ê²½ë³µê¶ ìžê²½ê¶ ì‹­ìž¥ìƒ êµ´ëš – ë™í™”ì˜ ì„¸ê³„ì™€ ê°™ì€ ìž¥ìˆ˜ì˜ ìœ í† í”¼ì•„

ê²½ë³µê¶ ìžê²½ê¶ ì‹­ìž¥ìƒ êµ´ëš
ë™í™”ì˜ ì„¸ê³„ì™€ ê°™ì€ ìž¥ìˆ˜ì˜ ìœ í† í”¼ì•„

ê²½ë³µê¶ ìžê²½ì „ì€ ëŒ€ë¹„ê°€ ê±°ì²˜í–ˆë˜ ì¹¨ì „ì´ë‹¤. ê·¸ 뒷마당 벽처럼 길게 만들어진 êµ´ëšì— ì‹­ìž¥ìƒ ì´ë¯¸ì§€ê°€ í™ìœ¼ë¡œ ë¹šì€ ë„íŒìœ¼ë¡œ 장ì‹ë˜ì–´ 있다. 그림 ê°™ì€ ì¡°ê°ì´ê³ , 민화í’ì˜ ì´ë¯¸ì§€ë‹¤. ì´ëŠ” 우리가 알고 있는 ê¶ì¤‘ì˜ ì‹­ìž¥ìƒë„ 병í’ê³¼ 전혀 다른 ì–‘ì‹ì˜ ì´ë¯¸ì§€ë‹¤. 깊ì´ë¼ê³ ëŠ” 전혀 ëŠê»´ì§€ì§€ ì•Šì€ í‰ë©´ì˜ ê³µê°„ì— ì—¬ëŸ¬ ì†Œìž¬ë“¤ì´ ìœ ê¸°ì ì¸ 관계 ì—†ì´ ë‚˜ì—´ì‹ìœ¼ë¡œ 배치ë˜ì—ˆë‹¤. ì´ ì´ë¯¸ì§€ë¥¼ 그림으로 표현한다면, ì˜ë½ì—†ëŠ” 민화다.


ë¯¼í™”ì‹ ì´ë¯¸ì§€ëŠ” ì´ë¯¸ ìžìˆ˜ë‚˜ ë„ìžê¸°ì™€ ê°™ì€ ê³µì˜ˆí’ˆì— ë§Žì´ í™œìš©ëœ ê²ƒì´ë‹¤. 그렇지만 ì´ëŸ° ì´ë¯¸ì§€ê°€ ëŒ€ë¹„ì˜ ì¹¨ì „ì— ê·¸ê²ƒë„ ìž‘ì€ ê³µì˜ˆí’ˆì´ ì•„ë‹ˆë¼ í° ë²½ë©´ì— ë“±ìž¥í•œë‹¤ëŠ” ê²ƒì€ íšê¸°ì ì¸ ì¼ì´ë‹¤. ë§Œì¼ ì¤‘êµ­ì˜ ê¶ì „ì´ì—ˆë‹¤ë©´ ì´ëŸ° ì¼ì´ 가능했ì„까 하는 ìƒê°ì´ 든다. ì´ êµ´ëšì„ 중건한 1888ë…„ ë¯¼í™”ì˜ ì—´í’ì´ ê¶ì¤‘ 깊숙한 곳까지 미친 것ì´ë‹¤.
êµ¬ë¦„ì„ êµ¬ë¦„ëŒ€ë¡œ, 불로초는 불로초대로, ì‚¬ìŠ´ì€ ì‚¬ìŠ´ëŒ€ë¡œ, í•™ì€ í•™ëŒ€ë¡œ 나름 매력ì ì¸ í‘œì •ì„ ì§“ê³  있다. 하지만 ì´ë“¤ì€ ìžì—°ìŠ¤ëŸ½ê³  유기ì ì¸ 관계 ì†ì—서 엮어진 ê²ƒì´ ì•„ë‹ˆë¼ ê°ê¸° 닫힌 ì˜ì—­ ì†ì— 존재하는 것ì´ë‹¤. 그건 마치 어린ì´ì˜ 그림 같다. 공간 관계를 무시하고 물ìƒê°„ì˜ ìœ„ê³„ì§ˆì„œê°€ 그렇게 뚜렷하게 나타내지 않았다. ‘따로 ë˜ ê°™ì´â€™ë¼ 할까, í‰ë©´ì ì´ê³  나열ì‹ì˜ 배열로 ë™í™”ì˜ ì„¸ê³„ì™€ ê°™ì€ ìž¥ìˆ˜ì˜ ìœ í† í”¼ì•„ë¥¼ 표현했다.


ê¶ì¤‘ê³¼ 사찰로 í™•ì‚°ëœ ë¯¼í™”í‘œí˜„

ìžìˆ˜ì—서는 민화í’ì˜ ì´ë¯¸ì§€ë¥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ì¼ë³¸ 고려미술관 소장 <ìžìˆ˜ì‹­ìž¥ìƒ 병í’>(ë„ 2)ì´ ëŒ€í‘œì ì¸ 예다. 강렬한 ë¶‰ì€ ìƒ‰ 바탕 ìœ„ì— ì‹­ìž¥ìƒì˜ 유토피아가 단정하면서 활기차게 표현ë˜ì—ˆë‹¤. 8í­ì˜ 병í’ì¸ë°, í­ë§ˆë‹¤ 십장ìƒì„ 갖췄다. 위로부터 구름·해·학·산·거ë¶Â·ë¬¼Â·ì†Œë‚˜ë¬´Â·ëŒ€ë‚˜ë¬´Â·ì‚¬ìŠ´Â·ë¶ˆë¡œì´ˆ 등 10ê°œì˜ ìž¥ìˆ˜ ìƒì§•으로 구성ë˜ì—ˆë‹¤. 다만 ì—´ê°œì˜ ìž¥ìƒì„ 균등하게 ë°°ì¹˜ëœ ê²ƒì´ ì•„ë‹ˆë¼ ì£¼ê°ì˜ 위계를 뒀다. 소나무와 ê·¸ ë°‘ì—서 노니는 ì‚¬ìŠ´ì€ ì£¼ì¸ê³µìœ¼ë¡œ 내세우고, 다른 장ìƒì€ 배경으로 삼았다.
ì´ ìžìˆ˜ë³‘í’ì€ ë‘ í­ì´ 하나로 어울릴 때, 아름다운 대비와 조화를 ì´ë£¬ë‹¤. 한 í­ì˜ ìœ—ë¶€ë¶„ì— í•™ì´ ì¤‘ì‹¬ì´ë©´, ë§žì€ í­ì—” 산봉우리가 ê·¸ ìžë¦¬ë¥¼ 차지한다. í•œìª½ì— ë¬¼ê³¼ ê±°ë¶ì„ ì•„ëž˜ì— ë°°ì¹˜í•˜ë©´, ë§žì€ í­ì—” ê·¸ê²ƒë“¤ì„ ìœ„ì— ë‘”ë‹¤. í•œìª½ì˜ ì†Œë‚˜ë¬´ì™€ 대나무가 황색ì´ë©´, ë§žì€ í­ì—” 녹색ì´ë‹¤.
ì´ ìžìˆ˜ë³‘í’ì€ ê·¸ëž˜í”½ì²˜ëŸ¼ 표현ë˜ì–´ 있어 사실성과는 거리가 멀다. 그렇다고 기계ì ìœ¼ë¡œ 표하지 않았다. í™”ë©´ì€ í™œë ¥ìœ¼ë¡œ ê°€ë“ ì°¨ìžˆë‹¤. ìžìœ ìžìž¬ë¡œ 구부러진 소나무가 í™”ë©´ì„ ì§€ë°°í•œ ê°€ìš´ë° ì‚°ê³¼ êµ¬ë¦„ì„ ë¹„ë¡¯í•œ 다른 십장ìƒë“¤ì´ ì ì ì´ ë– ìžˆë“¯ì´ í‘œí˜„ë˜ì–´ 있다. í‰ë©´ì ì¸ ë°°ì¹˜ì— ëŒ€ë‚˜ë¬´ ì•„ëž˜ì˜ ë°”ìœ„ëŠ” 사ê°í˜•ì˜ ì¡°í˜•ìœ¼ë¡œ 구성ë˜ì–´ 있고, 소나무 ìžŽì€ ë°©ì‚¬ì„  ëª¨ì–‘ì˜ ì¼ì •한 ëª¨ì–‘ì´ ë°˜ë³µë˜ê³  있으며, í르는 ë¬¼ë„ ì¼ì •한 간격으로 패턴화ë˜ì–´ 있다. 단순화ë˜ê³  ë„ì‹í™”ëœ í‘œí˜„ì—서 민화ì ì¸ íŠ¹ìƒ‰ì„ ì—¿ë³¼ 수 있다.
ì´ ìžìˆ˜ë³‘í’ì€ ê³ ê¸‰ ìž¬ë£Œì— ê²¬ê³ í•˜ê³  단단하게 수를 ë†“ì€ ì†œì”¨ë¡œ ë³´ì•„ ê¶ì¤‘ ìžìˆ˜ê°€ ì•„ë‹ê¹Œ ì§ìž‘í•  수 있다. 하지만 왼쪽 í­ ì˜¤ë¥¸ìª½ 위 ë°”ìœ„ì— â€˜å’ìžê°€ 새겨져 있는 ì ìœ¼ë¡œ ë³´ì•„ 사찰ì´ë‚˜ ì ì–´ë„ 불êµì™€ 관련ë˜ì–´ ì œìž‘ëœ ê²ƒì„ ì•Œ 수 있다. 그렇다면 ì‚¬ì°°ì— ì›¬ 십장ìƒë„ì¸ê°€? ì‚¬ì°°ì— ì›¬ 민화í’ì¼ê¹Œ? 길ìƒë¬¸ì–‘ì€ ì´ë¯¸ 17세기부터 불단ì´ë‚˜ ê³µì˜ˆí’ˆì´ ë‚˜íƒ€ë‚˜ë‹¤ê°€ 19세기 후반ì—는 ëŒ€ì¤‘ë“¤ì´ ì„ í˜¸í•˜ëŠ” 민화를 ì ê·¹ 받아들였다. 벽화나 ë¶ˆí™”ì— ë¯¼í™” ì´ë¯¸ì§€ê°€ 나타나고, 심지어 통ë„사 명부전처럼 안팎으로 민화로 장ì‹ëœ ì „ê°ì´ ë“±ìž¥í•˜ê¸°ë„ í•œë‹¤. 불화와 ë¯¼í™”ì˜ ë©‹ì§„ ëž‘ë°ë·°ë‹¤.


현실ì ì¸ 소ë§ì˜ 아름다운 ì€ìœ 

장수를 ìƒì§•하는 ì—´ ê°œì˜ ìžì—°ìœ¼ë¡œ 구성한 십장ìƒë„는 우리나ë¼ì—ë§Œ 있는 그림ì´ë‹¤. 중국ì—ë„ ìž¥ìƒë„ê°€ 있지만, êµ³ì´ ì—´ 개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냥 장ìƒë„ì¼ ë¿ì´ë‹¤. 한국ì ì¸ ë„ìƒì´ë¼ í•  수 있는 십장ìƒë„ì˜ ì‹œìž‘ì€ ê³ ë ¤ 때로 거슬러 올ë¼ê°„다. êµ¬ë¦¬ê±°ìš¸ì— ì‹­ìž¥ìƒì˜ ì´ë¯¸ì§€ê°€ 등장하고, ì‹­ìž¥ìƒ ë³‘í’ì— ëŒ€í•œ ì´ìƒ‰ì˜ ê¸€ì´ ì „í•œë‹¤. ê³ ë ¤ í›„ê¸°ì˜ ìœ ëª…í•œ í•™ìžì¸ ì´ìƒ‰ì€ 세화 십장ìƒë„ì— ê´€í•œ ê¸€ì„ ë‹¤ìŒê³¼ ê°™ì´ ë‚¨ê²¼ë‹¤. 시작 ë¶€ë¶„ì„ ì¸ìš©í•œë‹¤.

“십장ìƒì€ ê³§ í•´, 구름, 물, ëŒ, 소나무, 대나무, ì˜ì§€, ê±°ë¶, í•™, 사슴ì´ë‹¤. 우리 ì§‘ì—는 세화 십장ìƒì´ 있는ë°, ì§€ê¸ˆì´ 10ì›”ì¸ë°ë„ ì•„ì§ ìƒˆ 그림 같다. ë³‘ì¤‘ì— ì›í•˜ëŠ” ê²ƒì€ ì˜¤ëž˜ 사는 것보다 ë”í•  ê²ƒì´ ì—†ìœ¼ë¯€ë¡œ, 죽 내리 서술하여 예찬하는 ë°”ì´ë‹¤.â€

세화란 ì •ì›” ì´ˆí•˜ë£¨ì— ìƒˆí•´ë¥¼ 축하하는 ì˜ë¯¸ë¡œ 선물하는 그림ì´ë‹¤. ì´ ê·¸ë¦¼ì„ í†µí•´ 그는 아픈 ëª¸ì„ ë‚«ê³ ìž í•œ 것ì´ë‹¤. ì‹­ìž¥ìƒ í•˜ë‚˜í•˜ë‚˜ë¥¼ ì“´ 글ì—서 ê·¸ì˜ ìš°ì£¼ê´€ì„ ì—¿ë³¼ 수 있는 ëŒ€ëª©ì´ ìžˆë‹¤. ‘해’ë¼ëŠ” ì œëª©ì˜ ì‹œë‹¤.

푸르고 푸른 í•˜ëŠ˜ì€ ë°¤ë‚®ìœ¼ë¡œ 회전하고 圓象蒼蒼æ™å¤œæ—‹
산하 대지는 바다 ê°€ìš´ë° ë°°ì™€ ê°™ì€ë° 山河大地海中船
í•´ 바퀴는 ë§Œê³ ì— ë©ˆì¶”ëŠ” ê³³ì´ ì—†ê±´ë§Œ 日輪è¬å¤ç„¡åœè™•
ë‹¬ì´ í˜¹ 앞서고 뒤서는 게 가소롭구나 å¯ç¬‘姮娥或後先

해와 ë‹¬ì´ ë©ˆì¶”ì§€ 않고 앞서고 뒤선다고 했으니, ì´ëŠ” 천ë™ì„¤ì— 관한 ì´ì•¼ê¸°ë‹¤. ì§€êµ¬ì¸ ì‚°í•˜ì˜ ëŒ€ì§€ëŠ” 바다 ê°€ìš´ë° ë°°ì²˜ëŸ¼ 멈춰 서있고 하늘과 해와 ë‹¬ì´ ì›€ì§ì¸ë‹¤ê³  본 것ì´ë‹¤.
세화 십장ìƒë„는 조선시대 ê¶ì¤‘ì—ì„œë„ ì„¸ì‹œí’ì†ìœ¼ë¡œ ì´ì–´ì¡Œê³ , ê¶ì¤‘ìž”ì¹˜ì¸ ê°€ë¡€å˜‰ç¦®ë•Œ 십장ìƒë„ 병í’ì´ ì„¤ì¹˜ë˜ë©´ì„œ ê·¸ ì“°ìž„ì´ í™•ëŒ€ë˜ì—ˆë‹¤. ê¶ì¤‘ì—서 ì œìž‘ëœ ì‹­ìž¥ìƒë„ 병í’ì€ 8ë‚´ì§€ 10í­ ê·œëª¨ì— ê³ ê¸‰ 재료를 사용하여 ê¶ì¤‘장ì‹í™”ì˜ í™”ë ¤í•œ 면모를 유ê°ì—†ì´ 보여준다. 다시 조선후기ì—는 ê¶ì¤‘회화 십장ìƒë„ê°€ ë¯¼ê°„ì— í™•ì‚°ë˜ë©´ì„œ 민화로 제작ë˜ëŠ”ë°, 민화ì—서는 ëŒ€í˜•ì˜ ë³‘í’으로 그려지기 보다는 한 í­ì— ì‹­ìž¥ìƒ ëª¨ë‘를 담거나 아니면 화조화 ë³‘í’ ì¤‘ì— ì‹­ìž¥ìƒë„ê°€ 한 í­ìœ¼ë¡œ 구성ë˜ì—ˆë‹¤.

민화ì—서 십장ìƒë„ì˜ ì—´í’ì€ ëœ¨ê±°ì› ë‹¤. 1900ë…„ ì´ˆ ì–´ëŠ ì„œì–‘í™”ê°€ê°€ ì–‘ë°˜ ëŒì„ 그린 <가정집>(ë„ 3)ì— ì‹­ìž¥ìƒë„ê°€ 등장한다. 대청마루 ìœ„ì— ì„œì–‘ì‹ìœ¼ë¡œ 머리를 짧게 ìžë¥¸ 헤어스타ì¼ì„ 보아서는 ì¼ì œê°•ì ê¸° ì´ì „으로 올ë¼ê°ˆ 수 없는 모습ì´ë‹¤. 집주ì¸ì´ 소반 앞ì—서 ì‹ì‚¬ë¥¼ 하고 있는 ë™ì•ˆ, ë¶€ì¸ì€ ë¬¸ì§€ë°©ì„ ì‚¬ì´ì— ë‘ê³  ì•ˆë°©ì— ìžˆëŠ” ì•„ì´ì™€ 놀고 있다. ì•ˆë°©ì˜ í™”ì¡°ë„ ë³‘í’, ë‘ê»ë‹«ì´ ë¬¸ì— ë¶™ì¸ ë¶€ì±„ 그림들, 그리고 ìƒì¸ë°© ìœ„ì— ì‹­ìž¥ìƒë„ê°€ 붙어있다. 가로로 길고 세로가 ì¢ì€ í™”í­ì˜ 십장ìƒë„다.
í™”ì¡°ë„ ë³‘í’ì—ì„œë„ í•œ í­ ì •ë„는 십장ìƒì„ 배정하는 경우가 ì ì§€ 않다. 조선민화박물관 소장 <화조ë„> 중 십장ìƒ(ë„ 4)ì´ ê·¸ëŸ¬í•œ 예다. ì´ ê·¸ë¦¼ì€ ì†Œë‚˜ë¬´Â·ì‚¬ìŠ´Â·êµ¬ë¦„Â·ë¶ˆë¡œì´ˆÂ·ë°”ìœ„ë¡œ ì´ë¤„졌으니, 10장ìƒì´ ì•„ë‹ˆë¼ 5장ìƒì´ë‹¤. 그럼ì—ë„ ë¶ˆêµ¬í•˜ê³  ì´ ê·¸ë¦¼ì€ ì‹­ìž¥ìƒì„ 대표하는 ë° ì†ìƒ‰ì´ 없다. ì´ ê·¸ë¦¼ì˜ ì£¼ì¸ê³µë„ 소나무 ë°‘ì—서 노는 사슴ì´ë‹¤. 소나무 가지는 팔랑개비 모양으로 ì¶¤ì„ ì¶”ê³  있고, ê·¸ ë°‘ì€ ì‚¬ìŠ´ ë‘ ë§ˆë¦¬ëŠ” í‰í™”롭게 불로초를 뜯는 ë° ì—¬ë…ì´ ì—†ë‹¤. êµ¬ë¦„ì€ ì†Œë‚˜ë¬´ 가지를 가로 질러 길게 깔려 있고, ë•…ì—는 í™ì¸ 듯 ë°”ìœ„ì¸ ë“¯ 조그만 ë´‰ìš°ë¦¬ë“¤ì´ ì†Ÿì•„ 있다. í‰í™”ë¡­ê³  í¥ê²¨ìš´ 장ìƒì˜ ë‚™ì›ì´ë‹¤.
장수는 ì¸ê°„ì˜ ë³¸ëŠ¥ì  ìš•êµ¬ë‹¤. ì§„ì‹œí™©ì´ ì¤‘êµ­ 천하를 최초로 통ì¼ì‹œí‚¤ëŠ” ê¸°ì—¼ì„ í† í–ˆì–´ë„ ìž¥ìˆ˜ì˜ ê¿ˆì€ ì´ë£¨ì§€ 못했다. 불로초를 찾아서 서복西ç¦(ì„œë¶ˆë¡œë„ ë¶ˆë¦¼)ê³¼ 어린 남녀 3천 ëª…ì„ ì‚¼ì‹ ì‚°ì´ ìžˆë‹¤ê³  하는 ìš°ë¦¬ë‚˜ë¼ ë‚¨í•´ì•ˆê³¼ ì¼ë³¸ìœ¼ë¡œ 보냈지만, ê²°êµ­ 찾지 못하고 49ì„¸ì˜ ë‚˜ì´ë¡œ ìƒì„ 마ê°í–ˆë‹¤. 반면 ìš°ë¦¬ì˜ ì¡°ìƒë“¤ì€ 장수를 ìƒì§•하는 ìžì—°ìœ¼ë¡œ êµ¬ì„±ëœ ì‹­ìž¥ìƒì´ëž€ 유토피아를 그림 ì†ì— 펼ì³ë†“ê³  ìž¥ìˆ˜ì˜ ê¿ˆì„ ê¿¨ë‹¤. 십장ìƒì˜ 유토피아는 현실ì ì¸ 소ë§ì˜ 아름다운 ì€ìœ ì¸ 것ì´ë‹¤.
그렇다면 ìš°ë¦¬ë“¤ì€ ì–´ë– í•œê°€? ê±´ê°•ì— ì¢‹ë‹¤ëŠ” ì •ë³´ì˜ í™ìˆ˜ ì†ì—서 지나치게 불로초와 ê°™ì€ ì•½, ìŒì‹ ë“±ì— ì§‘ì°©í•˜ê³  있다. ì´ëŠ” ì§„ì‹œí™©ì˜ ì¡°ê¸‰í•¨ì— ë‹¤ë¦„ì—†ë‹¤. ë§Œì¼ ì§„ì‹œí™©ì´ ëŠê¸‹í•˜ê²Œ ìžì‹ ì˜ ìš´ëª…ì„ ê¸°ë‹¤ë¦¬ëŠ” 지혜를 가졌다면, 좀 ë” ì˜¤ëž˜ 살았ì„는지 모른다. ìš°ë¦¬ë„ ì§„ì‹œí™©ì²˜ëŸ¼ ë¶ˆë¡œì´ˆì— ì§‘ì°©í•˜ê¸°ë³´ë‹¤ëŠ” ìš°ë¦¬ì˜ ì¡°ìƒì²˜ëŸ¼ 십장ìƒë„ 병í’ì„ ì¹˜ê³  여유롭게 ê·¸ ìžì—°ì„ 노니는 ê²ƒì´ ë” í˜„ëª…í• ì§€ 모른다. ìš´ëª…ì€ ìž¬ì²œì´ê¸° 때문ì´ë‹¤.

글 정병모(ê²½ì£¼ëŒ€í•™êµ ë¬¸í™”ìž¬í•™ê³¼ êµìˆ˜)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One comment on “ê²½ë³µê¶ ìžê²½ê¶ ì‹­ìž¥ìƒ êµ´ëš – ë™í™”ì˜ ì„¸ê³„ì™€ ê°™ì€ ìž¥ìˆ˜ì˜ ìœ í† í”¼ì•„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