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ì†ë°•물관 소장 문ìžë„ ë³‘í’ – 화려하고 환ìƒì ì¸ ì´ë¯¸ì§€ë¡œ 전한 유êµì˜ ë•목

정병모 êµìˆ˜ì˜ 명품 민화 순례⑥
국립민ì†ë°•물관 소장 문ìžë„ 병í’
화려하고 환ìƒì ì¸ ì´ë¯¸ì§€ë¡œ 전한 유êµì˜ ë•목

국립민ì†ë°•물관 소장 <문ìžë„ 병í’>ì€ ë¬¸ìž ì•ˆì˜ íŠ¹ë³„í•œ 무늬와 색채로 ì¸í•´ 유êµë¬¸ìžë„ì˜ ëª…í’ˆìœ¼ë¡œ ì†ê¼½ížŒë‹¤. ë¬¸ìž ì† íŽ¼ì³ì§„ ê°ì¢… 꽃과 ì¤„ë¬´ëŠ¬ì˜ íŒ¨í„´ì€ ì²­ìƒ‰ ë°”íƒ•ì— ì ìƒ‰ì˜ 가는 선으로 표현한 촘촘하고 세밀한 패턴으로 어른어른할 ì •ë„로 ìž”ìƒì´ 비치는 ê²ƒì´ íŠ¹ì§•ì´ë‹¤. 청색과 ì ìƒ‰ì˜ 대비는 문ìžë„ì— ë”ìš± 강렬하고 신비로운 ì´ë¯¸ì§€ë¥¼ 부여한다.

민화는 ë³¸ê·¸ë¦¼ì´ ì•„ë‹ˆë‹¤

민화는 매우 ì°½ì˜ì„±ì´ í’부한 그림ì´ë‹¤. ê°™ì€ ëª¨í‹°í”„ë¼ í•˜ë”ë¼ë„ ê·¸ 변화ìƒì€ 매우 다양하다. í”히 민화를 ‘본그림’ì´ë¼ê³  하는ë°, 실ìƒì€ 정반대다. ë¯¼í™”ë§Œí¼ ë‹¤ì–‘í•˜ê³  ì°½ì˜ì ì¸ ê·¸ë¦¼ë„ ë“œë¬¼ë‹¤. 조선시대 ë¯¼í™”ë³¸ë„ ë‹¤ë¥¸ ë¶€ë¥˜ì— ë¹„í•´ 그렇게 ë§Žì´ ë‚¨ì•„ìžˆì§€ 않다. ê¶ì¤‘회화나 문ì¸í™”ì—서는 ê³ ì „ê³¼ ì •í†µì„ ì¤‘ì‹œí•˜ê³  사실ì ì¸ í‘œí˜„ì„ ì§€í–¥í•˜ë‹¤ 보니, ê¸°ì¡´ì— ì •í•´ì§„ 규범 안ì—서 ì°½ì˜ì„±ì„ 발휘했으나, 민화ì—서는 ê·¸ í‹€ì„ ë›°ì–´ë„˜ì–´ ìžìœ ë¡­ê²Œ ìžì‹ ì˜ ìƒê°ê³¼ ëŠë‚Œì„ 펼쳤다. 현대 ë¯¼í™”ìž‘ê°€ë“¤ì´ ë¯¼í™”ë³¸ì— ì˜ì¡´í•œ ìž‘ì—…ì„ ë§Žì´ í•˜ë‹¤ 보니, 민화가 본그림ì´ëž€ ìž˜ëª»ëœ ì¸ì‹ì´ 심어진 ì¸¡ë©´ë„ ìžˆë‹¤. 문ìžë„ë„ ë§ˆì°¬ê°€ì§€ë‹¤. 다른 ê·¸ë¦¼ì— ë¹„í•´ êµì¡°ì ì´ê³  형ì‹ì ì´ê¸° 쉬운 모티프ì¸ë°, 놀ëžê²Œë„ ê·¸ 변화ìƒì€ 다양했다. 지역별로 다르고 작가별로 달ëžë‹¤. ê·¸ 변화는 ì´ë¯¸ì§€ì™€ ì´ì•¼ê¸°ì— ë”°ë¼ ë³€í•´ê°”ë‹¤. ì–´ë–¤ 때는 ì´ì•¼ê¸°ê°€, ì–´ë–¤ 때는 ì´ë¯¸ì§€ê°€ ë¯¼í™”ì˜ ë³€í™”ë¥¼ 주ë„했다. 국립민ì†ë°•물관 소장 <문ìžë„ 병í’>ì€ ì™¸í˜•ìƒ ë¬¸ìžë„ì˜ ì „í˜•ì—서 í¬ê²Œ 벗어나고 있지 않지만, 색채, 패턴, 구성 등 ê·¸ 안ì—서 ì´ë¤„ì§„ 변화는 매우 ì´ë¡€ì ì´ë‹¤. ì´ëŸ¬í•œ 변화ìƒì´ 어떠한 ê³¼ì •ì„ í†µí•´ì„œ 가능했고 어떠한 가치가 있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국립민ì†ë°•물관 소장 <문ìžë„ 병í’>ì€ ìœ êµë¬¸ìžë„ì˜ ëª…í’ˆìœ¼ë¡œ ì†ê¼½ížˆëŠ” 작품ì´ë‹¤. ê·¸ ì´ìœ ëŠ” ë¬¸ìž ì•ˆì˜ ë¬´ëŠ¬ì™€ ìƒ‰ì±„ì— ìžˆë‹¤. ë¬¸ìž ì† íŽ¼ì³ì§„ ê°ì¢… 꽃과 ì¤„ë¬´ëŠ¬ì˜ íŒ¨í„´ì€ ì–´ë¥¸ì–´ë¥¸í•  ì •ë„로 ìž”ìƒì´ 비친다. ê·¸ê²ƒì€ ì²­ìƒ‰ ë°”íƒ•ì— ì ìƒ‰ì˜ 가는 선으로 촘촘하고 세밀한 패턴으로 그런 시ê°ì ì¸ 효과를 낸 것ì´ë‹¤. ì´ëŸ° ìž¥ì‹ íŒ¨í„´ì˜ ìœ ë¡€ëŠ” 쉽게 떠오르지 않지만, êµ³ì´ ì°¾ëŠ”ë‹¤ë©´ 옷ê°ì˜ 무늬를 ì—°ìƒì¼€ 한다. ë”ìš±ì´ ê·¸ íŒ¨í„´ì€ ì²­ìƒ‰ê³¼ ì ìƒ‰ì˜ 대비를 활용하여 ë”ìš± 강렬하고 신비로운 ëŠë‚Œë§ˆì € 든다.
청색과 ì ìƒ‰ì˜ 대비는 서양ì—서 보색ì´ë¼ 하여 뚜렷한 대비를 ê°•ì¡°í•  때 사용하지만, ì¡°ì„ ì˜ ì±„ìƒ‰í™”ì—서는 ìƒìƒì˜ 색채 조화로, í™”ë©´ì— í™œê¸°ë¥¼ 불어넣는 ìƒ‰ì±„ì˜ ëŒ€ë¹„ë¡œ, ê¶í•©ì´ 가장 잘 맞는 ìƒ‰ì±„ì˜ ìŒìœ¼ë¡œ ì¦ê²¨ 활용했다. ì´í† ë¡ 화려한 문ìžë„를 í‰ì› ìœ„ì— ë¶• 떠있는 모습으로 나타내어 환ìƒì ì¸ 분위기를 배가시켰다. í–‰ì„œì˜ ì •ì—°í•œ ë¬¸ìž ì†ì— ë„ìƒë“¤ì„ 배치하여 언뜻 보수ì ì´ê³  형ì‹ì ì¸ 그림으로 보기 쉽지만, ê·¸ ì•ˆì„ ë“¤ì—¬ë‹¤ë³´ë©´ 화려하고 환ìƒì ì¸ 장ì‹ì´ ë³´ì„처럼 빛난다.

ì´ì•¼ê¸°ì—서 ìƒì§•으로

‘효제충신예ì˜ì—¼ì¹˜å­æ‚Œå¿ ä¿¡ç¦®ç¾©å»‰æ¥â€™ì˜ ì—¬ëŸ ê°€ì§€ ë•ëª©ì„ ë‚´ì„¸ìš´ 유êµë¬¸ìžë„는 ì´ì•¼ê¸°ì™€ ì´ë¯¸ì§€ì˜ í¥ë¯¸ë¡œìš´ 관계를 보여준다. 18세기 후반 유êµë¬¸ìžë„ê°€ ì²˜ìŒ ì‹œìž‘ë˜ì—ˆì„ 때ì—는 뚱뚱한 í•´ì„œì²´ì˜ ê¸€ì”¨ ì•ˆì— ê´€ë ¨ëœ ì´ì•¼ê¸°ë“¤ì„ 배치했다. 효ìžë„ì˜ ê²½ìš°, íš¨ìž ì•ˆì— ì¤‘êµ­ 역대 유명한 íš¨ìž ê°€ìš´ë° 4ì¸ì˜ ì´ì•¼ê¸°ë¥¼ ì¸ë¬¼í™”로 그려 넣었다. 왕ìƒçŽ‹ç¥¥ì´ëž€ 어린아ì´ê°€ ê²¨ìš¸ì² ì— ê³„ëª¨ì¸ ì–´ë¨¸ë‹ˆë¥¼ 위해 ê½ê½ ì–¼ì€ ê°•ë¬¼ì„ ë„ë¼ë¡œ 깨다가 ì—¬ì˜ì¹˜ 않아서 엎드려 우는 장면, 맹종孟宗ì´ëž€ 어린아ì´ê°€ ê²¨ìš¸ì² ì— ê³„ëª¨ì¸ ì–´ë¨¸ë‹ˆë¥¼ 위해 눈 ë®ì¸ 대나무 숲ì—서 ì£½ìˆœì„ ì°¾ì•„ë³´ë‹¤ê°€ 없어서 우는 모습, 황향黃香ì´ëž€ 어린 ì•„ì´ê°€ 여름철 아버지가 ìž ìžê¸° ì „ ë”울까 걱정ë˜ì–´ 침ìƒì„ 부채질하는 모습, 대효大å­ë¼ê³  칭송 받는 ìˆœèˆœìž„ê¸ˆì´ ì—­ì‚°æ­·ì„œ ë°­ì„ ê°€ëŠ” 모습 ë“±ì´ ì„¸ì„¸í•˜ê²Œ 그려졌다. ì´ë“¤ ìž¥ë©´ì€ íš¨ìž, ì—´ë…€, ì¶©ì‹ , ë¶•ìš°, 종족, ì‚¬ìƒ ë“±ì˜ í–‰ì ì´ 실려 있는 오륜행실ë„와 ê°™ì€ í–‰ì‹¤ë„ì—서 ê·¸ ì´ë¯¸ì§€ë¥¼ 빌려온 것ì´ë‹¤.
ì´ëŸ¬í•œ 효ìžì˜ ì´ì•¼ê¸°ê°€ ë„리 í¼ì§€ìž, ë‹¤ìŒ ë‹¨ê³„ì—서는 ê° íš ì•ˆì— ì¸ë¬¼í™”ê°€ 담겨지는 ê²ƒì´ ì•„ë‹ˆë¼ íš ìžì²´ê°€ ê·¸ ì¸ë¬¼í™”ì˜ ëŒ€í‘œì  ìƒì§•으로 ëŒ€ì²´ëœ ê²ƒì´ë‹¤. 국립민ì†ë°•물관 소장 문ìžë„ 중 <효ìžë„å­å­—圖>ì—ì„œë„ ì´ëŸ¬í•œ 변화ìƒì„ 확ì¸í•  수 있다. 1íšì´ 왕ìƒì˜ 잉어, 2íšì´ ë§¹ì¢…ì˜ ì£½ìˆœ, 4íšì´ í™©í–¥ì˜ ë¶€ì±„, 6íšì€ ìˆœìž„ê¸ˆì˜ ì˜¤í˜„ê¸ˆìœ¼ë¡œ 구성ë˜ì—ˆë‹¤. ê·¸ëŸ°ë° ì´ë“¤ ìƒì§•ë„ ì£¼ì™€ ì¢…ì´ ìžˆë‹¤. 잉어와 ì£½ìˆœì€ ëŒ€í‘œì ì¸ ìƒì§•으로 내세웠고, 부채와 ì˜¤í˜„ê¸ˆì€ íšì˜ ìž¥ì‹ íŒ¨í„´ìœ¼ë¡œ 활용했다. 효ìžì˜ 핵심ì ì¸ ë¶€ë¶„ì„ ì°¨ì§€í•˜ëŠ” 1íšê³¼ 2íšì€ ë¶‰ì€ ê¸°ê°€ ë„는 잉어와 ì²­ìƒ‰ê¸°ì˜ ì£½ìˆœ ë° ëŒ€ë‚˜ë¬´ë¥¼ êµì°¨ì‹œì¼°ë‹¤. ê·¸ 아래 4íšì€ ì‚´ì§ ê½‚ížŒ 부채로 대신했고, 7íšì˜ ì˜¤í˜„ê¸ˆì€ íš ê°€ìš´ë° ì‚½ìž…í•˜ì—¬ 장ì‹ì„ 겸했다. 힘차게 êµì°¨í•œ 잉어와 ì£½ìˆœì´ íš¨ìžì˜ ì „ì²´ì ì¸ 형세를 ì´ëŒê³  있는 것ì´ë‹¤. 유êµë¬¸ìžë„ì˜ ì²«ë¨¸ë¦¬ë¥¼ 차지하는 효는 모든 í–‰ì‹¤ì˜ ì‹œìž‘ì´ìž 근본ì´ë‹¤. 효가 ì´ë¤„져야 ì¶©ì´ ë˜ê³ , 효가 ì´ë¤„져야 예가 갖춰지는 것ì´ë‹¤. ê³µìžëŠ” ì¸ä»ì˜ ê·¼ë³¸ì´ â€˜íš¨ì œå­æ‚Œâ€™ì— 있다고 했다. 효제란 효성과 í˜•ì œê°„ì˜ ìš°ì• ë‹¤. 모든 ì¼ì€ 가까운 ì´ë“¤ë¶€í„° 챙기는 ë°ë¶€í„° 시작ëœë‹¤. 그렇지 않고 사회ì ì¸ ëŒ€ì—…ì„ ë§¡ëŠ” ì¼ì€ 쉽지 ì•Šì„ ê²ƒì´ë‹¤. íš¨ì˜ ë‹¤ìŒì¸ <ì œìžë„悌字圖>를 ë³´ìž. 요즘 뉴스를 ë³´ë©´ 무엇보다 ê°€ìŠ´ì— ìƒˆê²¨ì•¼ í•  ë•ëª©ì´ ìžˆë‹¤. í˜•ì œê°„ì˜ ìš°ì• ë¥¼ ëˆë…히 하ë¼ëŠ” ì˜ë¯¸ì˜ ‘제悌’ìžë‹¤. 피를 나눈 가족ì´ì§€ë§Œ, ëˆê³¼ 권력 앞ì—서는 ìš•ë§ ì•žì—서는 ë‚¨ë³´ë‹¤ë„ ëª»í•œ ì²˜ì‹ ì„ ë³´ì´ëŠ” 세태를 ë³¼ 때, ì´ ë¬¸ìžì˜ ì˜ë¯¸ê°€ 새삼 ë‘드러진다. ì œìžë„ì˜ ê°€ìž¥ 대표ì ì¸ ìƒì§•ì€ í• ë¯¸ìƒˆë‹¤. ì´ ìƒˆëŠ” 새 ê°€ìš´ë° ê°€ìž¥ í˜•ì œê°„ì˜ ìš°ì• ê°€ ê¹Šì€ ê²ƒìœ¼ë¡œ 알려졌다. 벌레 하나를 ìž¡ì•„ì™€ë„ ì„œë¡œ 나눠먹는다. ì™¼ìª½ì˜ ì‹¬ë°©å¿ƒë³€ì€ ì´ëŸ¬í•œ 할미새로 구성했다. 1íšì˜ 어미 할미새는 여유롭게 꽃 한 송ì´ë¥¼ ìž…ì— ë¬¼ê³  당당하게 ì¤‘ì‹¬ì„ ìž¡ê³  있는 ê°€ìš´ë° 2íšê³¼ 3íšì˜ ìƒˆë¼ í• ë¯¸ìƒˆë“¤ì´ ìž¡ì•„ì˜¨ ê³¤ì¶©ì„ ì„œë¡œ 나눠 먹고 있다. 오른쪽 ìœ„ì˜ 4íšê³¼ 5íšì„ ë³´ë©´, í™”ë¶„ì— ë…¹ìƒ‰ì˜ ìžŽê³¼ ë¶‰ì€ ê½ƒìœ¼ë¡œ ì´ë£¨ì–´ì¡Œë‹¤. 여기ì—는 산앵ë‘ê½ƒì´ ë“±ìž¥í•˜ëŠ” ê²ƒì´ ê´€ë¡€ì¸ë°, ì´ ê·¸ë¦¼ì—서는 모란과 ëª¨ëž€ê½ƒìžŽì´ í™”ë ¤í•˜ê²Œ 피어 있다. 나머지 íšì—는 초서체로 그리고 ê·¸ ì•ˆì„ ì•„ë¦„ë‹¤ìš´ ê½ƒë¬´ëŠ¬ì˜ íŒ¨í„´ìœ¼ë¡œ 장ì‹í–ˆë‹¤. 할미새 ê°€ì¡±ì„ ì œìžì˜ 대표ì ì¸ ìƒì§•ì„ ë‚˜íƒ€ë‚´ê³ , 빨간 ëª¨ëž€ê½ƒì´ ì œìžë„ì˜ ë¬¸ìž¥ì²˜ëŸ¼ ë‹ë³´ì´ê²Œ 표현했다.
ì´ì¯¤ ë˜ë©´, 아마 할아버지가 ì•„ì§ ì´ì•¼ê¸°ë¥¼ 모르는 ì†ì£¼ë¥¼ 무릎ì—다 앉혀 놓고 문ìžë„ 병í’ì„ ê°€ë¦¬í‚¤ë©° 왕ìƒì´ 어쩌고저쩌고, ë§¹ì¢…ì´ ì´ëŸ¬ì¿µì €ëŸ¬ì¿µí•˜ë©´ì„œ 재미있게 íš¨ìž ì´ì•¼ê¸°ë¥¼ ë“¤ë ¤ì£¼ì—ˆì„ ê²ƒì´ë‹¤. 유êµë¬¸ìžë„와 ê´€ë ¨ëœ ì´ì•¼ê¸°ê°€ 확산ë˜ê³  보편화ë˜ìž 문ìžë„를 êµ³ì´ êµ¬ì²´ì ìœ¼ë¡œ ì¸ë¬¼í™”로 설명한 ê²ƒì´ ì•„ë‹ˆë¼ ê°„ê²°í•˜ê²Œ 대표ì ì¸ ìƒì§•으로 기호화ë˜ì—ˆë‹¤. ë°±ì„±ë“¤ì€ íš¨ìžë„ì— ê¹ƒë“  물ìƒë§Œ ë³´ë©´ ì´ë‚´ ê·¸ íš¨ìž ì´ì•¼ê¸°ë¥¼ 떠올릴 ë§Œí¼ ì˜¤ëž«ë™ì•ˆ 학습ë˜ì–´ ì™”ê¸°ì— ê°€ëŠ¥í•œ ì¼ì´ë‹¤.

화조 표현으로 장ì‹ëœ 문ìžë„

ì´ì•¼ê¸°ì˜ ìƒì§•ì¡°ì°¨ 지루하게 ë˜ë©´, ê·¸ ë‹¤ìŒ ë‹¨ê³„ì—ì„  어떠한 변화가 ì¼ì–´ë‚ ê¹Œ? 문ìžë„ë¼ë©´ ê¼­ 담아야 í•  고사나 ìƒì§•ì˜ êµì¡°ë¥¼ 훌훌 ë–¨ì³ ë²„ë¦¬ê³  ê½ƒì˜ íŒ¨í„´ë§Œìœ¼ë¡œ 화려하게 장ì‹ëœ 문ìžë„까지 등장했다. ìƒì§•í™”ë˜ê³  ê¸°í˜¸í™”ëœ ë¬¸ìžë„ì—서 길ìƒì ì¸ ì˜ë¯¸ì˜ 꽃들로 장ì‹ëœ 문ìžë„로 ë°”ë€ ê²ƒì´ë‹¤. 문ìžì˜ 뜻과는 ìƒê´€ì—†ì´ íš¨ìž ìœ„ì— ë¶€ê·€ë¥¼ ìƒì§•하는 ëª¨ëž€ê½ƒì´ í”¼ì–´ 있고, ì‹ ìž ìœ„ë¥¼ ë‹¤ì‚°ì„ ìƒì§•하는 ì„류가 ì„류 알갱ì´ë“¤ì„ 드러내었다. ë˜í•œ 예ìžë„ ìœ„ì— ë‚œë°ì—†ì´ ì—°ê½ƒì´ ì†Œë‹´ìŠ¤ëŸ½ê²Œ 연잎 ìœ„ì— ë‹´ê²¨ 있고, ì˜ìžë„ ìœ„ì— ë‹¤ì‹œ ëª¨ëž€ê½ƒì´ íƒìŠ¤ëŸ½ê²Œ 피어 있다. 효제충신예ì˜ì—¼ì¹˜ì˜ 유êµì ì¸ êµí›ˆë„ 얻으면서 부귀, 다산처럼 í–‰ë³µì„ ë¹Œì–´ì£¼ëŠ” 길ìƒì˜ íš¨ê³¼ë„ í•¨ê»˜ 얻으려는 배려다. ê°œì¸ì†Œìž¥ <문ìžë„>ê°€ ì´ ë‹¨ê³„ë¥¼ 대표하는 문ìžë„다. ì´ ìž‘í’ˆì€ 2016ë…„ 서예박물관ì—서 열린 ‘문ìžë„·책거리전’ì—서 ì‚¬ëž‘ì„ í•œ ëª¸ì— ë°›ì€ ë°” 있다. ë”ìš±ì´ ì˜ˆì „ì— ì•ˆëª©ì´ ë†’ì€ ìˆ˜ìž¥ê°€ì´ìž í™”ê°€ì¸ ê¹€ê¸°ì°½ê³¼ 김종학 씨가 ì†Œìž¥í–ˆë˜ ì´ë ¥ì„ ê°–ê³  있다. ê²€ì€ íš ì†ì—서 울긋불긋한 꽃 장ì‹ì´ 화려하게 ë‹ë³´ì¸ë‹¤.
ì´ ë¬¸ìžë„는 마치 í˜„ëŒ€ì˜ ê·¸ëž˜í”½ ë””ìžì¸ 같다. ì¡°ì„ ì‹œëŒ€ì˜ ìž‘í’ˆì´ëž€ ì‚¬ì‹¤ì„ ê¹œë¹¡ ìžŠì„ ë§Œí¼, 현대ì ì¸ ê°ê°ì´ 물씬 í’긴다. 그렇다고 í˜„ëŒ€ì˜ ë””ìžì¸ë§ˆëƒ¥ ìƒí¼í•˜ê³  경쾌한 ê²ƒë§Œì€ ì•„ë‹ˆë‹¤. ê·¸ 바탕ì—는 ì¼œì¼œì´ ìŒ“ì¸ ì „í†µì´ êµ³ê±´í•˜ê²Œ 받치고 있다. 오랜 ì „í†µì˜ ì „ì„œ ê°€ìš´ë° ì§ì„ ìœ¼ë¡œ ëœ ìƒë°©ëŒ€ì „上方大篆과 ê³¡ì„ ì˜ ë²„ë“œë‚˜ë¬´ 잎처럼 ëœ ìœ ì—½ì „æŸ³è‘‰ç¯†ì„ ì ˆë¬˜í•˜ê²Œ 조합했다. ì´ ê·¸ë¦¼ì´ í˜„ëŒ€ì ì´ì§€ë§Œ ê²°ì½” ê°€ë³ì§€ 않게 ë³´ì´ëŠ” ê²ƒì€ ì´ ë•Œë¬¸ì´ë‹¤. ì´ ìž‘í’ˆì—는 놀ë¼ìš´ ë°˜ì „ì´ ìžˆë‹¤. ê·¸ë™ì•ˆ 문ìžì˜ ì˜ë¯¸ì™€ 아무 ìƒê´€ì´ 없는 화조ë„ê°€ 주ì¸ê³µìœ¼ë¡œ 등장했다는 사실ì´ë‹¤. ì›ëž˜ <예ìžë„禮字圖>ì—는 중국 ìµœì´ˆì˜ ë¬¸ìžì¸ 낙서를 ë“±ì— ì§„ ê±°ë¶ì´ê°€ 첫 íšì— 그려져야 하나, ì´ ê·¸ë¦¼ì—서는 예와 아무 ìƒê´€ì´ 없는 연꽃, 해당화, 새와 ê°™ì€ í™”ì¡°ë„ê°€ ì•ˆë°©ì„ ì°¨ì§€í•˜ê³  있다. 듣기 ì¢‹ì€ ìœ¡ìžë°°ê¸°ë„ í•œë‘ ë²ˆì´ë¼. 오랜 세월ë™ì•ˆ ê°™ì€ ë ˆí¼í† ë¦¬ë¥¼ 반복ì ìœ¼ë¡œ 학습시켜서 피로현ìƒì´ 밀려올 때쯤, ì–´ëŠ ì§€í˜œë¡œìš´ 민화 작가는 ìƒëš±ë§žì€ ì´ë¯¸ì§€ë¡œì¨ 분위기 ì‡„ì‹ ì„ ê¾€í•œ 것ì´ë‹¤. 초기ì—는 ‘문ìžë„+고사ì¸ë¬¼ë„ì˜ ì¡°í•©â€™ì´ì—ˆëŠ”ë°, ê·¸ ë‹¤ìŒ ë‹¨ê³„ì—ì„  ‘문ìžë„+화조ë„’로 ë°”ë€ ê²ƒì´ë‹¤. ë¬µì€ ê´€ë¡€ì—서 벗어난 ê³¼ê°í•œ ë³€ì‹ ì€ ê²°ê³¼ì ìœ¼ë¡œ 우리ì—게 ‘현대ì ì´ê³  ì¡°ì„ ì ì¸ 문ìžë„’란 ì–‘ë©´ì ì¸ ê°ë™ì„ 안겨주고 있다.

현대ì ì¸ 문ìžë„ì˜ ì¶œí˜„ì„ ê¸°ëŒ€

유êµë¬¸ìžë„ê°€ ê±°ì³ ì˜¨ ì´ëŸ° ë³€í™”ê³¼ì •ì„ ë‘ê³  ë³¼ 때, 국립민ì†ë°•물관 소장 문ìžë„는 ì–´ë””ì— ìœ„ì¹˜í• ê¹Œ? 기호화한 문ìžë„ì—서 í™”ì¡°ì˜ íŒ¨í„´ìœ¼ë¡œ 장ì‹ëœ 문ìžë¡œ 변해가는 ê·¸ ê³¼ë„ê¸°ì— í•´ë‹¹í•˜ëŠ” 작품으로 ë³¼ 수 있다. ì´ ë¬¸ìžë„ì—는 íš ìžì²´ë¥¼ ê° ì´ì•¼ê¸°ì˜ 대표ì ì¸ ìƒì§•으로 대체하는 형ì‹ì„ 지나 íšì˜ 내부를 꽃ì´ë‚˜ 새로 꾸민 장ì‹ì„±ì˜ 단계로 접어서고 있다.
<ì—¼ìžë„>를 ë³´ë©´ 첫 íšì´ìž 첫 ì ì´ 게로 변모했고, 나머지 íš ì•ˆì—는 ë„ì—°ëª…ì˜ ê·€ê±°ëž˜ì‚¬ë¥¼ ìƒì§•하는 국화와 소나무와 육ì ì˜ 울림ì„ì„ ê·¸ë ¤ 넣었다. 게는 염계濂溪ë¼ëŠ” 호를 가진 송나ë¼ì˜ í•™ìž ì£¼ëˆì´å‘¨æ•¦é ¤ë¥¼ ìƒì§•한다. 그는 벼슬ìžë¦¬ì— 나아가는 것과 물러나는 ê²ƒì´ ë¶„ëª…í–ˆê¸° ë•Œë¬¸ì— ê²Œì— ë¹„ìœ í–ˆë‹¤. â€˜ê²Œê±¸ìŒ ì¹œë‹¤â€™ëž€ ë§ì´ ìžˆë“¯ì´ ì•žìœ¼ë¡œ 나아가지 못한 ì œìžë¦¬ê±¸ìŒì´ëž€ 부정ì ì¸ ëœ»ë„ ìžˆì§€ë§Œ, 조심스럽게 í–‰ë™í•˜ëŠ” ê²Œì˜ ëª¨ìŠµì„ ê°€ë¦¬í‚¨ 것ì´ë‹¤. ë„ì—°ëª…ì€ ê´€ì§ì„ 떠나 ê³ í–¥ì— ì€ê±°í•˜ë©° êµ­í™”, 소나무와 ë”불어 유유ìžì í•œ ì—¬ìƒì„ 보냈다. 중국 ì˜¤ë‚˜ë¼ ìœ¡ì é™¸ç¸¾ì€ 울림태수鬱林太守를 지냈다. ê´€ì§ì—서 물러날 때 가진 ë¬¼ê±´ì´ ì—†ì–´ ë°°ê°€ 무게를 잡지 ëª»í•˜ìž ëŒì„ 실어 가까스로 건넜다. ì´ë¥¼ 울림ì„鬱林石ì´ë¼ 한다. ì´ë“¤ì€ 나아ê°ê³¼ ë¬¼ëŸ¬ë‚¨ì´ ë¶„ëª…í•œ 행실로 추앙 받는 ì¸ë¬¼ë“¤ì´ë‹¤. ì´ ìž‘í’ˆì€ ë‹¤ë¥¸ 문ìžì™€ 달리 ë„ì—°ëª…ì„ ìƒì§•하는 êµ­í™”ì˜ í° ê½ƒìœ¼ë¡œ 장ì‹ë˜ì–´ ë…특한 ìƒ‰ì±„ì˜ íš¨ê³¼ë¥¼ 맛볼 수 있다. 효제충신예ì˜ì—¼ì¹˜ ê°€ìš´ë° ë 문ìžì¸ <치ìžë„æ¥å­—圖>는 다른 문ìžì™€ 달리 첫 íšì´ë‚˜ 첫 ì ì´ ì•„ë‹ˆë¼ ë íšì— 대표ì ì¸ ìƒì§•ì„ ë°°ì •í–ˆë‹¤. 위ì—는 달 ì†ì˜ 옥토ë¼ê°€ 방아를 ì°§ê³  있는 ë‹¬ì„ ë†“ê³  ê·¸ 아래 비ì„ì´ ë³´ì´ëŠ” ë°±ì´ìˆ™ì œì˜ ì‚¬ë‹¹ì„ ë°°ì¹˜í–ˆë‹¤. ë˜í•œ ì´ë“¤ì„ 절개를 ìƒì§•하는 매화나무로 길게 ë»—ì³ ì§€ë¶•ì²˜ëŸ¼ ë’¤ë®ì–´ 마무리했다. ë§¹ìžëŠ” ë¶€ë„럽고 수치스럽게 여기는 마ìŒì¸ 치가 ì˜ë¡œìš´ 마ìŒì˜ 시작ì´ë¼ 했다. ë˜í•œ 죄를 ì§“ê³ ë„ ë¶€ë„ëŸ¬ì›€ì„ ëª¨ë¥´ë©´ ë™ë¬¼ì´ë‚˜ 다름없다고 했다. 우리는 ì˜ë¦¬ë¥¼ 지키고 ë¶€ë„럽지 ì•Šì€ ì‚¶ì„ ì‚° ì‚¬ëžŒì˜ ëŒ€í‘œì ì¸ 예로 ë°±ì´ì™€ 숙제를 ì†ê¼½ëŠ”ë‹¤. ë°±ì´ì™€ 숙제는 ì€ë‚˜ë¼ ê³ ì£½êµ­å­¤ç«¹åœ‹ì˜ ì™•ìžì˜€ë‹¤. 아버지가 ì£½ì€ ë’¤, 서로 후계ìžê°€ ë˜ê¸°ë¥¼ 사양하다가 ë‘ ì‚¬ëžŒ ëª¨ë‘ ë‚˜ë¼ë¥¼ 떠났고 둘째 ì•„ë“¤ì´ ì™•ìœ„ë¥¼ ì´ì—ˆë‹¤. ê·¸ 무렵 ì£¼ë‚˜ë¼ ë¬´ì™•æ­¦çŽ‹ì´ ì€ë‚˜ë¼ë¥¼ 치고 주왕조를 세우ìž, ë‘ ì‚¬ëžŒì€ ë¬´ì™•ì˜ ì´ëŸ¬í•œ 행위를 비íŒí•˜ë‹¤ ì£½ìž„ì„ ë‹¹í•  뻔했다. 그는 주나ë¼ì˜ ê³¡ì‹ ë¨¹ê¸°ë¥¼ 거부하고 ìˆ˜ì–‘ì‚°é¦–é™½å±±ì— ì€ê±°í•˜ì—¬ 고사리를 ìºì–´ 먹고 지내다가 êµ¶ì–´ 죽었다.

효제충신예ì˜ì—¼ì¹˜ì˜ ë•ëª©ì€ ê³ ë¦¬íƒ€ë¶„í•œ 옛 ì¼ë¡œ í˜„ëŒ€ì— ë§žì§€ ì•Šì„ ê²ƒìœ¼ë¡œ 여기기 쉽지만, 사실 현대ì¸ì˜ ìƒí™œ ì†ì—서 필요한 ë•목ì´ë‹¤. 부모ì—게 효를 다하고 나ë¼ì— 충성하는 ì¼ì€ 시대가 바뀌었다고 달ë¼ì§€ëŠ” ì¸ë¥œì€ 아니다. 재산분배를 ë‘ê³  í˜•ì œê°„ì— ë‚¯ 뜨ê²ê²Œ 싸우는 ì¼ì´ ë§¤ìŠ¤ì»´ì„ ìž¥ì‹í•˜ëŠ” ì¼ì€ ë” ì´ìƒ ë³´ì§€ 않았으면 좋겠고, ìƒí™©ì´ 나빠졌다 ì‹ ì˜ë¥¼ 저버리고 고발하여 사회ì ìœ¼ë¡œ 물ì˜ë¥¼ ì¼ìœ¼í‚¤ëŠ” ì¼ë„ ê°€ìŠ´ì´ ì•„í”„ë‹¤.
ì—í‹°ì¼“ì„ ì§€í‚¤ëŠ” ì¼ì€ ì ì°¨ 좋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우리 사회는 ì •ì˜ì— 목ë§ë¼í•˜ê³  ê³µì§ì‚¬íšŒì—서 ì²­ë ´ê²°ë°±ì„ ìš”êµ¬í•˜ëŠ” ê¹€ì˜ëž€ë²•ë„ í•„ìš”í•˜ë‹¤. 그러나 무엇보다 í•˜ëŠ˜ì„ ìš°ëŸ¬ëŸ¬ ë¶€ë„러운 ì¼ì„ 하지 않ë„ë¡ ìš°ë¦¬ 스스로 노력해야 í•  것ì´ë‹¤. ì´ë ‡ê²Œ 무ê²ê³  중요한 메시지를 환ìƒì ì´ê³  화려하고 매력ì ì¸ ì´ë¯¸ì§€ë¡œ 전달하는 지혜를 국립민ì†ë°•물관 <문ìžë„>를 통해서 배워야 í•  것ì´ë‹¤. í˜„ëŒ€ì— ë§žëŠ” 신선하고 ì°½ì˜ì ì¸ 문ìžë„ì˜ ì¶œí˜„ì„ ê¸°ëŒ€í•´ 본다.

글 정병모(ê²½ì£¼ëŒ€í•™êµ êµìˆ˜)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