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발화기구 – ì²­ë™ìˆ˜í™”ê²½

ì¸ë¥˜ëŠ” ë¶ˆì„ ë°œê²¬í•¨ìœ¼ë¡œì¨ ì–´ë‘ ì„ ë°ížˆê³  ë¬¸ëª…ì„ ë°œì „ì‹œì¼°ë‹¤. ë¬¸ëª…ì˜ íƒ„ìƒê³¼ 궤를 함께하는 ë°œí™”ê¸°êµ¬ì˜ ì—­ì‚¬ë¥¼ 들여다보는 것, 특히 ë¯¼í™”ì˜ ëª¨í‹°í”„ê°€ ëœ ê³ ëŒ€ë¬¸ì–‘ì´ ë“¤ì–´ê°„ ê¸°ë¬¼ë“¤ì„ ì‚´íŽ´ë³´ëŠ” ê²ƒì€ ì—­ì‚¬ì ìœ¼ë¡œ 남다른 ì˜ë¯¸ë¥¼ 지닌다. ì´ë²ˆ 달부터 50여년 ê°„ ê³ ë¯¸ìˆ í’ˆì„ ìˆ˜ì§‘í•´ì˜¨ 정하근 ê³ ì€ë‹¹ 대표가 소장 ìœ ë¬¼ì„ ì¤‘ì‹¬ìœ¼ë¡œ ë°œí™”ê¸°êµ¬ì˜ ì—­ì‚¬ì™€ ë¬¸ì–‘ì— ëŒ€í•´ 간략히 설명할 예정ì´ë‹¤. 첫 번째 ì´ì•¼ê¸°ëŠ” ‘청ë™ìˆ˜í™”경’으로 시작한다. (편집ìžì£¼)


ì´ ë™ê²½éŠ…é¡ì€ ê³ ë ¤ì‹œëŒ€ì— ì‚¬ìš©ëœ ì²­ë™ê±°ìš¸ì´ë¼ ìƒê°ë˜ë‚˜ 잘 살펴보면 ì¼ë°˜ ë™ê²½ê³¼ëŠ” 다른 ì ì„ 알 수 있다. ë™ê²½ì˜ ì•žë©´ì€ ì˜¤ëª©ê±°ìš¸ë¡œ ë˜ì–´ìžˆê³  ë’·ë©´ì€ í‰ë©´ìœ¼ë¡œ ë˜ì–´ìžˆë‹¤. ì•žë©´ì˜ ì˜¤ëª©í•œ ë¶€ë¶„ì„ ì§€ë‹Œ ì´ëŸ° ì²­ë™ ê¸°êµ¬ëŠ” ìˆ˜ëŸ‰ì´ ì ì–´ 아주 귀한 편ì´ë‹¤. ì´ ê°™ì€ ë™ê²½ì˜ ì›ë¥˜ëŠ” 중국ì—서 약 3,000ë…„ ì „ ì„œì£¼ì‹œëŒ€è¥¿å‘¨æ™‚æœŸì— ë¶ˆì„ ì¼ìœ¼í‚¤ëŠ” ë„구로 사용ë˜ì—ˆë˜ 것으로 당시ì—는 ‘양수陽燧’, ‘수燧’, ‘부수夫燧’, ‘화수ç«ç‡§â€™, ‘화경ç«é¡â€™ 등으로 불렸다. 고대 ìžë£Œ 중 최초로 ì–‘ìˆ˜ì— ëŒ€í•´ 전문ì ìœ¼ë¡œ 묘사한 송나ë¼ì˜ ã€Šëª½ê³„í•„ë‹´å¤¢æºªç­†è«‡ã€‹ì— â€˜ì–‘ìˆ˜é™½ç‡§ëŠ” 한 ê°œì˜ ìŒë©´ê²½é›™é¢é¡ì´ê³  ì •ë©´ì´ ì•½ê°„ 불룩하여 ì–¼êµ´ì„ ë¹„ì¶œ 수 있고 ë’·ë©´ì€ ì˜¤ëª©í•˜ì—¬ 태양 아래서 ê·¸ ì´ˆì ìœ¼ë¡œ ë¶ˆì„ ì–»ì„ ìˆ˜ 있다’고 하였다. 한마디로 양수가 발화ë„êµ¬ì¸ ê²ƒì´ë‹¤. 양수는 길림성 박물관, 협서성 ë¶€í’현 박물관 ë“±ì— ìˆ˜ìž¥ë˜ì–´ 있다고 한다. ì´ ëª¨ì–‘ì€ í›„ì— ì²­ë™ë™ê²½ê³¼ 겸용으로 사용하는 ì²­ë™ìˆ˜í™”ê²½ì˜ ì‹œìž‘ìœ¼ë¡œ ë³¼ 수 있다고 ìƒê°ëœë‹¤.
고려시대ì—ë„ ë°œí™”ê¸°êµ¬ì¸ ì²­ë™ìˆ˜í™”ê²½é‘銅水ç«é¡ì´ 있었다는 기ë¡ì´ 있다. ì´ë¥¼ 살펴보면 역시 ã€Šì£¼ë¡€å‘¨ç¦®ã€‹ì— ë‚´ìš©ì´ ìžˆë‹¤. â€˜å¸æ¡“æ°ç•¶ä»¥å¤«ç‡§å–æ˜Žç«æ–¼æ—¥ä»¥é‘’å–æ˜Žæ°´æ–¼æœˆ.’ ì´ê²ƒì„ í’€ì´í•´ë³´ë©´ ë¶ˆì„ ì¼ìœ¼í‚¤ëŠ” 부수夫燧로 명화明ç«ë¥¼ ì¼ì—서 취한다고 í•˜ëŠ”ë° ì´ëŠ” ‘ë™ê²½ì˜ ì˜¤ëª©ë©´ì„ ìˆ˜ì€ìœ¼ë¡œ 닦아서 íƒœì–‘ì˜ ì§‘ì ì— 맞추어 ê·¸ ë¶ˆì´ ì‘¥ì—서 ì¼ì–´ë‚˜ëŠ” 현ìƒâ€™, 즉 발화를 ì˜ë¯¸í•œë‹¤. 그리고 ê°ìœ¼ë¡œ 명수를 ì›”ì—서 취한다는 ê²ƒì€ ë™ê²½ ë’·ë©´ì— ìžˆëŠ” ì˜¤ëª©ë©´ì„ ë‹¦ì•„ì„œ ì•¼ê°„ì˜ ë°ì€ ë‹¬ì— ë¹„ì¶”ì–´ 놓으면 ë°¤ì´ìŠ¬ì´ ê·¸ ì˜¤ëª©ë©´ì— ëª¨ì—¬ 월수를 ì–»ì„ ìˆ˜ 있어 ê·¸ 성수를 ì‹ ì „ì— ë°”ì³¤ë‹¤ëŠ” 것ì¸ë° ì´ë ‡ê²Œ ì‚¬ìš©ëœ ê¸°ë¬¼ì„ ì²­ë™ìˆ˜í™”ê²½é‘銅水ç«é¡ì´ë¼ê³  한다. ì´ì— 대한 ë‚´ìš©ì„ ì¼ì°ì´ ì¼ë³¸ì¸ 기시켄岸謙 씨가 ê³ ì¦í–ˆìŒì— 대해 ê°ì‚¬ë“œë¦°ë‹¤. í•„ìžëŠ” ì´ ì²­ë™ìˆ˜í™”ê²½ì„ 30ì—¬ ë…„ ì „ì— ìˆ˜ì§‘í•˜ì—¬ 현재 6ì ì„ 소장하고 있다.

중국 ì„œì£¼ì‹œê¸°ì— ì´ë¯¸ ë°œí™”ì˜ ì›ë¦¬ 활용

ì„œì£¼ì‹œê¸°ì— ì¶œí† ëœ ê³ ê³ ìžë£Œì— ì˜í•˜ë©´ ì„œì£¼ì‹œê¸°ì— 3가지 í˜•íƒœì˜ í‰ë©´, ë³¼ë¡, ì˜¤ëª©ì˜ ì²­ë™ë°˜ì‚¬ ê±°ìš¸ì´ ìžˆì—ˆë‹¤ê³  한다. 여기서 ì˜¤ëª©ë°˜ì‚¬ê²½ì˜ ì¡´ìž¬ëŠ” 고대 ì¸ë¥˜ê°€ ë¹›ì˜ ë°˜ì‚¬ 현ìƒì— 대하여 ì§ê´€ì ìœ¼ë¡œ ì¸ì‹í•˜ê³  있ìŒì„ 시사한다. 현대 기하광학ì´ë¡ ìœ¼ë¡œ í•´ì„í•  때 ë³¼ë¡ë°˜ì‚¬ê²½ì€ ìž…ì‚¬ê´‘ì˜ ë°œì‚° 작용ì„, ì˜¤ëª©ë°˜ì‚¬ê²½ì€ ìž…ì‚¬ê´‘ì„ ëª¨ìœ¼ëŠ” 작용ì„, í‰ë©´ë°˜ì‚¬ê²½ì€ ìž…ì‚¬ê´‘ì„ ë°œì‚°í•˜ê±°ë‚˜ ëª¨ìœ¼ì§€ë„ ì•ŠëŠ”ë‹¤.
즉 ì˜¤ëª©ê±°ìš¸ì„ íƒœì–‘ì— ë¹„ì¶”ê³  한 ìž¥ì˜ ì¢…ì´ë¥¼ 거울 앞ì—서 ì´ë™í•˜ë©´ 한 ê°œì˜ ë¹›ì´ ëª¨ì•„ì§€ëŠ” ê´‘ì ì„ ì°¾ì„ ìˆ˜ 있지만, ë³¼ë¡ê±°ìš¸ë¡œëŠ” ê°™ì€ í–‰ë™ì„ 하ë”ë¼ë„ ê´‘ì ì„ ì°¾ì„ ìˆ˜ 없다는 뜻ì´ë‹¤. ê³ ê³ ìžë£Œì— 근거하면 지금까지 ì¶œí† ëœ ë‹¤ìˆ˜ì˜ ì„œì£¼ì‹œê¸° 오목경(양수)ë“¤ì´ ê¸¸ë¦¼ì„± 박물관, 섬서 ë¶€í’현 박물관, 섬서성 실란시 ì£¼ì› ë°•ë¬¼ê´€ 등 중국 ì „ì—­ ë°•ë¬¼ê´€ì— ì†Œìž¥ë˜ì–´ 있다고 한다. 실제 사례로 서주 ì¤‘ê¸°ì˜ ë¬˜ì§€ì¸ í™©í‡´ 60호 묘지ì—서 양수가 출토ëëŠ”ë° ì´ëŠ” 양수가 서주 ì¤‘ê¸°ì— ì œìž‘ëœ ê²ƒìž„ì„ ë‚˜íƒ€ë‚¸ë‹¤. ì´ ì–‘ìˆ˜ëŠ” 현재 섬서성 실난시 주ì›ë°•ë¬¼ê´€ì— ìˆ˜ìž¥ë˜ì–´ 있다. 황퇴 60호 묘지ì—서 ì¶œí† ëœ ì´ ì–‘ìˆ˜ëŠ” ìµœì´ˆì˜ ë³´ë¬¼ ì–‘ìˆ˜ë¼ í•  수 있다. ì„œì£¼ì‹œê¸°ì— ì¸ë¥˜ëŠ” ì²­ë™ë°˜ì‚¬ê²½ì„ 통해 태양ì—너지를 얻어 ë¶ˆì„ ì–»ì—ˆë˜ ê²ƒì´ë‹¤.

ì˜¤ëª©ê²½ì„ ë‘˜ëŸ¬ì‹¼ 국화문양

그렇다면 í•„ìžê°€ 가지고 있는 ì²­ë™ìˆ˜í™”ê²½ì„ ë”ìš± ìžì„¸ížˆ 살펴보ìž. ì§€ë¦„ì€ 10.6cm, 길ì´ëŠ” 19cm로 한 ì†ì— ì™ ë“¤ì–´ì˜¤ëŠ” í¬ê¸°ì¸ë° 작고 가벼워 그야ë§ë¡œ 휴대용 ë¼ì´í„°ë¡œì‚¬ìš©í•˜ê¸°ì— 제격ì´ë‹¤. í¬ê²ŒëŠ” 거울과 오목렌즈로 활용할 수 있는 윗부분과 ì†ìž¡ì´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거울과 ì†ìž¡ì´ ê°„ ê²½ê³„ë„ ì™„ë§Œí•œ 곡선으로 세련ë˜ê²Œ 연결했다.
ëˆˆê¸¸ì„ ë„는 ë¶€ë¶„ì€ êµ­í™”ë¡œ 추측ë˜ëŠ” 꽃문양ì¸ë°, í•œê°€ìš´ë° ìœ„ì¹˜í•œ ì˜¤ëª©ê²½ì„ ì¤‘ì‹¬ìœ¼ë¡œ ì–‘ê°ëœ 국화문양 7개가 ì¼ì •한 ê°„ê²©ì„ ë‘ê³  ë¹™ 둘러져 있다. ì´ëŸ¬í•œ ì—°ì†ë¬´ëЬ í˜•íƒœì˜ ì›í˜• 배치는 ê³ ë ¤ ë™ê²½ì—서 í”히 ë³¼ 수 있는 ì–‘ì‹ì´ë‹¤.
특히 ì–‡ì€ ê½ƒìžŽì„ í•œ 장 한 장 세밀히 표현한 ì„¬ì„¸í•¨ì´ ë‹ë³´ì¸ë‹¤. 시대별로 ì‚´íŽ´ë³´ì•˜ì„ ë•Œ êµ­í™”ë¬¸ì´ ê°€ìž¥ ë§Žì´ ì“°ì¸ ì‹œëŒ€ê°€ 고려로, 중국 송대(960~1279)ì˜ ë„ìžë¬¸ì–‘ì— ì‚¬ìš©ëœ êµ­í™”ë¬¸ì–‘ì´ ê³ ë ¤ì— ë§Žì€ ì˜í–¥ì„ 준 것으로 추측ëœë‹¤. 예로부터 êµ­í™”ë¬¸ì´ ìƒì§•하는 바는 매우 다양하나, ìƒí™œì˜ 기물ì—서 가장 ë„리 ì“°ì¸ ì˜ë¯¸ëŠ” ‘장수’ë¼ê³  í•  수 있다. 중국 ë™ì§„(æ±æ™‹, 317~419) 시대 í•™ìžì¸ ê°ˆí™ì´ ì“´ 저서 《í¬ë°•ìžæŠ±æœ´å­ã€‹ 내편內篇ì—는 ‘ê°ê³¡ìˆ˜ç”˜è°·æ°´â€™ì—는 êµ­í™”ì˜ ë¬¼ì´ ë–¨ì–´ì ¸ ìžì•¡æ»‹æ¶²ì´ ë˜ì–´ 있어 ì´ ë¬¼ì„ ë§ˆì‹œë©´ 장수할 수 있다‘고 기ë¡ë¼ 있다. 중국ì—서는 ìŒë ¥ 9ì›” 9ì¼ì˜ ì¤‘ì–‘ì ˆì— ì°¨ë¡€ë¥¼ 지낸 ë’¤ ë†’ì€ ê³³ì— ì˜¬ë¼ êµ­í™”ì£¼ë¥¼ 마시며 액땜하는 í’ìŠµì´ ìžˆì—ˆìœ¼ë©° 우리나ë¼ì—ë„ ë¯¼ê°„ì—서는 9ì›” 9ì¼ êµ­í™”ì£¼ë¥¼ 먹으면 무병하고 장수한다하여 ì¦ê²¨ 마시는 í’ìŠµì´ ìžˆì—ˆë‹¤. 고려가요 <ë™ë™å‹•å‹•> 9월령ì—는 “9ì›” 9ì¼ì•  아으 약ì´ë¼ 먹논 황화黃花고지 안해 드니 새셔 가만 íì• ë¼ ì•„ìœ¼ ë™ë™ë‹¤ë¦¬â€ë¼ê³  하였으니, ê³ ë ¤ 때 ì´ë¯¸ ì¤‘ì–‘ì ˆì— êµ­í™”ì£¼ë¥¼ ë‹´ê°€ 먹었고 ê·¸ê²ƒì„ ì•½ì£¼ë¡œ ì¸ì‹í•˜ê³  있었ìŒì„ 알 수 있다. ì´ì²˜ëŸ¼ 고려시대ì—는 국화가 ë¶ˆë¡œë¶ˆì‚¬ì˜ ì˜ì´ˆéˆè‰ë¼ê³  ìƒê°í•´ 장수와 ê±´ê°•ì„ ê¸°ì›í•˜ë©° ì²­ìž, 술병, 거울 ë“±ì— êµ­í™”ë¬¸ì„ ì¦ê²¨ 사용했다. ìž‘ì€ ìˆ˜í™”ê²½ 하나ì—ë„ êµ­í™”ë¬¸ì„ ì •ì„±ìŠ¤ë ˆ 새겨 ë„£ì€ ê³ ë ¤ì¸ì˜ 미ê°ê³¼ 뛰어난 ê¸°ìˆ ë ¥ì„ ì—¿ë³¼ 수 있다.


참고ìžë£Œ
황호근 《고려ë™ê²½ì„ 통해 본 한국문양사》
ì–‘êµ°ì°½ <주괴ì˜ì˜ ì„ ì§„ 양수 ë° ê·¸ì— ê´€í•œ 문제>
한국전력주ì‹íšŒì‚¬ ã€Ší•œêµ­ì˜ ê³ ë“±ê¸°ã€‹(1968)
허균 《전통문양》


글 정하근(ê³ ì€ë‹¹ 대표, 한국고미술협회 부회장)
사진 ì´ì£¼ìš© 기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