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들여 만든 ë‘루마리 초본Ⅱ

ì´ë²ˆ ì‹œê°„ì— ì†Œê°œí•  ì´ˆë³¸ì€ ì§€ë‚œ ì‹œê°„ì— ì‚´íŽ´ë³¸ ë‘루마리 초본ì´ë‹¤.
ì´ ì´ˆë³¸ì˜ ë¬¼ë¦¬ì ì¸ 형태를 ì‚´íŽ´ë´„ìœ¼ë¡œì¨ ì´ˆë³¸ì˜ ì™„ì„±ì— ë“¤ì–´ê°€ëŠ” 작가ì˜
ê³µë ¥ì— ëŒ€í•´ ìƒê°í•´ë³´ê¸¸ 바란다.

글 ì´ë‹¤ì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ì´ˆë³¸ì— ë“±ìž¥í•˜ëŠ” 3ì¢…ë¥˜ì˜ ìƒˆ

ë„2 ë‘루마리 초본 갈매기 부분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ë‘루마리 초본ì—서 ì´ë²ˆì— 소개할 새는 ì´ 3종류ì´ë‹¤(ë„1). 화면 오른쪽부터 é­šç‹—(어구), é·—(구), 雉(치)ë¼ëŠ” 새가 그려져 있다. é­šç‹—(어구)는 물ì´ìƒˆë¥¼ ë§í•˜ëŠ” 단어로, ë¬¼ê°€ì— ìžë¼ëŠ” 수풀과 ìž‘ì€ ë¬¼ê³ ê¸°ë¥¼ 함께 그려놓았다. é·—(구)는 갈매기로, í•˜ëŠ˜ì„ ë‚˜ëŠ” 갈매기와 목욕하고 있는 갈매기가 그려져 있다. 雉(치)는 우리가 ìµížˆ 알고 있는 꿩으로, ì•”ìˆ˜ì˜ íŠ¹ì§•ì´ ìž˜ 구분ë˜ì–´ 그려져 있고 ê½ƒë„ í•œ ì†¡ì´ ê·¸ë ¤ 정다운 ëª¨ìŠµì„ í‘œí˜„í–ˆë‹¤.
초본 ì† ê°ˆë§¤ê¸°ë¡œ 추정ë˜ëŠ” 새를 ìžì„¸ížˆ 살펴보면 ë‚ ê°œì—서 í° ì„ ì„ ë°œê²¬í•  수 있다(ë„2). ì´ëŠ” ë¶“ì´ ì¢…ì´ê°€ ê²¹ì³ì§„ ë¶€ë¶„ì— ê±¸ë¦¬ë©´ì„œ ë¨¹ì´ ë¬»ì§€ 않아 나타나는 현ìƒì´ë‹¤. ì´ë¥¼ 통해 ë‘루마리 ì´ˆë³¸ì€ ì¢…ì´ë¥¼ ì´ì–´ë¶™ì¸ 후 그려진 ì´ˆë³¸ìž„ì„ ì•Œ 수 있으며, 종ì´ë¥¼ 다량 준비한 후 í•œêº¼ë²ˆì— ë„ìƒë“¤ì„ 그렸다고 추정할 수 있다. ì´ì™¸ì— ë§Žì€ ì¢…ë¥˜ì˜ ìƒˆë“¤ì´ ë‘루마리 ì´ˆë³¸ì— ì •ê°ˆí•˜ê²Œ 그려져 있으며, ë‚™ê´€ì„ ë‘ ê°œë‚˜ ì°ì–´ë†“ì€ ê²ƒìœ¼ë¡œ ë³´ì•„ 그린 ì¸ë¬¼ì´ ìƒë‹¹ížˆ ê³µì„ ë“¤ì˜€ìŒì„ 알 수 있다.




ë„3 《금수충린ë„회》 부분,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ë‘루마리 ì´ˆë³¸ì˜ ìš©ë„와 ì—°ê²° ë°©ì‹

ë„4
《금수충린ë„회》
ì¢…ì´ ì—°ê²° 부분

ë‘루마리 ì´ˆë³¸ì€ 9ìž¥ì˜ ì¢…ì´ë¥¼ 연결해서 만든 긴 í˜•íƒœì˜ ì´ˆë³¸ì´ë‹¤. 세로 길ì´ëŠ” 27.5ãŽì— 불과하지만 가로 길ì´ëŠ” 437.5ãŽë‚˜ ëœë‹¤. ì´ ì´ˆë³¸ 그대로 ìž‘í’ˆì„ ë§Œë“¤ì§€ëŠ” ì•Šì•˜ì„ ê²ƒì´ë‹¤. 가늘고 긴 종ì´ì˜ ìž¥í™©ì€ ìƒë‹¹ížˆ 어려운 ì¼ì´ê¸° 때문ì´ë‹¤. 세로가 ì§§ì•„ 병í’으로 장황할 수 없고, 가로는 너무 길어 족ìžë¡œ 장황한다 í•´ë„ ê±¸ì–´ë†“ê³  ê°ìƒí•˜ê¸°ì—” 무리가 있다. 그렇다면 ë‘루마리 ì´ˆë³¸ì€ ì–´ë–¤ ìš©ë„로 ì œìž‘ëœ ê²ƒì¼ê¹Œ?
ì´ ë¬¸ì œì— ëŒ€í•œ í•´ë‹µì€ ë‹¤ë¥¸ ì´ˆë³¸ë“¤ì„ ì‚´íŽ´ë³´ë©´ 알 수 있다. 초본들 중ì—서 세로가 유난히 ì§§ì€ ì´ˆë³¸ì´ ìžˆë‹¤. 바로 ì±…ìží˜• 초본ì´ë‹¤. ì±…ìží˜• 초본들 중 ê³¼ê±°ì— ì†Œê°œí•œ ì  ìžˆëŠ” 민화초본 êµìž¬ 《금수충린ë„íšŒã€‹ì˜ ê²½ìš° 표지를 제외한 내지가 18ìž¥ì˜ ì´ˆë³¸ì„ ê¸¸ê²Œ ì´ì–´ ë¶™ì¸ êµ¬ì¡°ë‹¤(ë„3). ì´ë¥¼ 근거로 ë‘루마리 ì´ˆë³¸ì˜ ìš©ë„를 추정해 ë³´ê±´ë°, ì´ ì´ˆë³¸ì´ ì±…ìœ¼ë¡œ 만들어졌다면 《금수충린ë„회》와 유사한 ì ˆì²©ìž¥æŠ˜å¸–è£ í˜•íƒœì˜ ì´ˆë³¸ì´ ì•„ë‹ˆì—ˆì„까 싶다. 그러나 《금수충린ë„회》와 ë‘루마리 ì´ˆë³¸ì€ ì¢…ì´ë¥¼ 연결한 ë¶€ë¶„ì— í° ì°¨ì´ê°€ 있다. 《금수충린ë„íšŒã€‹ì˜ ì¢…ì´ëŠ” ë¶™ì€ ë©´ì ì´ ë„“ì€ ë°˜ë©´(ë„4), ë‘루마리 ì´ˆë³¸ì˜ ì¢…ì´ëŠ” ë¶™ì€ ë©´ì ì˜ 가로가 5ãŽœë„ ì±„ ë˜ì§€ 않는다. 종ì´ë¥¼ 섬세하게 연결한 ë°©ì‹ì„ í†µí•´ì„œë„ ë‘루마리 ì´ˆë³¸ì´ ê³µë“¤ì—¬ 만들어진 ì´ˆë³¸ìž„ì„ ì•Œ 수 있다.
당시 민화를 그리는 ìž‘ê°€ë“¤ì€ ìž‘í’ˆë§Œí¼ì´ë‚˜ ì´ˆë³¸ì— ê³µì„ ë“¤ì˜€ë‹¤. 그러나 정성들여 ì´ˆë³¸ì„ ì œìž‘í–ˆìŒì—ë„ ë¶ˆêµ¬í•˜ê³  주변 ìƒí™©ì´ 작가를 ë„와주지 ì•Šì•˜ë˜ ê²ƒ 같다. ë‹¤ìŒ ì‹œê°„ì—는 ì´ˆë³¸ì„ ì¢€ ë” ë©´ë°€ížˆ ì‚´íŽ´ë´„ìœ¼ë¡œì¨ ì œìž‘ ë‹¹ì‹œì˜ ìƒí™©ì— 대해 ìƒê°í•´ë³´ê³ ìž 한다.










ì´ë‹¤ì •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ë°±ì„ëŒ€í•™êµ ê¸°ë…êµë°•물관 학예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ì›,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ì´ë‹¤.
월간<민화> 창간호부터 민화 ì´ˆë³¸ì— ëŒ€í•œ ì¹¼ëŸ¼ì„ ê¸°ê³ í•´ì˜¤ê³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