ê°œì¸ ì†Œìž¥ <십장ìƒë„> 10첩 병í’
– 늙지 않고 오래 살기를 ë°”ë¼ëŠ” ì—¼ì›ì„ ë‹´ì€ ê·¸ë¦¼

십장ìƒë„는 ê³ ë ¤ì‹œëŒ€ì— ì´ì–´ 조선시대ì—ë„ ê³„ì† ì„¸í™”ë¡œ ê·¸ë ¤ì¡Œì„ ë¿ë§Œ ì•„ë‹ˆë¼ ê¶ì¤‘ì˜ ìž¥ì‹í™”로 ì„ í˜¸ëœ ì£¼ì œì˜€ë‹¤.
십장ìƒë„는 임금ì´ë‚˜ 왕세ìžì˜ 국혼, 대왕대비나 ì™•ë¹„ì˜ íšŒê°‘ì—° 등 ê¶ì¤‘ì˜ ì£¼ìš”í•œ í–‰ì‚¬ì— ìž¥ì—„ê³¼ ì¹˜ìž¥ì„ ìœ„í•´ 사용ë˜ì—ˆëŠ”ë°, ì´ëŠ” 조선시대 ì˜ê¶¤ì˜ 기ë¡ê³¼ ê¶ì¤‘행사ë„ì—ì„œë„ í™•ì¸í•  수 있다. ì´ë²ˆ 글ì—서는 ê°œì¸ ì†Œìž¥ 십장ìƒë„를 중심으로 다양한 십장ìƒë„ì— ëŒ€í•´ ì‚´íŽ´ë³´ê³ ìž í•œë‹¤.

– 글 박본수 (경기ë„박물관 학예실장)


í™”ë©´ì˜ êµ¬ì„±ê³¼ 소재

ì´ ê¸€ì—서 소개하는 ê°œì¸ ì†Œìž¥ <십장ìƒë„>(ë„1)는 10ì²©ì˜ ì—°í­é€£å¹…으로 êµ¬ì„±ëœ ë³‘í’í™”ì´ë‹¤. ê° í­ì˜ í¬ê¸°ëŠ” 세로 96ãŽ, 가로는 40ãŽì¸ë°, 좌우 가장ìžë¦¬ í­ì˜ 가로 í¬ê¸°ëŠ” 35ãŽë¡œ 약간 작다. 조선시대 ë¬¸í—Œì— ë”°ë¥´ë©´ 병í’ì€ ê·¸ í¬ê¸°ì— ë”°ë¼ ëŒ€ë³‘å¤§å±›, 중병中屛, 소병å°å±›, 단병短屛으로 불렸다. 보통 높ì´ê°€ 3~4척尺ì´ë©´ 소병(약 90~123ãŽ), 5ì²™ì´ë©´ 중병(약 151ãŽ), 6ì²™ ì´ìƒì´ë©´ 대병(약 181ãŽ)으로 불렸다. ë‹¨ë³‘ì€ ì†Œë³‘ë³´ë‹¤ ë” ìž‘ì€ ë³‘í’ì„ ê°€ë¦¬í‚¨ 것으로 ë³´ì¸ë‹¤. ë”°ë¼ì„œ ì´ ìž‘í’ˆì€ ì„¸ë¡œ í¬ê¸°ê°€ 96ãŽì´ë¯€ë¡œ 소병í’ì— í•´ë‹¹í•œë‹¤ê³  하겠다.
비단 ë°”íƒ•ì— ì²­ë¡ì‚°ìˆ˜ë¡œ 그려진 장ìƒì˜ ì†Œìž¬ë“¤ì€ í•´, 구름, ì‚°, 물, ëŒ, 소나무, 대나무, ë°˜ë„蟠桃, ì˜ì§€, ê±°ë¶, í•™, 사슴 등ì´ë‹¤. ì´ë“¤ 12ê°€ì§€ì˜ ìžì—°ë¬¼ê³¼ ë™Â·ì‹ë¬¼ì€ í•­ìƒì„±æ’常性·불변성ä¸è®Šæ€§ì„ ë ê±°ë‚˜ 예로부터 장수한다고 믿어져온 사물들ì´ë‹¤.
í™”ë©´ì— ê·¸ë ¤ì§„ 장수 ìƒì§• ë™ë¬¼ë“¤ì˜ 수는 ê±°ë¶ 4, 사슴 10, í•™ 10마리ì´ë‹¤. í•™ 중ì—는 백학 3, 황학 3, ì²­í•™ 4마
리가 그려져 있다. ê±°ë¶ ë„¤ 마리는 ëª¨ë‘ í™”ë©´ ì¢Œì¸¡ì˜ ë¬¼ì— ìœ„ì¹˜í•˜ë©° ê·¸ 중 ë‘ ë§ˆë¦¬ëŠ” ìž…ì—서 신령한 ê¸°ìš´ì„ ë‚´ë¿œê³  있다. ì‚¬ìŠ´ì€ ë¿”ì´ ìžˆëŠ” 수컷 네 마리와 암컷 네 마리, 그리고 어린 사슴 ë‘ ë§ˆë¦¬ 등 ëª¨ë‘ 10마리ì¸ë°, ì„ ê²½ä»™å¢ƒì„ ë…¸ë‹ê±°ë‚˜ ë¬¼ì„ ë§ˆì‹œê±°ë‚˜ í˜¹ì€ ë¶ˆë¡œì´ˆä¸è€è‰ì¸ 붉ì€ìƒ‰ ì˜ì§€ë¥¼ ìž…ì— ëŒ€ë ¤ 한다. ì—´ ë§ˆë¦¬ì˜ í•™ 중ì—서 화면 ì™¼íŽ¸ì˜ ë‘ ë§ˆë¦¬ë§Œ ìƒê³µì„ ë‚ ê³  있고, 나머지 ì—¬ëŸ ë§ˆë¦¬ëŠ” ëª¨ë‘ ì†Œë‚˜ë¬´ 가지 위나 ë°”ìœ„ì— ì•‰ì•„ 있다.
소나무는 네 그루, ë°˜ë„는 한 그루가 그려지고, 대나무와 ì˜ì§€ëŠ” 화면 ì—¬ê¸°ì €ê¸°ì— ë¬˜ì‚¬ë˜ì–´ 있다. 빨간 ìƒ‰ì˜ í•´ê°€ 붉게 물든 하늘 ìœ„ì— ë–  있고 í™”ë©´ì˜ ì˜¤ë¥¸ìª½ì—는 ì˜¤ìƒ‰ì˜ êµ¬ë¦„ì´ ê°€ë“하다. ì´ ë˜í•œ 서ìƒç‘žç¥¥ì˜ 표현으로 ë³´ì¸ë‹¤. ê·¼ê²½ì˜ ëŒê³¼ ì–¸ë•ì€ ì²­ìƒ‰ê³¼ ë…¹ìƒ‰ì˜ ì±„ìƒ‰ ìœ„ì— íƒœì ì„ ì°ì–´ 묘사했다. ì›ê²½ì˜ ì‚°ì€ ì¤€ë²•ì„ ê°€í•˜ì§€ ì•Šì€ ì±„ ì–´ë‘ìš´ 청색과 í°ìƒ‰ì˜ 바림으로 형태를 그려 ì‚°ì˜ ì¡´ìž¬ë¥¼ 묘사했다. 화면 사ì´ë¥¼ í르면서 ìƒë™ê°ì„ 만들어내는 ë¬¼ì€ í™”ë©´ì˜ ê°€ìš´ë°ì™€ 오른쪽ì—서 ìž‘ì€ í­í¬ë¥¼ ì´ë£¨ê³ , í™”ë©´ì˜ ì¤‘ì•™ 아래 ë¶€ë¶„ì„ ê°€ë¡œì§ˆëŸ¬ 왼편으로 í˜ëŸ¬ë‚´ë¦°ë‹¤.
í™”ë©´ì˜ êµ¬ì„±ì€ ì›ê²½ê³¼ ê·¼ê²½ì˜ ì‚¬ë¬¼ë“¤ì´ ì¸µì„ ì´ë£¨ë©´ì„œ ì„œì–‘í™”ì˜ ì›ê·¼ë²•ì  êµ¬ì„±ì´ ì ìš©ëœ 듯하다.

ë„2 í•„ìžë¯¸ìƒ, <십장ìƒë„> 8첩 병í’, 조선후기, ë¹„ë‹¨ì— ì±„ìƒ‰, ê° 133.3×53.0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ë•수 5827)

십장ìƒë„ì˜ í‘œìƒ ê³µê°„

십장ìƒë„는 ì¸ê°„ 세ì†ì—서 실현하기 어려운 장ìƒë¶ˆì‚¬ì˜ 장소로서 ì‹¬ì‚°ìœ ê³¡æ·±å±±å¹½è°·ì„ ë°°ê²½ìœ¼ë¡œ ì‹ ì„ ì„¸ê³„ì˜ ì´ìƒí–¥ì„ 나타낸 것ì´ë‹¤. 화면ì—는 í—˜ì¤€í•˜ë©´ì„œë„ í™˜ìƒì ì¸ ì‚°ìžë½ì´ í™”ë©´ì„ ê°€ë“ ë©”ìš°ê³  아래쪽으로는 소나무, 대나무, 복숭아가 줄지어 펼ì³ì§€ë©° ê·¸ 사ì´ë¡œëŠ” 냇물과 사슴, ê±°ë¶, ì˜ì§€ê°€ ê³³ê³³ì— ë°°ì¹˜ëœë‹¤. 화면 위로는 해와 êµ¬ë¦„ì´ ë–  있고 í•™ì´ ë¬´ë¦¬ì§€ì–´ ë‚ ê³  있다. 그야ë§ë¡œ 불로장ìƒì˜ 공간ì´ìž ì‹ ì„ ì„¸ê³„ì˜ í’ê²½ 같다.
십장ìƒë„ê°€ 표ìƒí•˜ëŠ” â€˜ë‚™ì›æ¨‚園’ ê³§ â€˜ì„ ê³„ä»™ç•Œâ€™ì˜ ì´ë¯¸ì§€ëŠ” 구체ì ìœ¼ë¡œ 삼신산三神山과 ê´€ë ¨ì´ ìžˆë‹¤. ì‚¼ì‹ ì‚°ì€ ë´‰ëž˜è“¬èŠÂ·ë°©ìž¥æ–¹ä¸ˆÂ·ì˜ì£¼ç€›å·žë¼ê³  부르는 ë„êµì˜
ë‚™ì›ì´ë‹¤. 《사기å²è¨˜ã€‹, <봉선서å°ç¦ªæ›¸>ì— ë”°ë¥´ë©´ â€œì´ ì‚¼ì‹ ì‚°ì´ë¼ëŠ” ê³³ì€ ì „í•˜ëŠ” ë§ì— ì˜í•˜ë©´ 발해渤海 한 가운ë°ì— 있는ë°, ì†ì„¸ì—서 그리 멀지는 않다. … 여러 신선들과 ë¶ˆì‚¬ì•½ì´ ëª¨ë‘ ê±°ê¸°ì— ìžˆê³ , 모든 사물과 ì§ìŠ¹ë“¤ì´ ë‹¤ í¬ë©°, 황금과 ì€ìœ¼ë¡œ ê¶ê¶ì„ 지었다고 한다. ì´ë¥´ê¸° ì „ì— ë©€ë¦¬ì„œ ë°”ë¼ë³´ë©´ 마치 구름과 ê°™ì€ë°, ë§‰ìƒ ë„ì°©í•´ë³´ë©´ ì‚¼ì‹ ì‚°ì€ ë„리어 물 ì•„ëž˜ì— ìžˆë‹¤. [此三神山者, 其傳在渤海中, 去人ä¸é , … 諸僊人åŠä¸æ­»è—¥çš†åœ¨ç„‰, 其物禽ç¸çš†ç™½, 而黃金銀爲宮闕. 未至, 望至如雲, åŠåˆ°ä¸‰ç¥žå±±å居水下…]â€ê³  전한다.
비êµì  ê·¸ 제작 시기를 올려 ìž¡ì„ ìˆ˜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십장ìƒë„>(ë„2)를 ë³´ë©´, ì›ëž˜ëŠ” 10ì²©ì˜ ë³‘í’화로 2ì²©ì´ ê²°ì‹¤ëœ ê²ƒìœ¼ë¡œ ë³´ì´ëŠ”ë°, 화면 ì¢Œë°˜ë¶€ì˜ ë¬¼ê²°ì´ í•˜ëŠ˜ì— ë‹¿ì„ ë“¯í•œ 모습으로 그려져 ‘바다 가운ë°ì— 위치한 공간ì´ìž, ë¬¼ë³´ë‹¤ë„ ì•„ëž˜ì— ìžˆë‹¤â€™ëŠ” ì‚¼ì‹ ì‚°ì˜ ì‹ í™”ì  ì„¤ì •ì„ ë¬˜ì‚¬í•˜ê³  있는 듯하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십장ìƒë„>는 ì¶œë ì´ëŠ” ë¬¼ê²°ì˜ í‘œí˜„ì´ ê°•ì¡°ë˜ì—ˆê³ , í•™ì˜ ì¢…ë¥˜ê°€ 백학으로만 ì´ë£¨ì–´ì§„ ì , ë°±ë¡ì˜ 존재 등 ë¬¸í—Œì˜ ê¸°ë¡ê³¼ ê°™ì´ ì‚¼ì‹ ì‚°ì˜ ì›í˜•ì ì¸ ëª¨ìŠµì„ ê·¸ë¦° 것으로 추정ëœë‹¤.

(위부터)
ë„3 í•„ìžë¯¸ìƒ, <십장ìƒë„> 10첩 병í’, 조선후기, ë¹„ë‹¨ì— ì±„ìƒ‰, 210.0×552.3cm,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ë„4 í•„ìžë¯¸ìƒ, <십장ìƒë„> 10첩 병í’, ì¡°ì„ ë§ê¸°, ë¹„ë‹¨ì— ì±„ìƒ‰, 152.5×343.0cm, 국립고ê¶ë°•물관 소장



ê·¸ëŸ°ë° êµ­ë¦½ê³ ê¶ë°•물관ì´ë‚˜ 삼성미술관 리움 ë“±ì— ì†Œìž¥ë˜ì–´ 있는 <십장ìƒë„>를 ë³´ë©´(ë„3, ë„4), 앞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십장ìƒë„>ì—서 í™”ë©´ì˜ ì¢Œë°˜ë¶€ë¥¼ í¬ê²Œ ì°¨ì§€í–ˆë˜ ìˆ˜íŒŒë¬˜æ°´æ³¢æê°€ 사ë¼ì§€ê±°ë‚˜ ìˆ˜ë©´ì˜ ë©´ì ì´ 현저히 줄어든다. ë°”ë‹¤ì˜ ì¶œë ì´ëŠ” 물결 대신 계류와 ë‚´ê°€ 나타나는 ê²ƒì€ â€˜í•´ë„æµ·å³¶â€™ë¡œ 묘사ë˜ì—ˆë˜ ì‚¼ì‹ ì‚°ì˜ ê°œë…ì´ ì ì°¨ ‘심산유곡’으로 변화해가는 것ì´ë¼ê³  여겨진다. 그리고 ë¬¼ì¤„ê¸°ì˜ ìƒë¥˜ë¥¼ ë”°ë¼ ê±°ìŠ¬ëŸ¬ 올ë¼ê°€ë©´ 멀리 ì›ê²½ì˜ 산까지 ì´ì–´ì§ˆ 듯 ì›ê·¼ê°ì„ 형성하고 있는ë°, ì´ëŸ¬í•œ 공간ê°ì˜ í‘œí˜„ì€ ì¡°ì„ í›„ê¸°ì— ìœ ìž…ëœ ì„œì–‘í™”í’ì˜ ë°˜ì˜ì´ë¼ê³  ë³¼ 수 있다.

십장ìƒë„ì˜ ì œìž‘ ë°°ê²½

십장ìƒë„ì— ê´€í•œ 가장 ì˜¤ëž˜ëœ ê¸°ë¡ì€ ê³ ë ¤ ë§ ì´ìƒ‰(æŽç©¡, 1328∼1396)ì´ ì§€ì€ <ì„¸í™”ì‹­ìž¥ìƒæ­²ç•µå長生>ì´ë‹¤. ì´ìƒ‰ì€ í•´, 구름, 물, ëŒ, 소나무, 대나무, ì˜ì§€, ê±°ë¶, í•™, 사슴 등 10가지 십장ìƒì˜ 구성물 ê°ê°ì— 대해 노래했다. 다ìŒìœ¼ë¡œ ì˜¤ëž˜ëœ ê¸°ë¡ì¸ 조선전기 성현(æˆä¿”, 1439-1504)ì˜ <수사세화십장ìƒå—賜歲畵å長生>ì—서 ì„±í˜„ì€ 1502ë…„ ìž„ê¸ˆì˜ í•˜ì‚¬í’ˆìœ¼ë¡œ ë°›ì€ í•´, 달, ì‚°, ë‚´, 대나무, 소나무, ê±°ë¶, í•™, 사슴, ì˜ì§€ ë“±ì„ ë…¸ëž˜í–ˆë‹¤. 십장ìƒë„는 ê³ ë ¤ì‹œëŒ€ì— ì´ì–´ 조선시대ì—ë„ ê³„ì† ì„¸í™”ë¡œ ê·¸ë ¤ì¡Œì„ ë¿ë§Œ ì•„ë‹ˆë¼ ê¶ì¤‘ì˜ ìž¥ì‹í™”로 ì„ í˜¸ëœ ì£¼ì œì˜€ë‹¤.
ì™•ì‹¤ì˜ ë¬´ë³‘ìž¥ìˆ˜ç„¡ç—…é•·å£½ì™€ 만수무강è¬å£½ç„¡ç–†ì„ 기ì›í•˜ê¸°ì— 십장ìƒë„는 매우 ì ì ˆí•œ ìƒì§•물ì´ì—ˆìŒì— í‹€ë¦¼ì´ ì—†ë‹¤. 십장ìƒë„는 임금ì´ë‚˜ 왕세ìžì˜ 국혼國婚, 대왕대비나 ì™•ë¹„ì˜ íšŒê°‘ì—°å›žç”²å®´ 등 ê¶ì¤‘ì˜ ì£¼ìš”í•œ í–‰ì‚¬ì— ìž¥ì—„ê³¼ ì¹˜ìž¥ì„ ìœ„í•´ 사용ë˜ì—ˆëŠ”ë°, ì´ëŠ” 조선시대 ì˜ê¶¤å„€è»Œì˜ 기ë¡ê³¼ ê¶ì¤‘행사ë„宮中行事圖ì—서 확ì¸ì´ 가능하다. 진채로 그려진 십장ìƒë„는 ë¹„ë¡ ì´ë¥¼ 그린 í™”ê°€ì˜ ì´ë¦„ì€ ë°í˜€ì ¸ 있지 않지만 조선시대 ë„í™”ì„œì˜ ìˆ˜ì¤€ ë†’ì€ í™”ì›ì´ ê·¸ë ¸ì„ ê²ƒìœ¼ë¡œ ì§ìž‘ëœë‹¤.
ê·¸ëŸ°ë° ì¡°ì„ ì‹œëŒ€ ê¶ì¤‘ì—서 선호ë˜ì—ˆë˜ 십장ìƒë„ê°€ ë¯¼ê°„ì— í™•ì‚°ë˜ì—ˆìŒì„ 알게 í•´ 주는 기ë¡ì´ 있다. 1844ë…„(헌종 10) 한산거사漢山居士가 ì§€ì€ í’물가사ì¸ã€Ší•œì–‘가漢陽歌》ì—는 당시 ë¯¼ê°„ì˜ ë¯¸ìˆ í’ˆì— ëŒ€í•œ 수요를 ë°˜ì˜í•˜ë“¯ ìƒí’ˆìœ¼ë¡œ ìœ í†µëœ ê·¸ë¦¼ì˜ ëª…ì¹­ë“¤ì´ ë‚˜ì—´ë˜ì–´ 있는ë°, ë°±ìžë„·요지연과 함께 장수와 ë‹¤ë³µì„ ìƒì§•하는 곽분양행ë½ë„·해학반ë„·십장ìƒë„ ë“±ì´ ì–¸ê¸‰ë˜ì–´ 있다. ì´ê²ƒì€ ê¶ì¤‘íšŒí™”ì˜ ëŒ€ì¤‘ì  í™•ì‚°ì´ ìœ í†µì„ í†µí•´ 저변화ë˜ì—ˆìŒì„ 알려주는 단서ì´ë‹¤.

ë„5 í•„ìžë¯¸ìƒ, <십장ìƒë„> 10첩 병í’, 1880ë…„, ë¹„ë‹¨ì— ì±„ìƒ‰, ê° 201.9×52.1cm, 미국 오리건대학êµë°•물관 소장

ê°œì¸ ì†Œìž¥ <십장ìƒë„>ì˜ ì œìž‘ 시기

현재 미국 ì˜¤ë¦¬ê±´ëŒ€í•™êµ ë°•ë¬¼ê´€ì— ìžˆëŠ” <십장ìƒë„>(ë„5)는 1924ë…„ ì„œìš¸ì— ìžˆë˜ í…Œì¼ëŸ¬ë¬´ì—­ìƒíšŒë¥¼ 통해 해외로 íŒë§¤Â·ìˆ˜ì¶œëœ 경우ì´ë‹¤. ì´ ë³‘í’ì€ íŠ¹ì´í•˜ê²Œë„ ì´ 10첩 중ì—서 마지막 ë‘ ì²©ì— 14ëª…ì˜ ì¢Œëª©ì„ ê¸°ë¡í•˜ê³  있다. ì´ ì¸ë¬¼ë“¤ì€ 1879ë…„(고종 16), 여섯 ì‚´ì˜ ì™•ì„¸ìž(ë‚˜ì¤‘ì— ìˆœì¢…ì´ ë¨)ê°€ 천연ë‘ì— ê±¸ë ¸ì„ ë•Œ 치료를 ë§¡ì•˜ë˜ ì˜ì•½ì²­ì˜ ê´€ë¦¬ìž„ì„ ã€ŠìŠ¹ì •ì›ì¼ê¸°ã€‹ë¥¼ 통해서 확ì¸í•  수 있었다.

ë„1 부분 ë„5 부분
학, 소나무,
구름ì˜
표현 비êµ
해가 나오는
부분 비êµ
묵ì ì„ ì°ì€
부분 비êµ



왕세ìžì˜ ë³‘ì´ ì™„ì¹˜ë˜ìž ì´ë¥¼ 축하하고 ë™ì‹œì— 왕세ìžì˜ 장수를 기ì›í•˜ì—¬ 그린 기ë…í™”ì˜€ë˜ ê²ƒì´ë‹¤.
ê°œì¸ ì†Œìž¥ <십장ìƒë„>(ë„1)ì€ í™”ë©´ 구ë„와 세부ì ì¸ 필법 등ì—서 ì˜¤ë¦¬ê±´ëŒ€í•™êµ ë°•ë¬¼ê´€ 소장 <십장ìƒë„>(ë„5)와 강한 ì¹œì—°ì„±ì„ ë³´ì¸ë‹¤. ìš°ì„  ë‘ ìž‘í’ˆì˜ êµ¬ë„ìƒ í™”ë©´ ì¤‘ì•™ë¶€ë¶„ì„ ê°€ë¡œì§€ë¥´ëŠ” ëƒ‡ë¬¼ì˜ ìœ„ì¹˜ì—서 공통ì ì„ 발견할 수 있다. ì´ì²˜ëŸ¼ ëƒ‡ë¬¼ì´ í™”ë©´ ì¤‘ì•™ë¶€ë¶„ì„ ê°€ë¡œì§€ë¥´ë„ë¡ êµ¬ì„±í•œ 사례는 그렇게 ë§Žì§€ 않다. ë‘ ë²ˆì§¸ë¡œëŠ” í•™ì˜ ë‚ ê°œ ìƒ‰ì´ ë°±Â·í™©Â·ì²­ 삼색으로 êµ¬ì„±ëœ ì ê³¼ í•™ì˜ ë™ì„¸ì—서 ê°™ì€ ë³¸ì„ ì‚¬ìš©í•œ 듯 í¡ì‚¬í•˜ë‹¤ëŠ” ì  ë˜í•œ 공통ì ì´ë‹¤. 세 번째로는 세부ì ì¸ 표현ì—ì„œì˜ ê³µí†µì ì´ë‹¤. êµ¬ë¦„ì˜ í‘œí˜„ ë°©ì‹, í•´ì˜ ì£¼ìœ„ë¥¼ 얇게 ë‘르고 있는 ì„  등ì—서 비슷한 í•„ë²•ì´ ê°„ì·¨ëœë‹¤. ë˜í•œ ì†Œë‚˜ë¬´ì˜ ì´íŒŒë¦¬ë¥¼ 먹선으로 그려낸 필치와 화면 ê³³ê³³ì— ë¬µì ì„ ì°ì–´ ì‹ë¬¼ì˜ 존재를 표현한 ì  ë“±ì—서 유사한 í•„ë²•ì´ ëŠê»´ì§„다.
ë”°ë¼ì„œ ì´ ê°œì¸ ì†Œìž¥ <십장ìƒë„>는 1880ë…„ì— ì œìž‘ëœ ì˜¤ë¦¬ê±´ëŒ€í•™êµ ë°•ë¬¼ê´€ 소장 <십장ìƒë„>ê°€ 그려진 시기나 ê·¸ê²ƒì„ ê·¸ë¦° ìž‘ê°€ì™€ì˜ ì—°ê´€ì„± 위ì—서 ê·¸ 제작 시기나 작가를 ì—¼ë‘í•´ë³¼ 수 ìžˆì„ ê²ƒìœ¼ë¡œ ìƒê°í•œë‹¤.

참고문헌
박본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십장ìƒë„>>, 《미술사논단》 ì œ15호, 한국미술연구소, 2002.
박본수, <조선후기 십장ìƒë„ 연구-ê¶ì¤‘ ‘십장ìƒë³‘í’â€™ì„ ì¤‘ì‹¬ìœ¼ë¡œ>,
《병í’ì— ê·¸ë¦° ì†¡í•™ì´ ë‚ ì•„ì˜¬ 때까지-십장ìƒì „》, ê¶ì¤‘유물전시관, 2004.
박본수, <오리건대학êµë°•물관 소장 십장ìƒë³‘í’ ì—°êµ¬>, 《고ê¶ë¬¸í™”》 ì œ2호, 국립고ê¶ë°•물관, 2009.
ë°•ì² ìƒ, <ë³‘í’ ì†ì˜ 서예>, ã€Šë³‘í’ ì† ê¸€ì”¨ì™€ ê·¸ë¦¼ì˜ ë©‹ã€‹, 수ì›ë°•물관, 2011.

박본수 | 경기ë„박물관 학예실장

호암미술관 ë° ì‚¼ì„±ë¯¸ìˆ ê´€ 학예연구ì›, 경기ë„박물관 학예팀장,
경기ë„미술관 책임학예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민화학회
연구ì´ì‚¬, ë™ì–‘미술사학회 편집위ì›, 경기ë„박물관 학예실장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