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묘년, 새해와 토ë¼

ë„10 ìžë¼ ë“±ì— ì˜¬ë¼íƒ€ê³  수ê¶ê°€ëŠ” 토ë¼. ì–‘ì‚° 통ë„사 명부전 벽화



올해는 계묘년癸å¯å¹´ 토ë¼ë ì˜ 해다. 전통ì ìœ¼ë¡œ 우리 ì¡°ìƒë“¤ì€ 새해를 í•­ìƒ ë‚¯ì„  사람 대하듯 조심하고 근신하는 마ìŒìœ¼ë¡œ ë§žì´í–ˆë‹¤. 한 ë²ˆë„ ê²ªì–´ë³´ì§€ 못한 ë¯¸ì§€ì˜ ì‹œê°„ ì†ìœ¼ë¡œ 무탈하게 ì§„ìž…, ë™í™”ë˜ê¸° 위해서는 경건하고 삼가는 마ìŒì„ 가져야 한다고 ìƒê°í–ˆê¸° 때문ì´ë‹¤. ì´ëŸ° ì •ì„œì˜ ë°°í›„ì—는 우주 ìžì—°ì— 대한 ì™¸ê²½ì‹¬ç•æ•¬å¿ƒê³¼ 물아 í•©ì¼ì˜ ì •ì‹ ì´ ìžë¦¬ 잡고 있다.

글 허균(한국민예미술연구소장)


고대 ë™ì–‘ì¸ë“¤ì€, ì¸ê°„ì€ ìš°ì£¼ ìžì—°ê³¼ ì¼ì²´ë˜ì–´ ê·¸ 변화와 나란히 í•  때 참다운 í–‰ë³µì„ ëˆ„ë¦´ 수 있다고 ìƒê°í–ˆë‹¤. 그래서 우주 ìžì—°ì˜ 근본 ì›ë¦¬ë¥¼ 알아야 했고, ì´ë¥¼ 위해 위로는 ì²œë¬¸ì„ ê´€ì¸¡í•˜ê³  아래로는 지리를 ì‚´íˆë‹¤. 그런 ë…¸ë ¥ì˜ ê²°ê³¼ë¡œ í„°ë“한 ê²ƒì´ ì‹­ê°„ê³¼ ì‹­ì´ì§€ì´ê³  ìŒì–‘ì˜¤í–‰ì˜ ë³€í™”ì™€ ìˆœí™˜ì˜ ì´ì¹˜ë‹¤.
변화와 ìˆœí™˜ì˜ ì´ì¹˜ëŠ” ì¶”ìƒì ì´ê³  형ì´ìƒì ì´ë‹¤. ë•Œë¬¸ì— ê·¸ê²ƒì„ ì‚¶ì˜ í˜„ìž¥ì´ë‚˜ 사후 ì„¸ê³„ì¸ ë¬´ë¤ì— 현시ì é¡¯ç¤ºçš„으로 ì ìš©í‚¤ 어렵다. 그래서 쉽고 편리하게 ì‹¤ì œì— ì ìš©í•  수 있는 ë°©ë„ê°€ 필요했고, 그런 í•„ìš”ì— ì˜í•´ ì°½ì•ˆëœ ê²ƒì´ ë°”ë¡œ ì¥Â·ì†ŒÂ·ë²”·토ë¼Â·ìš©Â·ë±€Â·ë§Â·ì–‘·ì›ìˆ­ì´Â·ë‹­Â·ê°œÂ·ë¼ì§€ 등ì†ì˜ ì‹­ì´ì§€ ë™ë¬¼ì´ë‹¤. ê° ì‹­ì´ì§€ì— 대ì‘하는 ë™ë¬¼ë“¤ì„ 중국ì—서는 ì‹­ì´ ìƒì´ˆç”Ÿè‚–, ë˜ëŠ” ì†ìƒå±¬ç›¸ì´ë¼ê³  ë§í•œë‹¤. 우리나ë¼ì—서는 â€˜ë  ë™ë¬¼â€™ì´ë¼ëŠ” ë§ì„ ì¦ê²¨ 쓴다.
한국ì¸ì´ë©´ 누구나 ìžì‹ ì˜ ë ê°€ 무엇ì¸ì§€ 잘 알고 ìžˆì„ ì •ë„로 ë ëŠ” ì§€ê¸ˆë„ í•œêµ­ì¸ì˜ ì˜ì‹ ì†ì— 강하게 남아 있는 전통 ê´€ë… ì¤‘ 하나다. 계묘년 토ë¼ë  해를 ë§žì•„ ì‹­ì´ì§€ 미술과 민간신앙, 설화, ë¯¼ì† ë“± 여러 문화 분야를 통해 다양한 성격과 형태로 등장하는 토ë¼ì˜ ìƒì§•체계를 살펴보는 ê²ƒë„ ì˜ë¯¸ 있는 ì¼ì´ ë  ê²ƒì´ë‹¤.


ë„1 근정전 ë™ìª½ 계단 문로주 ìœ„ì˜ ìžì—°í˜• 토ë¼ìƒ. 서울 세종로 경복ê¶


ì‹­ì´ì§€ì™€ 토ë¼

‘å¯(묘)â€™ì˜ ìƒì§• ë¶€í˜¸ë¡œì„œì˜ í† ë¼
토ë¼ëŠ” ì‹­ì´ì§€ 즉, ìžÂ·ì¶•·ì¸Â·ë¬˜Â·ì§„·사·오·미·신·유·술·해 중 ‘å¯â€™ì— 대ì‘시킨 ë™ë¬¼ì´ë‹¤. ê·¸ëŸ°ë° ì´ë ‡ê²Œ 대ì‘시킨 ê²ƒì€ í† ë¼ê°€ ‘å¯â€™ì˜ ì˜ë¯¸ì™€ 통하는 ì–´ë–¤ 특별한 ì˜ë¯¸ë¥¼ ê°–ê³  있기 때문ì´ì—ˆì„까? ì´ ì˜ë¬¸ì€ 중국, 한국 ì´ì™¸ì˜ 다른 ë¯¼ì¡±ì˜ ì‹­ì´ ìƒì´ˆë¥¼ 살펴보면 쉽게 풀린다. 예컨대 ì¼ë³¸ê³¼ ë² íŠ¸ë‚¨ì€ â€˜å¯â€™ì— ê³ ì–‘ì´ë¥¼, ì´ì§‘트와 그리스는 나귀를 대ì‘시키고 있다. 그런가 하면 사ìžÂ·ì›ìˆ­ì´Â·ê¸ˆì‹œì¡°Â·ê²ŒÂ·ì•…어·í™í•™Â·ì†Œë˜¥êµ¬ë¦¬ë¥¼ ì‹­ì´ì§€ ë™ë¬¼ë¡œ ì‚¼ì€ ë¯¼ì¡±ë„ ìžˆë‹¤. ì´ê²ƒì€ ìžì—°ê³¼ ìƒì¡´ í™˜ê²½ì— ë”°ë¥¸ ì¢…ç¨®ì˜ ì°¨ì´, 특정 ë™ë¬¼ì— 대한 선호ë„ê°€ 다르기 ë•Œë¬¸ì— ë‚˜íƒ€ë‚œ 현ìƒìœ¼ë¡œ ë³¼ 수 있다. ê²°êµ­ ì‹­ì´ ìƒì´ˆë¡œì„œì˜ 토ë¼ëŠ” ‘å¯â€™ì— 대ì‘하는 ìƒì§• 부호 ì´ìƒì˜ ì–´ë–¤ 특별한 ì˜ë¯¸ë¥¼ 가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ë„2 뇌천대장괘(雷天大壯å¦)

ì‹­ì´ì§€ëŠ” ìŒì–‘ì˜¤í–‰ì˜ ë³€í™” ì¶”ì´ì— 따른 ìƒíƒœê³„ì˜ íƒœë™Â·ì„±ìž¥Â·ì„±ìˆ™Â·ìˆ˜ìž¥æ”¶è— ë“±ì˜ ë³€í™”ë¥¼ 나타낸다. ‘å¯â€™ëŠ” ìš°ê±°ì§„ ëª¨ì–‘ì„ í˜•ìš©í•˜ëŠ” ‘茆(묘)’ìžì˜ ‘초ë‘[艹]’가 ìƒëžµëœ 글ìžë¡œ, 월별로는 ìŒë ¥ 2ì›”ì— í•´ë‹¹í•œë‹¤. ì´ë‹¬ì´ ë˜ë©´ 양기가 강해지면서 ìƒˆì‹¹ë“¤ì´ ë‹ì•„나 산야가 풀과 나무들로 우거지기 ë•Œë¬¸ì— â€˜èŒ†â€™ë¼ê³  한 것ì´ë‹¤. ‘茆’, 즉 ‘å¯â€™ë¥¼ ë™ë¬¼ë¡œì¨ 대ì‘시킨 ê²ƒì´ í† ë¼ì´ê³ , ìƒì§• 수법으로 ë„ì‹í™” 한 ê²ƒì´ ì£¼ì—­ 64ê´˜ 중 í•˜ë‚˜ì¸ ë‡Œì²œëŒ€ìž¥ê´˜(ë„2)다. ì´ê´˜ëŠ” 아래로부터 양효陽爻가 ì—°ì†ì ìœ¼ë¡œ ì„¸ë ¥ì„ í‚¤ì›Œ ìŒì„ 몰아내는 í˜•êµ­ì„ ë‚˜íƒ€ë‚´ê³  있다.
ì‹­ì´ì§€ëŠ” 시간성과 ê³µê°„ì„±ì„ í¬ê´„한다. 예컨대 ‘ìžì •’, ‘정오’ë¼ê³  í•  ê²½ìš°ì˜ â€˜å­â€™ì™€ ‘åˆâ€™ëŠ” 시간성ì„, ìžì¢Œì˜¤í–¥å­ååˆå‘ì´ë¼ê³  í•  ë•Œì˜ â€˜å­â€™ì™€ ‘åˆâ€™ëŠ” ê³µê°„ì„±ì„ ë“œëŸ¬ë‚¸ë‹¤. ‘å¯â€™ì˜ 경우 시간ìƒìœ¼ë¡œëŠ” 오전 5시~7시, 공간ì ìœ¼ë¡œëŠ” ì •ë™æ­£æ±ì— 대ì‘한다. â‰ªíšŒë‚¨ìžæ·®å—å­â‰«ì—서는, “예부터 ì˜¤ëŠ˜ì— ì´ë¥´ëŠ” ê²ƒì„ ì£¼å®™ë¼ í•˜ê³ , 천지사방과 위아래를 ìš°å®‡ë¼ í•œë‹¤[å¾€å¤ä¾†ä»Šè¬‚之宙 四方上下謂之宇]â€ë¼ê³  했다. 그러므로 무ë¤, ê¶ê¶ê³¼ ê°™ì€ ê³³ì—서 ë™ìª½ì— ë°°ì¹˜ëœ ì‹­ì´ì§€ 토ë¼ìƒì€ ê·¸ ìžì²´ê°€ ë˜ í•˜ë‚˜ì˜ ìš°ì£¼ 모형으로 존재한다고 ë§í•  수 있다.


(좌) ë„3 ì „ 김유신묘 출토 ë‚©ì„ì œ 갑주무장 토ë¼ìƒ, 통ì¼ì‹ ë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ìš°) ë„4 ì‹­ì´ì§€ì‹  ë²ˆì˜ ìˆ˜ìˆ˜ì¸ì‹  ë„무 토ë¼ìƒ, 통ë„사 성보박물관 소장



ë™ìª½ ë°©ìœ„ì‹ ìœ¼ë¡œì„œì˜ í† ë¼
ìš°ë¦¬ë‚˜ë¼ ì‹­ì´ì§€ ë¯¸ìˆ ì— ë‚˜íƒ€ë‚œ ì‹­ì´ì§€ìƒì€ í¬ê²Œ ìžì—°í˜•, 수수ì¸ì‹ í˜•ç¸é¦–人身形, 수관ì¸ì‹ í˜•ç¸å† äººèº«å½¢ìœ¼ë¡œ 나뉜다. ìžì—°í˜•ì€ ë™ë¬¼ì„ ì›ëž˜ 모습 그대로 형ìƒí™”한 것ì´ê³ , 수수ì¸ì‹ í˜•ì€ ë™ë¬¼ ë¨¸ë¦¬ì— ì‚¬ëžŒ ëª¸ì„ ê°€ì§„ 형태를, 수관ì¸ì‹ í˜•ì€ ì‚¬ëžŒì´ íŠ¹ì • ë™ë¬¼ì„ 새긴 모ìžë¥¼ ì“´ 형태로 ëœ ê²ƒì„ ì¼ì»«ëŠ”ë‹¤. 수수ì¸ì‹ í˜• 중ì—는 갑옷 ë˜ëŠ” ë„í¬ ì°¨ë¦¼ìœ¼ë¡œ 무기를 ë“  무장ìƒì´ 있는ë°, ì´ê²ƒì€ ì‹­ì´ì§€ì‹ ì´ ë°©ìœ„ì‹ ì˜ ì„±ê²©ì„ ê°€ì¡ŒìŒì„ 보여주는 ì¦ê±°ê°€ ëœë‹¤.
갑주무장ìƒì˜ ë³µìž¥ì€ ê²½ë‹¹é ¸ç•¶Â·ê²¬ê°‘Â·í‰ê°‘·허리ë Â·ìš”ê°‘ 등으로 êµ¬ì„±ëœ ê°‘ì˜·ê³¼ 박대(åšå¸¶, ì‹ ê²©ì„ ê°€ì§„ ì¸ë¬¼ì„ 표현할 때 í”히 ì¸ìš©í•˜ëŠ” ìž¥ì‹ ì²œ)로 êµ¬ì„±ë¼ ìžˆë‹¤. ì´ê²ƒì€ 불êµì—서 사방 정토를 수호하는 ì‚¬ì²œì™•ì˜ ë³µìž¥ê³¼ 유사하며, ì‹­ì´ìˆ˜å二ç¸ë¥¼ 공유하는 약사 ì‹­ì´ì‹ ìž¥ì˜ ë³µìž¥ê³¼ë„ ë¹„ìŠ·í•˜ë‹¤. ë„3ì€ í†µì¼ì‹ ë¼ì‹œëŒ€ 김유신묘 ë¬˜ì—­ì˜ ë™ìª½ ì§€ì ì—서 ì¶œí† ëœ í† ë¼ìƒì´ë‹¤. ë„í¬ ì°¨ë¦¼ì¸ í˜¸ì„ì˜ ì‹­ì´ì§€ìƒê³¼ 달리 ê°‘ì˜·ì„ ìž…ê³  무장한 형ì‹ì„ 취한 ê²ƒì´ íŠ¹ì§•ì´ë‹¤. ë„4는 ë„ë³µé“æœ ì°¨ë¦¼ì˜ í† ë¼ê°€ ìž¥ê²€ì„ ë“¤ê³  날뛰는 ì¶¤ì„ ì¶”ëŠ” ëª¨ìŠµì„ ê·¸ë¦° 번화(幡畵, ë¶ˆÂ·ë³´ì‚´ì˜ ì„±ë•ì„ ë‚˜íƒ€ë‚´ëŠ” 깃발 그림)ì˜ ì¼ì¢…ì´ë‹¤. ì´ ë²ˆí™”ëŠ” ë¶ˆêµ ì˜ë¡€ 때 행사장 ë™ìª½ì— 배치ëœë‹¤. í† ì°©ì˜ ë°©ìœ„ 수호와 ì¶•ê·€é€é¬¼ ì‹ ì•™ì˜ ì£¼ìˆ ì  ìš”ì†Œ, 무ì†ì˜ ì¶•ê·€ 춤 형ì‹ì´ ì‹­ì´ì§€ì‹ ì˜ ë°©ìœ„ì  ì„±ê²©ê³¼ 결합한 ì˜ˆë¼ í•˜ê² ë‹¤. ê°™ì€ í˜•ì‹ì˜ ë„무跳舞 토ë¼ìƒì„ ì˜ì–‘ 현ì¼ë™ì‚¼ì¸µì„탑, ì˜ì–‘ 화천ë™ì‚¼ì¸µì„탑 등 ë¶ˆíƒ‘ì˜ ê¸°ë‹¨ë¶€ì—ì„œë„ ì°¾ì•„ë³¼ 수 있다.


ë„5 ì˜ì–‘ 현ì¼ë™ 삼층ì„íƒ‘ì˜ ìˆ˜ìˆ˜ì¸ì‹  ë„무 토ë¼ìƒ, 통ì¼ì‹ ë¼


민ì†ê³¼ ì‹ í™”, 민담 ì†ì˜ 토ë¼

ë  ë™ë¬¼ë¡œì„œì˜ 토ë¼
전통ì ìœ¼ë¡œ ì‹­ê°„ì‹­ì´ì§€ë¥¼ 사용하는 í•œìž ë¬¸í™”ê¶Œì—서는 누구나 ì´ ì„¸ìƒì— 태어나면 ê·¸í•´ì— í•´ë‹¹í•˜ëŠ” ë ë¥¼ 갖게 ëœë‹¤. 올해가 계묘년ì´ë‹ˆ ì˜¬í•´ì— íƒœì–´ë‚œ ì‚¬ëžŒì€ ë‹¹ì—°ížˆ 토ë¼ë ê°€ ëœë‹¤. 앞서 ë§í•œ 대로 ì‹­ì´ìƒì´ˆì˜ í•˜ë‚˜ë¡œì„œì˜ í† ë¼ëŠ” ‘å¯â€™ë¼ëŠ” ì¶”ìƒ ê°œë…ì„ í‘œì§•í•˜ëŠ” ì‹œê° ìƒì§• ì´ìƒì˜ ì˜ë¯¸ë¥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민ì†ì—서는 토ë¼ê°€ ‘å¯â€™, 즉 â€˜èŒ†â€™ì— ëŒ€ì‘하는 ë™ë¬¼ì´ë¼ëŠ” ë°ì— 근거하여 토ë¼ë¥¼ ìƒê¸° ë°œë™, 번성, í’ìš”ì˜ ì˜ë¯¸ë¥¼ 가진 ë  ë™ë¬¼ë¡œ í•´ì„한다.
한편으로는 토ë¼ì˜ 외형·성격·능력 ë“±ì„ ì¸ê°„ 중심ì ìœ¼ë¡œ í•´ì„, í‰ê°€í•˜ì—¬ 토ë¼ë ëŠ” 매우 ì˜ë¦¬í•˜ê³  모든 ì¼ì— 민첩하며, 위험ì—서 빨리 ë²—ì–´ë‚  줄 아는 민첩한 ê°ê°ê³¼ 지혜를 가졌다고 여긴다. 토ë¼ë  ì—¬ìžëŠ” 활달한 기지와 ì˜¨ì •ì„ ë³´ì—¬ì£¼ì–´ ì‚¬ëžŒë“¤ì˜ ë§ˆìŒì„ 편케 í•´ 준다고 하며, 토ë¼ë  남ìžëŠ” ìƒëƒ¥í•˜ê³  품위 있는 태ë„와 지혜를 가지고 있어 사람들ì—게 호ê°ì„ 준다고 한다. 그래서 옛날 ì‚¬ëžŒë“¤ì€ ì˜¬í•´ì²˜ëŸ¼ 토ë¼ë ì˜ í•´ì— íƒ€ê³ ë‚œ ì‚¬ëžŒì€ ìˆœí•œ ë ë¼ê³  하여 아들ì´ë“  딸ì´ë“  모ë‘를 기ë»í–ˆë‹¤.


ë„6 법천사 지광국사현묘탑비 ì›”ìƒ, ê³ ë ¤, ì›ì£¼ì‹œ 부론면



ë‹¬ì˜ ì •ë ¹ç²¾éˆìœ¼ë¡œì„œì˜ 토ë¼
ì‚¬ëžŒì€ ì‹ í™”ì™€ ì „ì„¤ì„ ë§Œë“¤ê³  신화와 ì „ì„¤ì€ ì‚¬ëžŒì˜ ê´€ë…ê³¼ 정신세계를 지배한다. 고대ì¸ë“¤ì´ 실제와는 무관하게 ë‹¬ì— í† ë¼ê°€ 산다고 ë¯¿ì€ ê²ƒì€ ì‹ í™”ì™€ ì „ì„¤ì˜ íž˜ì´ í¬ë‹¤. 대표ì ì¸ 것으로 <항아분월姮娥奔月> 신화가 있다. ì—´ ê°œì˜ íƒœì–‘ ì´ì•¼ê¸°ì¸ <ì‹­ì¼ ì‹ í™”>ì˜ ì¼ë¶€ì¸ë°, 줄거리를 요약하면 대강 ì´ëŸ¬í•˜ë‹¤.
ì‹ ê¶ ì˜ˆç¾¿ê°€ ì²œê³µì— í•œêº¼ë²ˆì— ë– ì„œ í™˜ëž€ì„ ì¼ìœ¼í‚¤ëŠ” ì—´ ê°œì˜ íƒœì–‘ 중 아홉 ê°œì˜ íƒœì–‘ì„ í™œë¡œ ì´ ë–¨ì–´ëœ¨ë ¤ í™˜ëž€ì„ ë§‰ì•˜ì§€ë§Œ, ê²°ê³¼ì ìœ¼ë¡œ 천제 제준å¸ä¿Šì˜ 아홉 ì•„ë“¤ì„ ì£½ì¸ ì…ˆì´ ë¼ë²„렸다. 화가 난 ì œì¤€ì€ ì˜ˆë¥¼ ê·¸ì˜ ì•„ë‚´ 항아와 함께 ì¸ê°„ 세ìƒìœ¼ë¡œ 추방했다. 신선계ì—서 쫓겨난 예와 항아는 ì˜ìƒí•  수 없는 ìš´ëª…ì— ë¹ ì§„ ê²ƒì„ ê¹¨ë‹«ê²Œ ë˜ìž ë¶ˆì‚¬ì•½ì„ êµ¬í•˜ëŸ¬ 곤륜산 서왕모를 찾아간다. 서왕모가 ë¶ˆì‚¬ì•½ì„ ë§Œë“¤ì–´ 주면서, “길ì¼å‰æ—¥ì— 부부가 함께 먹어야 íš¨í—˜ì´ ìžˆë‹¤â€ë¼ê³  ë§í–ˆì§€ë§Œ 항아는 ìš•ì‹¬ì„ ë¶€ë ¤ 남편 몰래 ë¶ˆì‚¬ì•½ì„ í˜¼ìž ë¨¹ì–´ë²„ë ¸ë‹¤.
ë¬¸í—Œì— ë”°ë¼ì„œëŠ” ë¶ˆì‚¬ì•½ì„ ë¨¹ì€ í•­ì•„ê°€ ëª¸ì´ ê°€ë²¼ì›Œì§€ë©´ì„œ 둥둥 ë– ì˜¬ë¼ ë‹¬ì— ì´ë¥´ê²Œ ë˜ì—ˆë‹¤ê³ ë„ 하고, ì–‘ì‹¬ì˜ ê°€ì±…ì„ ë°›ì•„ 스스로 달로 ë„ë§ì³¤ë‹¤ê³ ë„ 한다. ë‹¬ì— ë„착한 후 í•­ì•„ê°€ 어떻게 ë˜ì—ˆëŠ”ì§€ì— ê´€í•œ ë‚´ìš©ë„ êµ¬êµ¬í•˜ë‹¤. ë‹¬ì˜ ê¶ì „ì¸ ê´‘í•œì „ì— ë“¤ì–´ê°€ ìˆ¨ì„ ë•Œ ê°‘ìžê¸° ë‘꺼비로 변했다는 얘기가 있고《후한서》 〈천문〉, 선녀가 ë˜ì–´ 잘 살았다는 ì–˜ê¸°ë„ ìžˆìœ¼ë©°ã€ŠíšŒë‚¨ìžã€‹ 〈남명훈〉, ê³„ì† ê³¼ë¶€ë¡œ 지냈다는 ì„¤í™”ë„ ì „í•œë‹¤.
í•œìœ ì˜ ã€Šëª¨ì˜ì „毛穎傳》ì—는 ì´ëŸ° 얘기가 기ë¡ë¼ 있다. 중산中山 사람 모ì˜ì˜ ì¡°ìƒì€ 명시明眎ë¼ëŠ” 토ë¼ì˜€ë‹¤. ëª…ì‹œì˜ íŒ”ëŒ€ ì†ì´ ì¤‘ì‚°ì— ì‚´ë‹¤ê°€ ì‹ ì„ ìˆ ì„ í„°ë“하여 ë¹›ì„ ìˆ¨ê¸°ê³  ë¬¼ê±´ì„ ë¶€ë¦´ 줄 알게 ë˜ì–´, 항아를 ë°ë¦¬ê³  ë‘꺼비를 타고 달로 들어갔다고 한다.
ì›”ì¤‘í† æœˆä¸­å…Žì— ê´€í•œ 얘기는 ë¶ˆêµ ì„ì¡´ì˜ ë³¸ìƒë‹´æœ¬ç”Ÿè­šì—ì„œë„ ë‚˜ì˜¨ë‹¤. ë°”ë¼ë¬¸ìœ¼ë¡œ 변신한 ì œì„ì²œì´ ìžì‹ ì„ 위해 ì†Œì‹ ç‡’èº«ê³µì–‘ì„ ì„œìŠ´ì§€ ì•Šì€ í† ë¼ì˜ 마ìŒì„ 갸륵히 여겨 ë§Œì¸ë“¤ì´ 우러를 수 있ë„ë¡ í† ë¼ë¥¼ ë‹¬ì— ì˜¬ë ¤ ë‘었다는 ë‚´ìš©ì´ë‹¤. ì‹ í™”ì  ì‚¬ìœ ëŠ” ì´ì²˜ëŸ¼ 환ìƒì ì´ê³  ìžìœ ë¶„방하다.


(좌) ë„7 ë°•ìš´(1493~1562) ë¬˜ë¹„ì˜ ì›”ìƒ. 남양주시 와부ì
(ìš°) ë„8 í† ë¼ ë‘꺼비 무늬 수막새, 통ì¼ì‹ ë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지혜, 재치 ìƒì§•ìœ¼ë¡œì„œì˜ í† ë¼

지혜 ìƒì§•ìœ¼ë¡œì„œì˜ í† ë¼ëŠ” í”히 민담ì´ë‚˜ êµ­ë¬¸ì†Œì„¤ì— ë“±ìž¥í•œë‹¤. 약ìžì§€ë§Œ 강한 ìžì—게 í•­ìƒ ì§€í˜œë¡œì¨ ìŠ¹ë¦¬í•˜ëŠ” ë™ë¬¼ë¡œ 그려진다. 우리 민족 정서 ì†ì—서 토ë¼ê°€ ì–´ë–¤ ë™ë¬¼ë¡œ 존재하고 있었는지는 ì˜ì¸ 소설 <별주부전>ì´ ìž˜ 보여준다. ìžë¼ì˜ ìœ í˜¹ì— ë„˜ì–´ê°€ 수ê¶ìœ¼ë¡œ ê°„ 토ë¼ëŠ” ê°„ì„ ë‚´ë†“ìœ¼ë¼ëŠ” ë§ì— 놀ë¼ì„œ ê°„ì„ ìœ¡ì§€ì— ë‘ê³  왔다고 ê±°ì§“ë§ì„ 하고 위기를 벗어난다. 수ê¶ì—서 겨우 ì‚´ì•„ 나온 토ë¼ëŠ” ê²½ë§ìŠ¤ëŸ½ê²Œ í–‰ë™í•˜ë‹¤ê°€ ë…수리ì—게 잡혔으나 ë˜ë‹¤ì‹œ 꾀를 ë‚´ì–´ 위기를 모면한다. ê°•ìžì™€ 약ìžë¥¼ 대립시켜 강한 ìžë¥¼ íž˜ì´ ì•„ë‹Œ 지혜와 ìž¬ì¹˜ë¡œì¨ ê·¹ë³µí•˜ëŠ” 예를 토ë¼ë¥¼ ë¹™ìží•˜ì—¬ 보여주고 있다.
지혜와 ìž¬ì¹˜ì˜ í† ë¼ëŠ” ‘토ë¼ì™€ í˜¸ëž‘ì´ ë¯¼ë‹´â€™ì—ì„œë„ ì°¾ì•„ì§„ë‹¤. ì˜›ë‚ ì— ì–´ë–¤ ì‚¬ëžŒì´ ê¸¸ì„ ê°€ë‹¤ê°€ ì—¬ìžë¥¼ 잡아먹다 ëª©ì— ë¹„ë…€ê°€ 걸려 ë”± 죽게 ìƒê¸´ 호랑ì´ë¥¼ 만났다. ì´ë¥¼ 본 남ìžëŠ” 측ì€í•˜ì—¬ í˜¸ëž‘ì´ ëª©ì— ê½‚ížŒ 비녀를 ë¹¼ 살려줬다. 얼마 후 호랑ì´ëŠ” 살려준 ì‚¬ëžŒì„ ë°°ê³ í”„ë‹¤ëŠ” ì´ìœ ë¡œ 잡아먹으려 했다.


ë„9 정미수(1456∼1512) ë¬˜ë¹„ì˜ ì›”ìƒ. 남양주시 ì§„ê±´ì



남ìžëŠ” ìžê¸°ê°€ 살려준 호랑ì´ì—게 잡아먹히는 ê²ƒì´ ì–µìš¸í•´ 재íŒì„ 걸었다. 처ìŒì—는 소ì—게 재íŒì„ 청했다. ì‚¬ëžŒì€ ì†Œë¥¼ 실컷 부려 먹고 나중ì—는 잡아먹으니 호랑ì´ë„ ì‚¬ëžŒì„ ìž¡ì•„ë¨¹ì„ ìˆ˜ 있다고 íŒê²°í–ˆë‹¤. ê·¸ 뒤로 ë¼ì§€ë‚˜ 개와 ê°™ì€ ê°€ì¶•ì—게 재íŒì„ ì²­í–ˆëŠ”ë° ê³„ì† ì‚¬ëžŒì´ ì§€ê²Œ ë˜ì—ˆë‹¤. ê·¸ëŸ¬ìž ë§ˆì§€ë§‰ìœ¼ë¡œ 토ë¼ì—게 재íŒì„ 구했다. 토ë¼ëŠ” 호랑ì´ê°€ ìžê¸°ë„ ìž¡ì•„ë¨¹ì„ ìˆ˜ 있으니 죽여야겠다고 ìƒê°í•´ 꾀를 냈다. 토ë¼ëŠ” 사람 ë§ë„ 못 믿고 í˜¸ëž‘ì´ ë§ë„ 못 믿겠으니 재연해 ë³´ë¼ê³  했다. ê·¸ëŸ¬ìž í˜¸ëž‘ì´ëŠ” ìž…ì„ ë”± 벌리고 비녀를 ë„로 ëª©ì— ê½‚ì•„ 넣었다. 다시 ì²˜ìŒ ìƒí™©ì´ ëœ í˜¸ëž‘ì´ëŠ” ì‚¬ëžŒì„ ìž¡ì•„ë¨¹ì§€ 못하게 ë˜ì—ˆê³  ê²°êµ­ í¬ìˆ˜ì—게 ì´ì•Œì„ ë§žì•„ 죽었다. 토ë¼ì˜ ì˜ì•…스러움과 ìž¬ì¹˜ì˜ ê·¹ì¹˜ë¥¼ 보여주는 민담ì´ë‹¤.
ì‹­ê°„ì‹­ì´ì§€ëŠ” ì–‘íƒì´ë‚˜ ìŒíƒ 주변ì—서 방위와 ì‹œê°„ì„ í¬ê´„하는 우주 모형으로 ì¡´ìž¬í•˜ê¸°ë„ í–ˆìœ¼ë©°, ë°©ìœ„ì‹ ì˜ ì—­í• ë„ ì¶©ì‹¤ížˆ 해냈다. í•˜ëŠ˜ì— ëŒ€ì‘하는 ë•…ì˜ ì‹­ì´ì§€ëŠ” ìŒì–‘ì˜¤í–‰ê³¼ì˜ ê´€ë ¨ ì†ì—서 역법曆法과 í’ìˆ˜ë¡ ì— ì ìš©ë˜ì—ˆê³ , 특히 ê° ì‹­ì´ì§€ì— 대ì‘하는 ë  ë™ë¬¼ì€ ì¶”ìƒì ì´ê³  형ì´ìƒì ì¸ 우주 ìžì—°ì˜ 변화와 ìˆœí™˜ì˜ ì´ì¹˜ë¥¼ í˜„ì‹¤ì— ì ìš©í•˜ëŠ” 훌륭한 수단과 ë°©íŽ¸ì´ ë˜ì—ˆë‹¤. 계묘년 ìƒˆí•´ì— ë§ˆì£¼í•˜ëŠ” ë  ë™ë¬¼ 토ë¼ê°€ 새롭게 ëŠê»´ì§€ëŠ” ê²ƒì€ ì´ í† ë¼ê°€ 그냥 단순한 토ë¼ê°€ 아니기 때문ì´ë‹¤.


허균 | 한국민예미술연구소장

í™ìµëŒ€í•™êµ ëŒ€í•™ì› ë¯¸í•™ë¯¸ìˆ ì‚¬í•™ê³¼(문학ì„사)를 졸업했다.
í•œêµ­í•™ì¤‘ì•™ì—°êµ¬ì› ì±…ìž„íŽ¸ìˆ˜ì—°êµ¬ì›, 우리문화연구ì›ìž¥,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ì›,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심사위ì›, 한국민화학회 고문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