ê²°ì‚° 2022 민화계 ë™í–¥ ì´ì •리

혹ë…한 ê²¨ìš¸ì„ ê¸°ë‹¤ë¦° 매화가 진한 í–¥ì„ ë‚´ë¿œë“¯ 2022ë…„ 민화 í™”ë‹¨ì€ ì½”ë¡œë‚˜19 팬ë°ë¯¹ìœ¼ë¡œ ë¯¸ë¤„ë’€ë˜ ëŒ€í˜• ê¸°íš ì „ì‹œë¿ ì•„ë‹ˆë¼ ê²½ì£¼ë¯¼í™”í¬ëŸ¼, 대한민국민화아트페어 등 êµµì§í•œ ì´ë²¤íŠ¸ë¥¼ 재개하며 한층 ë†ìµì€ ê¸°ëŸ‰ì„ ì„ ë³´ì˜€ë‹¤. ì—¬ê¸°ì— ë¯¼í™”ìž¥ ì„ ì • 소ì‹, ìš°í˜„í•™ìˆ ìƒ ìˆ˜ìƒ ì†Œì‹ ë“± 민화 화단 ì•ˆíŒŽì„ ë“¤ì©ì´ê²Œ 한 경사까지, 민화계는 ì™¸ì—°ì„ í™•ìž¥í•´ê°€ë©´ì„œë„ ë‚´ì‹¤ì„ ë”ìš± 탄탄히 다져가는 모습ì´ë‹¤. ë§Žì€ ì´ë“¤ì˜ ê°€ìŠ´ì— ê¹Šì€ í–¥ì·¨ë¥¼ 남긴 우리 민화, 설렘과 ê°ë™ì´ êµì°¨í–ˆë˜ 2022ë…„ 한 해를 ë˜ëŒì•„본다.

정리 월간민화 편집팀


PART 1. 2022 민화계 주요 ì´ìŠˆ

ë¯¼í™”ì˜ ê¸°ì„¸ê°€ 심ìƒì¹˜ 않다. 현대 민화 ìž‘ê°€ë“¤ì´ ëŒ€ê±° 참여한 국립현대미술관 특별전 <ìƒì˜ 찬미>부터 민화 서ì ìœ¼ë¡œ ì´ë¤„낸 ìš°í˜„í•™ìˆ ìƒ ìˆ˜ìƒ ì†Œì‹ê¹Œì§€, 민화는 ‘민화 í™”ë‹¨â€™ì„ ë„˜ì–´ 미술계 전반으로 í™œë™ ì˜ì—­ì„ 차츰 넓혀가는 모습ì´ë‹¤.


국립현대미술관 채색화 특별전 <ìƒì˜ 찬미> ì „ê²½



국립춘천박물관 개관 20주년 특별전 <미물지ìƒ, 옛 풀벌레 그림 ì† ì„¸ìƒ> ì „ê²½


ISSUE 1. êµ­ë¦½ë¯¸ìˆ ê´€Â·ë°•ë¬¼ê´€ì˜ í˜„ëŒ€ 민화 전시

수 ë…„ ì‚¬ì´ ì „êµ­ ë°•ë¬¼ê´€Â·ë¯¸ìˆ ê´€ì´ ë¯¼í™”ê¸°íšì „ì„ í•œì¸µ 활발히 여는 가운ë°, 올해ì—는 êµ­ë¦½ë°•ë¬¼ê´€Â·ë¯¸ìˆ ê´€ì´ í˜„ëŒ€ 민화를 대대ì ìœ¼ë¡œ 조명한 특별기íšì „ì„ ê°œìµœí•´ í° ì£¼ëª©ì„ ë°›ì•˜ë‹¤. 특히 국립현대미술관(관장 윤범모)ì´ êµ­ë¦½í˜„ëŒ€ë¯¸ìˆ ê´€ 과천ì—서 개최한 채색화 기íšì „ <ìƒì˜ 찬미>는 민화 í™”ë‹¨ì„ ë„˜ì–´ 한국 미술계ì—서 í•«ì´ìŠˆë¡œ 떠올ëžë‹¤. 한국 미술사ì—서 오랜 기간 ì†Œì™¸ë¼ ì™”ë˜ ì „í†µ 채색화를 재조명하는 과정ì—서 민화와 불화 ë“±ì„ í¬ê´„한 íŒŒê²©ì  êµ¬ì„±ì´ ìŸì ìœ¼ë¡œ 떠올ëžë˜ 것. ì¼ë¶€ 비í‰ê°€ë“¤ì€ ‘채색화’ë¼ëŠ” 용어 ë° ê¸°íšì˜ 모호함 ë“±ì„ ì´ìœ ë¡œ 해당 전시를 혹í‰í•˜ê¸°ë„ 했지만 <ìƒì˜ 찬미>는 민화를 í¬í•¨í•œ 전통 ì±„ìƒ‰í™”ì˜ ë†€ë¼ìš´ 저력과 ìž ìž¬ë ¥ì„ ëŒ€ëŒ€ì ìœ¼ë¡œ 선보였다는 ì , 나아가 한국 ë¯¸ìˆ ì‚¬ì— ëŒ€í•œ ë‹´ë¡ ì„ í™œë°œížˆ ì´ëŒì–´ëƒˆë‹¤ëŠ” ì ì—서 ê°ë³„한 ì˜ë¯¸ë¥¼ 갖는다.
국립춘천박물관(관장 김울림)ì€ ê°œê´€ 20주년 특별전 <미물지ìƒå¾®ç‰©ä¹‹ç”Ÿ, 옛 풀벌레 그림 ì† ì„¸ìƒ>ì„ ê°œìµœí–ˆë‹¤. 풀벌레 ê·¸ë¦¼ì„ í…Œë§ˆë¡œ ì—° 해당 전시ì—서는 옛 유물ë¿ë§Œ ì•„ë‹ˆë¼ í˜œì§„ 작가와 콜ë¼ë³´ë ˆì´ì…˜í•œ 타ì´í‹€ë²½, 그가 그린 현대 민화 작품 7ì ì„ 선보였다. 풀벌레로 ì€ìœ í•œ ìžì—°, 나아가 ì „í†µë¬¸í™”ì™€ì˜ ê³µì¡´ì— ëŒ€í•´ ìƒê°í•  수 있는 ìžë¦¬ì˜€ë‹¤.


ISSUE 2. 한국민화학회 발행 《한국민화》, í•œêµ­ì—°êµ¬ìž¬ë‹¨ì˜ 2022ë…„ ì‹ ê·œ 등재후보 학술지로 ì„ ì •

한국민화학회(유미나)ì—서 발행하는 《한국민화》가 í•œêµ­ì—°êµ¬ìž¬ë‹¨ì˜ 2022ë…„ ì‹ ê·œ 등재후보 학술지로 ì„ ì •ë다. 국가가 ì¸ì¦í•˜ëŠ” 등재지로 ì„ ì •ë다는 ê²ƒì€ ë¯¼í™” ì—°êµ¬ì˜ í•™ìˆ ì  ê°€ì¹˜ë¥¼ ê³µì¦í•˜ê³ , 향후ì—ë„ ì§€ì†ì ìœ¼ë¡œ 우수한 ì¸ìž¬ì™€ 연구 ìžë£Œë“¤ì„ 확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는 ì ì—서 ê°ë³„한 ì˜ë¯¸ë¥¼ 갖는다.

《한국민화》 15, 16호

유미나 한국민화학회 íšŒìž¥ì€ 3ë…„ ì „ ì œ7대 회장으로 ì„ ì •ë  ë‹¹ì‹œ 주요 공약으로 ‘《한국민화》 등재지 등ë¡â€™ì„ ë‚´ê±´ ë°” 있다. 수 ë…„ê°„ 학회 ìž„ì›ì§„들과 ëœ»ì„ ëª¨ì•„ 고군분투한 ëì— ê³µì•½ì„ ì‹¤í˜„í•˜ëŠ” 쾌거를 달성한 것.
등재제ë„란 êµ­ë‚´ 학술지를 심사·í‰ê°€í•˜ì—¬ ì¼ì • 수준 ì´ìƒì„ 충족하는 í•™ìˆ ì§€ì— í•œí•´ KCI(한국학술지ì¸ìš©ìƒ‰ì¸)ì— ë“±ìž¬í•˜ëŠ” (우수)등재·등재후보학술지로 ì„ ì •, 해당 í•™ìˆ ì§€ì˜ í’ˆì§ˆê³¼ 가치를 ì¸ì¦í•˜ê³  연구 ìžë£Œë¥¼ 체계ì ìœ¼ë¡œ 관리하는 ì œë„ì´ë‹¤. ë•Œë¬¸ì— ë“±ìž¬ì§€ì— ê¸°ê³ í•˜ëŠ” í•™ìž ë° ì—°êµ¬ìžëŠ” í•™êµ ë° ì†Œì† ê¸°ê´€ì—서 진행하는 심사 등ì—서 ê°€ì ì„ 받게 ëœë‹¤. ‘등재지’가 실력파 연구ìžë“¤ì˜ 매체ì´ìž 플랫í¼ì´ ë˜ëŠ” ì…ˆ. ì¼ë°˜í•™ìˆ ì§€ê°€ 처ìŒìœ¼ë¡œ ë“±ìž¬ì œë„ ì‹¬ì‚¬ë¥¼ 통과할 경우 등재후보지로 ì„ ì •ë˜ë‚˜ 등재지와 ê·¸ íš¨ë ¥ì€ ë™ì¼í•˜ë‹¤. ì¼ì • ê¸°ê°„ì´ ì§€ë‚œ ì´í›„ 등재후보지가 심사를 통과하면 등재지로 ì„ ì •ëœë‹¤. 유미나 íšŒìž¥ì€ â€œë“±ìž¬ì§€ë¥¼ 준비하며 재정비한 ì‹œìŠ¤í…œì„ ë°”íƒ•ìœ¼ë¡œ ë‚´ì‹¤ì„ ë‹¤ì§€ê³ , 민화 ì—°êµ¬ì˜ í•™ìˆ ì  ê°€ì¹˜ë¥¼ ë“œë†’ì¼ ìˆ˜ 있ë„ë¡ ë…¸ë ¥í•  것â€ì´ë¼ê³  ë§í–ˆë‹¤.


한국민화학회가 지난 9ì›”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ì—서 개최한 2022ë…„ 한국민화학회 추계 학술대회 ì „ê²½


ISSUE 3. ì •ê·€ìž, 서울시무형문화재 ì œ18호 민화장으로 ì„ ì •

1980년부터 민화 ì „ìŠ¹ì„ ìœ„í•´ 노력해온 ì•„ë¡ ì •ê·€ìž(예명 정승í¬) 작가가 민화계 ìµœì´ˆì˜ ë¯¼í™”ìž¥æ°‘ç•µåŒ ì´ìž ìŠ¤ìŠ¹ì¸ æ•…ê¹€ë§Œí¬ í™”ë°±ì˜ ë’¤ë¥¼ ì´ì–´ 서울시무형문화재 ì œ18호 민화장으로 ì„ ì •ë˜ì—ˆë‹¤. 서울시는 ì •ê·€ìž ìž‘ê°€ë¥¼ 민화장으로 선정한 ì´ìœ ì— 대해 â€˜ë¯¼í™”ì˜ íŠ¹ì„±ì„ ì¶©ë¶„ížˆ ì´í•´í•˜ê³  있고 ì´ë¥¼ 현대ì ìœ¼ë¡œ 계승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민화장 ë³´ìœ ìž ê¹€ë§Œí¬ ì„ ìƒì˜ 수제ìžë¡œì„œ 후진 양성과 í•™ìˆ ì  ì—°êµ¬ì— íž˜ì¨ì˜¨ ì ì´ ì¸ì •ëœë‹¤â€™ê³  ë°í˜”다. ë¯¼í™”ìž¥ì˜ ì¡´ìž¬ ìžì²´ê°€ ë¯¼í™”ì˜ ì†Œì¤‘í•œ 가치를 ê³µì¦í•œë‹¤ëŠ” ì ì—서 ì •ê·€ìž ìž‘ê°€ê°€ 민화장으로 ì„ ì •ëœ ê²ƒì€ ë¯¼í™” 화단 ì „ì²´ì˜ ê²½ì‚¬ì´ê¸°ë„ 하다.


서울시무형문화재 ì œ18호 민화장으로 ì„ ì •ëœ ì •ìŠ¹í¬ ìž‘ê°€



ìœ¤ì§„ì˜ í•œêµ­í•™ì¤‘ì•™ì—°êµ¬ì› í•œêµ­í•™ì‚¬ì „íŽ¸ì°¬ë¶€ 부장

ISSUE 4. 윤진ì˜, 저서 ã€Šë¯¼í™”ì˜ ì‹œëŒ€ã€‹ë¡œ ì œ35회 ìš°í˜„í•™ìˆ ìƒ ìˆ˜ìƒ

ìœ¤ì§„ì˜ í•œêµ­í•™ì¤‘ì•™ì—°êµ¬ì› í•œêµ­í•™ì‚¬ì „íŽ¸ì°¬ë¶€ ë¶€ìž¥ì´ ì €ì„œ ã€Šë¯¼í™”ì˜ ì‹œëŒ€ã€‹ë¡œ ì œ35회 우현학술ìƒì„ 수ìƒí–ˆë‹¤. ã€Šë¯¼í™”ì˜ ì‹œëŒ€ã€‹ëŠ” ë¯¼í™”ì˜ í˜•ì„±ê³¼ 발전 과정, ê¶ì¤‘화와 ë¯¼í™”ì˜ ê´€ê³„ ë“±ì„ ì‹¤ì¦ì ìœ¼ë¡œ ë¶„ì„하고 정리한 민화 개론서ì´ë‹¤. ìš°í˜„í•™ìˆ ìƒ ì‹¬ì˜ìœ„ì›íšŒëŠ” 수ìƒìž ì„ ì • ë°°ê²½ì— ëŒ€í•´ ‘정보 부재로 ì—°êµ¬ì— ì–´ë ¤ì›€ì´ ìžˆì—ˆë˜ ë¯¼í™” 부문ì—서 실ì¦ì  근거 ë“±ì„ í†µí•´ í•™ìˆ ì  ì—°êµ¬ì˜ ë°ì€ ì „ë§ì„ 보여주었다’고 전했다. 그가 미술사학계ì—서 권위 있는 ìƒìœ¼ë¡œ ì†ê¼½ížˆëŠ” 우현학술ìƒì„ 수ìƒí•œ ê²ƒì€ ë¯¼í™” 연구 ë¶€ë¬¸ì˜ ë°œì „ê³¼ ê°€ëŠ¥ì„±ì„ ì œì‹œí–ˆì„ ë¿ ì•„ë‹ˆë¼ ë¯¼í™”ê³„ì˜ ìœ„ìƒì„ 드높였다는 ì ì—서 ëœ»ê¹Šì€ ì¼ì´ë‹¤.


ISSUE 5. 대한민국민화아트페어 3ë…„ ë§Œì— ìž¬ê°œ

êµ­ë‚´ 유ì¼ì˜ 민화 전문페어 ‘대한민국민화아트페어’가 ë°©ë¬¸ê° 2ë§Œì—¬ëª…ì„ ë‹¬ì„±í•˜ë©° 성료ë다. 월간민화와 (사)한국민화협회가 ê³µë™ìœ¼ë¡œ 주최한 ì œ4회 대한민국민화아트페어는 코로나19 팬ë°ë¯¹ìœ¼ë¡œ 3ë…„ë§Œì— ê°œìµœëìŒì—ë„ ë¶ˆêµ¬í•˜ê³  ë†’ì€ ê´€ì‹¬ê³¼ 활기찬 분위기ì—서 ì§„í–‰ë다. 페어ì—는 500ì—¬ ëª…ì˜ ìž‘ê°€ê°€ 140ì—¬ ê°œì— ì´ë¥´ëŠ” 부스를 통해 다채로운 민화 ìž‘í’ˆë“¤ì„ ì„ ë³´ì˜€ë‹¤.
íŒë§¤ëœ ìž‘í’ˆì„ ë¶„ì„해본 ê²°ê³¼ 전통민화와 ì°½ìž‘ë¯¼í™”ì˜ íŒë§¤ ë¹„ì¤‘ì€ ë¹„ìŠ·í–ˆë‹¤. ì´ ê°€ìš´ë° ì°½ìž‘ë¯¼í™”ì˜ ê²½ìš° 그림 전체를 블루톤으로 완성한 작품, ë§ì„ 소재로 ì‚¼ì€ ìž‘í’ˆ, 현대ì ìœ¼ë¡œ 재해ì„ëœ ì±…ê±°ë¦¬ 등 ìž‘ê°€ë§Œì˜ ì‹œê·¸ë‹ˆì²˜ 컬러나 주력 소재가 í•œëˆˆì— ë“œëŸ¬ë‚œ ìž‘í’ˆì´ í° ì¸ê¸°ë¥¼ ëŒì—ˆë‹¤. 민화굿즈 역시 많게는 수 ë°±ì ì´ íŒë§¤ë˜ë©° 완íŒì„ 기ë¡í•  ì •ë„로 ë°˜ì‘ì´ ëœ¨ê±°ì› ë‹¤. 작품과 마찬가지로 ì°¨ë³„í™”ëœ ì»¨ì…‰, 10ë§Œ ì›ì„ 넘지 않는 부담 없는 ê°€ê²©ì˜ êµ¿ì¦ˆê°€ 관람ê°ì˜ 마ìŒì„ 사로잡았다.


제4회 대한민국민화아트페어 전경



민화ì›ì—서 ì„ ë³´ì¸ ë¯¼í™” 복주머니 ìƒí’ˆ



전소언, <ëª¨ëž€ì„œê°€ì˜ ìˆ², 2021>, 지본채색, 봉채, 분채, 140×75ãŽ


ISSUE 6. ì‹ ì˜ìˆ™Â·ì´ê²½ì£¼, ì œ2회 월간민화 어워즈 수ìƒ

월간민화는 민화계 ë°œì „ì„ ìœ„í•´ 헌신ì ìœ¼ë¡œ 노력해온 민화ì¸ì— 대한 ê²½ì˜ë¥¼ í‘œí•˜ê³ ìž ì§€ë‚œí•´ ‘월간민화 어워즈’ 시ìƒì œë„를 신설하여 ìš´ì˜í•´ì˜¤ê³  있다. 월간민화 창간 8주년 기ë…ì‹ì—서 월간민화 어워즈 시ìƒì‹ì´ 열렸으며 ì‹ ì˜ìˆ™ (사)한국전통민화협회 ì´ì‚¬ìž¥ì´ â€˜ì˜¤ëŠ˜ì˜ ê³µë¡œìƒâ€™ì„, ì´ê²½ì£¼ 작가가 â€˜ì˜¤ëŠ˜ì˜ ìž‘ê°€ìƒâ€™ì„ 수ìƒí–ˆë‹¤. ì´ê²½ì£¼ 작가는 시ìƒì œë„ì˜ í›„ì›ì‚¬ì¸ 나마 갤러리ì—서 ì´ˆëŒ€ì „ì„ ê°œìµœí•  예정ì´ë‹¤.


(왼쪽부터) ì‹ ì˜ìˆ™ 작가, 유정서 월간민화 발행ì¸, ì´ê²½ì£¼ 작가


ISSUE 7. 송진ì„, 2022 ì„¤ì´Œìž¥í•™ìƒ ìˆ˜ìƒ

설촌창작민화연구회가 설촌회 장학사업 ì œ4회 수ìƒìžë¡œ ì†¡ì§„ì„ ìž‘ê°€ë¥¼ 선정했다. 최근 íƒ‘ì„ ì£¼ì œë¡œ ì¼ë ¨ì˜ 시리즈를 선보여온 ì†¡ì§„ì„ ìž‘ê°€ì—게 íƒ‘ì€ ê¸°ë³µê³¼ ê³µë•ì˜ ëŒ€ìƒì´ë‹¤. 즉, íƒ‘ì´ ë¯¼í™” ì† ì—¬ëŠ ê¸¸ìƒì†Œìž¬ì™€ 마찬가지로 í–‰ë³µì„ ì°¾ëŠ” ì‚¬ëžŒë“¤ì˜ ì—¼ì›ì„ 들어주는 매개체ì´ìž ì¡°í˜•ì½”ë“œì¸ ê²ƒ. 설촌창작민화연구회는 지난 11ì›” 19ì¼(토) 겸재정선미술관ì—서 ‘2022 창작민화가를 위한 장학금 시ìƒì‹â€™ì„ 개최하고 ì†¡ì§„ì„ ìž‘ê°€ì—게 ìƒíŒ¨ì™€ ìž¥í•™ê¸ˆì„ ì „ë‹¬í–ˆë‹¤. ì†¡ì§„ì„ ìž‘ê°€ëŠ” ë¶€ìƒìœ¼ë¡œ 갤러리보아ì—서 ì´ˆëŒ€ì „ì„ ì—´ê²Œ ëœë‹¤.





ISSUE 8. 월간민화, 지령 100호 ëŒíŒŒ

월간민화가 지난 7ì›” 지령誌齡 100호를 발간했다. 열악한 ì¶œíŒ í™˜ê²½ì—서 잡지를 꾸준히 발간한다는 ê²ƒì´ ê²°ì½” 쉬운 ì¼ì´ 아니기ì—, 지령 100호를 ëŒíŒŒí•œ ê²ƒì€ ì—¬ëŸ¬ëª¨ë¡œ í° ì˜ë¯¸ë¥¼ 갖는다. 유정서 월간민화 발행ì¸ì€ “월간민화가 여기까지 올 수 ìžˆì—ˆë˜ ê²ƒì€ ë¯¼í™”ë¥¼ 사랑하는 ìˆ˜ë§Žì€ ë§ˆìŒì´ 모여서 만들어낸 ì¼ì´ë‹¤. ë”ìš± ì¢‹ì€ ìž¡ì§€ë¥¼ 만들고 ë¯¼í™”ê³„ì˜ ë°œì „ì„ ìœ„í•´ ë” ì¹˜ì—´í•˜ê²Œ 고민하고, ë§Žì€ ë•€ì„ í˜ë¦´ ê°ì˜¤ë¥¼ í•  것â€ì´ë¼ê³  전했다.




PART 2. 2022 민화전시

지난해부터 다시 활기를 ë ê¸° 시작한 민화화단ì—서는 ê·¸ 여세를 몰아 올해ì—ë„ ëŒ€ëŒ€ì ìœ¼ë¡œ 전시를 개최하는 모습ì´ë‹¤. 특히 국내외 주요 ë°•ë¬¼ê´€Â·ë¯¸ìˆ ê´€ì„ ì¤‘ì‹¬ìœ¼ë¡œ 열린 민화기íšì „ì´ ì´ëª©ì„ 사로잡았다. ë¯¼í™”ê³„ì˜ ê¸°ëŸ‰ë¿ ì•„ë‹ˆë¼ ìœ„ìƒê¹Œì§€ 드높아졌ìŒì„ 실ê°ì¼€ 하는 시간ì´ì—ˆë‹¤


ê°œì¸ì „. 전통·창작 불문, 공력과 개성 ì§‘ê²°ëœ ìˆ˜ìž‘ 대공개

ê°œì¸ì „ ê°€ìš´ë° í° í™”ì œë¥¼ ëª¨ì€ ì „ì‹œ 중 하나는 민화계 거목 박수학 ìž‘ê°€ì˜ ê·€í–¥ì „ <귀거래사>였다. ê±´ê°•ìƒì˜ ì´ìœ ë¡œ “다 내려놓고, ê³ í–¥ì—서 신선놀ìŒí•˜ë“¯ 유유ìžì  그림 그릴 것â€ì´ë¼ 전한 박수학 작가. ê¶ì¤‘장ì‹í™” 부문 숙련기술ìžì´ìž 반세기 넘게 í™”ì—…ì„ ì´ì–´ì˜¨ 그는 ‘호랑ì´â€™ë¥¼ 테마로 ìœ ë¬´ë²•ì˜ ê²½ê³„ë¥¼ ìžìœ ë¡œì´ 넘나드는 ì°½ìž‘í’ˆì„ ì„ ë³´ì˜€ë‹¤.
오랜 기간 ì „í†µë¯¼í™”ì— ì²œì°©í•´ì˜¨ ìž‘ê°€ë“¤ì˜ ì „ì‹œë„ ì—°ì´ì–´ì¡Œë‹¤. 서울시무형문화재 ì œ18호 민화장 ì •ê·€ìž(정승í¬) 작가가 서울무형문화재êµìœ¡ì „시장ì—서 ê°œì¸ì „ <옛 ê·¸ë¦¼ì— ë©‹ì„ ë‹´ë‹¤>를, ê·¸ 외 ê°•ì§„, ê¹€ìžê²½, ì´ì •ì´ ìž‘ê°€ ë“±ì´ ê°„ë§Œì˜ ê°œì¸ì „ì„ ì—´ê³  ê³µë ¥ì„ ì‹­ë¶„ 발휘했다.
모처럼 전시를 개최한 민화계 ì¤‘ì§„ë“¤ì˜ ì‹ ìž‘ë„ í° ê´€ì‹¬ì„ ëª¨ì•˜ë‹¤. í™ê²½í¬ 작가는 6ë…„ ë§Œì— ê°œì¸ì „ì„ ì—´ê³  전통민화 작품부터 설치 작품까지 í­ë„“ì€ ìŠ¤íŽ™íŠ¸ëŸ¼ì˜ ì±…ê·¸ë¦¼ì„ ì„ ë³´ì˜€ìœ¼ë©° 경력 20ë…„ ë§Œì— ì²« ê°œì¸ì „ì„ ê°œìµœí•œ 정성금 작가는 탄탄한 스토리와 화사한 색ê°ìœ¼ë¡œ 완성한 창작민화 ì‹ ìž‘ì„ ëŒ€ê±° 공개했다.
ì¼ì°ì´ 창작민화 부문ì—서 ë‘ê°ì„ 나타낸 민화 작가들 역시 êµµì§í•œ ì´ˆëŒ€ì „ì„ ì—´ê³ , ë…ë³´ì  ìž‘í’ˆì„¸ê³„ë¥¼ 펼ì³ë³´ì˜€ë‹¤. ì´ì˜ì‹¤ 작가는 한국수력ì›ìžë ¥(주) ìž‘ê°€ì§€ì› í”„ë¡œì íŠ¸ì— íž˜ìž…ì–´ 통ë„사 성보박물관ì—서 ê°œì¸ì „ì„ ê°œìµœ, 작업실 ì£¼ë³€ì˜ í’경과 ë¬¸í™”ìœ ì‚°ì˜ ì´ì•¼ê¸°ë¥¼ ë‹´ì€ ì˜»ì¹ ë¯¼í™” ë¼ë¼ëžœë“œ 시리즈를, 문선ì˜Â·ë°•ì†Œì€ ìž‘ê°€ëŠ” ê²¸ìž¬ì •ì„ ë¯¸ìˆ ê´€ì´ ê¸°íší•œ 겸재 화혼 재조명 기íšì „ì„ ì—´ê³  ê°ê° 베갯잎 ìžìˆ˜, 산수 ë“±ì„ í…Œë§ˆë¡œ 길ìƒì˜ í’ê²½ì„ ì„ ë³´ì˜€ë‹¤. ê·¸ 외 ê¹€ì˜í¬, ì´ì •í¬, ìµœì„œì› ìž‘ê°€ ë“±ì´ ì´ˆëŒ€ê°œì¸ì „ì„ ì—´ê³  ì§„ì¼ë³´í•œ 창작 세계를 펼ì³ëƒˆë‹¤. 한편, êµ­ë‚´ ìµœì´ˆì˜ ë¯¼í™”í•™ê³¼ì¸ ë™ë•ì—¬ìžëŒ€í•™êµ ë¯¸ëž˜ì „ëžµìœµí•©ëŒ€í•™ì› ë¯¼í™”í•™ê³¼ì—서는 ì œ1기 ë©¤ë²„ì¸ ê¹€ê°•ë¯¸, 남정ì€, 곽지ì˜, 황지연, 강지연 작가가 ì„ì‚¬ì²­êµ¬ì „ì„ ì„±ë£Œí–ˆë‹¤.


정승í¬, <작호ë„>, 2021, ì „í†µìˆœì§€ì— ë¶„ì±„, ì„채, 먹, 75×55ãŽ



박수학, <호14>, 36×34ãŽ



문선ì˜, <꽃빛>, 2022, í•œì§€ì— í˜¼í•©ìž¬ë£Œ, 117×212ãŽ


단체전. 개성파 ìž‘ê°€ë“¤ì˜ ì—°í•©ì „ë¶€í„° 마카쥬 가방展까지

날로 번져가는 창작 ì—´í’ì„ ë°˜ì˜í•˜ë“¯ 개성파 ìž‘ê°€ë“¤ì˜ ìˆ˜ì¤€ ë†’ì€ ì—°í•©ì „, 기íšì „ì´ ì—°ì´ì–´ 개최ë다. 민화 í™”ë‹¨ì˜ ì´ˆì°½ê¸° 창작민화 ë‹¨ì²´ì¸ í•œêµ­ë¯¼í™”ì°½ìž‘íšŒ 회ì›ì „ì„ ë¹„ë¡¯í•˜ì—¬ 정하정 작가가 기íší•œ 겸재정선미술관 초대전, ê²½í¬ëŒ€í•™êµ êµìœ¡ëŒ€í•™ì› 창작민화 êµìœ¡ìž 과정 7기 멤버로 êµ¬ì„±ëœ í”¼ìš°íšŒ(più會) 창립전, ì´ê²½ì£¼ 작가가 기íší•œ <10 Tones> 등ì—서 ë™ì‹œëŒ€ì˜ 철학과 ê°ì„±ì„ ë‹´ì€ ìž‘í’ˆë“¤ì„ ì„ ë³´ì˜€ë‹¤.
패브릭 소품, 마카쥬 가방 등 ìƒí™œ 민화를 통해 ì‹¤ìš©ì  ë¯¸í•™ì„ ì¡°ëª…í•œ ì „ì‹œë„ ëˆˆê¸¸ì„ ëŒì—ˆë‹¤. ê³„ëª…ëŒ€í•™êµ í•œêµ­ë¯¼í™”ì—°êµ¬ì†Œ 회ì›ì „ì—서는 (주)시몬ëŠì™€ ì†ìž¡ê³  다채로운 ë¯¼í™”ê°€ë°©ì„ ì„ ë³´ì˜€ìœ¼ë©° ê¹€í¬ë¯¼í™”회·ì¸ë™íšŒÂ·(사)한국전통민화협회 ìƒí™œë¯¼í™” ì§€ë„ìž ê³¼ì • 회ì›ì „ì—서는 수틀, ì¿ ì…˜, 옷, 바란스 등 íŒ¨ë¸Œë¦­ì— ì ‘ëª©í•œ 민화 작품ì„, 송현민화·안산민화협회·소람회 회ì›ì „ì—서는 그림과 함께 다양한 민화 가구를 선보였다.


ì—°ë§ê¹Œì§€ 뉴욕 패션스쿨 FITì—서 열리는 민화기íšì „ 전시 ì „ê²½. ì´ ì „ì‹œì— ì°¸ì—¬í•œ 안성민 뉴욕민화스튜디오는 다양한 현대 민화 ìž‘í’ˆë“¤ì„ ì„ ë³´ì˜€ë‹¤.



코로나19 ì—”ë°ë¯¹ ì‹œëŒ€ì— ì ‘ì–´ë“¤ë©° 국내외 ë¯¼í™”ë‹¨ì²´ë“¤ì€ ê·¸ê°„ ë¯¸ë¤„ì™”ë˜ ì •ê¸° 회ì›ì „ì„ ìž¬ê°œí•˜ê±°ë‚˜ í…Œë§ˆì „ì„ ê°œìµœí•˜ëŠ” 등 ì „ì‹œì— ë°•ì°¨ë¥¼ 가하는 모습ì´ë‹¤. 한국민화전업작가회는 ìƒë°˜ê¸°ì— 대규모 부채기íšì „, í•˜ë°˜ê¸°ì— ì •ê¸° 회ì›ì „ì„ ì—´ì—ˆìœ¼ë©° ì„¤ì´Œì°½ìž‘ë¯¼í™”ì—°êµ¬íšŒì˜ ê²½ìš° ì—°ì´ˆ ‘호랑ì´â€™ì™€ ì—°ë§ â€˜ì„ ë¬¼â€™ì„ í…Œë§ˆë¡œ 다채로운 ë¯¼í™”ì „ì„ ê°œìµœí–ˆë‹¤. 하랑회는 ìƒë°˜ê¸°ì— ì˜ëª¨í™” 특별전, í•˜ë°˜ê¸°ì— ì •ê¸° 회ì›ì „ì„ ì—´ì—ˆìœ¼ë©° 파ì¸íšŒëŠ” 역대 최대 ê·œëª¨ì¸ 9번째 회ì›ì „ì„ ì„±ë£Œí–ˆë‹¤. ê·¸ 외 김해민화연구회, ë„민ìµì•„트랩 민화연구소, 명ìžì™€ë½, 민유회, 민화ì›, 서연민화회, 소람회, 송연회, 야촌회, 예창ê¶ì¤‘장ì‹í™”전승회, 운산회, 울산민채예술협회, 지산회, 한국ê¶ì¤‘장ì‹í™”협회, 한국전통채색화연구회, 해운민화연구회, 호정회, 효문회 등 ì „êµ­ ê°ì§€ì—서 회ì›ì „ì„ ê°œìµœí–ˆìœ¼ë©° 싱가í¬ë¥´ë¯¼í™”협회, ìºë‚˜ë‹¤ë¯¼í™”협회, ì¼ë³¸ 무지개회, 안성민 뉴욕 민화스튜디오 ë“±ì´ í•´ì™¸ì—서 민화 전시를 ì—´ê³  우리 ë¯¼í™”ì˜ ì•„ë¦„ë‹¤ì›€ì„ ë„리 알렸다.


ê³„ëª…ëŒ€í•™êµ í•œêµ­ë¯¼í™”ì—°êµ¬ì†Œê°€ (주)시몬ëŠì™€ ì†ìž¡ê³  개최한 회ì›ì „ ì „ê²½. 민화를 마카쥬한 ê°€ë°©ë“¤ì„ ë³¼ 수 있다.



파ì¸íšŒì˜ 아홉 번째 회ì›ì „ ê°œë§‰ì‹ ì „ê²½.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진 전시ì—서는 전통, 창작 민화를 ë§ë¼í•œ 다채로운 ìž‘í’ˆë“¤ì„ íŽ¼ì³ëƒˆë‹¤.


기íšì „. 국내외ì—서 만개한 민화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ì—서 성료한 <ìƒì˜ 찬미>부터 오스트리아 빈 세계박물관ì—서 개막한 책거리 특별전까지, 요근래 ‘민화 ë¶â€™ì„ ì¦ëª…하듯 국내외 주요 ë°•ë¬¼ê´€Â·ë¯¸ìˆ ê´€ì„ ì¤‘ì‹¬ìœ¼ë¡œ ë¯¼í™”íŠ¹ë³„ì „ì´ í™œë°œížˆ 개최ë다. 오스트리아 빈 세계박물관ì—서 열린 책거리 전시는 2019ë…„ ë™ë•아트갤러리ì—서 열린 기íšì „ <책거리 Today>ì˜ ìœ ëŸ½ 순회전ì´ë‹¤. 정병모 êµìˆ˜ê°€ 기íší•˜ê³  30ëª…ì˜ ìž‘ê°€ê°€ 참여한 ì´ ì „ì‹œì—서는 책거리를 테마로 한국 전통미ê°ì„ 현대ì , ë…ì°½ì ìœ¼ë¡œ 재해ì„한 ìž‘í’ˆë“¤ì„ ì„ ë³´ì—¬ í° í˜¸í‰ì„ 받았다.
í•œêµ­ë¯¼í™”ë®¤ì§€ì—„ì€ ì—°ë¡€ 기íšì „ <ë¯¼í™”ì˜ ë¹„ìƒì „> 세 번째 시리즈를 개최했다. ‘민화, ì¡°ì„ ì˜ íŒì•„트’를 테마로 진행한 전시ì—서는 한국민화뮤지엄·조선민화박물관 소장품 중 íŒì•„트ì ì¸ í‘œí˜„ì´ ê´€ì°°ë˜ëŠ” 유물과 현대 민화 ìž‘ê°€ë“¤ì˜ ì‹ ìž‘ì„ ì„ ë³´ì˜€ë‹¤.
제주 ë³¸íƒœë°•ë¬¼ê´€ì€ ê°œê´€ 10ì£¼ë…„ì„ ê¸°ë…하여 ‘민화 ì† ê¸¸ìƒâ€™ì„ 주제로 민화 ë° ê¶ì¤‘í™” 병í’, í™”ì²©ì„ ì „ì‹œí–ˆìœ¼ë©° ì›ì£¼ 명주사 ê³ íŒí™”ë°•ë¬¼ê´€ì€ í•œÂ·ì¤‘ ìˆ˜êµ 30주년 ê¸°ë… íŠ¹ë³„ì „ <ë™ì•„시아 ë¯¼í™”ì˜ ë¿Œë¦¬-중국 ë…„í™”>를 ì—´ê³  한국 민화와 ë‹®ì€ ë“¯ 다른 ë§¤ë ¥ì„ ì§€ë‹Œ 중국 ë…„í™” íŒí™”를 대대ì ìœ¼ë¡œ 공개했다. ê·¸ 외 ëŒ€êµ¬ëŒ€í•™êµ ì¤‘ì•™ë°•ë¬¼ê´€, 국립춘천박물관, 가회민화박물관 등ì—서 민화기íšì „ì„ ì„±ë£Œí–ˆë‹¤.
지난 1ë…„ê°„ 월간민화 ë˜í•œ 다양한 민화 전시를 개최했다. 갤러리 ì¼ë°±í—Œ, 갤러리 공간35, 나마갤러리, ë™ë•아트갤러리, (주)ì œì´ë“œì•„트컴í¼ë‹ˆ, (주)한국국제전시 등 여러 파트너와 ì†ìž¡ê³  특별세화전, 테마기íšì „, 갤러리 초대전 등 22ê±´ì˜ ë¯¼í™”ì „ì„ ì„±ë£Œí–ˆë‹¤.


오스트리아 빈 세계박물관ì—서 열리는 <ì¡°ì„  책거리>展 ì „ê²½. 정병모 êµìˆ˜ê°€ 기íší•œ ì´ ì „ì‹œëŠ” ë‚´ë…„ 4월까지 ì´ì–´ì§„다.



í¬ìŠ¤ì½”ê±´ì„¤ì´ ì£¼ìµœí•˜ê³  (주)ì œì´ë“œì•„트컴í¼ë‹ˆ, 월간민화가 주관한 기íšì „ <호랑ì´; 虎 - 현대 민화 우리 호랑ì´> ì „ê²½. 전시ì—서는 금광복, 김용기, 정하정 ìž‘ê°€ì˜ í˜¸ëž‘ì´ ìž‘í’ˆì„ ì„ ë³´ì˜€ë‹¤.



월간민화와 ë™ë•아트갤러리가 ê³µë™ì£¼ìµœí•œ 기íšì „ <ì˜ëª¨í™” Today> 전시 ì „ê²½.





PART 3. 2022 연간전시 모ìŒ

아래 전시 ë‚´ì—­ì€ ë³¸ì§€ì˜ ë°ì´í„°ë¥¼ 토대로 취합한 내용입니다.
ì „êµ­ ê°œì¸ì „, 단체전, 해외전 등 ê°ì¢… 전시 제보는 월간민화 편집팀 (designmeme7@naver.com, 02-765-3812)로 해주십시오.







PART 4. 국내 대표 민화 공모전 6
새로운 소재, 스토리텔ë§ìœ¼ë¡œ í™•ìž¥ëœ ì„¸ê³„

민화 ê³µëª¨ì „ì˜ ì—´ê¸°ëŠ” 여전히 대단하다. 몇몇 êµ°ë°ì—서는 출품 수가 다소 ê°ì†Œí•˜ëŠ” ê²½í–¥ì„ ë³´ì´ê¸°ë„ 했으나 대체로 ìž‘í’ˆì˜ ì™„ì„±ë„ê°€ 높아졌다는 í‰ì´ë‹¤. 올해 수ìƒìž‘ë“¤ì„ ì‚´íŽ´ë³´ë©´ 새로운 소재를 ë°œêµ´í•˜ê³ ìž í•˜ëŠ” 시ë„ê°€ ëˆˆì— ë„ê³ , 저마다 개성 넘치는 스토리텔ë§ì„ 가미한 ë©´ë“¤ì´ ê¹Šì€ ì¸ìƒì„ 남긴다. ì´ 6ê°€ì§€ì˜ ë¯¼í™” 전문 ê³µëª¨ì „ì˜ ê°„ëžµí•œ 성과와 수ìƒìž‘ë“¤ì„ ëŒì•„본다. (공모전 소개는 개최순)


(사)한국민화진í¥í˜‘회 주최 ì œ6회 전국민화공모대전

(사)한국민화진í¥í˜‘회(ì´ì‚¬ìž¥ í™ëŒ€í¬, 회장 ê¹€ìƒì² )ê°€ 주최하고 전국민화공모대전 ìš´ì˜ìœ„ì›íšŒ(ìš´ì˜ìœ„ì›ìž¥ 정병모)ê°€ 주관하는 ì œ6회 ì „êµ­ë¯¼í™”ê³µëª¨ëŒ€ì „ì´ ì§€ë‚œí•´ì— ì´ì–´ ë˜ í•œ 번 역대 최다 출품 수를 기ë¡í–ˆë‹¤. 작년보다 41ì  ëŠ˜ì–´ë‚˜ ì´ 999ì ì„ 기ë¡í•œ 출품작 중ì—서 문체부장관ìƒìœ¼ë¡œ 꼽힌 ê²ƒì€ ìž„ì†Œì˜ ìž‘ê°€ì˜ ìž¬í˜„ìž‘ <í•´ìƒêµ°ì„ ë„>. ìƒë™ê° 있는 표현력과 단정한 ì„ ì˜ ë¬˜ì‚¬, ê¹Šì´ ìžˆëŠ” ìƒ‰ê° ë“± ë‹¨ì› ê¹€í™ë„ í™”ë°±ì˜ ìž‘í’ˆì„ ì¶©ì‹¤ížˆ 재현했다는 호í‰ì„ 들었다.


임소ì˜, <í•´ìƒêµ°ì„ ë„>


공모부분 전통민화, 창작민화
공모기간 5ì›” 18ì¼(수)~5ì›” 23ì¼(ì›”)
전시기간 6ì›” 29ì¼(수)~7ì›” 5ì¼(í™”)
전시장소 ì¸ì‚¬ë™ 한국미술관
수ìƒìž‘ ëŒ€ìƒ ìž„ì†Œì˜ <í•´ìƒêµ°ì„ ë„>

한국민화뮤지엄 주관 제8회 대한민국민화대전

한국민화뮤지엄(관장 오ì„환, 오슬기)ì´ ì£¼ê´€í•˜ê³  ê°•ì§„êµ°ì´ ì£¼ìµœí•˜ëŠ” ì œ8회 ëŒ€í•œë¯¼êµ­ë¯¼í™”ëŒ€ì „ì´ ì˜¬í•´ ë˜ í•œ 번 실력 있는 ìž‘ê°€ë“¤ì„ ëŒ€ê±° 발굴했다. 올해 ì¶œí’ˆìž‘ì€ ì´ 130ì ìœ¼ë¡œ ìž‘ë…„ì— ë¹„í•´ 다소 ê°ì†Œí•œ 추세지만 ìž‘í’ˆì˜ ìˆ˜ì¤€ì€ ì „ë°˜ì ìœ¼ë¡œ í–¥ìƒë˜ì—ˆë‹¤ëŠ” 후문ì´ë‹¤. 올해 대ìƒìž‘ì€ í™©ì§€ì˜ ìž‘ê°€ì˜ <전통과 예술 사ì´>ê°€ 차지했으며, “‘만들고 그려 ë„£ì€ ë¯¼í™”â€™ë¡œ ì´ ë¶„ì•¼ì˜ ë°œì „ì— ì¶œêµ¬ë¥¼ 열었다â€ëŠ” 호í‰ì„ 받았다.


황지ì˜, <전통과 예술사ì´>


공모부분 전통민화, 창작민화, 민화를 소재로 한 공예품
공모기간 6ì›” 21ì¼(í™”)~7ì›” 1ì¼(금)
전시기간 9ì›” 1ì¼(목)~2023ë…„ 2ì›” 27ì¼(ì›”)
전시장소 한국민화뮤지엄 기íšì „시실, ìƒí™œë¯¼í™”ê´€
수ìƒìž‘ ëŒ€ìƒ í™©ì§€ì˜ <전통과 예술사ì´>

조선민화박물관 주관 제25회 김삿갓문화제 전국민화공모전

ì˜ì›”êµ°ì´ ì£¼ìµœí•˜ê³  조선민화박물관(관장 오ì„환)ì´ ì£¼ê´€í•˜ëŠ” ì œ25회 김삿갓문화제 ì „êµ­ë¯¼í™”ê³µëª¨ì „ì€ ìž‘ë…„ì— ë¹„í•´ ì¶œí’ˆìž‘ì´ ë‹¤ì†Œ ê°ì†Œí–ˆë‹¤. ìž‘í’ˆì˜ ê²½í–¥ì€ ì°½ìž‘ê³¼ 재현민화가 고루 ë¶„í¬ë˜ì—ˆìœ¼ë©° 공예 작품 ë˜í•œ ë‘루 만나볼 수 있었다. ì´ì„ ì˜ 작가가 창작민화 <ë¶ˆë¡œìž¥ìƒ ìŠ¤í† ë¦¬>로 대ìƒì„ 거머ì¥ì—ˆìœ¼ë©° “전통 소재를 ì´ìš©í•´ í™”ë©´ì˜ ë°€ë„를 확보하면서 줄무늬 ìƒ‰ë™ ë¹„ë‹¨ì˜ íŒ¨í„´ìœ¼ë¡œ ë°°ê²½ì„ ë‹¨ìˆœí™”í•¨ìœ¼ë¡œì¨ í˜„ëŒ€ì ì¸ 세련미를 ë™ì‹œì— 구사했다â€ëŠ” í‰ì„ 받았다.


ì´ì„ ì˜, <ë¶ˆë¡œìž¥ìƒ ìŠ¤í† ë¦¬>


공모부분 전통민화, 창작민화
공모기간 8ì›” 1ì¼(ì›”)~8ì›” 16ì¼(í™”)
전시기간 11ì›” 2ì¼(수)~11ì›” 7ì¼(ì›”)
전시장소 ì¸ì‚¬ë™ 한국미술관
수ìƒìž‘ ëŒ€ìƒ ì´ì„ ì˜ <ë¶ˆë¡œìž¥ìƒ ìŠ¤í† ë¦¬>

(사)한국전통민화협회 주최 제11회 전국공모전

(사)한국전통민화협회(ì´ì‚¬ìž¥ ì‹ ì˜ìˆ™)ê°€ ì œ11회 전국공모전ì—서 문체부장관ìƒê³¼ 대ìƒìœ¼ë¡œ ê°ê° 박현미 ìž‘ê°€ì˜ <문ìžë„> 8í­ê³¼ ë°•ì€ì£¼ ìž‘ê°€ì˜ <천ìƒì—°ë¶„>ì„ ê¼½ì•˜ë‹¤. ìž¬í˜„ìž‘ì¸ <문ìžë„>는 장ì‹ì ì¸ 패턴과 ìžìœ ë¡œì›€, ì¸ë¬¼ì˜ 질박한 í‘œí˜„ì„ ìž˜ 살렸다는 í‰ì„ 받았다. <천ìƒì—°ë¶„>ì€ ë§ì„ ë…립 화제로 ê³¼ê°í•˜ê²Œ 등장시켜 ì •êµí•˜ê³  세밀한 묘사로 ìž‘í’ˆì— ì™„ì„±ë„를 높였다. 올해 ì¶œí’ˆìž‘ì€ ì´ 540ì ìœ¼ë¡œ 매년 ì¦ê°€í•˜ê³  있다.


ë°•ì€ì£¼, <천ìƒì—°ë¶„>



박현미, <문ìžë„> 8í­ ë³‘í’


공모부분 전통민화, 창작민화
공모기간 8ì›” 29ì¼(ì›”)~9ì›” 15ì¼(목)
전시기간 11ì›” 2ì¼(수)~11ì›” 6ì¼(ì¼)
전시장소 청주시 한국공예관
수ìƒìž‘ ë¬¸ì²´ë¶€ìž¥ê´€ìƒ ë°•í˜„ë¯¸ <문ìžë„> 8í­ ë³‘í’, ëŒ€ìƒ ë°•ì€ì£¼ <천ìƒì—°ë¶„>

(사)한국민화협회 주최 제15회 대한민국민화공모대전

(사)한국민화협회(회장 송창수)ê°€ ì œ15회 ëŒ€í•œë¯¼êµ­ë¯¼í™”ê³µëª¨ëŒ€ì „ì„ í†µí•´ ì „êµ­ ê°ì§€ì˜ 잠재력 있는 작가를 발굴했다. 올해 ì¶œí’ˆìž‘ì€ 600ì—¬ ì ì— 달하며 매년 ì¦ê°€ ì¶”ì„¸ì— ìžˆë‹¤ëŠ” ê²ƒì— ì£¼ëª©í•  만하다. 공모는 Part1ì¸ ì „í†µê³¼ Part2ì¸ ì°½ìž‘ ìžìœ ì£¼ì œë¡œ 나누어 진행했다. 올해 대ìƒ(국회ì˜ìž¥ìƒ)ìž‘ì€ ê¹€ì€ë¯¸ ìž‘ê°€ì˜ ì „í†µ ìž‘í’ˆì¸ <서수낙ì›ë„>로 탄탄한 필력과 섬세한 묘사 ë“±ì„ ì¸ì •받았다. 수ìƒìž‘ 전시는 12ì›” 21ì¼(수)부터 12ì›” 27ì¼(í™”)까지 갤러리 ë¼ë©”르 ì „ê´€ì—서 만나볼 수 있다.


ê¹€ì€ë¯¸, <서수낙ì›ë„>


공모부분 전통민화, 창작민화
공모기간 10ì›” 17ì¼(ì›”)~10ì›” 21ì¼(금)
전시기간 12ì›” 21ì¼(수)~12ì›” 27ì¼(í™”)
전시장소 ì¸ì‚¬ë™ 갤러리 ë¼ë©”르 ì „ê´€(1층~3층)
수ìƒìž‘ ëŒ€ìƒ ê¹€ì€ë¯¸ <서수낙ì›ë„>

ì¡°ìžìš©ê¸°ë…사업회 주최 ì œ10회 현대민화공모전

ì¡°ìžìš©ê¸°ë…사업회(회장 김종규)ê°€ 주최하고 가나문화재단과 가회민화박물관(관장 윤열수)ì´ ê³µë™ì£¼ê´€í•˜ëŠ” ì œ10회 í˜„ëŒ€ë¯¼í™”ê³µëª¨ì „ì´ 11ì›” 25ì¼(금)ì— ì ‘ìˆ˜ë¥¼ 마ê°í–ˆë‹¤. 심사 결과는 12ì›” 7ì¼(수)ì— í™ˆíŽ˜ì´ì§€ ë˜ëŠ” 개별 문ìžë¡œ í†µë³´ë  ì˜ˆì •. 지난 ì œ9회 현대민화공모전ì—서 ëŒ€ìƒ ìˆ˜ìƒìžëŠ” 없었으며 고가민 작가가 í‰ë©´ ìž‘í’ˆì— 3D 모ë¸ë§ ì˜ìƒì„ 접목한 <ì¡°ì„  메타버스> 작품으로 최우수ìƒì„ 거머ì¥ì—ˆë‹¤.


고가민, <조선 메타버스>


공모부분 창작민화
공모기간 11ì›” 11ì¼(금)~11ì›” 25ì¼(금)
전시기간 2023년 1월 초 제10회 대갈문화축제 기간 중
전시장소 ì¸ì‚¬ë™ 가나ì¸ì‚¬ì•„트센터
수ìƒìž‘ 12ì›” 7ì¼(수) 홈페ì´ì§€ 공지 ë° ê°œë³„ 문ìžë°œì†¡ 예정





PART 5. 2022 민화축제 ë° í•™ìˆ  세미나

올해 민화계는 다양한 축제와 í¬ëŸ¼ ë° í•™ìˆ  세미나로 활기를 ë ì—ˆë‹¤.
팬ë°ë¯¹ì˜ ì˜í–¥ìœ¼ë¡œ 비대면으로 ì‹¤ì‹œí–ˆë˜ í–‰ì‚¬ë“¤ë„ ì „ë©´ 대면으로 전환·실시하면서 ì „êµ­ 방방곡곡 민화ì¸ë“¤ì˜ 열기로 ê°€ë“했다. (순서는 개최순)


ì¡°ìžìš©ê¸°ë…사업회 주최 ì œ9회 대갈문화축제

ì¡°ìžìš©ê¸°ë…사업회(회장 김종규)와 가회민화박물관(관장 윤열수)ì´ ê³µë™ì£¼ìµœí•˜ê³  민학회와 한국민화학회가 ê³µë™ì£¼ê´€í•˜ëŠ” ì œ9회 대갈문화축제가 지난해 12ì›” 29ì¼(수)부터 1ì›” 4ì¼(í™”)까지 ì¸ì‚¬ì•„트센터ì—서 ì„±í™©ë¦¬ì— ì§„í–‰ë다. ìž„ì¸ë…„ ìƒˆí•´ì˜ ë¬¸ì„ í™œì§ ì—° 대갈문화축제ì—서는 ì¡°ìžìš© ì„ ìƒì˜ ëœ»ì„ ê¸°ë¦¬ëŠ” 제례와 ì œ9회 ì¡°ìžìš©ë¬¸í™”ìƒ, ì œ9회 현대민화공모전, ì œ18회 세계 ì–´ë¦°ì´ ë¯¼í™”ê·¸ë¦¬ê¸° 대회 시ìƒì‹ 등 ê°ì¢… 시ìƒì‹ê³¼ 수ìƒìž‘ ì „ì„ ë¹„ë¡¯í•œ 전시 행사를 만나볼 수 있었으며 한국민화학회 학술세미나로 ëœ»ê¹Šì€ í† ë¡ ì˜ ìž¥ì„ íŽ¼ì³¤ë‹¤.


(사)한국민화센터 주최 ì œ9회 경주국제민화í¬ëŸ¼

(사)한국민화센터가 지난 6ì›” 3ì¼(금), 4ì¼(토) ì–‘ì¼ê°„ 경주 ë¼í•œí˜¸í…”ì—서 ì œ9회 경주국제민화í¬ëŸ¼ì„ ì„±í™©ë¦¬ì— ê°œìµœí–ˆë‹¤. ì´ë²ˆ í¬ëŸ¼ì—서는 â€˜í•œêµ­ë¯¼í™”ì˜ ê°œì²™ìžë“¤â€™ì´ëž€ 주제로 1세대 민화 ì—°êµ¬ê°€ë“¤ì˜ ë°œìžì·¨ë¥¼ ëŒì•„보았다. 3ë…„ ë§Œì— ìž¬ê°œëœ í–‰ì‚¬ì¸ ë§Œí¼ ë‹¤ì–‘í•œ 연계 í”„ë¡œê·¸ëž¨ì„ êµ¬ì„±í–ˆë‹¤. 첫째로 3ì›” 23ì¼(수)부터 3ì›” 28ì¼(ì›”)까지 ë™ë•아트갤러리ì—서 <한국현대민화 전개와 í름>å±•ì„ ê°œìµœ, í˜„ëŒ€ë¯¼í™”ì˜ ê²½í–¥ì„ ì‚´íŽ´ë³´ì•˜ìœ¼ë©° ì–´ë¦°ì´ ë¯¼í™” 공모전 ‘민화야 놀ìžâ€™ë¥¼ 개최하여 꿈나무 ë°œêµ´ì— ì•žìž¥ì„°ë‹¤. 수ìƒìž‘ì€ í¬ëŸ¼ ìž¥ì†Œì¸ í˜¸í…” 로비ì—서 만나볼 수 있었다.


(사)한국민화협회 보령지회 주최 ì œ1회 만세보령 민화í¬ëŸ¼

(사)한국민화협회 보령지회가 주최하고 (사)한국민화협회와 월간민화가 주관, 보령시가 후ì›í•˜ëŠ” ì œ1회 만세보령 민화í¬ëŸ¼ì´ 지난 10ì›” 15ì¼(토) 보령시 성주면 청소년수련관ì—서 개최ë다. ì§€ì—­ì˜ ì£¼ìš” 기관과 ë‹¨ì²´ìž¥ì´ ì°¸ì—¬í•´ ì„±í™©ì„ ì´ë£¨ëŠ” ê²ƒì€ ë¬¼ë¡ , 민화로 íê´‘ ì§€ì—­ì¸ í•´ì–‘ë„시 ë³´ë ¹ì— ìƒˆë¡œìš´ ë¹„ì „ì„ ì œì‹œí–ˆë‹¤ëŠ” ì ì—서 ëœ»ê¹Šì€ í–‰ì‚¬ì˜€ë‹¤. 세미나ì—서는 김용권 겸재정선미술관장, ìœ¤ì§„ì˜ í•œêµ­í•™ì¤‘ì•™ì—°êµ¬ì› ì‚¬ì „íŽ¸ì°¬ë¶€ìž¥, 유미나 한국민화학회장, ì´ê·œì™„ 한국민화국제êµë¥˜í˜‘íšŒìž¥ì˜ ë°œí‘œê°€ ì´ì–´ì¡Œë‹¤. 연계 행사로 ì§„í–‰ëœ ì œ1회 ì „êµ­ ë¯¼í™”í…”ë§ ì½˜í…ŒìŠ¤íŠ¸ì˜ ê²°ê³¼ëŠ” (사)한국민화협회 보령지회 홈페ì´ì§€ì—서 확ì¸í•  수 있다.


한국민화학회 주최 2022 춘계·추계 학술대회

한국민화학회(회장 유미나)ê°€ 올해 ë‘ ë²ˆì˜ í•™ìˆ ëŒ€íšŒë¥¼ 개최했다. 지난 4ì›” 2ì¼(토)ì— êµ­ë¦½ì¤‘ì•™ë°•ë¬¼ê´€ 소강당ì—서 ‘전통놀ì´ì—서 오징어 게임까지: 옛 그림 ì† ì „í†µ ë†€ì´ ë¬¸í™”â€™ë¼ëŠ” 주제로 춘계 학술대회를 진행했다. 김취정 ê³ ë ¤ëŒ€í•™êµ ê°•ì‚¬, ì†ì‹ ì˜ ë™êµ­ëŒ€í•™êµ 학술연구 êµìˆ˜, ìž¥ìž¥ì‹ ê¸¸ë¬¸í™”ì—°êµ¬ì†Œ 소장, ê¹€ì˜ì•  í•œêµ­ë¯¼í™”í•™êµ ì´ì‚¬ìž¥ì˜ 발표로 옛 회화 ì†ì— 깃든 ë†€ì´ ë¬¸í™”ë¥¼ 들여다보았다. ì´ì–´ 9ì›” 3ì¼(토), ê°™ì€ ìž¥ì†Œì—서 추계 학술대회로 ì›ê´‘대학êµë°•물관 ì†Œìž¥í’ˆì„ ëŒì•„보는 ì‹œê°„ì„ ê°€ì¡Œë‹¤. 유미나 ì›ê´‘ëŒ€í•™êµ êµìˆ˜, 정병모 í•œêµ­ë¯¼í™”í•™êµ êµìž¥, 장계수 ë™êµ­ëŒ€í•™êµ 미술사학 박사, ê³ ì—°í¬ ì„±ê· ê´€ëŒ€í•™êµ êµìˆ˜, ê°•ì˜ì£¼ 문화재청 문화재ê°ì •ì˜ì›, 박슬기 ì›ê´‘대학êµë°•물관 í•™ì˜ˆì‚¬ì˜ ë°œí‘œë¡œ 알려지지 ì•Šì€ ì„œí™”ìžë£Œì˜ 숨겨진 가치를 발굴할 수 있는 귀한 ìžë¦¬ì˜€ë‹¤.


ê³„ëª…ëŒ€í•™êµ í•œêµ­ë¯¼í™”ì—°êµ¬ì†Œ 주최 ì œ14회 한국민화연구소 학술세미나

ê³„ëª…ëŒ€í•™êµ í•œêµ­ë¯¼í™”ì—°êµ¬ì†Œê°€ 지난 11ì›” 25ì¼(금)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온ë¼ì¸ í™”ìƒíšŒì˜ í”Œëž«í¼ â€˜Zoomâ€™ì„ í†µí•´ ì œ14회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ì´ë²ˆ ì„¸ë¯¸ë‚˜ì˜ ì£¼ì œëŠ” ‘민화와 절기’로 절기별 ì´ì•¼ê¸°ë¥¼ ë‹´ì€ ë¯¼í™”ì— ëŒ€í•´ 살펴볼 수 있는 ì‹œê°„ì„ ê°€ì¡Œë‹¤. 김용권 겸재정선미술관 ê´€ìž¥ì´ â€˜ì„¸í™”ì™€ 절기’, 정병모 í•œêµ­ë¯¼í™”í•™êµ êµìž¥ì´ ‘경ì§ë„와 절기’, 유미나 한국민화학회 íšŒìž¥ì´ â€˜ë‹¨ì˜¤ 추천ë„’, ì´ì„ ì˜¥ ì˜ìž¬ë¯¸ìˆ ê´€ ê´€ìž¥ì´ â€˜ì¤‘ì•™ì ˆ 국화넒, ì›ì„¸ì§„ ì„±ê· ê´€ëŒ€í•™êµ ë°•ì‚¬ìˆ˜ë£Œìžê°€ ‘문배와 절기’ë¼ëŠ” 주제로 발표를 ì´ì–´ê°”다. ìœ¤ì§„ì˜ ë™ë•ì—¬ìžëŒ€í•™êµ êµìˆ˜ê°€ ì¢…í•©í† ë¡ ì„ ë§¡ì•˜ìœ¼ë©° 새로운 ê´€ì ì—서 민화를 ê°ìƒí•  수 있는 소중한 시간ì´ì—ˆ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