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수연 작가와 함께하는 강아지 그리기Ⅲ

ì´ë²ˆ 시간ì—는 곽수연 ìž‘ê°€ì˜ ì°½ìž‘í’ˆì„ í†µí•´ ê°•ì•„ì§€ 그리는 ë°©ë²•ì„ ì„¤ëª…í•˜ê³ ìž í•œë‹¤.
<堂狗風月-犬선비>는 ê°œì¸ìž‘í’ˆì´ê¸´ 하지만 ì—¬ê¸°ì— ê¹ƒë“  기본 ì›ë¦¬ë¥¼ ì–´ëŠ ìž‘í’ˆì—서든 ì ìš©í•  수
있다는 ì ì—서, ë¯¼í™”ì˜ í˜„ëŒ€ì ì¸ ì•„ë¦„ë‹¤ì›€ì„ ìžì„¸ížˆ 들여다볼 수 있다는 ì ì—서 ëœ»ê¹Šì€ ë³¸æœ¬ì´ ë  ê²ƒì´ë‹¤.
주요 ì†Œìž¬ì¸ í° ë¶ˆë…ì„ ì¤‘ì‹¬ìœ¼ë¡œ 색ê°ì„ 운용하고 소재별 íŠ¹ì„±ì„ ë¬˜ì‚¬í•˜ëŠ” ë°©ì‹ ë“±ì„ ì•Œì•„ë³¸ë‹¤.

– 정리 문지혜 ê¸°ìž ì‚¬ì§„ ì´ì£¼ìš© 기ìž


밑그림과 본 그리기


1 연필로 ë°‘ê·¸ë¦¼ì„ ì¶©ë¶„ížˆ 스케치 한 ë’¤ 형태가 ì–´ëŠ ì •ë„ ê·¸ë ¤ì¡Œìœ¼ë©´
먹으로 ì„ ì„ ëœ¬ë‹¤. ì´ë•Œ ì „ì²´ì ì¸ ë°‘ê·¸ë¦¼ì„ ì„  하나로 ê¹”ë”하게 표현할 수
있ë„ë¡ ìœ ì˜í•œë‹¤.


2 ë°‘ê·¸ë¦¼ì„ ì•„êµí¬ìˆ˜ê°€ ëœ í™”íŒì— 옮겨 그리기 위한 방법으로
먹지를 ì´ìš©í•˜ì—¬ 형태를 옮기는 ë°©ë²•ì´ ìžˆë‹¤.
먹지를 만드는 ë¶€ë¶„ì´ ë²ˆê±°ë¡œìš¸ 때는 íŒŒìŠ¤í…”ì„ ì‚¬ìš©í•œë‹¤.
ë°‘ê·¸ë¦¼ì„ ì™„ì„±í•œ í™”ë„를 뒤집어 ë’·ë©´ì— íŒŒìŠ¤í…”ì„ ì¹ í•œë‹¤.


3 íŒŒìŠ¤í…”ì„ ì „ì²´ì ìœ¼ë¡œ 칠했다면 종ì´ë¥¼ 다시 ë’¤ì§‘ì€ ë’¤
그릴 í™”íŒì— í…Œì´í”„로 고정시키고 ë°‘ê·¸ë¦¼ì˜ ì„ ì„ ë”°ë¼ ë³¼íŽœìœ¼ë¡œ 그려
ë³¸ì„ ì˜®ê¸°ëŠ” ìž‘ì—…ì„ í•œë‹¤.


4 ë°”íƒ•ì§€ì— ë°‘ê·¸ë¦¼ì„ ëª¨ë‘ ì˜®ê²¨ 그렸다면 마른 붓으로
밑그림 ê·¼ì²˜ì— ë‚¨ì•„ìžˆëŠ” íŒŒìŠ¤í…”ì„ ë¶“ìœ¼ë¡œ ì‚´ì‚´ 털어 ì„ ì„ ì •ë¦¬í•´ì¤€ë‹¤.


5 í™”í­ì— 옮겨진 파스텔 ì„ ì„ ë”°ë¼ ë¨¹ì„ ì„ ëœ¬ë‹¤.
ì´ë•Œ ë¶“ì´ ë¨¸ê¸ˆì€ ë¬¼ê¸°ê°€ 너무 ë§Žì§€ë„, ì§„í•˜ì§€ë„ ì•Šë„ë¡ ìŠµê¸°ë¥¼ 잘 조절한다.
맨 ì²˜ìŒ ë³¸ì„ ëœ° 때는 형태를 알아볼 수 ìžˆì„ ì •ë„ì´ë©´ ë˜ë¯€ë¡œ
ë¨¹ì„ ì´ ë„ˆë¬´ 진하거나 연하지 않ë„ë¡ ìœ ì˜í•œë‹¤.


호분 ë° ë°”ë¦¼ìž‘ì—…


6 채색 ìž‘ì—…ì€ í˜¸ë¶„ ë° ë°ì€ 색부터 시작한다.
í˜¸ë¶„ì„ ì œì¼ ëì— ì¹ í•  경우 색ê°ì´ íƒí•´ì§ˆ 수 있기 때문.
먼저 호분으로 ì±…ì˜ ë‹¨ë©´, ê°•ì•„ì§€ 눈ë™ìž, 눈ë‘ë©ì´, ì½”, ì£¼ë‘¥ì´ ë“±ì„ ë°”ë¦¼í•œë‹¤.
앞쪽으로 튀어나온 ì´ë§ˆë‚˜ 가슴, 앞다리 ë“±ì€ ì§„í•˜ê²Œ,
뒤쪽으로 ê°ˆìˆ˜ë¡ ì—°í•˜ê²Œ 바림하는 등 ì „ì²´ì ì¸ 형태를 파악하여
í˜¸ë¶„ì˜ ë†ë‹´ì— ê°•ì•½ì„ ì£¼ë©° 바림한다. í˜¸ë¶„ì€ ì¡°ê°œê»ì§ˆì´ 주ì›ë£Œì´ë‹¤.
ê·¸ë ‡ê¸°ì— ì•„êµë¡œ 개어서 ê·¸ë ¸ì„ ë•Œì™€ ìƒ‰ì´ ê±´ì¡°ë˜ì—ˆì„ 때가 다르다.
í˜¸ë¶„ì„ ë‘ê»ê²Œ 바를 경우 해당 ë©´ì ì´ 마르고 나면 발색 ì •ë„ê°€
과해질 수 있으므로 ë†ë‹´ ì¡°ì ˆì— ìœ ì˜í•œë‹¤.


7 ì„채 ìží™©ìœ¼ë¡œ ì±…ê°‘, êµ­í™”, 붓대를, ì„채 ì„ë¡ìœ¼ë¡œ 나뭇잎, ì±…ê°‘,
붓대를 바림한다. 바림한 ë©´ì ì´ 마르고 나면 ê°™ì€ ìƒ‰ìœ¼ë¡œ 한 번 ë” ë°”ë¦¼í•œë‹¤.


8 ì„채 ì êµ¬ëŒ€ìžì™€ 봉채 대ìž, í˜¸ë¶„ì„ ì‚´ì§ ì„žì–´ 황토 ê³„ì—´ì˜ ìƒ‰ì„ ë§Œë“¤ì–´
ì„  ìœ„ì— ë§ì¹ í•˜ë“¯ ì„ ì„ ê¸‹ëŠ”ë‹¤.
(ìƒ‰ì„ ë§Œë“¤ê¸° 어렵다면 봉채 대ìžë§Œ ì‚¬ìš©í•´ë„ ëœë‹¤.)
ì´ ê³¼ì •ì„ í†µí•´ ê·¸ë¦¼ì— ìŒì˜ê³¼ 깊ì´ê°ì„ 줄 수 있다.
작가 ê°œì¸ì ì¸ 작업 방법ì´ê¸°ì— 그대로 ë”°ë¼í•˜ì§€ ì•Šì•„ë„ ë¬´ë°©í•˜ë‹¤.
ê°™ì€ ìƒ‰ìœ¼ë¡œ 강아지가 ì“´ 안경, ì½”, ê·€, 책표지를 바림한다.


9 â‘§ì—서 만든 대ìžìƒ‰ì— ë¨¹ì„ ì¡°ê¸ˆ 섞으면 갈색 ë¹›ì´ ë§Œë“¤ì–´ì§„ë‹¤.
ê·¸ 색으로 눈ë™ìžì™€ ë°œì„ ë°”ë¦¼í•œë‹¤.


10 대ìžìƒ‰ìœ¼ë¡œ 나뭇잎ì´ë‚˜ 줄기 ìœ„ì— ì˜…ê²Œ, í˜¹ì€ ì§„í•˜ê²Œ 칠한다.
ìƒ‰ì´ ê²¹ì³ì§€ë©´ì„œ 다채로운 분위기를 낼 수 있다.


11 ê°™ì€ ìƒ‰ìœ¼ë¡œ 주둥ì´, ê·€ ë¶€ë¶„ì˜ í„¸ì„ í•œ 올씩 세밀히 그려주ë˜
뒤쪽으로 ê°ˆìˆ˜ë¡ ì—°í•œ ë†ë„로, í„¸ì´ ë“¬ì„±ë“¬ì„± 난 듯 묘사한다.
ê°™ì€ ìƒ‰ìœ¼ë¡œ 뒷다리 ë¶€ë¶„ì— ëª…ì•”ì„ ì¤€ë‹¤.


12 대ìžìƒ‰ì— ë¨¹ì„ ì„žì–´ ⑨과 ê°™ì´ í™ì±„를 표현하고 ë¨¹ì„ ì°ì–´
ë™ê³µì„ 표현한다. í™ì±„ê°€ ì –ì—ˆì„ ë•Œ ë™ê³µì„ 칠하면 ë¨¹ì´ ë²ˆì§€ë©°
눈ë™ìžë¥¼ 한층 ìžì—°ìŠ¤ë ˆ 표현 í•  수 있다.
í™ì±„와 ë™ê³µì„ 칠하는 ê³¼ì •ì„ ë‘ ë²ˆ ì •ë„ ë°˜ë³µí•˜ë©´ ëˆˆì— ìž…ì²´ê°ì´ ìƒê¸´ë‹¤.


13 â‘«ë²ˆì˜ ìƒ‰ìœ¼ë¡œ ì•ˆê²½í…Œì— ë¬´ëŠ¬ë¥¼ 넣고 코를 한 번 ë” ë°”ë¦¼í•œë‹¤.
마르고 나면 ê°™ì€ ìƒ‰ìœ¼ë¡œ 한 번 ë” ë°”ë¦¼í•˜ì—¬ ì½”ëì´ ì´‰ì´‰í•œ 듯
진하게 표현한다.


14 호분으로 ê°•ì•„ì§€ í„¸ì„ ì‚´ì§ ì‚´ì§ ê·¸ë¦°ë‹¤.
í„¸ì„ ê·¸ë¦¬ê³  나서 ìƒ‰ì„ ë°”ë¦¼í•˜ë©´ 종ì´ê°€ ë§ëžì„ 때 호분으로 그린
색ê°ì´ 올ë¼ì™€ í„¸ì„ ì‹¤ê°ë‚˜ê²Œ 표현할 수 있기 때문ì´ë‹¤.


15 경면주사를 ì•„êµë¬¼ì— ë…¹ì´ë©´ 위쪽ì—는 ë°ì€ 색, ì•„ëž˜ìª½ì€ ì§„í•œ 색ì´
ê°€ë¼ì•‰ì•„ 다양한 색ìƒì„ 사용할 수 있다.(4월호 참고)
ê²½ë©´ì£¼ì‚¬ì˜ ìƒ‰ìƒì„ 달리하며 그릇, 꽃, 산호, ë¶“, ì±…ì„ ë°”ë¦¼í•˜ì—¬
색ê°ì— ê°•ì•½ì„ ì¤€ë‹¤.


16 ì„채 ë‚¨ì²­ë„ ë¬¼ì— ê°  ë†ë„ì— ë”°ë¼ ë‹¤ì–‘í•œ 색으로 사용 가능하다.
ë°ì€ 색으로 ì±…ê°‘ì˜ ë°”íƒ•ì„ ë°”ë¦¼í•œ ë’¤ 그보다 조금 ë” ì§„í•œ 색으로
ì„ ì„ ê·¸ì–´ ì±…ê°‘ ë¬¸ì–‘ì„ ê·¸ë¦°ë‹¤.


17 ë‚˜ë­‡ìžŽì— ì„채 남청과 ê²½ë©´ì£¼ì‚¬ì˜ ë°ì€ ìƒ‰ì¸ ì˜¤ë Œì§€ìƒ‰ì„
바림하면 보색 효과로 그림ì†ì˜ ë‚˜ë­‡ìžŽì— ìƒê¸°ë¥¼ ë”í•  수 있다.


18 연한 먹으로 ë¶“ëì„ í•œë‘ ë²ˆ 그린 다ìŒ,
진한 먹으로 ì‚´ì§ ë§ê·¸ë¦¬ë©´ ë¶“í„¸ì„ ìž…ì²´ê° ìžˆê²Œ 표현할 수 있다.


19 호분으로 황토색 í„¸ì„ ë°˜ìœ¼ë¡œ 가르는 ëŠë‚Œìœ¼ë¡œ 혹ì€
ë®ëŠ”ë‹¤ëŠ” ëŠë‚Œìœ¼ë¡œ í„¸ì„ í•œ 올 한 올 그린다.
ê°•ì•„ì§€ ì™¸ê³½ì— ëŒ€ìžìƒ‰ì„ 깔아놓았기 ë•Œë¬¸ì— í°í„¸ì˜ ëŠë‚Œì„
ë”ìš± 실ê°ë‚˜ê²Œ 살릴 수 있다.


세부묘사 ë° ë§ˆë¬´ë¦¬


20 눈ë™ìžì— 특히 유ì˜í•´ì•¼ 한다.
눈 ë¶€ë¶„ì€ ì‚¬ëžŒì„ ì—°ìƒì¼€ 하는 ê°•ì•„ì§€ íŠ¹ìœ ì˜ ìºë¦­í„°ë¥¼ 좌우하기 때문.
대ìžìƒ‰ì— ë¨¹ì„ ì„žì€ ìƒ‰ìœ¼ë¡œ í™ì±„를 마지막으로 바림한 ë’¤
ë™ê³µì„ 그려 넣는다.


21 ì„채 남청ì—서 ì œì¼ ì§„í•œ 색으로 ì„ ì„ ê·¸ì–´ì¤€ ë’¤ í린 먹으로
ì±…ê°‘ ë¬¸ì–‘ì˜ ê³¡ì„ ì„ ê·¸ë¦¬ê³ , 호분으로 ë¬¸ì–‘ì„ ì™„ì„±í•œë‹¤.


22 먹으로 ì„ ì„ ë§ê·¸ë ¤ í트러진 ì™¸ê³½ì„ ìž¡ì•„ì£¼ê³  완성ë„를 높여준다.
ì´ ìž‘í’ˆì—서는 ì„  작업만 ì´ ì„¸ 번(본, ì˜…ì€ ë¨¹ì„ , 먹선(가필))ì„ í•œ ì…ˆì´ë‹¤.


23 경면주사로 그릇 ë¬¸ì–‘ì„ ê·¸ë¦° ë’¤ ê°™ì€ ìƒ‰ìœ¼ë¡œ 바로 바림한다.
ì´ë ‡ê²Œ 하면 ì„ ë“¤ì´ ìžì—°ìŠ¤ë ˆ 색 밑으로 들어간 듯 ìž…ì²´ê°ì„ 연출한다.
ê·¸ 외 꽃잎, ì±…ì´ ë¬¶ì¸ ë¶€ë¶„, 책거리 ë“±ì„ ë¬˜ì‚¬í•˜ê³  ì „ì²´ì ìœ¼ë¡œ
먹선(가필)ì„ ê¸‹ê³  ë‚™ê´€ì„ ì°ì–´ 최종 마무리를 한다.


완성본

곽 수 연

ë™êµ­ëŒ€í•™êµ ëŒ€í•™ì› ë¯¸ìˆ í•™ê³¼ 수료
í•œì„±ëŒ€í•™êµ ì˜ˆìˆ ëŒ€ 회화과 졸업 ë° ë™ëŒ€í•™ì› 졸업
2002~2020 ê°œì¸ì „ 12회
2020 Museum SAN 기íšì „ <회화와 서사> 참여
2020 ê°€ì‚°ì²œë…„ì •ì› 5주년 특별전 길ìƒå±•(ê´‘ë™ì œì•½ì‚¬ì˜¥) 등 초대전 다수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