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기ë…ì „ <ë‚´ê°€ 사랑한 미술관 : ê·¼ëŒ€ì˜ ê±¸ìž‘>

민화, 서양과 만나다


ì¼ìž 5ì›” 3ì¼(목) ~ 10ì›” 14ì¼(ì¼)
시간 수, 토 10:00~21:00 / 그 외 10:00~19:00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ë•수ê¶ê´€, 서울 중구 세종대로 99 ë•수ê¶

국립현대미술관 ë•수ê¶ê´€ì—서 열리는 개관기ë…ì „ <ë‚´ê°€ 사랑한 미술관 : ê·¼ëŒ€ì˜ ê±¸ìž‘>ì€ ë¯¼í™”ê°€ ì„œì–‘ì˜ ëª…ì•”ë²•ì´ë‚˜ ì¶”ìƒí™”법 등과 어떻게 조화를 ì´ë£¨ëŠ” ì§€ 확ì¸í•  수 있는 전시다. 민화를 모티프로 ë…ì°½ì ì¸ í™”í’ì„ ì°½ì¶œí•œ 유명 ìž‘ê°€ë“¤ì˜ ìž‘í’ˆì„ ê°ìƒí•˜ë©°, ë¯¼í™”ì˜ ë‹¤ì–‘í•œ ê°€ëŠ¥ì„±ì„ ê³ ì°°í•´ë³´ìž.


êµ­ë¦½í˜„ëŒ€ë¯¸ìˆ ê´€ì´ ë•수ê¶ê´€ 개관 20주년 기ë…ì „ <ë‚´ê°€ 사랑한 미술관 : ê·¼ëŒ€ì˜ ê±¸ìž‘>ì„ 5ì›” 3ì¼ë¶€í„° 10ì›” 14ì¼ê¹Œì§€ ë•수ê¶ê´€ì—서 개최한다. 우리 ê³ ìœ ì˜ ê·¸ë¦¼ì¸ ë¯¼í™”ê°€ 20세기 ì´ˆì— ë³¸ê²© ìœ ìž…ëœ ì„œì–‘ì˜ ë¯¸ìˆ ê¸°ë²•ê³¼ 어떻게 어울리는지를 살펴보고, ì´ë¥¼ 통해 ë¯¼í™”ì˜ ë‹¤ì–‘í•œ ê°€ëŠ¥ì„±ì„ ì—¿ë³¼ 수 있는 전시다. 김기창, 김환기, ì´ì¤‘ì„­, 박수근 등 근대기 대표작가 73ëª…ì˜ ìž‘í’ˆ 100ì—¬ ì ì„ 관람할 수 있으며, ë•수ê¶ê´€ì˜ ì „ì‹ ê²©ì¸ ì´ì™•가미술관æŽçŽ‹å®¶ç¾Žè¡“é¤¨ì˜ ì„¤ê³„ë„ë©´ê³¼ ë•수ê¶ê´€ 구조를 재해ì„한 미디어아트 ë“±ì„ ì‚´íŽ´ë³¼ 수 있다.

ë¯¼í™”ì— ê¹ƒë“  서양화í’

ì •ì°¬ì˜ ìž‘ê°€ì˜ <공작>(ë„2)ì€ ì„œì–‘ì˜ ëª…ì•”ë²•ê³¼ ì›ê·¼ë²• 등 사실주ì˜ì  í™”í’ì„ ë¯¼í™”Â·ìˆ˜ë¬µí™” ë“±ì— ì ìš©í•œ ‘마루야마 ì‹œì¡°íŒŒâ€™ì˜ ì˜í–¥ì„ ë°›ì€ ìž‘í’ˆì´ë‹¤. ê¸°ì¡´ì˜ ë¯¼í™”ê°€ ê³µìž‘ì˜ í™”ë ¤í•œ ì™¸í˜•ì„ ê°•ì¡°í•˜ê¸°ë³´ë‹¤ëŠ” 주로 문재文æ‰ë“±ì˜ ìƒì§•ì  ì˜ë¯¸ë¥¼ ë¶€ê°ì‹œí‚¤ëŠ” 방향으로 그려졌다면, ì •ì°¬ì˜ ìž‘ê°€ì˜ ì´ ê·¸ë¦¼ì—서 ê³µìž‘ì€ ê¹ƒí„¸ 하나까지 그려지고, ìŒì˜ì— ì˜í•´ ìƒ‰ì´ ì€ì€í•˜ê²Œ ë„드ë¼ì§€ëŠ” 등 매우 사실ì ìœ¼ë¡œ 표현ë˜ì–´ 있다. 마루야마 시조파가 당시 ìœ í–‰í•˜ë˜ í™”íŒŒìž„ì„ ê³ ë ¤í•œë‹¤ë©´, 민화가 ì‹œëŒ€ì  ì˜í–¥ ì†ì—서 어떻게 ë³€ìš©ë  ìˆ˜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그림ì´ë¼ê³  하겠다.
ì´ë„ì˜ ìž‘ê°€ì˜ <기명절지>(ë„3)ì—ë„ ì„œì–‘ í™”í’ì´ ì—¿ë³´ì¸ë‹¤. 작품 ì†ì˜ 주전ìž, 종정 등 ì¼ë¶€ ê¸°ë¬¼ë“¤ì˜ ë°”ë¦¼ì—는 빛과 그림ìžì˜ 대조를 ì´ìš©í•œ ì„œì–‘ì‹ ëª…ì•”ë²•ì˜ í”ì ì´ 나타나는ë°, ë•ë¶„ì— ì‚¬ë¬¼ë“¤ì€ ë”ìš± ìž…ì²´ì ìœ¼ë¡œ ë³´ì¸ë‹¤. ë˜í•œ ê¸°ë¬¼ë“¤ì´ ì§€ê·¸ìž¬ê·¸ì‹ìœ¼ë¡œ 배치ë˜ì–´ 있어 작품 ì›ê·¼ê°ë„ 특히 ë„드ë¼ì§„다.

ì¶”ìƒìœ¼ë¡œ í‘œí˜„ëœ ë¯¼í™”

ë¯¼í™”ì  ìš”ì†Œì— ì¶”ìƒê¸°ë²•ì„ ë”í•´, ë¯¼í™”ì˜ ì˜ˆìˆ ì  ì§€í‰ì„ 현대ì ìœ¼ë¡œ 넓힌 ìž‘í’ˆë“¤ë„ ìžˆë‹¤. ì´ì‘ë…¸ ìž‘ê°€ì˜ <ë¬¸ìž ì¶”ìƒ (콤í¬ì§€ì…˜)>(ë„4)ì€ ë¬¸ìžë„를 기반으로 하는 작품으로, 작품 ì† ë¬¸ìžëŠ” ì–´ë–¤ 글ìžì¸ì§€ 파악하기 íž˜ë“¤ë§Œí¼ ì¶”ìƒì ìœ¼ë¡œ 변형ë¼ìžˆë‹¤. ì˜ë¯¸ì˜ 강조와 관련 ë„ìƒì˜ ìž¬í˜„ì— ì§‘ì¤‘í•˜ëŠ” ê¸°ì¡´ì˜ ë¬¸ìžë„와는 달리, í•œë¬¸ì´ ì§€ë‹ˆëŠ” íŠ¹ìœ ì˜ ì¡°í˜•ì„±ì„ ê°•ì¡°í•´, 문ìžë„ì˜ ì™„ì „ížˆ 새로운 í˜•íƒœì  ê°€ëŠ¥ì„±ì„ ë³´ì—¬ì¤€ë‹¤ê³  í•  수 있다.
ì „í˜ë¦¼ <화조ë„>(ë„1) 역시 ì œëª©ì´ ì—†ì—ˆë‹¤ë©´ 꽃과 새ë¼ê³  ìƒê°í•  수 ì—†ì„ ë§Œí¼ ë‹¤ë¥¸ 형태를 하고 있다. ê¸°ì¡´ì˜ í™”ì¡°ë„ê°€ ì •ë„ì˜ ì°¨ì´ëŠ” ìžˆì–´ë„ ì£¼ë¡œ 꽃과 ìƒˆì˜ ìž¬í˜„ì— íž˜ì¼ë‹¤ë©´, ì „í˜ë¦¼ 작가는 꽃과 새를 해체하고 ì¶”ìƒí™” 한 후 마치 유리조ê°ì„ 모으듯 재구성해 알ë¡ë‹¬ë¡í•œ 색채를 입혔다. ë•ë¶„ì— ìž‘í’ˆ ì†ì˜ 꽃과 새는 í‰ë©´ì ì´ë©´ì„œë„ íŠ¹ìœ ì˜ ì—­ë™ì„±ì´ ëŠê»´ì§„다. í˜„ëŒ€ë¯¸í•™ì˜ ì£¼ìš” 주제ì´ê¸°ë„ í–ˆë˜ â€˜ì‚¬ë¬¼ì˜ ë³¸ëª¨ìŠµâ€™ ë“±ì— ëŒ€í•œ 물ìŒì„ 재현과 ì¶”ìƒì˜ 관계 ì†ì—서 ê¹Šì´ ê³ ì°°í•´ ë³¼ 수 있는 작품ì´ê¸°ë„ 하다.

ë™í™”부터 불화까지

진환 ìž‘ê°€ì˜ <천ë„와 ì•„ì´ë“¤>(ë„5)ì€ ë¯¼í™”ì˜ ì£¼ìš” ìƒì§•ë“¤ì´ ë™ì‹¬ ê°€ë“한 í™”í’으로 í‘œí˜„ë¼ ìžˆë‹¤. 하늘ì—는 봉황 ë‘ ë§ˆë¦¬ê°€ 물고기와 함께 ë‚ ê³  있고, ë•…ì—는 ê½ƒì´ ì‚¬ëžŒë³´ë‹¤ ë”ìš± í¬ê²Œ ìžë¼ë‚˜ìžˆë‹¤. ì•„ì´ë“¤ì€ ë°œê°€ë²—ì€ ì±„ë¡œ ì²œìž¥ì— ë§¤ë‹¬ë ¤ìžˆëŠ” 듯한 천ë„복숭아를 따먹고 있다. ë§ˆí¬ ìœ„ì— í¬ë ˆìš©ìœ¼ë¡œ 그려진 ë•ë¶„ì— ë§¤ìš° 거친 ëŠë‚Œì´ 들며, 실제로 ì•„ì´ë“¤ì´ ë‚¡ì€ ì‚¼ë² ì˜· ìœ„ì— ëª°ëž˜ 그린듯한 ì°©ê°ë„ 들어 우리 ë¯¼í™”ì˜ í’€ë¿Œë¦¬ê°™ì€ ìžìƒì„±ì„ ê³ ì°°í•´ ë³¼ ìˆ˜ë„ ìžˆë‹¤. í´ ê³ ê°±ì˜ <우리는 ì–´ë””ì—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ê°€ ì—°ìƒë˜ëŠ” ì¸¡ë©´ë„ ìžˆì–´, ì‚¶ì˜ ë³¸ì§ˆë¡œì„œì˜ íšŒê·€ì— ëŒ€í•œ ì˜ë¯¸ë¥¼ 고민해 ë³¼ ìˆ˜ë„ ìžˆë‹¤.
민화와 밀접한 ì˜ì—­ì¸ ë¶ˆí™”ì˜ ëŒ€í‘œìž‘ 중 í•˜ë‚˜ì¸ ë°•ìƒê´‘ ìž‘ê°€ì˜ <제왕>(ë„6)ì€ ê·¸ë¦¼ì—서 비롯ë˜ëŠ” 종êµì  ì•„ìš°ë¼ì˜ 실체를 고민해 ë³¼ 수 있는 작품ì´ë‹¤. 작품 ì† ì‹ ë“¤ì€ ì˜¤ë°©ìƒ‰ìœ¼ë¡œ 강렬하게 표현ë¼ìžˆê³  ìœ¤ê³½ì„ ì€ ë¶‰ì€ìƒ‰ìœ¼ë¡œ 그려져있어 ë²½ì‚¬ì˜ íž˜ì´ ìƒìƒížˆ ëŠê»´ì§„다. 특히 ì´ ìž‘í’ˆì€ ì¹ ì´ ë²—ê²¨ì§„ 듯한 효과가 ë”í•´ì ¸ 실제 사찰 벽면ì—서 보는듯한 사실ê°ì´ ëŠê»´ì§„다.


글 김태호 ê¸°ìž ì‚¬ì§„ ì´ì£¼ìš© ê¸°ìž ìž‘í’ˆì‚¬ì§„ì œê³µ 국립현대미술관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