‘꺼워지지 않ë„ë¡ ìœ ì˜í•œë‹¤.


20
진먹으로 ì‚¬ë°œì˜ ê°€ìž¥ìžë¦¬ ëì„ ì„ ì¹œë‹¤.
ì´ë•Œ ì„ ì„ ë³´ë‹¤ ê¹”ë”하게 그려주기 위해 ìžë¥¼ 사용하ë„ë¡ í•œë‹¤.


21
먹으로 ê°•ì•½ì„ ì‚´ë ¤ íƒìžì˜ ë¬¸ì–‘ì„ ê·¸ë ¤ì¤€ë‹¤.


22
봉채 대ìžëž‘ ë¨¹ì„ ì„žì€ ìƒ‰ìœ¼ë¡œ íƒìžë¥¼ ì „ì²´ì ìœ¼ë¡œ 바림해준다.


23
진먹으로 ⑳ì—서 한 것처럼 ìžë¥¼ 대고 íƒìžì˜ ëì„ ì„ ë°˜ë“¯í•˜ê²Œ ì³ì¤€ë‹¤.


24
마찬가지로 진먹으로 ìˆ˜ë°•ì˜ ëì„ ì„ ì¹œë‹¤.


25
분채 ëª¨ë‹¨ì— ë¨¹ì„ ì„žì€ ìƒ‰ìœ¼ë¡œ 가지 ê»ì§ˆ ë ìª½ì— ê¹ŒìŠ¬ê¹ŒìŠ¬í•œ 질ê°ì„
표현해주ë„ë¡ í•œë‹¤.


26
봉채 ë³¸ë‚¨ì— ë¨¹ì„ ì„žì€ ìƒ‰ìœ¼ë¡œ ì‚¬ë°œì— â€˜ìˆ˜ë³µå£½ç¦â€™ 글ìžë¥¼ ì¨ì£¼ê³  마무리한다.

권성녀 | 작가

ì´í™”ì—¬ìžëŒ€í•™êµë¥¼ 졸업하고 (사)한국미술협회 민화분과 ì´ì‚¬,
(사)한국민화협회 ìžë¬¸, 경기ë„미술협회 민화분과위ì›ìž¥ ë“±ì„ ë§¡ì•˜ë‹¤.
ê²½í¬ëŒ€ êµìœ¡ëŒ€í•™ì›ìœ¼ë¡œ 민화실기 ì¶œê°•ì„ í•˜ê³  민수회 회장,
쇼미 ì´ˆëŒ€íšŒìž¥ì„ ì—­ìž„í–ˆë‹¤. ë…¸ì›í‰ìƒêµìœ¡ì›, 공릉í‰ìƒêµìœ¡ì›,
구리í‰ìƒí•™ìŠµê´€, 용답ë„서관 등ì—서 민화를 가르치고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One comment on “권성녀 작가와 함께하는 ì†Œê³¼ë„ ê·¸ë¦¬ê¸° â…£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