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정선미술관 소장 <10í­ ë°±ë‚©ë³‘í’> 최초 공개

PART 01. <10í­ ë°±ë‚©ë³‘í’> 사전 공개 행사 스케치

ê²¸ìž¬ì •ì„ ë¯¸ìˆ ê´€ì´ ì§€ë‚œ 11ì›” 28ì¼ ìµœê·¼ 소장하게 ëœ <10í­ ë°±ë‚©ë³‘í’>ì„ ê³µê°œí–ˆë‹¤.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화가들부터 명대 절파계 ëŒ€ê°€ì˜ ìž‘í’ˆê¹Œì§€ í¬ê·€í•œ 작품 42ì ì´ ìž¥í™©ëœ <10í­ ë°±ë‚©ë³‘í’>ì˜ ì—­ì‚¬, ë¬¸í™”ì  ê°€ì¹˜ì™€ ë’·ì´ì•¼ê¸°ë¥¼ 살펴본다.


긴 ìž ì—서 깨어난 ë³‘í’ í•œ í‹€ì´ í•™ê³„ì˜ ì´ìŠˆë¡œ 떠올ëžë‹¤. 겸재정선미술관(관장 김용권)ì´ ìµœê·¼ 소장하게 ëœ <10í­ ë°±ë‚©ë³‘í’>ì´ ê·¸ê²ƒìœ¼ë¡œ, ê²¸ìž¬ì •ì„ ë¯¸ìˆ ê´€ì€ ì§€ë‚œ 11ì›” 28ì¼ í•œì‹œì ìœ¼ë¡œ 한국회화사 전문가 ë° ì—°êµ¬ìž ë“±ì„ ëŒ€ìƒìœ¼ë¡œ 사전 공개하는 ì‹œê°„ì„ ê°€ì¡Œë‹¤. ‘백납百衲’ì´ëž€ 명칭ì—서 알 수 있듯 병í’ì—서는 다양한 í™”ì œì˜ ê·¸ë¦¼ë“¤ì„ ë°œê²¬í•  수 ìžˆëŠ”ë° ê²¸ìž¬ ì •ì„ ì˜ ìž‘í’ˆ 7ì ì„ í¬í•¨í•´ 관아재 ì¡°ì˜ì„(觀我齋 趙榮ç¥, 1686-1761), 남리 ê¹€ë‘량(å—里 金斗樑, 1696-1763) 등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í™”ê°€ë“¤ì˜ ê·¸ë¦¼ ë¿ ì•„ë‹ˆë¼ ì¤‘êµ­ 명시대 절파계 ëŒ€ê°€ì¸ ì†Œì„  오위(å°ä»™ å³å‰, 1459-1508)ì˜ ê²ƒìœ¼ë¡œ 추정ë˜ëŠ” í¬ê·€í•œ 작품 ë° ìž‘ìž ë¯¸ìƒì˜ 그림까지 ì´ 42ì ì˜ ìž‘í’ˆì´ ìž¥í™©ë다. ì• ì´ˆ ì¼ë³¸ì¸ì´ 해당 병í’ì„ ì†Œìž¥í•œ 것으로 추정ë˜ë©°, êµ­ë‚´ 기업가를 ê±°ì³ í˜„ìž¬ ê¹€ë³‘í¬ ê°•ì„œë¬¸í™”ì› ëª…ì˜ˆì›ìž¥ì´ 소장하게 ë˜ë©´ì„œ ì´ë¥¼ ê²¸ìž¬ì •ì„ ë¯¸ìˆ ê´€ì— ìœ„íƒí–ˆë‹¤. ê²¸ìž¬ì •ì„ ë¯¸ìˆ ê´€ì€ ë°±ë‚©ë³‘í’ì€ ì˜ì¸ë³¸ìœ¼ë¡œ, ë³‘í’ ì† ìž‘í’ˆì€ ê° ìž‘í’ˆë§ˆë‹¤ ì•¡ìž ë° í™”ì²©ìœ¼ë¡œ 다시 표구해 공개했으며 주요 ìž‘í’ˆë“¤ì€ í™•ëŒ€ì˜ì¸ë³¸ì„ 따로 만들어 ì›ë³¸ê³¼ 나란히 ê±¸ì–´ë‘ ìœ¼ë¡œì¨ ìœ ë¬¼ì„ ë”ìš± ì‹¬ë„ ìžˆê²Œ 살펴볼 수 있는 ìžë¦¬ë¥¼ 마련했다.

최초 소장가는 ì¼ë³¸ì¸, 장황시기는 ì¼ì œê°•ì ê¸°ë¡œ 추정

ì´ë‚  병í’ì— ëŒ€í•œ 개괄ì ì¸ ë‚´ìš©ì„ ë°œí‘œí•œ 김용권 ê´€ìž¥ì˜ ë§ì— 따르면, ë³‘í’ í•´ì²´ 과정ì—서 ìž¥í™©ëœ ì‹œê¸° ë° ê´€ë ¨ 단서가 발견ë다고 한다. ìš°ì„  앞면과 ë’·ë©´ì—서 삼베, 갱지를 사용해 마ê°í•œ ê²ƒì„ í™•ì¸í•  수 ìžˆëŠ”ë° ì—¬ê¸°ì„œ 백납병í’으로 ìž¥í™©ëœ ì‹œê¸°ëŠ” 최대 100ë…„ì„ ë„˜ì§€ ì•Šì„ ê²ƒìœ¼ë¡œ 추정ëœë‹¤. ë˜í•œ 주역 ë‚´ìš©ì¸ â€˜ì²œëª…ì§€ìœ„ì„±å¤©å‘½ä¹‹è¬‚æ€§ 솔성지위ë„çŽ‡æ€§ä¹‹è¬‚é“ ìˆ˜ë„지위êµä¿®é“之謂敎’ 글씨가 ì ížŒ 한지 종ì´ê°€ 배첩ë으며 1962ë…„ 9ì›”ì— ì¼ë³¸ ë™ê²½ë¶€ ìƒì•¼ê³µì› ë„미술관ì—서 열린 서양화 전시를 소개하는 ë‚´ìš©ì˜ ì–‘ì§€, ì¼ë³¸ ë™ê²½ì— 소재한 다니구찌 마사하루가 창설한 ì‹ í¥ ì¢…êµ ë‹¨ì²´ì˜ ì—½ì„œê°€ 나왔다.
ì´ë¥¼ 종합해 ë³¼ 때 <10í­ ë°±ë‚©ë³‘í’>ì˜ ìµœì´ˆ 수장가는 ì¼ë³¸ì¸ìœ¼ë¡œ 추정ë˜ë©° ì¼ì œê°•ì ê¸° 무렵 병í’ì´ ìž¥í™©ë¼ 1962ë…„ ì´í›„ 다시 보수, 수리ëìŒì„ 알 수 있다.

미술사ì ìœ¼ë¡œ í° ì˜ë¯¸ 지녀

ë³‘í’ ì† ìž‘í’ˆ ê°€ìš´ë° íŠ¹ížˆ 주목ë˜ëŠ” ìž‘í’ˆì€ ì •ì„ ì˜ <사문탈사ë„寺門脫蓑圖>ì´ë‹¤. 그간 간송미술관 소장본 <사문탈사ë„> 2ì ì„ 바탕으로 사문탈사ë„ì— ëŒ€í•œ 연구가 ì´ë¤„졌으나 구ë„ì  í•œê³„ë¡œ 등장ì¸ë¬¼, ì‚¬ì°°ì˜ ìž¥ì†Œ, 작품ì˜ë„ ë“±ì„ íŒŒì•…í•˜ê¸°ê°€ 어려웠다. ì´ ë•Œë¬¸ì— ê²¸ìž¬ ì •ì„ ì˜ ë˜ ë‹¤ë¥¸ <사문탈사ë„>ê°€ 발견ë˜ê¸°ë¥¼ 절실히 ê¸°ë‹¤ë ¤ì˜¤ë˜ ì°°ë‚˜ì— ì´ë ‡ê²Œ <사문탈사ë„>ê°€ ìƒˆë¡œì´ ë°œê²¬ë¨ìœ¼ë¡œì¨ ì—°êµ¬ì— ë¯¸ì§„í–ˆë˜ ë¶€ë¶„ì„ ë³´ë‹¤ 분명히 ë°íž 수 있게 ë˜ì—ˆë‹¤. 김용권 ê´€ìž¥ì€ â€œì¡°ì„ í›„ê¸° 대표 작가들과 중국 ëª…ë‚˜ë¼ ì ˆíŒŒê³„ì˜ ê±°ëª©ì¸ ì†Œì„  ì˜¤ìœ„ì˜ ìž‘í’ˆìœ¼ë¡œ 추정ë˜ëŠ” ìž‘í’ˆì„ ë¹„ë¡¯í•´ ìž‘ìž ë¯¸ìƒì˜ ì¡°í˜•ì„±ì´ ë›°ì–´ë‚œ 작품까지 ìž¥í™©ëœ <10í­ ë°±ë‚©ë³‘í’>ì´ ì§€ê¸ˆê¹Œì§€ 온전히 ì „í•´ 내려온 ê²ƒì€ ê±°ì˜ ê¸°ì ê³¼ ê°™ì€ ì¼ìž…니다. 병í’ì— ëŒ€í•œ ìžì„¸í•œ 연구결과는 향후 학술대회ì—서 발표할 예정â€ì´ë¼ê³  ë§í–ˆë‹¤.


글 문지혜 ê¸°ìž ì‚¬ì§„ ì´ì£¼ìš© 기ìž, 겸재정선미술관

PART 02. 미니ì¸í„°ë·°

Q <10í­ ë°±ë‚©ë³‘í’> 사전 공개 행사를 개최한 ë°°ê²½ì€ ë¬´ì—‡ìž…ë‹ˆê¹Œ?

ê²¸ìž¬ì •ì„ ë¯¸ìˆ ê´€ì´ <10í­ ë°±ë‚©ë³‘í’>ì„ ì†Œìž¥í•˜ê²Œ ëœ ì‹œê¸°ëŠ” 지난해 10월경으로 ì´ë²ˆì— 최초로 대중ì—게 해당 ìœ ë¬¼ì„ ê³µê°œí•˜ê²Œ ë습니다. 미술관으로서 미술사ì ìœ¼ë¡œ ë†’ì€ ê°€ì¹˜ë¥¼ 지닌 ìž‘í’ˆì„ ë§Žì€ ë¶„ë“¤ê»˜ 공개할 ì˜ë¬´ê°€ 있고, ì´ì— 대한 ê´€ì‹¬ì„ í™˜ê¸°í•´ë³´ìžëŠ” 뜻ì´ì§€ìš”.
ë˜ ë‹¤ë¥¸ ì´ìœ ë¡œëŠ” í•™ë¬¸ì  ì—°êµ¬ë¥¼ 위해서입니다. 사실 5~6개월 전부터 í™ìµëŒ€í•™êµ í•œì •í¬ êµìˆ˜, ë•성여ìžëŒ€í•™êµ ë°•ì€ìˆœ êµìˆ˜, í•œêµ­í•™ì¤‘ì•™ì—°êµ¬ì› ìœ¤ì§„ì˜ ë¶€ìž¥, ì›ê´‘ëŒ€í•™êµ ìœ ë¯¸ë‚˜ êµìˆ˜ 등 ì—°êµ¬ì§„ë“¤ì´ ë³‘í’ ì† ìž‘í’ˆì˜ ë„íŒì„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ë„íŒë§Œì„ ë³´ê³  연구하기엔 한계가 있기 ë•Œë¬¸ì— ì–´ëŠ ì‹œì ì— 유물 ì›ë³¸ì„ 공개할 ê²ƒì„ ì•½ì†í•œ ë°” 있습니다.
실제로 <10í­ ë°±ë‚©ë³‘í’>ì˜ ë¯¸ìˆ ì‚¬ì  ê°€ì¹˜ëŠ” 매우 높습니다. ì¼ë¡€ë¡œ 병í’ì—서 ë°œê²¬ëœ ê²¸ìž¬ ìž‘í’ˆì˜ 7ì  ê°€ìš´ë° <사문탈사ë„>를 들 수 있겠네요. ê¸°ì¡´ì˜ ì‚¬ë¬¸íƒˆì‚¬ë„는 사찰 문 앞만 ë¬˜ì‚¬ë¼ ì—°êµ¬ì— í•œê³„ê°€ 있었지만 ì´ë²ˆì— ë°œê²¬ëœ ìž‘í’ˆì—서는 사찰 ì „ì²´ê°€ 온전히 드러나 ê²°ê³¼ì ìœ¼ë¡œ í•´ì¸ì‚¬ë¼ëŠ” ê²ƒì„ ë°íž 수 있었어요. ë¿ë§Œ ì•„ë‹ˆë¼ ëª…ëŒ€ 대표 절파 í™”ê°€ì¸ ì†Œì„  ì˜¤ìœ„ì˜ ìž‘í’ˆì´ 10ì  ë°œê²¬ë다는 ì ë„ íšê¸°ì ì´ë¼ í•  수 있습니다.

Q ìœ ë¬¼ì˜ ìž¥í™© ë°©ì‹ì´ 특ì´í•©ë‹ˆë‹¤

ì¢‹ì€ ì§€ì ìž…니다. 병í’ì˜ ìµœì´ˆ 소장ìžëŠ” ì¼ë³¸ì¸ì´ì—ˆë˜ 것 같고 ìžì‹ ì˜ 취향대로 ë³‘í’ ì•ˆì— ë‹¤ì–‘í•œ ìž‘í’ˆë“¤ì„ í•œë° ëª¨ì•„ 병í’ì„ ê¾¸ëª„ëŠ”ë° ì „ì²´ì ìœ¼ë¡œ ë´¤ì„ ë•Œ 나ì˜ì§„ 않아요. 다만, ìž‘í’ˆì˜ ì§„ê°€ë¥¼ 아는 사람들ì´ë¼ë©´ ê·¸ë¦¼ë“¤ì„ ê·¸ë ‡ê²Œ 장황하진 ì•Šì•˜ì„ ê±°ì—ìš”. ê²¸ìž¬ì •ì„ ë¯¸ìˆ ê´€ì€ ìœ ë¬¼ì„ ìž…ìˆ˜í•œ ë’¤ ê° ìž‘í’ˆë“¤ì„ ë‹¤ 떼어내 별개로 ì•¡ìží™”하고, 병í’ì€ ì˜ì¸ë³¸ìœ¼ë¡œ 다시 만들었습니다. ë°œê²¬ëœ ìœ ë¬¼ì´ ì˜¨ì „ížˆ 그대로 있는 ê²ƒë„ ì¤‘ìš”í•˜ì§€ë§Œ, ê° ìž‘í’ˆì€ ë¶„ë¦¬ëì„ ë•Œ ê·¸ 가치를 온전히 드러낼 수 있다고 íŒë‹¨í–ˆê¸° 때문ì´ì£ . 어찌보면 ì´ë ‡ë“¯ ì¡°ì„  후기 ìŸìŸí•œ ìž‘ê°€ë“¤ì˜ ìž‘í’ˆì„ í•œ ë²ˆì— ë³¼ 수 있는 ê²ƒì€ ìµœì´ˆ ì†Œìž¥ê°€ì˜ ì•„ë§ˆì¶”ì–´ì ì¸ ìž¥í™©ë°©ì‹ ë•ë¶„ì´ë¼ê³ ë„ ë³¼ 수 있겠네요.

Q ì¶”í›„ì— ê´€ë ¨ 학술대회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네, ê²¸ìž¬ì •ì„ ë¯¸ìˆ ê´€ì€ ë§¤ë…„ 5ì›” 겸재문화예술제를 개최해 세미나와 기íšì „ì„ ì—½ë‹ˆë‹¤. 올해 개최하는 ì œ6회 겸재문화예술제ì—서는 <10í­ ë°±ë‚©ë³‘í’>ì„ ì£¼ì œë¡œ 학술대회와 42ì ì˜ ìž‘í’ˆì„ ê³µê°œí•˜ëŠ” 기íšì „ì„ ì—´ 예정입니다. ì•„ì§ ë‚ ì§œê°€ í™•ì •ëœ ê²ƒì€ ì•„ë‹ˆë‚˜ 보통 5ì›” 둘째주 ê¸ˆìš”ì¼ ì •ë„ì— ì¶•ì œë¥¼ 열지요. 학술세미나ì—는 ê³ ì—°í¬ ì„±ê· ê´€ ëŒ€í•™êµ êµìˆ˜ì˜ 사회로 안휘준 ì„œìš¸ëŒ€í•™êµ ëª…ì˜ˆêµìˆ˜, ë°•ì€ìˆœ ë•성여ìžëŒ€í•™êµ êµìˆ˜, ìœ¤ì§„ì˜ í•œêµ­í•™ì¤‘ì•™ì—°êµ¬ì› ë¶€ìž¥, í•œì •í¬ í™ìµëŒ€í•™êµ êµìˆ˜, 유미나 ì›ê´‘ëŒ€í•™êµ êµìˆ˜ ë“±ì˜ ì—°êµ¬ì§„ì´ ë…¼ë¬¸ 발표 ë° ì´í‰ì„ í•  예정입니다. ë§Žì€ ë¶„ë“¤ê»˜ì„œ ê´€ì‹¬ì„ ê°€ì ¸ì£¼ì‹œê³ , 참여해주신다면 ê°ì‚¬ë“œë¦¬ê² ìŠµë‹ˆë‹¤.

Q ë…ìžë¶„들께 한ë§ì”€ ë¶€íƒë“œë¦½ë‹ˆë‹¤.

<10í­ ë°±ë‚©ë³‘í’>ì€ ì˜¤ëžœ 시간 수장고ì—서 ìž ìžê³  ìžˆë˜ ê²ƒì¸ë° ì´ë²ˆ 기회를 통해 ì„¸ìƒ ë°–ìœ¼ë¡œ 나오게 ë습니다. ê° ìž‘í’ˆì˜ ê°€ì¹˜ëŠ” ì´ë£¨ ë§í•  수 ì—†ì´ ë›°ì–´ë‚˜ í•™ìžë¡œì„œ í¥ë¶„ì„ ê°ì¶œ 수 없는ë°ìš”, 향후 전시를 보게 ë  ê´€ëžŒê°ë“¤ê»˜ì„œë„ ì„ ì¡°ë“¤ì˜ ì‚¶ê³¼ í˜¼ì´ ì‹¤ë¦° ìž‘í’ˆì„ ë³´ë©° ë§Žì€ ê²ƒì„ ëŠë¼ê³ , ì´ë¥¼ ë°œíŒì‚¼ì•„ 발전하시는 기회가 ë˜ê¸¸ ë°”ëžë‹ˆë‹¤.

PART 03. <10í­ ë°±ë‚©ë³‘í’> ì† ì£¼ìš” 작품 BEST 6

ë³‘í’ ì† ìž‘í’ˆ ê°€ìš´ë° íŠ¹ížˆ 눈여겨ë´ì•¼í•  작품 6가지를 추려보았다. ê° ìž‘í’ˆê³¼ ê·¸ì— ëŒ€í•œ ë‚´ìš©ì„ ì‚´íŽ´ë³´ë„ë¡ í•œë‹¤.

01. 겸재 ì •ì„ , <사문탈사ë„寺門脫蓑圖>

사문탈사寺門脫蓑란 ‘절문ì—서 ë„롱ì´ë¥¼ 벗다’ë¼ëŠ” 뜻ì´ë‹¤. ‘ë„롱ì´â€™ëŠ” 물기가 잘 스며들지 않는 ë í’€ì„ 엮어 ì–´ê¹¨ì— ë‘˜ëŸ¬ì“°ë˜ ë¹„ì˜·ìœ¼ë¡œ, 조선시대ì—는 눈ì´ë‚˜ 비가 올 때 ì‚¿ê°“ì„ ì“°ê³  ë„롱ì´ë¥¼ ë‘르고 나다녔다.
ì´ ìž‘í’ˆì€ ì•žì„œ ë°œê²¬ëœ ê°„ì†¡ë¯¸ìˆ ê´€ ì†Œìž¥ë³¸ì˜ ì •ì„ ì˜ <사문탈사ë„>와 ë¹„ìŠ·í•˜ë©´ì„œë„ ë‹¤ë¥¸ 몇 가지 조형ì , 미술사ì ì¸ íŠ¹ì§•ì„ ë³´ì—¬ 주고 있어서 주목ëœë‹¤. ë¬´ì—‡ë³´ë‹¤ë„ ê°„ì†¡ë¯¸ìˆ ê´€ ì†Œìž¥ë³¸ì˜ ì •ì„ ì˜ <사문탈사ë„>는 사찰 ë¬¸ì•žì„ ë°°ê²½ìœ¼ë¡œ ì¸ë¬¼ì„ 등장시키고 있지만, ì´ë²ˆì— ë°œê²¬ëœ <사문탈사ë„>는 ë¶€ê°ë²•으로 사찰 전체와 ê·¸ ì£¼ë³€ì„ í•œëˆˆì— ë³¼ 수 있ë„ë¡ êµ¬ì„±í•´ ë†“ì€ ê²ƒì´ í¬ê²Œ 다르며, 나아가 í™”ë©´ì— ë“±ìž¥í•˜ê³  있는 ì¸ë¬¼ë“¤ì˜ í¬ì¦ˆë‚˜ í¬ì§€ì…˜ë„ 사뭇 달ë¼ì„œ í¥ë¯¸ë¡­ê²Œ 다가온다.
과연 ì´ë²ˆì— ë°œê²¬ëœ ì •ì„ ì˜ <사문탈사ë„>ì— ë“±ìž¥í•˜ê³  있는 ì¸ë¬¼ì€ 누구ì´ë©° ì–´ëŠ ì‚¬ì°°ì„ ë°°ê²½ìœ¼ë¡œ 하고 있는 것ì¼ê¹Œ?
ì •ì„ ì€ <사문탈사ë„>를 여러 ì  ë‚¨ê²¼ë‹¤. ì´ì— 대해서는 ê°„ì†¡ë¯¸ìˆ ê´€ì†Œìž¥ì˜ <사문탈사ë„>ì— ìž¥ì²©ëœ ì •ì„ ê³¼ ì´ë³‘ì—°ì˜ íŽ¸ì§€ ë‚´ìš©ì—서 충분히 추정할 수 있다. ì˜ì¡° 17ë…„(1741) ê²¨ìš¸ì— ì–‘ì²œ 현령으로 있는 ì •ì„ ì—게 보낸 사천 ì´ë³‘ì—°ì˜ íŽ¸ì§€ì— ë‹¤ìŒê³¼ ê°™ì€ ê¸€ì´ ì í˜€ 있다.

ê°„ë°¤ì— ëˆˆì´ ë§Žì´ ì™”ëŠ”ë° ë¬¸ì•ˆì„ ëª» 드리는 죄송한 마ìŒì´ 있으니, ì •ì„  ìžë„¤ê°€ ë°”ì˜ê² ì§€ë§Œ <사문탈사ë„>를 좀 빨리 그려주길 ë°”ë¼ë„¤.

ê¶í•˜ê³  병든 몸ì´ë¼ 문안 못 드립니다. 다시 화제畵題를 ì¨ì„œ 보내드리는ë°, ‘사문탈사’는 í˜•ì´ ìµìˆ™í•œ 바입니다. 소를 타고 가신 율곡 ê³ ì‚¬æ•…äº‹ì˜ ë³¸ì‹œæœ¬è©¦ì—, 한 í•´ 저물고 ëˆˆì´ ì‚°ì„ ë®ëŠ”ë°, ë“¤ê¸¸ì€ í° ë‚˜ë¬´ 숲 ì†ìœ¼ë¡œ 나뉘어 간다. ë˜ ì‚¬ë¦½ë¬¸ 찾아가 늦게 ë‘드리고 ì하여 뵈니…갖춰 ì“°ì§€ 못하고 보내드리니 살펴보십시오.

ìœ„ì˜ íŽ¸ì§€ ë‚´ìš©ì—서 ë³´ë©´, í•­ìƒ ê·¸ëž˜ ì™”ë˜ ê²ƒì²˜ëŸ¼ ì´ë³‘ì—°ì€ ì •ì„ ì—게 ìžì—°ìŠ¤ëŸ½ê²Œ <사문탈사ë„>를 그려 달ë¼ê³  요청하고 있다. ì´ë¡œì¨ ì •ì„ ì´ <사문탈사ë„> ë¶„ë³¸ç²‰æœ¬ì„ ì‚¬ìš©í•˜ì—¬ ì ì§€ 않게 반복ì ìœ¼ë¡œ 그려냈ìŒì„ 알게 ëœë‹¤. ì´ë¥¼ 뒷받침해주듯 다ìŒê³¼ ê°™ì€ ëª‡ëª‡ ìžë£Œê°€ 전하고 있다. 1755ë…„ 8ì›”ì— ì™„ì„±ëœ ì„í•´ë³¸ä¹™äº¥æœ¬ì¸ <사문탈사ë„>ì—는 ì±„ìƒ‰ì„ ì œì™¸í•œ 먹선 만으로 그려져 전하고 있는ë°, 나무나 ì§€ë¶•ì˜ ì„ , ì¸ë¬¼ 옷 ë“±ì´ ì•žì„  <사문탈사ë„>(간송미술관소장) 채색본과 ê±°ì˜ ìœ ì‚¬í•˜ë‹¤. 그리고 ì„í•´ë³¸ì¸ <사문탈사ë„> ë¶„ë³¸ì´ ë§¤ìš° 거친 ì†í•„로 구사ë˜ì–´ ìžˆëŠ”ë° ì´ëŠ” ì•„ë§ˆë„ ì •ì„ ì´ ì‡„ë„하는 ëŒ€ëŸ‰ì˜ ìˆ˜ì‘화를 ì‹ ì†í•˜ê²Œ 제작, 완성하기 위한 ë°©ë²•ì´ ì•„ë‹ˆì—ˆì„까 싶다.


02. 관아재 ì¡°ì˜ì„, <ì†¡í•˜ê³ ì‚¬ë„æ¾ä¸‹é«˜å£«åœ–>

관아재 ì¡°ì˜ì„(觀我齋 趙榮ç¥, 1686-1761)ì€ ë†’ì€ ê´€ì§ì„ 지내진 못했지만 시, 서, í™” 삼절로 ì„ ë¹„ì˜ ì²­ë¹ˆí•œ ì‚¶ê³¼ í’류를 ì¦ê¸´ 작가로 산수ì¸ë¬¼í™”ì— ëŠ¥í–ˆëŠ”ë° íŠ¹ížˆ ìžì‹ ì˜ ì‚¶ì„ ë°˜ì˜í•œ <설중방우雪中訪å‹>나 <유ìŒë‚©ëŸ‰æŸ³é™°ç´å‡‰>ê³¼ ê°™ì€ ìž‘í’ˆì´ ë‹¹ëŒ€ë¶€í„° ë†’ì€ í‰ê°€ë¥¼ 받았다.
ì´ë²ˆì— ë°œê²¬ëœ ì¡°ì˜ì„ì˜ <송하고사ë„>는 치밀한 구ë„와 조화롭고 ì•ˆì •ê° ìžˆëŠ” 필치가 ë‹ë³´ì´ëŠ” 그림ì´ë‹¤. ìžì¹« 단조롭게 보여질 수 있는 분위기를 뛰어난 필력으로 살려냈고. ì†ë„ê° ìžˆëŠ” 유려한 í•„ì¹˜ì˜ ì¸ë¬¼ 묘사가 신비ê°ì„ 드러내고 있다.
소나무는 세한삼우歲寒三å‹ë‚˜ 십장ìƒåé•·ç”Ÿì˜ í•˜ë‚˜ë¡œ 문ì¸ì´ë‚˜ ì„ ë¹„ë“¤ì˜ ì‚¬ëž‘ì„ ë°›ì•„ì™”ìœ¼ë©° 소나무 ì•„ëž˜ì— ë°°ì¹˜ë˜ëŠ” ì¸ë¬¼ì€ ì‹ ì„ ì´ë‚˜ 고승, ì€ì¼ìžë‚˜ 선비 등으로 중국 남ë¶ì¡°ì‹œëŒ€ 죽림칠현竹林七賢으로 대표ë˜ëŠ” ì€ì¼, í˜¹ì€ ì‚¬ìƒê°€ë“¤ì´ 나무 아래ì—서 ì„±ë„æˆé“를 ì´ë£¬ 것처럼 ì´ë“¤ 역시 청빈하게 ì‚´ë©° 수행하는 ê²ƒì„ í¬ë§í–ˆë‹¤.


03. 죽리 ë°•ë™ë³´, <ì‹ ì„ ë„神仙圖>

ì´ë²ˆì— ë°œê²¬ëœ ì£½ë¦¬ ë°•ë™ë³´(竹里 æœ´æ±æ™®, 1665-1729ì´í›„?)ì˜ <ì‹ ì„ ë„>는 ì•ˆì •ê° ìžˆëŠ” 공간 구성력, 용필과 ìš©ë¬µë²•ì˜ ëŠ¥ìˆ™í•œ ì‚¬ìš©ì„ ë³´ì—¬ì£¼ê³  있다.
다시 ë§í•´ ë°•ë™ë³´ì˜ <ì‹ ì„ ë„>ì—서는 ë¹„ë¡ ì†Œí’ˆìž„ì—ë„ ì›…ìž¥í•˜ê²Œ ëŠê»´ì§€ëŠ” 화면구성과 거침없는 í•„ë ¥ 등ì—서 매우 뛰어난 ê¸°ëŸ‰ì„ ë³´ì¸ë‹¤. 안휘준 êµìˆ˜ëŠ” 작가가 ì¡°ì„  중기 í™”í’ì„ ê³„ìŠ¹í•˜ê³  있어서, ìž‘í’ˆì˜ í•™ìˆ ì  ê°€ì¹˜ê°€ 높으며 특히 18세기 절파 계통 ì—°êµ¬ì— í° ë³´íƒ¬ì´ ë  ê²ƒì´ë¼ ë§í•˜ê³  있다.
í™”í­ì—는 산세가 높고 깊게 ëŠê»´ì§€ë©° 화면 ì¤‘ì‹¬ë¶€ì— ë“±ìž¥ì‹œí‚¨ ì¸ë¬¼ì´ ì‚°ì„¸ì— ì·¨í•œ 듯 ìžìœ ë¡­ë‹¤. 즉 신선으로 ë³´ì´ëŠ” ì¸ë¬¼ì´ 편안하게 다리를 ê¼° ìžì„¸ë¡œ 누워 ì±…ì„ ì½ê³  있고 있으며, ì´ì œ 방금 ë™ìžê°€ ì°¨ 주전ìžë¥¼ 비롯한 차세트를 ë“±ì— ì§€ê³  다리를 건너오고 있다. 우측 ìƒë‹¨ìœ¼ë¡œë¶€í„° ‘칠십사세노ì¸í•„중리七å四歲è€äººç­†ç«¹é‡Œâ€™ë¼ê³  ì í˜€ 있어서, 죽리 ë°•ë™ë³´ê°€ 74ì„¸ì— ê·¸ë¦° <ì‹ ì„ ë„>ë¼ëŠ” ê²ƒì„ ì•Œê²Œ ëœë‹¤.


04. 남리 ê¹€ë‘량, <운룡ë„雲é¾åœ–>

ì´ë²ˆì— ë°œê²¬ëœ ë‚¨ë¦¬ ê¹€ë‘량(å—里 金斗樑, 1696-1763)ì˜ <운룡ë„>는 í”치 ì•Šì€ ìž‘í’ˆìœ¼ë¡œ, 대담한 발묵법潑墨法으로 처리한 ì¹ í‘ê°™ì´ ì–´ë‘ìš´ 운무를 배경으로 ì—¬ì˜ì£¼ë¥¼ 거머ì¥ê¸° 위해 조화를 부리는 ìš©ì˜ ëª¨ìŠµì—서 ê·¸ì˜ ê¸°ëŸ‰ì´ ì—¿ë³´ì¸ë‹¤. ì´ì™€ ê°™ì€ <운룡ë„>는 대체로 ìš©ì´ êµ¬ë¦„ì„ ì¼ìœ¼ì¼œ 비를 내리게 하는 조화를 부린다하여 가뭄 때 기우제를 지내기 위해 ì‚¬ìš©í–ˆì„ ê²ƒìœ¼ë¡œ 본다.
í™”í­ì„ ë³´ë©´ ìœ¤ê³½ì„ í•„ì„ ë³´ë‹¤ ë¨¹ì˜ ì™¸ìš´å¤–æšˆìœ¼ë¡œ ë‚˜íƒ€ëƒˆëŠ”ë° ì§™ì€ ë†ë¬µìœ¼ë¡œ ì²˜ë¦¬ëœ êµ¬ë¦„ê³¼ ê±°ì¹¨ì—†ì´ ê·¸ë ¤ë‚¸ ìš©ì˜ ëª¨ìŠµì´ í•˜ë‚˜ ë˜ì–´ 세찬 기세가 ëŠê»´ì§„다. ë†ë¬µìœ¼ë¡œ ê³¼ê°í•˜ê²Œ 처리한 ìš´ë¬´ì— ë¹„í•´ ìš©ì˜ ëˆˆ, ì½”, ìž…, ëª¸ì˜ ë¹„ëŠ˜ê³¼ 발톱 ë“±ì€ ë¹„êµì  섬세하게 그려냈다는 ì ì´ 매우 ë‹ë³´ì¸ë‹¤. 지금까지 ë°œê²¬ëœ ê·¸ì˜ ìž‘í’ˆ ê°€ìš´ë° ì´ì²˜ëŸ¼ 실ê°ë‚˜ëŠ” 예는 매우 드물다. 다만 ì´ë²ˆ 작품과 ê°™ì´ ìˆ˜ë¬µ 위주로 ì²˜ë¦¬ëœ í˜•ìƒì€ 남송대 ì„ ì¢…í™”ì˜ ì˜í–¥ì„ ê°ì§€í•˜ê²Œ 하는ë°, 《고씨화보顧æ°ç•µè­œã€‹ì— 실려 있는 송대 ì§„ìš©é™£å®¹ì˜ <구룡ë„>ì—서 ì´ëŸ¬í•œ ìœ í˜•ì„ ì°¾ì•„ ë³¼ 수 있겠다.


05. 현재 심사정, <금니화조ë„金泥花鳥圖>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 1707-1769)ì€ ì‚°ìˆ˜ë¥¼ 잘 그려 ì •ì„ ê³¼ 함께 겸현양재謙玄兩齋로 ì†ê¼½í˜”으며, 꽃과 새 그림 역시 아주 잘 그렸다. ê°™ì€ ì‹œëŒ€ì— í™œë™í•˜ì˜€ë˜ ê°•ì„¸í™©ì€ ì‹¬ì‚¬ì •ì„ ì¼ì»¬ì–´ ‘가장 잘하는 ê²ƒì´ í™”í›¼ì™€ 초충, ì˜ëª¨ç¿Žæ¯›(새와 ì§ìй ë“±ì„ ì†Œìž¬ë¡œ 그린 그림)였으며 ê·¸ 다ìŒì´ 산수였다’고 ë§í•œ ë°” 있다.
ì´ë²ˆì— ë°œê²¬ëœ í˜„ìž¬ ì‹¬ì‚¬ì •ì˜ <금니화조ë„>는 ì•„êµì— ê°  금니金泥로 그린 새 그림ì´ë‹¤. 새가 ë‚˜ë¬´ì— ì•‰ì•„ 무언가를 ì‘시하고 있는 ìˆœê°„ì„ ëŠ¥ìˆ™í•˜ê³  대범한 ë¶“ ìžêµ­ìœ¼ë¡œ 절묘하게 그려냈다. 좌측 중앙으로는 현재ë¼ëŠ” 관서와 선명하지는 않지만 ì¸ìž¥ì´ ì°í˜€ 있다. 알다시피 새 ê·¸ë¦¼ì€ ë³´í†µ ì§ì„ ì´ë£¨ì–´ 그리는ë°, ì‹¬ì‚¬ì •ì€ ì–´ë–¤ ì´ìœ ì—서ì¸ì§€ëŠ” 몰ë¼ë„ 외롭게 ë³´ì´ëŠ” 새를 등장시켜 묘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다. ì•„ë§ˆë„ ì‹¬ì‚¬ì •ì˜ <금니화조ë„>는 온갖 í’ìƒì„ ê²ªì€ ë’¤ ì´ˆì›”ì˜ ê²½ì§€ì— ë‹¤ë‹¤ë¥¸ ì‹¬ì‚¬ì •ì˜ ë§ˆìŒì„ 표현한 ê²ƒì´ ì•„ë‹Œê°€ 싶다.


06. 소선 오위(중국 ëª…ë‚˜ë¼ ìž‘ê°€), <산수ë„山水圖>

ì´ë²ˆì— ë°œê²¬ëœ <산수ë„> 7ì ê³¼ <화조ë„> 3ì ì€ 명대 ì ˆíŒŒæµ™æ´¾ì˜ ì ˆì •ê¸°ë¥¼ ì´ëˆ 화가 소선å°ä»™ 오위(å³å‰, 1459∼1508)ì˜ ìž‘í’ˆìœ¼ë¡œ 추정ëœë‹¤.
소선å°ä»™(ìž‘ì€ ì‹ ì„ ) 오위å³å‰ê°€ 누구ì¸ê°€? 그는 16세기 ëª…ë‚˜ë¼ í™”ë‹¨ì„ ì„권했으며 ì¼ì„¸ë¥¼ í’미했다. 그는 ëŒ€ì§„æˆ´é€²ì˜ í™”ë²•ì„ ì´ì–´ë°›ì€ ì ˆíŒŒê³„ì˜ ëŒ€í‘œì ì¸ 화가로, ì´ë²ˆì— ë°œê²¬ëœ ì ˆíŒŒí’ì˜ ì‚°ìˆ˜í™” 7ì ì€ ëª¨ë‘ ê·¸ì˜ í™”í’ì„ ìž˜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화면 êµ¬ì„±ì— ìžˆì–´ì„œëŠ” 대부분 ë§ˆí•˜íŒŒì˜ ì˜í–¥ì„ ë°›ì€ ë“¯ 좌나 우로 치우친 ì¼ê°êµ¬ë„를 취하고 있다. ë˜í•œ ê·¸ì˜ ìž‘í’ˆìœ¼ë¡œ ì§ìž‘ë˜ëŠ” 화조화 역시 ì›ì²´í™”í’ì„ ë‹®ì•„ 있어 í¥ë¯¸ë¡­ê²Œ 받아들여진다.
ê·¸ì˜ ì‚°ìˆ˜í™” 7ì ì„ 살펴보면 주요ì¸ë¬¼ê³¼ 나뭇가지 그리고 ì‚°ê³¼ 바위는 ì ˆíŒŒê³„ì˜ íŠ¹ì§•ì¸ ì¶¤ì¶”ëŠ” ë‚œì‹œì¤€äº‚æŸ´çš´ì˜ ì„  즉, 즉í¥ì ì´ë©´ì„œë„ ìžìœ ë¡œìš°ë©´ì„œë„ 현란한 선으로 ê²½ë¬¼ì„ í‘œí˜„í•˜ê³  있다. 주요 ì œìž¬ì¸ ì‚°ê³¼ 바위는 거칠게 표현ë˜ì–´ ì ë§‰í•˜ê²Œ ë³´ì´ë©°, ë‚˜ë­‡ê°€ì§€ë“¤ì€ ì´ë¦¬ì €ë¦¬ í—í´ì–´ì ¸ 있어서 매서운 ë°”ëžŒì´ ë¶€ëŠ” 것처럼 ë³´ì¸ë‹¤. 소선 오위는 ì´ì™€ ê°™ì€ í™”í­ì˜ ê²½ë¬¼ì„ ìˆ˜ë¬µì˜ ë†ë‹´ìœ¼ë¡œ ìžìœ ë¡­ê²Œ 처리하였으며 때로는 ë¶“ì„ ëˆ•í˜€ ë‘í…게 긋는 부벽준으로 ë¬˜ì‚¬í•˜ê¸°ë„ í–ˆë‹¤.
ì´ë ‡ë“¯ ê·¸ì˜ ì‚°ìˆ˜í™”ëŠ” ì–´ë–¤ 격ì‹ì´ 있는 묘사 ë°©ì‹ì´ë¼ê¸°ë³´ë‹¤ 즉í¥ì ì¸ ë¶“ì˜ ì¶¤ì¼ ë¿ì´ë©°, 규정할 수 없는 ìžìœ ë¡­ê³  빠르고 어지럽게 휘날리는 기운ìƒë™ì˜ í™”ë©´ì„ ì—°ì¶œí•˜ê³  있다.
ì´ë¡œì¨ ë³´ë©´ 오위는 ë§Žì€ ë¶€ë¶„ì—서 ëŒ€ì§„ì„ ê³„ìŠ¹í–ˆì§€ë§Œ, ê·¸ì˜ ë¶“ì€ ëŒ€ì§„ë³´ë‹¤ 훨씬 ìžìœ ë¡­ê³  빠르고 ë°©ì¼í•˜ë‹¤.
ë§Žì€ í™”ê°€ë“¤ì´ ì˜¤ìœ„ì˜ í™”í’ì„ ì¶”ì¢…í•˜ê³  ê°ìžì˜ ë°©ì‹ìœ¼ë¡œ ë°œì „ì‹œì¼œë‚˜ê°”ëŠ”ë° ê·¸ 중 대표ì ì¸ ì¸ë¬¼ì´ 장로, 장숭, 종례, 정문림 등ì´ì—ˆë‹¤. ì´ë“¤ì€ 절파 ë§ê¸°ë¥¼ ì´ë£¨ëŠ”ë° í›—ë‚  광태사학파狂態邪學派ë¼ëŠ” 다분히 부정ì ì´ë©° ì¡°ë¡±ì¡°ì˜ ì´ë¦„으로 불리게 ëœë‹¤. ê·¸ë“¤ì€ ì˜¤ìœ„ì˜ í›„ê³„ìžë“¤ì´ë‹¤.
한편 깊게 ìƒê°í•˜ê³  연구ë˜ì–´ì•¼ í•  ê²ƒì€ ì˜¤ìœ„ ìž‘í’ˆì¸ ê²ƒì€ í™•ì‹¤í•˜ê²Œ 여겨지지만 ê·¸ì˜ 7ìž‘í’ˆì— ì“°ì¸ ê´€ì„œë‚˜ ì¸ìž¥ì´ ë‹¬ë¼ ì˜ì‹¬ì´ ë˜ê¸°ë„ 한다. ì´ì— 대해 ê¹€ì˜ë³µ KBS 진품명품 ê°ì •위ì›ì€ ‘오위는 호가 소선少仙으로 ë„리 알려져 있지만 ì •ì•”, 오세ì€, 광명, 사선 등으로 ì“°ê¸°ë„ í–ˆì„ ê²ƒìœ¼ë¡œ ì§ìž‘ë˜ë©°, ì–´ë–¤ 작품ì—는 ì¸ìž¥ì´ í¬ê²Œ ì°í˜€ 있는 것으로 ë³´ì•„ ìˆ˜ìž¥ê°€ì˜ ì¸ìž¥ìœ¼ë¡œ ë³´ì—¬ 진다’ë¼ê³  ë§í•˜ê³  있다.


글 김용권 (겸재정선미술관 관장) 사진 겸재정선미술관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