ê²½ê¸°ëŒ€í•™êµ ë°•ë¬¼ê´€ , 대학 ì†ìœ¼ë¡œ, 지역 ì†ìœ¼ë¡œâ€¦ ë” ê°€ê¹Œì´ì—서 공존하다

ê²½ê¸°ëŒ€í•™êµ ë°•ë¬¼ê´€
ê²½ê¸°ëŒ€í•™êµ ë°•ë¬¼ê´€

ëŒ€í•™êµ ë°•ë¬¼ê´€ 하면 으레 ëŒ€í•™êµ ì•ˆì—서 ì˜ë¬´ì ìœ¼ë¡œ ìš´ì˜ë˜ëŠ” 경우를 ìƒê°í•˜ê¸° 쉽다. 그런 ë©´ì—서 본다면 ê²½ê¸°ëŒ€í•™êµ ë°•ë¬¼ê´€ì€ ì—¬íƒ€ ëŒ€í•™êµ ë°•ë¬¼ê´€ê³¼ëŠ” 뚜렷한 차별ì ì„ 지닌다. 한 í•´ 5ë§Œ ì—¬ ëª…ì˜ ê´€ëžŒê°ì´ ì°¾ì„ ì •ë„로 ìžì²´ í•™ìƒê³¼ ì§€ì—­ë¯¼ì˜ ì‚¶ ì†ì— 전통 문화를 알리는 친근한 벗으로 ìžë¦¬ë§¤ê¹€í•œ ê²½ê¸°ëŒ€ë°•ë¬¼ê´€ë§Œì˜ íŠ¹ë³„í•œ 매력 í¬ì¸íЏ 네 가지.

Special Point1. 우리 ì „í†µì„ ì•Œë¦¬ëŠ” 박물관

ê²½ê¸°ëŒ€í•™êµ ë°•ë¬¼ê´€ 1998ë…„ 개관한 경기대박물관(ì´í•˜ 박물관)ì˜ ì‹œìž‘ì€ êµ­ë‚´ ìµœì´ˆì˜ â€˜ë†ê²½ì „시실’ì´ì—ˆë‹¤. 2005ë…„ 12ì›”ì— í˜„ìž¬ì˜ ê²½ê¸°ëŒ€í•™êµ ë°•ë¬¼ê´€ìœ¼ë¡œ ì´ì „í•´ 2006ë…„ 6ì›” 1ì¼ ì´ì „ 개관ì‹ì„ 가진 ì´ëž˜ë¡œ ë°•ë¬¼ê´€ì€ ìš°ë¦¬ ê³ ìœ ì˜ ì „í†µì„ ì•Œë¦¬ëŠ” ë° íŠ¹ížˆ 주력해왔다. 민화는 ì „êµ­ì—서 가장 ë§Žì€ ìžë£Œë¥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중요무형문화재 ì œ 100호 옥장 ìž¥ì£¼ì› ì„ ìƒì˜ 작품과 ë¬¸í™”ìœ ì  ì¡°ì‚¬ë¥¼ 통해 ë°œêµ´ëœ ìœ ë¬¼ì„ ì†Œìž¥ 전시하고 있는 것. ë˜í•œ 학술 연구 활ë™ì„ ì§€ì†ì ìœ¼ë¡œ 전개하고 있어서 ë†ê²½ë¯¼ì†ì¡°ì‚¬ì™€ 문화재발굴조사를 시행하여 ì´ 3종 5ê¶Œì˜ ë„ë¡ê³¼ 30ì—¬ ê¶Œì˜ í•™ìˆ ì§€ë¥¼ 발간했다.
1ì¸µì€ í™ë³´ê´€ìœ¼ë¡œ ê²½ê¸°ëŒ€í•™êµ ì—­ì‚¬ì™€ í˜„í™©ì„ í•œëˆˆì— ì‚´í”¼ëŠ” 공간으로 구성ë˜ì–´ 있다. ë˜ ì˜¥ìž¥ ìž¥ì£¼ì› ì„ ìƒì˜ 옥 ìž‘í’ˆì´ ì „ì‹œëœ ì˜¥ê³µì˜ˆì‹¤ì´ í•¨ê»˜ 마련ë˜ì–´ 있다. 2ì¸µì€ ë¯¼í™”ê¸°íšì „시가 열리는 민화전시실로 ìƒì‹œ ìš´ì˜ë˜ë©°, 매년 민화 관련 íŠ¹ë³„ì „ì„ ì„ ë³´ì´ê³  있다. 3ì¸µì€ ë°•ë¬¼ê´€ì˜ ì‹œìž‘ê³¼ 함께한 ë†ê²½ë¯¼ì†ì „시실로 ìš´ì˜ë˜ê³  있는ë°, 현재는 ë§Žì€ ìˆ˜ì˜ ìœ ë¬¼ì´ ì¤‘ìš” 유물로 ì§€ì •ë¼ êµ­ë¦½ì¤‘ì•™ë°•ë¬¼ê´€ 등 êµ­ê°€ ì§€ì •ëœ ê³³ìœ¼ë¡œ ì´ì „ë˜ê³  있다.

Special Point2. 민화가 가장 ë§Žì€ ë°•ë¬¼ê´€

ë°•ë¬¼ê´€ì´ ì†Œìž¥í•˜ê³  있는 민화는 약 480ì—¬ ì ìœ¼ë¡œ êµ­ë‚´ 박물관 중 민화 소장 수가 월등히 ë§Žì€ ê³³ìœ¼ë¡œ 꼽힌다. 2층 전체를 민화 전시실로 ì“°ê³  ìžˆì„ ì •ë„로 민화 박물관으로 특화ë˜ì–´ 있으며, 매년 민화를 주제로 한 특별 기íšì „ì„ ì‹œìž‘í•œì§€ë„ ì˜¬í•´ë¡œ ë”± 10년째ì´ë‹¤.
2006ë…„ ‘ì´ì „ 개관 기íšì „ 집들ì´å±•â€™ì„ ì‹œìž‘ìœ¼ë¡œ, 2007ë…„ â€˜ê²½ê¸°ëŒ€í•™êµ ê°œêµ 60주년 ê¸°ë… ê¸°íšå±•’, 2008ë…„ ‘경기지역대학박물관연합전 새가 날아든다展’, 2009ë…„ ‘ì´ì•¼ê¸°ê°€ í르는 민화展’, 2010ë…„ ‘경기대학êµë°•물관·수ì›í™”성박물관 êµë¥˜ì „-화성, 그림과 사진으로 만나다展’과 ‘용호ìƒë°•展’, 2011ë…„ ‘공부展’, 2012ë…„ ‘박물관 ì† ì‹ë¬¼ì›å±•’, 2013ë…„ ‘민화 ì†ìœ¼ë¡œ 들어간 사람展’, 2014ë…„ ‘ë„로(圖路)展’까지 여러 박물관, ì§€ìžì²´, ì •ë¶€ìœ ê´€ê¸°ê´€ê³¼ì˜ í˜‘ì¡°ë¥¼ 통해 민화와 전통문화를 보여주는 다채로운 ì „ì‹œë“¤ì„ ì„ ë³´ì—¬ 왔다. ê·¸ ê²°ê³¼ 2012년부터 3ë…„ ì—°ì† â€˜ê²½ê¸°ë„ ê³µì‚¬ë¦½ 박물관·미술관 ì§€ì›ì‚¬ì—… í‰ê°€â€™ì—서 우수 박물관 ë° ì˜ìƒë¶„야 모범사례로 ì„ ì •ë˜ëŠ” ì˜ì˜ˆë¥¼ ì–»ê¸°ë„ í–ˆë‹¤.
올해 역시 ë‚´ë…„ 6월까지 민화 ì†ì— 숨겨진 숫ìžì˜ ë¹„ë°€ì„ í’€ì–´ë³´ëŠ” ‘수수께ë¼å±•â€™ì„ ê¸°íší•´ ìš´ì˜í•˜ê³  있다. 다양한 ë¯¼í™”ì— ë‹´ê¸´ ì˜ë¯¸ë¥¼ 숫ìžë¡œ 다시 í•´ì„해보면서 ì§€ì‹ë„ 쌓고 ìž¬ë¯¸ë„ í•¨ê»˜ ëŠë‚„ 수 있는 전시가 ë  ê²ƒìœ¼ë¡œ 기대ëœë‹¤.

ê²½ê¸°ëŒ€í•™êµ ë°•ë¬¼ê´€
ê²½ê¸°ëŒ€í•™êµ ë°•ë¬¼ê´€
 

2015 경기대학êµë°•물관 특별전 <수수께ë¼-민화 ì†ì—서 ìˆ«ìž ì°¾ê¸°>

수수께ë¼-민화 ì†ì—서 ìˆ«ìž ì°¾ê¸°ì¼ì‹œ : 2015ë…„ 9ì›” 1ì¼(í™”) ~ 2016ë…„ 6ì›” 24ì¼(금)
경기대박물관ì—서 숫ìžì˜ í™ìˆ˜ ì†ì— ì‚´ê³  있는 우리를 표현하는 ì „ì‹œì¸ ‘ìˆ˜ìˆ˜ê»˜ë¼’ì „ì„ ê°œìµœí•œë‹¤. 세계와 사회 그리고 ì‚¬ëžŒë“¤ì˜ ê´€ê³„ëŠ” ìˆ˜ë§Žì€ ìˆ«ìžë¡œ ì´ë£¨ì–´ì§„ 약ì†ì´ë‹¤. 그리고 ìš°ë¦¬ë„ ìˆ«ìžë¥¼ 통해 기ë¡ëœë‹¤.
‘주민등ë¡ë²ˆí˜¸, 핸드í°ë²ˆí˜¸, ìžë™ì°¨ë²ˆí˜¸ 등, 숫ìžëŠ” 가장 간단한 표기법ì´ë©´ì„œë„ 강한 힘으로 ìš°ë¦¬ì˜ ì‚¶ì„ ë³´ì—¬ì¤€ë‹¤. 하나, 둘, 셋… 헤아림ì—서 ì‹œìž‘ëœ ìˆ«ìžëŠ” 하나하나 ìƒëª…ë ¥ì„ ì–»ì–´ ê°ë³„한 ë¹„ë°€ì„ ê°„ì§í•˜ê²Œ ë˜ì—ˆë‹¤. 행운과 ì¡°í™” ë˜ëŠ” 불운과 ê¸°í”¼ì˜ ëŒ€ìƒì´ ë˜ê¸°ë„ 한다.
숫ìžë¥¼ í’ˆì€ ìƒì§•, 그리고 ê·¸ ìƒì§•ì´ ë¨¸ê¸ˆì€ ìˆ«ìžë¥¼ ë‹´ê³  있는 민화 ì† ìˆ˜ìˆ˜ê»˜ë¼ë¥¼ 풀어보는 2015 경기대학êµë°•물관 íŠ¹ë³„ì „ì´ ë‚´ë…„ 6월까지 ì´ì–´ì§„다.

Special Point3. 다양한 ì²´í—˜ì´ ìžˆëŠ” 살아있는 박물관

ê²½ê¸°ëŒ€í•™êµ ë°•ë¬¼ê´€  ë„ë¡ë°•ë¬¼ê´€ì€ ë‹¤ì±„ë¡œìš´ êµìœ¡ ë° ì²´í—˜í”„ë¡œê·¸ëž¨ìœ¼ë¡œ ê·¸ ëª…ì„±ì´ ìžìží•˜ë‹¤. 대학 울타리를 넘어 지역 문화 ë°œì „ì— ê¸°ì—¬í•˜ê³ ìž ì°½ì˜ì ì¸ í”„ë¡œê·¸ëž¨ì„ ë‹¤ì–‘í•˜ê²Œ 개발해 ìš´ì˜í•˜ê³  있다. 대학박물관으로는 ì´ë¡€ì ìœ¼ë¡œ ì—° í‰ê·  50,000ì—¬ ëª…ì˜ ê´€ëžŒê°ì´ 찾는 곳으로 성장할 수 ìžˆì—ˆë˜ ê±´ ì´ì²˜ëŸ¼ ëŠìž„ì—†ì´ ëŒ€ì¤‘ê³¼ 소통하기 위한 노력 때문ì´ì—ˆì„ í„°.
먼저 ì´ˆë“±í•™êµ ì €í•™ë…„ì„ ëŒ€ìƒìœ¼ë¡œ 하는 ë°•ë¬¼ê´€ì— ëŒ€í•œ ì¦ê±°ì›€ê³¼ 친근ê°ì„ ì¼ê¹¨ì›Œì£¼ëŠ” â€˜ê²½ê¸°ëŒ€í•™êµ ë°•ë¬¼ê´€ì—서 재미있게 놀ìžâ€™ 와 ì´ˆë“±í•™êµ ê³ í•™ë…„ì—게 보다 짜임새 있는 박물관 체험기회를 제공하는 â€˜ë‚˜ëˆŒìˆ˜ë¡ ì»¤ì§€ëŠ” ë°•ë¬¼ê´€â€™ì„ ìš´ì˜í•´ì˜¤ê³  있으며, ë˜ ë°•ë¬¼ê´€ì— ëŒ€í•œ ì ‘ê·¼ì„±ì„ ë†’ì´ê¸° 위해 êµìœ¡ê¸°ê´€ì— ì§ì ‘ 찾아가 다양한 ì²´í—˜ 기회를 제공하는 ‘찾아가는 ë°•ë¬¼ê´€â€™ë„ ì§„í–‰í•˜ê³  있다. 스마트 태블릿 PC를 ì´ìš©í•œ êµê³¼ì—°ê³„ êµìœ¡í”„ë¡œê·¸ëž¨ì¸ â€˜ìŠ¤ë§ˆíŠ¸í•˜ê²Œ 박물관ì—서 ë†€ê¸°â€™ë„ ì¢‹ì€ ë°˜ì‘ì„ ì–»ëŠ” 중.
ì´ëŸ¬í•œ ë…¸ë ¥ì˜ ê²°ê³¼ë¡œ ë°•ë¬¼ê´€ì€ ë‹¤ì–‘í•œ êµìœ¡í”„로그램 ì§€ì›ì‚¬ì—…ì— ì„ ì •ë˜ì—ˆìœ¼ë©°, 지난 9월부터는 중학ìƒë“¤ì˜ 꿈과 ë¼ë¥¼ íƒìƒ‰í•˜ëŠ” ìžìœ í•™ê¸°ì œ êµìœ¡í”„ë¡œê·¸ëž¨ì„ ìƒˆë¡­ê²Œ ì„ ë³´ì´ê³  있다. â€˜ê¿ˆì„ ìž‡ëŠ” 박물관’과 ‘박물관 Do Dreamâ€™ì´ ê·¸ê²ƒìœ¼ë¡œ 다양한 경험과 현장학습 ë“±ì„ í†µí•´ ìžì‹ ì—게 ê¼­ 맞는 미래 진로를 제시하는 ì—­í• ì„ í•  것으로 기대ëœë‹¤.
ì´ì™€ 관련해 ë°•ë¬¼ê´€ì´ ìžëž‘하는 ë˜ í•œ 가지는 í•™ìƒë“¤ì˜ 박물관 ì²´í—˜ í”„ë¡œê·¸ëž¨ì— ì•žì„œ ‘êµì‚¬ 사전연수’를 ìš´ì˜í•˜ëŠ” 것. êµìœ¡í”„ë¡œê·¸ëž¨ì„ ì‹ ì²­í•œ í•™êµ êµì‚¬ë“¤ì´ ì§ì ‘ ë°•ë¬¼ê´€ì„ ë¨¼ì € 방문해 í•™ìƒë“¤ì´ 박물관ì—서 ì–´ë–¤ ìˆ˜ì—…ì„ ë°›ê²Œ ë ì§€ ì„¤ëª…ë„ ë“£ê³ , ì§ì ‘ ì‹œì—°ë„ í•´ë³´ëŠ” ì‹œê°„ì„ ê°€ì§€ëŠ” 것ì´ë‹¤. ì´ë¡œì¨ 박물관 ì²´í—˜ í”„ë¡œê·¸ëž¨ì˜ íš¨ê³¼ë¥¼ 극대화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ë°•ë¬¼ê´€ì˜ ìŠ¬ë¡œê±´ì´ <지역 ì†ìœ¼ë¡œ, 대학 ì†ìœ¼ë¡œ>ì¸ ë§Œí¼ ìžì²´ ëŒ€í•™êµ í•™ìƒë“¤ì„ 위한 í”„ë¡œê·¸ëž¨ë„ í’성하게 마련해 ì¢‹ì€ ë°˜ì‘ì„ ì–»ê³  있다. 2008년부터 ì „ê° ìƒˆê¸°ê¸°, 단오부채 만들기, 가래떡 ë°ì´, ë™ì§€íŒ¥ì£½ 나누기, 입춘첩 ë¶™ì´ê¸° 등 행사를 기íší•˜ë©´ì„œ 학술연구와 전시 등 ëŒ€í•™ë°•ë¬¼ê´€ì˜ ì¼ë°˜ì ì¸ í™œë™ ë²”ì£¼ë¥¼ 넘어 대학 êµ¬ì„±ì› ì†ìœ¼ë¡œ 들어가기 위해 ëŠìž„ì—†ì´ ë…¸ë ¥í•˜ê³  있다. 특히 단오부채 만들기 행사는 ê²½ê¸°ëŒ€ë°•ë¬¼ê´€ì„ ì‹œìž‘ìœ¼ë¡œ ì „êµ­ì˜ ëŒ€í•™êµ ì—°ë¡€í–‰ì‚¬ë¡œ ìžë¦¬ë¥¼ 잡아가는 중ì´ë‹¤.

Special Point4. 세심하고 친절한 박물관

ê²½ê¸°ëŒ€í•™êµ ë°•ë¬¼ê´€ 박물관ì—서는 관람ê°ë“¤ì´ 전시작품 정보를 좀 ë” ì‰½ê²Œ ì´í•´í•  수 있ë„ë¡ ë‹¤ì–‘í•œ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2ì¸µì— ìžë¦¬í•œ 기íšì „ì‹œì‹¤ì— ë“¤ì–´ì„œë©´ 유물 ì˜†ì— ê°„ëžµí•œ 설명과 함께 ìžë¦¬í•œ QR코드를 ë³¼ 수 있는ë°, 스마트í°ìœ¼ë¡œ QR코드를 스캔하면 ìœ ë¬¼ì— ëŒ€í•œ ìžì„¸í•œ 정보를 확ì¸í•  수 있다. ì†ë°”ë‹¥ ì•ˆì— ìž‘ì€ ë„ë¡ì´ 준비ë˜ëŠ” ì…ˆì´ë‹¤. 보다 ìƒì„¸í•˜ê³  ìƒìƒí•œ ì„¤ëª…ì´ ë“£ê³  싶다면 안내ë°ìФí¬ì— 문ì˜í•´ íë ˆì´í„°ì˜ ë„ì›€ë„ ë°›ì„ ìˆ˜ 있다. íë ˆì´í„°ì™€ 대화하며 ì „ì‹œìž¥ì„ ë‘˜ëŸ¬ë³´ë‹¤ë³´ë©´ ë”ìš± 쉽게 ìœ ë¬¼ì— ëŒ€í•œ ì´í•´ê°€ 가능하다.
전시실 한켠ì—는 ìˆ«ìž ê´€ë ¨ ìŒì•…ì„ ë“£ê³  엽서를 쓰는 공간까지 마련ë˜ì–´ 있다. ì´ë²ˆ 기íšì „ì‹œì˜ í…Œë§ˆì¸ ìˆ«ìžë¥¼ ë¶€ê°ì‹œí‚¤ëŠ” ë˜ ë‹¤ë¥¸ ì´ë²¤íŠ¸ì¸ ê²ƒ. 민화 ìž‘í’ˆì„ ë³´ëŸ¬ 왔다가 ìŒì•…ê°ìƒë„ 하고 ìžì‹ ì˜ ì‚¬ì—°ë„ ì¨ë³´ëŠ” ì´ìƒ‰ì ì¸ ì‹œê°„ì„ ê°€ì§ˆ 수 있ë„ë¡
배려하고 있다.
한편 지난 2013ë…„ì—는 장애ì¸ì „용주차구역 설치, 장애ì¸í™”ìž¥ì‹¤ì„ ë§ˆë ¨í•˜ëŠ” 등 장애ì¸ë“¤ë„ 편리하게 ë°•ë¬¼ê´€ì„ ì´ìš©í•  수 있ë„ë¡ ì‹œì„¤ì„ ê°œì„ í–ˆë‹¤. 문화체육관광부ì—서 추진하는 ‘사립 문화시설 ìž¥ì• ì¸ íŽ¸ì˜ì‹œì„¤ 개선 ì§€ì› ì‚¬ì—…â€™ì— ì„ ì •ë¼ ì§€ì›ì„ 받아 ì‹œí–‰ëœ ê²ƒìœ¼ë¡œ ë°•ë¬¼ê´€ì€ ì „êµ­ 대학박물관 중 유ì¼í•˜ê²Œ 사업 대ìƒìžë¡œ ì„ ì •ë다.

빛나는 ì•„ì´ë””어와 ëŠìž„없는 노력으로 ë°•ë¬¼ê´€ì€ 8ë…„ ì—°ì† â€˜ê²½ê¸°ë„ ë°•ë¬¼ê´€ ì§€ì› ì‚¬ì—…â€™ì—, 3ë…„ ì—°ì† â€˜ì‚¬ë¦½ëŒ€í•™ë°•ë¬¼ê´€ 학예ì¸ë ¥ ì§€ì›ì‚¬ì—…’과 ‘박물관 길 ìœ„ì˜ ì¸ë¬¸í•™ ì§€ì›ì‚¬ì—…â€™ì— ì„ ì •ë˜ì—ˆìœ¼ë©°, 대중과 ë” ê°€ê¹ê²Œ 소통하며 지역 문화를 대변하고 있다. ì‚´ì•„ 있는 ë°•ë¬¼ê´€ì˜ ëª¨ë²”ì„ ë³´ì—¬ì£¼ëŠ” ê²½ê¸°ëŒ€ë°•ë¬¼ê´€ì´ ì•žìœ¼ë¡œ ë˜ ì–´ë–¤ 모습으로 진화할지 ê¶ê¸ˆí•˜ë‹¤.

ê²½ê¸°ëŒ€í•™êµ ë°•ë¬¼ê´€
  • 위치 : ê²½ê¸°ë„ ìˆ˜ì›ì‹œ ì˜í†µêµ¬ ê´‘êµì‚°ë¡œ 154-42(ì´ì˜ë™)
  • 개관시간 : 오전 10시~오후 5시(ë°©í•™ 중 오전 10시~오후 2시 30ë¶„)
  • íœ´ê´€ì¼ ì£¼ë§ ë° ê³µíœ´ì¼ ë¬¸ì˜ : 031-249-8901, 8903, 8904 / museum.kyonggi.ac.kr

 

글 : 박미지 기ìž
사진 : ë°•ì„±ì¼ ê¸°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