ê°ëª¨ì—¬ìž¬ë„ 세 번째 ì´ì•¼ê¸°

ë„ 1 <ê°ëª¨ì—¬ìž¬ë„, 가회민화박물관>

ï¼Šë„ 1 <ê°ëª¨ì—¬ìž¬ë„, 가회민화박물관>

ê°ëª¨ì—¬ìž¬ë„

í•„ìžê°€ ì—¬ë“ ì„ ë°”ë¼ë³´ëŠ” 나ì´ì— ë¯¼í™”ì— ëŒ€í•œ ì¸ì‹ì„ 새롭고 깊게 í•  수 있다는 ê²ƒì— ëŠ˜ ê°ì‚¬í•˜ê³  있다. 민화民畵가 민ì†íšŒí™”æ°‘ä¿—ç¹ªç•«ì˜ ì¤€ë§ì´ë¼ë©´ í¬ê²Œ 틀린 용어는 아니다. 민ì†í•™ì˜ 범주ì—서 민화를 다루는 ê²ƒì€ ì´ìƒí•˜ì§€ëŠ” 않으나 민ì†í•™ 연구ìžë“¤ì€ 회화ë¼ëŠ” ì¡°í˜•ì˜ˆìˆ ì„ ë‹¤ë£¨ëŠ” ë° í•œê³„ê°€ 있으며, 회화 ì „ê³µìžë“¤ì€ ì¼ë°˜ì ìœ¼ë¡œ 사대부 ê·¸ë¦¼ì„ ì£¼ë¡œ 공부하므로 ë¯¼í™”ì˜ ì–‘ì‹ì„ ì´í•´í•˜ê¸° 어렵다. ë”ìš± 문제가 ë˜ëŠ” ê²ƒì€ ë¯¼í™”ë¥¼ 낮추어 보는 ê²½í–¥ì´ ìžˆë‹¤ëŠ” 것ì´ë‹¤. 민화ì—는 선사시대 ì´ëž˜ ì§€ê¸ˆê¹Œì§€ì˜ ì „í†µì´ ì¶•ì ëœ ë‘꺼운 ë¬¸í™”ì¸µì„ ì´ë£¨ê³  있어서 ê·¸ 모든 ì‹œëŒ€ì˜ ì¡°í˜•ì˜ˆìˆ ì„ ê¹Šì´ ê³µë¶€í•˜ì§€ 않고는 ê²°ì½” 풀리지 않는다. í•„ìžëŠ” 광범위하게 연구하여 ì¸ë¥˜ ì¡°í˜•ì˜ˆìˆ ì˜ ì„±ë¦½ê³¼ ì „ê°œì˜ ì›ë¦¬ë¥¼ 6,000ì ì˜ ìž‘í’ˆë“¤ì„ ì±„ìƒ‰ë¶„ì„하면서 찾아냈으며, 민화ì—ë„ ê·¸ ë°©ë²•ì„ ì ìš©í•´ 풀어내면서 뜻하지 않게 ì¸ë¥˜ ë¬¸í™”ì˜ ë³´ê³ å¯¶åº«ë¥¼ 찾아낸 ê²ƒì´ ê¸°ì˜ê¸° í•œì´ ì—†ë‹¤.

ì‚¬ëžŒë“¤ì€ í•„ìž ê°œì¸ì  견해로 민화를 심오하게 í•´ì„하고 있다고 ë§í•œë‹¤. 그러나 민화는 ì›ëž˜ 그렇게 심오한 ìƒì§•ì„ ë‚˜íƒ€ë‚´ê³  있다. ê·¸ë™ì•ˆ ì´ëŸ° 연재를 í•  수 있게 ìžë£Œë¥¼ 제공해 주신 민화 연구ìž, 수장가, 서울옥션과 K옥션, 그리고 윤열수 관장님 등 여러분께 새삼 ê°ì‚¬ë“œë¦°ë‹¤.Â ì‚¬ëžŒë“¤ì€ í•„ìž ê°œì¸ì  견해로 민화를 심오하게 í•´ì„하고 있다고 ë§í•œë‹¤. 그러나 민화는 ì›ëž˜ 그렇게 심오한 ìƒì§•ì„ ë‚˜íƒ€ë‚´ê³  있다. ê·¸ë™ì•ˆ ì´ëŸ° 연재를 í•  수 있게 ìžë£Œë¥¼ 제공해 주신 민화 연구ìž, 수장가, 서울옥션과 K옥션, 그리고 윤열수 관장님 등 여러분께 새삼 ê°ì‚¬ë“œë¦°ë‹¤. ì´ë¥¸ë°” 민화ë¼ëŠ” ê·¸ë¦¼ì€ ë³´ê¸°ì— ê·¸ë¦¬ë„ ì‰¬ìš´ë°, ë¯¼í™”ì— ëŒ€í•œ í•„ìžì˜ ê¸€ì€ ì™œ 그리 어려운지 모르겠다고 아예 í¬ê¸°í•˜ëŠ” ë¶„ë“¤ë„ ìžˆë‹¤. 한편 ì´í•´í•˜ê¸° 쉽다고 하는 ë¶„ë“¤ë„ ìžˆëŠ”ë° ëŒ€ê°œ í•„ìžì˜ ê°•ì˜ë¥¼ 오래 ë“¤ì€ ê²½ìš°ë‹¤. 왜 그럴까. í•„ìžëŠ” 13년째 연구ì›ì—서 새로운 방법론으로 ì¸ë¥˜ì™€ ì„¸ê³„ì˜ ì¡°í˜•ì˜ˆìˆ í’ˆì— ëŒ€í•´ ê°•ì˜í•˜ê³  있다. ì§ìž‘í•´ ë³´ë©´ 4,000ì—¬ íšŒì˜ ê°•ì˜ë¥¼ 해온 ì…ˆì¸ë° ê°•ì˜ ë‚´ìš©ì´ ëª¨ë‘ ìƒˆë¡­ê³  다르다. 매주 새로 ë°ížŒ ì§„ì‹¤ì„ ê°•ì˜í•˜ê³  있으며, 건축·조ê°Â·íšŒí™”·금ì†ê³µì˜ˆÂ·ë„ìžê³µì˜ˆÂ·ëª©ê³µì˜ˆÂ·ë³µì‹ 등 모든 장르를 다루며 새로운 ì§€í‰ì„ 열어나가고 있다. 그러나 충분히 오래 듣지 않고 ë„ì¤‘ì— ì¤‘ì§€í•œ ë¶„ë“¤ì€ ê·¸ ì´í›„ì˜ ì„±ê³¼ë¥¼ 알지 못한다. ë”구나 ì¡°í˜•ì˜ˆìˆ ì„ í•´ë…하는 ë°©ë²•ì¸ <채색분ì„>ì„ ì‹¤ì²œí•˜ì§€ 못했기 때문ì´ë‹¤. 채색분ì„ë²•ì€ í•„ìžê°€ 개발한 ì¡°í˜•ì–¸ì–´ì˜ í•´ë…법으로, 무엇ì¸ì§€ 알 수 없는 ì¡°í˜•ë“¤ì„ í•„ìžê°€ 찾아낸 í•´ë…ë²•ì˜ ì›ë¦¬ë¡œ í‘ë°±ì´ë“  컬러든 새로운 색으로 ë§Žì€ ì‚¬ëžŒì´ ì´í•´í•˜ê¸° 쉽ë„ë¡ ì±„ìƒ‰í•˜ëŠ” 것ì´ë‹¤. 그러나 í•„ìžê°€ 찾아낸 ì›ë¦¬ë¥¼ 모르면 채색분ì„í•  수 없는 특수한 í•´ë…법으로, ì„¸ê³„ì˜ ì¡°í˜•ì˜ˆìˆ í’ˆì´ ì´ ë°©ë²•ìœ¼ë¡œ ëª¨ë‘ í’€ë¦°ë‹¤. 실제로 í•„ìžëŠ” 작년 1ë…„ ë™ì•ˆ 매주 ì„œìš¸ì‹ ë¬¸ì— ë™ì„œê³ ê¸ˆì˜ ì„¸ê³„ì˜ ì¡°í˜•ì˜ˆìˆ í’ˆ ë“±ì„ ì˜ê¸°í™”ìƒë¡ ìœ¼ë¡œ 풀어낸 ì ì´ 있다.

잃어버린 조형과 ìƒì§•ì„ ì°¾ëŠ” 과정

가장 중요한 것ì€, ì„¸ê³„ì˜ ì¡°í˜•ì˜ˆìˆ í’ˆì—는 ì–´ëŠ ìž¥ë¥´ë¥¼ 막론하고 현실ì—서 ë³´ì´ëŠ” ì‚¬ë¬¼ì€ í•˜ë‚˜ë„ ì—†ë‹¤ëŠ” 것과 í˜„ì‹¤ì˜ ê²ƒê³¼ ë˜‘ê°™ì€ ëª¨ì–‘ì„ í•˜ê³  있다고 í•´ë„ ì°¨ì›ì´ 다르므로 같다고 í•  수 없다는 ì§„ì‹¤ì„ ë§ˆì¹¨ë‚´ 알아냈다는 ì ì´ë‹¤. ê·¼ëŒ€ì— ì´ë¥´ëŸ¬ ìžì—°ì£¼ì˜ì™€ 사실주ì˜ê°€ 문학과 ì¡°í˜•ì˜ˆìˆ ì— ë‚˜íƒ€ë‚˜ë©´ì„œ í˜„ì‹¤ì„ ì§ì‹œí•˜ê³  비íŒí•˜ê³  í•´ì„하는 ê²½í–¥ì´ ìƒê¸´ ì´í›„ 우리는 ìƒê°ì´ë‚˜ 시ê°ì´ 그런 방향으로 ìµìˆ™í•´ì ¸ì„œ í˜„ì‹¤ì— ì—†ëŠ” ì¡°í˜•ì€ ë¬¼ë¡  ìƒì§•ë„ ëª¨ë‘ ìžƒì–´ë²„ë ¸ë‹¤. ë”ìš± 심ê°í•œ ê²ƒì€ ìžƒì–´ë²„ë¦° ì¤„ë„ ëª¨ë¥´ë¯€ë¡œ 세계 ì–´ëŠ ê³³ì—ì„œë„ ê·¸ <잃어버린 조형과 ìƒì§•>ì„ ê°€ë¥´ì¹˜ëŠ” ê³³ì´ ì—†ë‹¤ëŠ” ì ì´ë‹¤. ê·¸ëŸ°ë° ì‚¬ëžŒë“¤ì€ í˜„ì‹¤ì—서 본 ê²ƒì„ ì „ë¶€ë¡œ 알고 있으므로, 현실ì—서 본 것으로 현실ì—서 ë³¼ 수 없는 ì¡°í˜•ì˜ˆìˆ ì— ë‚˜íƒ€ë‚œ ì¡°í˜•ì— ë¹—ëŒ€ì–´ 보려고 한다. 그렇게 해서 ì“´ ê¸€ì€ ëª¨ë‘ ì˜¬ë°”ë¥´ì§€ 않다. 그리고 ì¡°í˜•ì„ ìžì„¸ížˆ 관찰하지 않고 문헌기ë¡ì— 남겨진 ë‚´ìš©ì„ ë¬´ì¡°ê±´ 따르므로 역시 ì´ë¥¼ 기초로 연구하여 ê¸€ì„ ì“°ë©´ 오류가 ì¶•ì ë  ë¿ì´ë‹¤. ì¡°í˜•ì˜ˆìˆ ì— ê´€í•œ 한, ì—­ì‚¬ì  ì‚¬ê±´ê³¼ ê´€ë ¨ëœ ê²ƒ ì´ì™¸ì˜ 문헌기ë¡ì€ ‘대부분 옳지 않ìŒâ€™ 역시 í•„ìžê°€ 알아냈다. ì´ìƒê³¼ ê°™ì€ ì¸ìеì´ë‚˜ ì˜¤ë¥˜ì— í™”ì„í™”ëœ ì‚¬ëžŒë“¤ì€ ì¡°í˜•ì˜ˆìˆ í’ˆì„ ì˜¬ë°”ë¡œ 관찰할 수 없다는 ê²ƒì€ ìžëª…하다.Â ì¡°í˜•ì˜ˆìˆ ì€ ëˆˆì— ë³´ì´ì§€ 않는 ê²ƒì„ í˜•ìƒí™”í•´ ê°ê°ì˜ ì‹œëŒ€ì˜ ë“œë†’ì€ ì°¨ì›ì˜ ì •ì‹ ì´ë‚˜ 사ìƒì„ 표현한 것ì´ë¼ëŠ” ê²ƒì„ ìš”ì¦ˆìŒ ì ˆì‹¤ížˆ ì²´ê°í•˜ê³  있다. ê·¸ë™ì•ˆ 오랜 ì‹œëŒ€ì— ê±¸ì³ ë³´ì´ì§€ ì•Šì•˜ë˜ â€˜ìš°ì£¼ì— ê°€ë“ ì°¬ ê¸°ìš´â€™ì„ ì¡°í˜•ì˜ˆìˆ ê°€ë“¤ì€ í˜•ìƒí™”해왔기 ë•Œë¬¸ì— ê·¸ 형ìƒí™”ëœ ì¡°í˜•ë“¤ 역시 ë³´ì´ì§€ ì•Šì•˜ë˜ ê²ƒì´ë©°, ë”ìš±ì´ ë¬´ì—‡ì„ ìƒì§•하는지 파악할 수 없었다. í•„ìžëŠ” 세계 최초로 그러한 ì¡°í˜•ì–¸ì–´ë“¤ì„ í•´ë…하였으며, ê·¸ ë³´ì´ì§€ ì•Šì•˜ë˜ ì¡°í˜•ë“¤ì´ ì „ì²´ì˜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20%ë„ ì˜¤ë¥˜ê°€ ë§ŽìŒì„ 알아냈다. 그리고 í•„ìžëŠ” 특히 우리나ë¼ì˜ 선사시대-삼국시대-통ì¼ì‹ ë¼ì‹œëŒ€-고려시대-ì¡°ì„ ì‹œëŒ€ì˜ ëª¨ë“  장르를 심층ì ìœ¼ë¡œ 연구하고 있으므로 ê°ëª¨ì—¬ìž¬ë„ì˜ ì—¬ëŸ¬ ì¡°í˜•ì„ ì¢…í•©ì ìœ¼ë¡œ 다룰 수 있게 ëœ ê²ƒì´ë©° ì„¸ê³„ì˜ ë§Žì€ ì¡°í˜•ì„ ë¹Œì–´ì„œ 설명하고 있다.

ìžì—°ì˜ 형태를 따른 ê²ƒì´ ì•„ë‹ˆë‹¤!

민화를 살펴보면, 현실ì—서 ë³´ì´ëŠ” ìžì—°ì˜ 형태는 í•˜ë‚˜ë„ ì—†ë‹¤. í•„ìžê°€ 여러 가지 ì¡°í˜•ë“¤ì„ ê·¸ë ¤ì„œ 채색분ì„하여 친절히 ì„¤ëª…í•˜ì—¬ë„ ì–´ë µë‹¤ê³  하는 ê¹Œë‹­ì´ ì—¬ê¸°ì— ìžˆë‹¤. 그러나 어려운 ê²ƒì´ ì•„ë‹ˆë¼ ìš©ì–´ê°€ 낯설고 í•´ì„ì´ ë‚¯ì„¤ê¸° 때문ì´ê³ , ìžì‹ ì˜ ì •ì‹ ì„ ê³ ì°¨ì›ìœ¼ë¡œ ëŒì–´ì˜¬ë¦¬ë ¤ëŠ” ë…¸ë ¥ì€ í•˜ì§€ 않고, ê³¼ê±°ì˜ ì¸ìŠµì— ê°‡í˜€ 있기 때문ì´ë‹¤. ì¸ìŠµå› è¥²ì´ëž€, ì´ì „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습관으로 â€˜ë‚¡ì€ ì¸ìŠµâ€™ì„ ë§í•œë‹¤. í•­ìƒ ì¸ìŠµì˜ êµ´ë ˆë¥¼ 벗어나야 한다고 ë§í•˜ì§€ë§Œ 한번 ì¸ìŠµì— ì–½ë§¤ì—¬ 버리면 극복하기 매우 어렵다. ì¸ìŠµì— ëŒ€í•´ ë” ìƒê°í•´ë³´ìž. 예로부터 내려오는 관습 중ì—서 합리ì ì´ë‚˜ ì§„ë³´ì  ê´€ì ì—서 가치가 ì˜ì‹¬ë˜ê±°ë‚˜ 부정ë˜ê³  있는 ê²ƒì„ ë§í•˜ëŠ”ë°, ê³ ëŒ€ì˜ ê³¼í•™ì  ê·¼ê±°ê°€ 없는 ì˜ì‹ì£¼è¡£é£Ÿä½ì˜ 터부가 집단으로, 그리고 강력한 ì‚¬íšŒì  ëª…ë ¹ë„ ë”°ë¡œ ì—†ì´ ê·¸ì € 지금까지 지켜져 내려왔다는 ì´ìœ ë§Œìœ¼ë¡œ 지켜지는 경우가 많다. ì´ ì¸ìŠµì€ ì‚¬íšŒì˜ í™•ëŒ€ê°œë°© ë° í•©ë¦¬ì  ì •ì‹ ì˜ ë°œë‹¬ê³¼ 함께 사ë¼ì ¸ 가고 있다. 그러나 ì¸ë¬¸í•™ìžë“¤ì€ ì¸ìеì—서 벗어나는 ê²ƒì´ ì•„ë‹ˆë¼ ì˜¤ížˆë ¤ ì¸ìŠµì˜ ë²½ì„ êµ³ê²Œ 다져서 한 걸ìŒë„ 벗어나지 못한다. ë”구나 ìžì—°ë¬¼è‡ªç„¶ç‰©ì— ìƒëŒ€í•˜ëŠ” 조형예술품造形è—è¡“å“ì— ìžˆì–´ì„œëŠ” ì¸ìŠµì˜ ì •ë„ê°€ 가장 심ê°í•˜ë‹¤. í•„ìžì˜ ë°©ë²•ë¡ ì€ ë°”ë¡œ ì´ëŸ¬í•œ ì¸ìŠµì„ íƒ€íŒŒí•˜ë ¤ëŠ” ë° ìžˆìœ¼ë¯€ë¡œ í˜ëª…ì  ê²½í–¥ì´ ê°•í•˜ë‹¤.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ê°ëª¨ì—¬ìž¬ë„感慕如在圖를 살펴보면, 역시 현실ì—서 ë³´ì´ëŠ” ìžì—°ì˜ 형태는 í•˜ë‚˜ë„ ì—†ë‹¤.(ë„ 1) ì´ ê·¸ë¦¼ì˜ ë°”ë‹¥ë¶€í„° 살펴보ìž.(ë„ 2-1) ì´ ì—­ì‹œ 누구ì—ê²Œë„ ë³´ì´ì§€ 않는 ë°”ë‹¥ì˜ ì¡°í˜•ì´ë‹¤. ë¹„ë¡ ë°”ë‹¥ì´ë¼ê³  ë§ì€ 했지만, í˜„ì‹¤ì˜ ë°”ë‹¥ì´ ì•„ë‹ˆê³  그림 아랫부분으로 차례ìƒê¹Œì§€ 한 가지 조형으로 ê°€ë“ ì°¨ 있어서 ê·¸ë¦¼ì˜ ë°”íƒ•ì„ ì´ë£¬ë‹¤. í•„ìžëŠ” í•­ìƒ ë¶ˆí™”ë‚˜ 민화를 ë°‘ì—서부터 살펴본다. 왜ëƒí•˜ë©´ 회화란 <ìƒëª…ì´ ìƒì„±í•˜ëŠ” ë‹¨ê³„ì  ê³¼ì •ì„ ë³´ì—¬ì£¼ëŠ” 것>ì´ê¸° 때문ì´ë‹¤. 바로 í•„ìžê°€ ì´ë¦„ ë¶™ì¸ ì˜ê¸°ë¬¸éˆæ°£æ–‡ë“¤ì´ ìƒëª…ì´ ìƒì„±í•˜ëŠ” ê³¼ì •ì„ ë³´ì—¬ì£¼ê³  있지 않ì€ê°€. 바로 ì´ ë°”ë‹¥ì˜ ì˜ê¸°ë¬¸ì´ë‚˜ ì£¼ë³€ì˜ ì˜ê¸°ë¬¸ì—서 사당ë„ê°€ ì˜ê¸°í™”ìƒí•œë‹¤. 그러면 아래 ë¶€ë¶„ì˜ ì¡°í˜•ì„ ê·¸ë ¤ì„œ 채색분ì„í•´ 보기로 하ìž. 채색분ì„ì´ë¼ëŠ” ê²ƒì€ ì˜ê¸°ë¬¸ í•´ë…ì˜ ë„구ì´ë¯€ë¡œ 반드시 í•´ë´ì•¼ ìƒì§•ì„ ì²´ë“í•  수 있다. 마치 현미경 ì—†ì´ëŠ” 미세한 ìƒëª…체를 ë³¼ 수 없는 것과 ê°™ì´ í•„ìˆ˜ì˜ ë„구ì´ë©° 수단ì´ë‹¤. 그러므로 ì „ê°œì›ë¦¬ë¥¼ 모르면 ëˆ„êµ¬ë„ ì±„ìƒ‰ë¶„ì„í•  수 없다.ë°”ë‹¥ì˜ ì¡°í˜•ì„ ê·¸ì € ‘무늬’ë¼ê³  부르고 지나친다. 무엇ì¸ì§€ 모르면 무늬ë¼ê³  치부하고 ê´€ì‹¬ì„ ë‘ì§€ 않는다. ê·¸ëŸ°ë° ì¸ë¥˜ì˜ 조형예술품 ê°€ìš´ë° 80%ê°€ 무늬ì´ê³  보편ì ì´ê³  뚜렷한 ì „ê°œì›ë¦¬ê°€ 있어서 채색분ì„ì´ ê°€ëŠ¥í•˜ë‹¤. ê°ëª¨ì—¬ìž¬ë„ë„ ì „ì²´ ì¡°í˜•ì´ ë¬´ëŠ¬ë‹¤. 그래서 채색분ì„ì„ í†µí•˜ì—¬ 조형ì›ë¦¬ì™€ ìƒì§•ì„ í’€ì–´ë‚´ê³  있다. ë°”ë‹¥ì˜ ì¡°í˜•ì„ ë¶€ë¶„ë§Œ 그려서 채색분ì„í•´ ë³´ë©´ 다ìŒê³¼ 같다.(ë„ 2-2, ë„ 2-3) 그림ì—ì„œë„ ë‹¨ìƒ‰ì´ì–´ì„œ 무엇ì¸ì§€ 알 수 없다. 그러나 채색분ì„ì„ í•´ë³´ë©´ ëšœë ·ì´ ë³¼ 수 있고 무엇ì¸ì§€ 알 수 있다. ê·¸ëŸ°ë° <보주寶ç >ë¼ë“ ê°€ <ì˜ê¸°ë¬¸éˆæ°£æ–‡>ì„ ëª¨ë¥´ë©´ 채색분ì„ì„ í•  수 없다. ì´ ë‘ ê°€ì§€ ê°œë…ì€ í•„ìžê°€ 처ìŒìœ¼ë¡œ ë°ížŒ 것ì´ì–´ì„œ ì´í•˜ì˜ í•´ì„ì´ ê°€ëŠ¥í•˜ë‹¤. <보주>는 누구나 ê·¸ ì´ë¦„ì„ ì•Œê³ ëŠ” 있으나 ê·¸ 조형과 ìƒì§•ì€ ì•„ë¬´ë„ ëª¨ë¥´ê³  있으며, 여러 ì±…ì— ì“°ì¸ ë‚´ìš©ì€ ëª¨ë‘ ì˜¬ë°”ë¥´ì§€ 않다. <ì˜ê¸°ë¬¸>ì€ ëˆ„êµ¬ì—ê²Œë„ ë³´ì´ì§€ ì•Šì•˜ë˜ ì¡°í˜•ì´ì—ˆìœ¼ë¯€ë¡œ ì´ë¦„ë„ ì—†ë˜ ê²ƒì„ í•„ìžê°€ 만든 용어다. ì´ ë‘ ê°€ì§€ ê°œë…ì€ ëª‡ 마디로 ì •ì˜í•  수 없으며 ìž‘í’ˆë“¤ì„ ë‹¤ë£¨ì–´ê°€ë©´ì„œ 서서히 ì¸ì‹í•˜ê²Œ ë  ê²ƒì´ë‹¤. ê·¸ë§Œí¼ ì¤‘ëŒ€í•˜ê³  ì´í•´í•˜ê¸° 어렵다.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장ì‹í™” 아닌, ì‚¬ìƒ ë‹´ì€ ê·¸ë¦¼

í•œëˆˆì— êµ­í™”ê½ƒ ê°™ì´ ë³´ì¸ë‹¤. 그러나 ì´ëŸ° êµ­í™”ê½ƒì€ í˜„ì‹¤ì— ì—†ë‹¤. ì¤‘ì‹¬ì— ìž‘ì€ ì›ì´ 있고 가운ë°ì— ë” ìž‘ì€ ì› ì„¸ 개가 있다. 씨방 ì•ˆì˜ ì”¨ì•—ì´ë‹¤. 그러나 ì”¨ì•—ì´ ë³´ì£¼ê°€ ëœë‹¤ëŠ” ê²ƒì„ í•„ìžê°€ 서서히 ì¸ì‹ì˜ 깊ì´ë¥¼ ì§€ì†í•˜ë‹¤ê°€ ì ˆê°í•  때는 바로 채색분ì„í•  때ì´ë©° 그때마다 ì¸ì‹ì˜ ê³¨ì€ ìƒˆë¡­ê³  깊어간다. ì”¨ì•—ì˜ ìƒ‰ì€ í•œ 가지가 아니다. 씨방 ì•ˆì˜ ë³´ì£¼ë¥¼ 빨갛게 칠하는 ì´ìœ ëŠ” 가장 강력한 ì˜ê¸°ë¥¼ 나타내는 색ì´ê¸° 때문ì´ë‹¤. ì”¨ì•—ì€ ìƒëª…ì˜ ê·¼ì›ì´ë‹¤. 씨앗ì—서 ì‹¹ì´ í„°ì„œ ìžŽì´ ë‚˜ì˜¤ê³  ê½ƒì´ í”¼ê³  열매를 맺고 ê°€ì„ì„ ê±°ì³ ê²¨ìš¸ì—는 줄기만 남지만, ì´ë“¬í•´ ë´„ì— ì”¨ì•—ì—서 다시 ìƒëª…ì´ ì „ê°œí•˜ê¸° 시작한다. ì´ê²ƒì€ ëŒ€ìš°ì£¼ì˜ ìˆœí™˜ì´ë¼ëŠ” ìžì—°ì  현ìƒì´ê¸°ë„ 하다. 그러나 ì”¨ì•—ì´ ë³´ì£¼ë¡œ ëœë‹¤ëŠ” ê²ƒì€ ìžì—°í˜„ìƒì„ ê³ ì°¨ì›ìœ¼ë¡œ 승화시켜 ìš°ì£¼ì˜ ì§„ë¦¬ë¥¼ 담는다. 보주란 ëŒ€ìš°ì£¼ì— ì¶©ë§Œí•œ ì˜ê¸°, 즉 신령스러운 ê¸°ìš´ì„ ì••ì¶•í•œ 것으로 ëª¨ì–‘ì€ ì—¬ëŸ¬ 가지ì´ë‚˜ í”히 ìž…ì²´ì ì¸ 구체çƒé«”나 í‰ë©´ì ì¸ ì›åœ“으로 나타낸다. 씨방 안ì—는 하나ì—서 ìˆ˜ë§Žì€ ì”¨ì•—ì´ ë“¤ì–´ìžˆë‹¤. ê·¸ 수가 ì •í•´ì§„ ë°” 없는 ê²ƒì€ ë‹¹ì—°í•˜ë‹¤. ‘무량한 보주’가 들어가 있다는 ê²ƒì„ ìƒì§•하고 있기 ë•Œë¬¸ì— ëª‡ 개가 중요한 ê²ƒì´ ì•„ë‹ˆë‹¤. ê·¸ëŸ°ë° ë¬´ëŸ‰í•œ ë³´ì£¼ë“¤ì€ ê±°ëŒ€í•œ 보주 ì•ˆì— ë“¤ì–´ 있으며, ê·¸ 거대한 ë³´ì£¼ë¼ í•˜ë”ë¼ë„ ìž‘ì€ ì¢ìŒ€ê°™ì´ í‘œí˜„í•˜ê¸°ë„ í•˜ê³ , ì‚¬ê³¼ë§Œí¼ í¬ê²Œë„ 표현할 수 ìžˆëŠ”ë° í¬ê¸°ì™€ ê´€ê³„ì—†ì´ ëŒ€ìš°ì£¼ë¥¼ ìƒì§•한다. 즉 보주ë¼ëŠ” ì¡°í˜•ì€ í¬ê¸°ì˜ 문제가 아니다. 그러므로 í° ë³´ì£¼ ì•ˆì˜ ìž‘ì€ ë³´ì£¼ 안ì—ë„ ë¬´ëŸ‰í•œ 보주가 들어갈 수 있다. 보주ë¼ëŠ” ê°œë…ì„ í•„ìžê°€ 서서히 정립하여 오고 있다. 보주란 ëŒ€ìš°ì£¼ì˜ ì˜ê¸°ë¥¼ ë‹´ê³  있으므로 만물ìƒì„±ì˜ ê·¼ì›ì´ ë  ìˆ˜ 있다. ê·¸ëŸ°ë° ë³´ì£¼ë¼ëŠ” 형태ì—서 조형ì ìœ¼ë¡œ ë§Œë¬¼ì„ ì§ì ‘ ìƒì„±ì‹œí‚¤ê¸° 어려우므로, ë³´ì£¼ì— êµ¬ë©ì„ ë‚´ì–´ ê·¸ 구ë©ìœ¼ë¡œë¶€í„° 보주가 ì—°ì´ì–´ 나오거나 갖가지 ì˜ê¸°ë¬¸ì´ ë‚˜ì˜¤ëŠ”ë° ê·¸ 모든 ì˜ê¸°ê°€ ì œ1ì˜ê¸°ì‹¹ê³¼ ì œ2ì˜ê¸°ì‹¹, ì œ3ì˜ê¸°ì‹¹ 세 가지 기본 ì˜ê¸°ë¬¸ìœ¼ë¡œ 성립한다.(ë„ 3) 그러므로 보주-ì œ1, ì œ2, ì œ3 ì˜ê¸°ì‹¹ ì˜ê¸°ë¬¸ì€ 가장 중요한 ìƒëª…ìƒì„±ì˜ ê·¼ì›ì´ ëœë‹¤. ì˜ê¸°ë¬¸ì´ëž€ ê°œë…ì€ ì—¬ëŸ¬ 가지 í˜•íƒœì˜ ì˜ê¸°ë¬¸ì„ 하나하나 ëª…ì¹­ì„ ë§Œë“¤ 수 없으므로 다른 í˜•íƒœì˜ ëª¨ë“  ì˜ê¸°ë¬¸ì„ í¬ê´„하고 있다.Â ê·¸ëŸ°ë° ì´ ê·¸ë¦¼ì—서는 보주 ì•ˆì— ë¬´ëŸ‰í•œ 보주를 넣고 ê·¸ 중심으로부터 긴 잎 ê°™ì€ ëª¨ì–‘ë“¤ì„ ì´ì¤‘으로 해서 방사선으로 확산시키고 있다. ì´ ê¸€ì—서는 ì¦ëª…하기 어려우나 ì—°ê½ƒìžŽì´ ë³´ì£¼í™”å¯¶ç åŒ–한다는 ê²ƒì„ ë°í˜€ë‚´ë©´ì„œ í•„ìžì˜ ë…ìžì  ë°©ë²•ë¡ ì¸ ì˜ê¸°í™”ìƒë¡ éˆæ°£åŒ–ç”Ÿè«–ì€ í™œë ¥ì„ ë ê²Œ ëœë‹¤. 미술사ì—서 ì´ëŸ° 구체ì ì¸ ë°©ë²•ë¡ ì„ ì œì‹œí•œ 미술사학ìžëŠ” í•„ìžê°€ 세계ì—서 처ìŒì´ë‹¤. 80%ê°€ ì´ ì´ë¡ ìœ¼ë¡œ 풀린다. 긴 ìžŽì˜ ëì„ ë³´ì£¼ë¡œ 표현하면 ì¤‘ì‹¬ì˜ ë³´ì£¼ì—서 ìž‘ì€ ë³´ì£¼ë“¤ì´ ì‚¬ë°©ìœ¼ë¡œ 확산하는 ëª¨ì–‘ì„ ë ê²Œ ë˜ê³  ì—°ì´ì–´ ë” ë„“ê²Œ ë” ë§Žì€ ë³´ì£¼ê°€ 확산하여 무한히 í¼ì ¸ë‚˜ê°€ì§€ë§Œ, ì´ ì •ë„ì—서 그친 것ë¿ì´ë‹¤. ì´ë¡ ì ìœ¼ë¡œëŠ” 3중, 4중 등 무한히 전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ì´ ëª¨ë“  ê²ƒì„ í¬í•¨í•œ í° ê²ƒì„ ì—­ì‹œ 보주ë¼ê³  ë§í•  수 있지만, 다시 í° ì›ì„ 그리면 옹색해질 수 있어서 제한ì ì¸ í° ì›ìœ¼ë¡œ 둘리지 않았다. 바로 ì´ í° ë³´ì£¼ì—서 ì œ1ì˜ê¸°ì‹¹ì´ 나오고 대칭으로 ë˜ ì œ1ì˜ê¸°ì‹¹ì´ 나와서 ì œ2ì˜ê¸°ì‹¹ì„ ì´ë£¨ì§€ 않는가. 그리고 ì œ1ì˜ê¸°ì‹¹ì—서 다시 ì œ1ì˜ê¸°ì‹¹ì´ ìƒê¸¸ 수 ìžˆëŠ”ë° ì´ ê·¸ë¦¼ì—서는 현실ì—서 보는 잎 ëª¨ì–‘ì˜ ì˜ê¸°ë¬¸ì´ ì—°ì´ì–´ ìƒê²¨ë‚˜ ë˜ë‹¤ì‹œ ì œ2ì˜ê¸°ì‹¹ì„ ì´ë£¬ë‹¤. ì´ë ‡ê²Œ ìžì„¸í•˜ê²Œ 설명하는 ê²ƒì„ ë”°ë¼ì˜¤ë©´ì„œ ì¡°í˜•ì„ ì‚´íŽ´ë³´ë©´ í° ê¸°ì¨ì„ 맛볼 수 있지만, 대부분 ì‚¬ëžŒë“¤ì€ ìµìˆ™í•˜ì§€ ì•Šì€ í•´ë…ì„ ë”°ë¼ì˜¤ë‹¤ê°€ 금방 ì§€ì³ë²„ë ¤ í¬ê¸°í•˜ëŠ” 경우가 허다하다. 바로 ì´ëŸ° ì¡°í˜•ì´ ë°”ë‹¥ì— ê°€ë“하다. 즉 ë°”ë‹¥ì— ê°•ë ¥í•œ ì˜ê¸°ë¬¸ì„ ë°°ì¹˜í•¨ìœ¼ë¡œì¨ ê·¸ ìœ—ë¶€ë¶„ì˜ ê°–ê°€ì§€ 조형들, 즉 사당건축과 ì°¨ë¡€ìƒ ë“±ì„ ì˜ê¸°í™”ìƒí•˜ëŠ” 것ì´ë‹¤. ë°”ë‹¥ì— í•¨ê»˜ 제사 차림ìƒì´ ìžˆëŠ”ë° ê·¸ ìƒì˜ 앞면ì—ë„ ê°™ì€ ì˜ê¸°ë¬¸ì„ 그대로 ë‘었다.(ë„ 4-1) ì´ ê·¸ë¦¼ì„ ê·¸ë¦° ì‚¬ëžŒì€ ê·€ì°®ì•„ì„œ 지우지 ì•Šì€ ê²ƒì´ ì•„ë‹ˆë¼ ëª©ê°€êµ¬ì¸ ì œì‚¬ìƒì— 그런 ì˜ê¸°ë¬¸ì„ ê°€ë“ ì±„ìš°ê³  측면과 ë‹¤ë¦¬ì˜ í˜•íƒœë¥¼ ì˜ê¸°í™”í•¨ìœ¼ë¡œì¨ ì œì‚¬ìƒì—서 촛대나 ê°ì¢… ìŒì‹ì´ í™”ìƒì¼€ 하기 위함ì´ë‹¤. í”히 ìƒì˜ ì•„ëž«ë¶€ë¶„ì„ ì•ˆìƒçœ¼è±¡ì´ë¼ ë¶€ë¥´ëŠ”ë° ë§ë„ 안 ë˜ëŠ” 틀린 용어다. 역시 ì¼ë³¸ì—서 쓰는 용어를 가져다 ì“´ 것으로 ì¼ë³¸ì˜ 미술사 용어들 ê°€ìš´ë° í‹€ë¦° ê²ƒì´ ë„ˆë¬´ë‚˜ 많지만, ì‚¬ëžŒë“¤ì€ í‹€ë¦° ì¤„ë„ ëª¨ë¥´ê³  그러니 무슨 뜻ì¸ì§€ë„ 모르고 사용하고 있다. 채색분ì„한 ê²ƒì„ ë³´ë©´ ì•„ëž˜ì˜ ê³¡ì„ ì´ ì œ1ì˜ê¸°ì‹¹ìœ¼ë¡œ ì—°ì´ì–´ ì´ë£¨ì–´ì§€ê³  있ìŒì„ 알 수 있다.(ë„ 4-2) ì´ë ‡ê²Œ ì œ1ì˜ê¸°ì‹¹ì´ ì—°ì´ì€ ì¡°í˜•ì€ ì´ë¯¸ ì¸ë¥˜ì˜ 선사시대부터 나타난 것으로 <물>ì„ ìƒì§•한다. <물> 역시 만물ìƒì„±ì˜ ê·¼ì›ì¸ë° ì œ1ì˜ê¸°ì‹¹ì´ ë¬¼ì„ ìƒì§•하고, 보주 안ì—는 가시ì ìœ¼ë¡œ ë¬¼ì„ ê°€ë“ ì±„ìš°ê³  있어서 보주와 ì˜ê¸°ë¬¸ì€ ë¬¼ì„ í˜•ìƒí™”한 ê²ƒìž„ì„ ì•Œ 수 있다. 물ì´ë¼ í•´ë„ í˜„ì‹¤ì—서 보는 ë¬¼ì´ ì•„ë‹ˆê³  ì •í™”ëœ ë¬¼ì¸ ì •ìˆ˜æ·¨æ°´, ì„±í™”ëœ ë¬¼ì¸ ì„±ìˆ˜è–æ°´, ì˜í™”ëœ ë¬¼ì¸ ì˜ìˆ˜éˆæ°´ë¥¼ 가리킨다. 그런 ì¡°í˜•ì´ ì´ë£¨ëŠ” ê³µê°„ì€ ë¹„ì–´ 있는 ê²ƒì´ ì•„ë‹ˆê³  대우주를 머금고 있다. ì´ ê³µê°„ì˜ ìž…êµ¬ë¥¼ í•„ìžëŠ” <ì˜ê¸°ì°½éˆæ°£çª“>ì´ë¼ ì´ë¦„ ì§€ì—ˆëŠ”ë° ìžì„¸í•œ ë‚´ìš©ì€ ë‹¤ìŒ ê¸°íšŒë¡œ 미룬다.

ëŒ€ìš°ì£¼ì˜ ì˜ê¸°ê°€ 충만한 사당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다ìŒìœ¼ë¡œ ì‚¬ë‹¹ì˜ ì§€ë¶•ì„ ë³´ê¸°ë¡œ 한다.(ë„ 5-1) ê±´ì¶•ì—서 ì§€ë¶•ì´ ì§€ë‹ˆëŠ” ìƒì§•ì€ í¬ë‹¤. ì§€ë¶•ì´ ì–´ë–¤ 형태ì´ë“  ì²œê³µå¤©ç©ºì„ ìƒì§•하기 때문ì´ë‹¤. ì§€ë¶•ì€ ëŒ€ìš°ì£¼ë¥¼ ìƒì§•하므로 ì˜ê¸°ê°€ 충만해 있어서 밖으로 ì˜ê¸°ë¬¸ì´ 발산한다. ê·¸ëŸ°ë° ì´ ì‚¬ë‹¹ì—서는 소나무가 발산하고 있다! ìš”ì¦ˆìŒ ì†Œë‚˜ë¬´ë¥¼ 유심히 관찰하여 오고 ìžˆëŠ”ë° ê·¸ ê¹Œë‹­ì€ ì†”ìžŽì˜ ë‚ ì¹´ë¡œìš´ ìžŽë“¤ì´ ê°•ë ¥í•˜ê²Œ 확산擴散하는 조형으로 보였기 때문ì´ë‹¤. 그리고 ì†Œë‚˜ë¬´ì˜ ìš©í‹€ìž„ì„ í•­ìƒ ìš©ëª©é¾æœ¨ì´ë¼ 여기며 우주목ì´ê³  보주목ì´ë¼ ìƒê°í•´ 왔다. ë¶‰ì€ ë‚˜ë¬´ì¤„ê¸°ì™€ 짙푸른 ì†”ìžŽì´ ì¡°í™”ë¡­ê³ , 솔잎모양 ì˜ê¸°ë¥¼ 내뿜는 신령스러운 나무다. í•œêµ­ì„ ìƒì§•하는 나무로 바위ì—ì„œë„ ìžë¼ëŠ” ê°•ì¸í•œ ìƒëª…ë ¥ì„ ë½ë‚´ëŠ” ëª¨ìŠµì€ ì¤‘êµ­ 소나무ì—ë„ ì—†ë‹¤ê³  한다. ê·¸ëŸ°ë° ë°”ë¡œ ì´ ìž‘í’ˆì—서 ì†Œë‚˜ë¬´ì˜ í˜•ì´ìƒí•™ì  ì„±ê²©ì„ ê°•ë ¥ížˆ 보여준다. ê°ëª¨ì—¬ìž¬ë„ì˜ ì‚¬ë‹¹ ì˜†ì— ë°˜ë“œì‹œ 소나무가 서 있다. ì´ ê·¸ë¦¼ì—ì„œë„ ì‚¬ëžŒë“¤ì€ ì‚¬ë‹¹ ë’¤ì— ì„œ 있는 소나무로 여길 것ì´ë‹¤. 그러나 그렇지 않다. ê±´ì¶•ì˜ ì¶”ë…€ë§ˆë£¨ 좌우 ëê³¼ 곳곳ì—서 강하게 발산하는 솔잎 모양 ì˜ê¸°ë¬¸ì´ë‹¤.(ë„ 5-2) ë¿ë§Œ ì•„ë‹ˆë¼ ìš©ë§ˆë£¨ 양쪽 ëì—ì„œë„ ë³´ì£¼ê°€ 발산하고 있으며 보주ì—서 솔잎 모양 ì˜ê¸°ë¬¸ì´ 발산하고 있고, ê·¸ 아래쪽ì—서는 êµµì€ ì†Œë‚˜ë¬´ 가지가 ë»—ì³ë‚˜ê°€ê³  있으며, 용마루 중간ì—서는 가장 êµµì€ ì†Œë‚˜ë¬´ 줄기가 용틀임하며 뻗어나고 있다. ì†”ìžŽì´ ì˜ê¸°ë¬¸ì´ë¯€ë¡œ ë¹¨ê°„ìƒ‰ìœ¼ë¡œë„ ì¨ë³´ì•˜ë‹¤. ì´ì œ 소나무가 ì˜ëª©éˆæœ¨ì´ë©° 우주목ì´ë©° ìƒëª…ìˆ˜ìž„ì´ ì¦ëª…ëœ ì…ˆì´ë‹¤. 지붕 ì•„ëž˜ì˜ ë‘¥ê·¼ ì„œê¹Œëž˜ë“¤ë„ ë¹¨ê°„ìƒ‰ìœ¼ë¡œ ì¹ í•´ì ¸ 있어서 보주를 ìƒì§•하고 있다.Â ì‚¬ë‹¹ì˜ ì–‘ìª½ì— ì„œ 있는 만병과 ‘우주목=ë³´ì£¼ëª©â€™ì€ ê±´ì¶•ë§Œí¼ ì»¤ì„œ 하늘과 ë•…ì„ ì´ì–´ì£¼ëŠ” 듯하다.(ë„ 6-1) 향해서 ì˜¤ë¥¸ìª½ì˜ ë§Œë³‘ì—서는 ë³´ì£¼ê½ƒì´ ì˜¤ë¥´ê³  ìžˆëŠ”ë° ì‚¬ëžŒë“¤ì€ ëª¨ëž€ì´ë¼ê³  부른다. 줄기ì—서 ìžŽì´ ë‚˜ì˜¤ê³  ìžˆëŠ”ë° í˜„ì‹¤ì—서 보는 ìžŽì´ ì•„ë‹ˆëž€ ì¦ê±°ëŠ” ì—°ë‘색 잎ì—서 노란 ìžŽì´ ìƒê²¨ë‚˜ëŠ” 조형ì´ë‹¤. 실제로 그렇게 ìƒê²¨ë‚  리 없다. ê·¸ ì¡°í˜•ì„ ë‹¨ìˆœí™”ì‹œí‚¤ë©´ ì œ2ì˜ê¸°ì‹¹ì´ ëœë‹¤.(ë„ 6-2) 붕긋붕긋한 ëª¨ì–‘ì˜ ê½ƒìžŽë§ˆë‹¤ 놀ëžê²Œë„ 빠알간 ë³´ì£¼ì˜ í‘œí˜„ì´ ìžˆì§€ 않ì€ê°€. 그러고 보니 ë³´ì£¼ë“¤ì˜ ë©ì–´ë¦¬ê°€ 아닌가. ë³´ì£¼ë“¤ì˜ ì§‘ì é›†ç©ì´ê¸°ì— 꽃잎 ëª¨ì–‘ì˜ ë‘ ê³³ì—서 ì§™ì€ ë…¹ìƒ‰ìœ¼ë¡œ 칠한 잎 모양 ì˜ê¸°ë¬¸ì´ 발산하고 있다. 그다ìŒì— ë»—ì–´ 올ë¼ê°„ ë‘ ì¤„ê¸° ì–‘íŽ¸ì— ì•„ëž˜ 보주꽃과 줄기ì—서 ìƒê¸´ ì œ3ì˜ê¸°ì‹¹ ì˜ê¸°ë¬¸ì´ ìžˆëŠ”ë° ì œ2ì˜ê¸°ì‹¹ 갈래ì—서 빨간 보주가 ìƒê²¨ë‚˜ì§€ 않는가! 향해서 왼쪽ì—는 ì œ2ì˜ê¸°ì‹¹ 줄기ì—ì„œë„ ë³´ì£¼ê°€ ìƒê¸°ë©° ê·¸ 보주로부터 ì§™ì€ ë…¹ìƒ‰ì˜ ìžŽ 모양 ì˜ê¸°ë¬¸ì´ 발산하고 있으며, ì œ2ì˜ê¸°ì‹¹ 갈래ì—서 보주가 ìƒê²¨ë‚˜ ì œ3ì˜ê¸°ì‹¹ ì˜ê¸°ë¬¸ì„ ì´ë£¨ê³  ìžˆëŠ”ë° ë†€ëžê²Œë„ ê·¸ 보주ì—서 ì—°ì´ì–´ ë˜ í•˜ë‚˜ì˜ ë³´ì£¼ê°€ ìƒê²¨ë‚˜ì§€ 않는가! ì´ ê·¸ë¦¼ì„ ê·¸ë¦° ì‚¬ëžŒì€ ì–´ë–»ê²Œ ì œ1ì˜ê¸°ì‹¹ê³¼ ì œ2ì˜ê¸°ì‹¹ê³¼ ì œ3ì˜ê¸°ì‹¹ì„ 알았고, ì œ3ì˜ê¸°ì‹¹ì—서 보주가 ìƒê²¨ë‚œë‹¤ëŠ” ê²ƒë„ ì–´ì°Œ 알았으며, 보주ì—서 보주가 ìƒê²¨ë‚œë‹¤ëŠ” ê²ƒë„ ì–´ì°Œ 알았단 ë§ì¸ê°€. 맨 ìœ„ì˜ ë³´ì£¼ê½ƒë„ ë³´ì£¼ì˜ ì§‘ì ìž„ì„ ë³´ì—¬ 주고 있으며, 사방으로 ì˜ê¸°ë¬¸ì´ 발산하고 있다.향하여 ì™¼ìª½ì˜ ì—°ê½ƒë„ í˜„ì‹¤ì—서 보는 ì—°ê½ƒì´ ì•„ë‹ˆë‹¤.(ë„ 7-1) ê·¸ ì¦ê±°ë¡œ 만병ì—서 처ìŒì— 양쪽으로 나오는 ‘면é¢ìœ¼ë¡œ ëœ ì œ1ì˜ê¸°ì‹¹â€™ì„ ë³´ë©´ 알 수 있다.(ë„ 7-2) 만병 ì•ˆì— ê°€ë“ ì°¬ ì˜ê¸°, ê·¸ê²ƒì„ ê°€ì‹œí™”í•œ ‘ì˜í™”ëœ ë¬¼â€™, 그리고 ì˜í™”ëœ ë¬¼ì—서 ì„±ë¦½ëœ ê°–ê°€ì§€ ì˜ê¸°ë¬¸ ê°€ìš´ë° ê°€ìž¥ 기본ì ì´ê³  강력한 ì œ1ì˜ê¸°ì‹¹ ì˜ê¸°ë¬¸ì´ 중요하다. ì œ1ì˜ê¸°ì‹¹ì—서 ì œ2, ì œ3ì˜ê¸°ì‹¹ ë“±ì´ ì„±ë¦½í•˜ë¯€ë¡œ ì œ3ì˜ê¸°ì‹¹ 가운ë°ëŠ” ì œ1, ì œ2ì˜ê¸°ì‹¹ì´ í¬í•¨ë˜ì–´ 있다. ê·¸ 갈래 사ì´ì—서 ì—°ê½ƒëª¨ì–‘ì´ ìƒê¸°ë¯€ë¡œ í¬ê²Œ ë³´ë©´ ì œ3ì˜ê¸°ì‹¹ì´ ëœë‹¤. 먼저 í¬ê³  ë„“ì€ ì—°ìžŽì´ ë‚˜ì˜¤ëŠ”ë° ì¤‘ì‹¬ì— ë³´ì£¼ê°€ 있고 보주로부터 여러 ê°ˆëž˜ì˜ ì˜ê¸°ë¬¸ì´ 발산하고 있으며 위아 래ì—서 번엽, 즉 뒤집힌 ë¶€ë¶„ì´ ìžˆëŠ”ë° ì‚¬ë¬¼ì„ ì˜í™”시키는 방법ì´ë‹¤. 바로 그런 연잎 모양 ì˜ê¸°ë¬¸ì—서 빨간 연꽃잎 ëª¨ì–‘ì˜ ì˜ê¸°ë¬¸ì´ 발산한다. 다른 한쪽ì—서는 연잎 모양 ì˜ê¸°ë¬¸ìœ¼ë¡œë¶€í„° ì—°ë´‰ 모양 ì˜ê¸°ë¬¸ì´ 다ì´ì•„몬드 ëª¨ì–‘ì˜ ë§¤ì²´ë¥¼ ê±°ì³ í™”ìƒí•˜ê³  있다. ê·¸ ì¦ê±°ë¡œëŠ” 만병ì—서 ìƒê²¨ë‚œ ë¬¼ì„ ê°€ì‹œí™”í•œ ì œ1ì˜ê¸°ì‹¹ ë‘ ê°€ëž˜ 사ì´ì—서 ë‘ ì¤„ê¸° ì˜ê¸°ë¬¸ì´ 위ì—까지 ì´ì–´ì§€ê³  있으므로 ê°ê° 잎 모양과 꽃잎 모양과는 관계가 없다. 어리숙한 그림ì´ì§€ë§Œ ì˜ê¸°ë¬¸ì˜ ì „ê°œì›ë¦¬ê°€ 정확하게 아니 오히려 ì ë‚˜ë¼í•˜ê²Œ 표현ë˜ì–´ 있어서 í›ˆë ¨ë°›ì€ í™”ê°€ê°€ 그린 ì˜ê¸°ë¬¸ì—서 풀리지 ì•Šì•˜ë˜ ë¬¸ì œë“¤ì´ ì‰½ê²Œ 풀리고 있는 ê²ƒì€ ë†€ë¼ìš´ ì¼ì´ë‹¤. 지금 ë³´ì´ì§€ëŠ” 않으나 만병ì—서는 ì´ë¯¸ ë°ížŒ 것처럼 무량한 보주가 발산하므로 연잎과 꽃잎 ëª¨ì–‘ì€ ë¬´ëŸ‰í•œ 보주를 머금고 있다. 매우 어렵고 복잡한 ê³¼ì •ì„ ê±°ì¹˜ì§€ë§Œ 차차 ë°í˜€ì§ˆ 것ì´ë‹¤.ì°¨ë¡€ìƒ ìœ„ì˜ ì´›ëŒ€ë¥¼ ë³´ìž.(ë„ 8-1) ê°€ìš´ë° ë¹¨ê°„ 보주가 있고 초를 꼽는 대臺는 놀ëžê²Œë„ 위아래가 번엽ë˜ì–´, 즉 뒤집혀서 ì˜ê¸°í™”하고 있다. ê°€ìš´ë° í•„ìžê°€ 그려 ë„£ì€ ì—°ìžŽ 모양 ì˜ê¸°ë¬¸ê³¼ 같지 않ì€ê°€. ì´ ì´›ëŒ€ë„ ë§Œë³‘ì´ë©° ë³´ì´ì§€ëŠ” 않으나 만병 ì¤‘ì‹¬ì˜ ë³´ì£¼ì—서 ë¹›ì´ í™”ìƒí•˜ëŠ” 격ì´ë‹¤. ë¹›ì´ëž€ ì˜ê¸°ì˜ ê·¼ì›ì´ê¸°ë„ 하다. 그러므로 촛대는 차례ìƒì— ë¶ˆê°€ê²°ì˜ ì¡´ìž¬ë‹¤. 마지막으로 차례ìƒì— 무슨 ìŒì‹ì´ 차려져 있는지 살펴보ìž. ì§€ë‚œë‹¬ì— ë‹¤ë£¬ ê°ëª¨ì—¬ìž¬ë„ì— ì°¨ë ¸ë˜ ê°ì¢… ‘열매=보주’는 ë³´ì´ì§€ 않고 ì²˜ìŒ ë³´ëŠ” ì°¨ë¡€ìƒ ì°¨ë¦¼ì´ ìžˆë‹¤.(ë„ 8-1) ë„“ì€ ì°¨ë¡€ìƒ ìœ„ì—는 달랑 ë‘ ê·¸ë¦‡ì´ ìžˆë‹¤. 지금 다루고 있는 ê°ëª¨ì—¬ìž¬ë„와 비êµí•´ë³´ë©´, ì§€ë‚œë‹¬ì— ë‹¤ë£¬ ê°ëª¨ì—¬ìž¬ë„는 ì°¨ë¡€ìƒ ìœ„ì— ì „í˜•ì ì¸ ê¶ê¶ìš© ì œê¸°ç¥­å™¨ë“¤ì´ ë†“ì—¬ 있고 회화양ì‹ë„ í™”ì›í™”ì–‘ì‹ì´ì–´ì„œ í™”ì›ì˜ 그림ì´ë¼ 단정했다. 그러나 ì´ ìž‘í’ˆì—서는 전형ì ì¸ 제기 형ì‹ì´ 아니고, 사발ì´ë‚˜ 병 모양ì¸ë° ê°ê° 보주가 ë“¬ë¿ ë‹´ê²¨ 있지 않ì€ê°€! ì¡°ìƒì‹ ê»˜ 보주를 ìƒì§•하는 ì—´ë§¤ë“¤ì„ ì°¨ë ¤ë†“ì§€ 않고, 아예 ë³´ì£¼ë“¤ì´ ê°€ë“ ì°¬ 사발ì´ë‚˜ ë³‘ì„ ì°¨ë ¤ë†“ê³  ë³´ì£¼ë“¤ì„ ìž¡ìˆ˜ë¦¬ë¼ê³  바치고 있으니 매우 í¥ë¯¸ 있는 그림ì´ë‹¤.(ë„ 9) ì´ ë¯¼í™”ì—는 ì˜ê¸°ë¬¸ë„ ì ë‚˜ë¼í•˜ê²Œ 표현하고 있으므로 ë¯¸í•´ê²°ì˜ ë¬¸ì œë“¤ì„ ì™„ë²½í•˜ê²Œ 풀어낼 수 있어서 기ì˜ê¸° í•œì´ ì—†ë‹¤. í™”ì›í™”畵員畵ì—서는 ì´ë ‡ê²Œ ì ë‚˜ë¼í•œ ì˜ê¸°ë¬¸ì˜ í‘œí˜„ì€ ë“œë¬¼ë‹¤. ì´ì œ ‘ê¶ê¶í™”’, í˜¹ì€ â€˜ê¶ê¶ìž¥ì‹í™”’ 등 ì´ì™€ 유사한 ìš©ì–´ë“¤ì„ ì“°ì§€ ë§ê³  ‘화ì›í™”’ë¼ê³  부르는 ê²ƒì´ ì¢‹ì„ ê²ƒì´ë‹¤. 그리고 ‘장ì‹í™”è£é£¾ç•µâ€™ê°€ 아니다. 매우 중요한 사ìƒì„ ë‹´ê³  ìžˆëŠ”ë° ì–´ì°Œ 장ì‹í™”ë¼ ë¶€ë¥´ëŠ”ê°€!

 

글 : ê°•ìš°ë°©(ì¼í–¥í•œêµ­ë¯¸ìˆ ì‚¬ì—°êµ¬ì› ì›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