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예창 ì´ë¬¸ì„± 작가를 추모하며

ì´ë¬¸ì„± (1962.05.06 ~ 2022.12.09)

사진 : ì´ì£¼ìš©

 

ê¶ì¤‘장ì‹í™”ì˜ ì„¸ê³„í™”, ê·¸ ì´ˆì„ì„ ë‹¤ì§„ 선구ìž

1세대 ë¯¼í™”ìž‘ê°€ì¸ ì˜ˆì°½ ì´ë¬¸ì„± 작가가 지난 12ì›” 9ì¼(금) 작고했다.
10대부터 46ì—¬ ë…„ê°„ 민화 ì™¸ê¸¸ì„ ê±¸ì–´ì˜¨ ê·¸ì˜ ë§ˆìŒì†ì—” 늘 한국 ê¶ì¤‘장ì‹í™”ì˜ ë§¥ì„ ì˜¬ë°”ë¡œ 계승하리ë¼ëŠ” 숭고한 사명ê°ì´ ìžë¦¬ 잡고 있었다. “ê¶ì¤‘ ë¯¸ìˆ ì˜ ë¥´ë„¤ìƒìФ 시대를 ë§žì´í•  채비를 하ë¼â€ê³  í–ˆë˜ ê·¸ì˜ ì›ëŒ€í•œ 꿈과 비전, ë„“ê³  ê¹Šì€ ìž‘í’ˆì„¸ê³„ë¥¼ 찬찬히 ëŒì•„본다. 예창 ì´ë¬¸ì„± 작가를 추모하며.

글 ê¹€ì†¡í¬ ê¸°ìž


화가를 ê¿ˆê¾¸ë˜ ì¤‘í•™ìƒ ì‹œì ˆ, ì´ë¬¸ì„± 작가ì—게 별안간 특별한 ì´ì›ƒì´ ìƒê¸´ë‹¤. 바로 옆집으로 ì´ì‚¬ 온 예범 박수학 작가. 운명처럼 ì´ì–´ì§„ ì¸ì—°ìœ¼ë¡œ ì´ë¬¸ì„± 작가는 박수학 ìž‘ê°€ì˜ ê³µë°©ì—서 ì¼í•˜ë©° ë¯¼í™”ì˜ ê¸¸ì— ì²«ë°œì„ ë‚´ë”›ê¸° 시작한다.


ì„¸ì›”ì´ ì§€ë‚˜ 예범 박수학 ìž‘ê°€ì˜ ê·€í–¥ ì „ì— í•¨ê»˜ ì„  ë‘ ìž‘ê°€


화가를 ê¿ˆê¾¸ë˜ ì†Œë…„, 어엿한 작가가 ë˜ê¸°ê¹Œì§€

ì´ë¬¸ì„± 작가는 ë¯¼í™”ì˜ ì„¸ê³„ì— ë”ìš± ê¹Šì´ ë“¤ì–´ê°€ê¸°ë¡œ 마ìŒë¨¹ê³ ëŠ” 박수학 ìž‘ê°€ì˜ ì†Œê°œë¡œ 찾아간 나정태 ìž‘ê°€ì˜ ê³µë°©ì—서 본격ì ì¸ ì¼ê³¼ ë°°ì›€ì„ ë³‘í–‰í•´ê°”ë‹¤. 당시는 한창 민화가 외국으로 활발히 수출ë˜ë˜ 때, 그는 ìˆ˜ì—†ì´ ë§Žì€ ê·¸ë¦¼ì„ ê·¸ë¦¬ê³  ë˜ ê·¸ë ¸ë‹¤. 누군가는 반복ì ì¸ 모사 ìž‘ì—…ì„ ê·¸ì € ì¼ê±°ë¦¬ë¡œë§Œ 여겼ì„ì§€ 모르지만 ì´ë¬¸ì„± 작가는 ê·¸ 안ì—서 ë°°ì›€ì˜ ì˜ë¯¸ë¥¼ 찾았다. 그는 ìƒì „ 월간민화와 ì¸í„°ë·°ë¥¼ 통해 “나중ì—는 안 ë³´ê³ ë„ ê·¸ë ¤ë‚¼ 수 ìžˆì„ ì •ë„ì˜ ì‹¤ë ¥ì„ ê°–ì¶”ê²Œ ë˜ì—ˆë‹¤â€ê³  ê·€ë”한 ë°” 있다. 성실한 모사 작업으로 í•„ë ¥ì„ íƒ„íƒ„í•˜ê²Œ 하고 옛 ê·¸ë¦¼ì„ ë¶„ì„, 연구해가며 ìžì‹ ë§Œì˜ 고유한 작품세계를 차근차근 구축해갔다. 80년대부터는 꾸준한 ìž‘ì—…ì€ ë¬¼ë¡ ì´ê³  함께 활ë™í•˜ëŠ” 민화계 ë™ë£Œë“¤ê³¼ 활발한 ì†Œí†µì„ ì´ì–´ê°”다. 1986ë…„ 20ì—¬ ëª…ì˜ ìž‘ê°€ì™€ 함께 ìµœì´ˆì˜ ë¯¼í™”ìž‘ê°€ 단체로 알려진 ‘민화연우회’를 창립, ì „ì‹œì— ì°¸ì—¬í•˜ë©° ìž‘í’ˆì„ í†µí•´ 소통하고 작가로서 존재ê°ì„ 확실히 드러냈다.


ì´ë¬¸ì„±, <ê¶ì¤‘화조ë„>



(좌) ì´ë¬¸ì„±, <ì¼ì›”오봉ë„>, 180×110㎠/ (ìš°) ì´ë¬¸ì„±, <황금ì¼ì›”오봉ë„>, 155×55ãŽÃ—2


ì€ì€í•˜ë©´ì„œë„ 묵ì§í•œ 색ê°, 때론 ê±°ì¹¨ì—†ì´ ê³¼ê°í•˜ê²Œ

ì´ë¬¸ì„± 작가는 10대 때 <십장ìƒë„>를 ì²˜ìŒ ë³´ê³  ‘백ë¡ìƒ‰â€™ì— 매료ëœë‹¤. ë°±ë¡ìƒ‰ì´ 지닌 신묘한 ë§¤ë ¥ì€ ì´ë¬¸ì„± ìž‘ê°€ì˜ ë§ˆìŒì„ ëŠìž„ì—†ì´ ì¼ë ì´ê²Œ 만들었고 종국엔 ìžì‹ ë§Œì˜ ë°±ë¡ìƒ‰ì„ 창조한다. ê·¸ì˜ ìž‘í’ˆ <ê¶ì¤‘화조ë„>, <ì¼ì›”오봉ë„> 등ì—서 특히 ì€ì€í•˜ê³  ì˜ë¡±í•œ ê·¸ë§Œì˜ ë°±ë¡ìƒ‰ì„ ì˜¤ë¡¯ì´ ëŠê»´ë³¼ 수 있다. ì´ë ‡ë“¯ ì´ë¬¸ì„± 작가는 색ê°ì— 대해 기민한 ê°ê°ì„ 가지고 줄곧 ìžì‹ ì˜ ìž‘í’ˆì— ì–´ë– í•œ 색ê°ì„ 부여할 것ì¸ê°€ 고민해왔다. ê¶ì¤‘í™”ì˜ í™”ë ¤í•˜ê³  강렬한 색ê°ì´ 때론 누군가ì—ê² ê±°ë¶€ê°ìœ¼ë¡œ 다가갈 ìˆ˜ë„ ìžˆë‹¤ëŠ” ê²ƒì´ ë‚´ë‚´ 풀리지 않는 ìˆ™ì œì˜€ë˜ ê²ƒ. ì´ì— 그는 1995ë…„ê²½, ê³¼ê°í•˜ê²Œ 색ê°ì„ 톤 다운하는 시ë„를 통해 새로운 미ê°ì˜ ìž‘í’ˆì„ ì™„ì„±í•´ ì„ ë³´ì¸ë‹¤. ì˜¤ë°©ìƒ‰ì„ ê¸°ì¡°ë¡œ 하여 ê¶ì¤‘í™”ì˜ ì •ì²´ì„±ì€ ìœ ì§€í•˜ë˜ íŒŒìŠ¤í…” 색ê°ìœ¼ë¡œ ë…ë³´ì ì¸ 분위기를 조성했다. ì´í›„ 30ì—¬ ë…„ì˜ ì„¸ì›”ê³¼ 함께 ê·¸ì˜ ìž‘í’ˆì—는 묵ì§í•¨ê³¼ 깊ì´ê°ì´ ë”해졌다.


ì´ë¬¸ì„±, <ìƒç”Ÿ>, 2022, ìž¥ì§€ì— ìˆ˜ê°„ë¶„ì±„, 55×60ãŽ



ì´ë¬¸ì„± 작가는 전통ì ì¸ ê¶ì¤‘장ì‹í™”는 물론ì´ê³  ê³¼ê°í•œ 창작민화까지 ìžìœ ë¡œì´ 넘나들며 작품세계를 확장해갔다. 그가 때때로 보여준 ê±°ì¹¨ì—†ì´ ê³¼ê°í•œ 시ë„ë“¤ì€ ì‹ ì„ í•œ 환기는 물론 ë§Žì€ ìž‘ê°€ì—게 ì˜ê°ì˜ ìžê·¹ì œê°€ ë˜ì–´ì£¼ì—ˆë‹¤. 다소 지루하리만치 엄숙하기만 í–ˆë˜ ì¼ì›”오봉ë„ì˜ ì´ë¯¸ì§€ë¥¼ 깨준 <황금ì¼ì›”오봉ë„>, ìƒëª…ì˜ ê·¼ì›ì¸ ë¬¼ì´ ìˆœí™˜í•˜ëŠ” ëª¨ìŠµì„ ë‹´ì€ <ìƒç”Ÿ>, 파란 ëª¨ëž€ì„ í•œ 아름 피워내 ì¼ìƒ ì† í‰í™”를 기ì›í•œ <행복한 ì˜ìž>, 질박한 필치로 í™”ëª©ì„ ì´ì•¼ê¸°í•œ <장ìƒí™”목ë„> ë“±ì€ ì˜¤ëž˜ë„ë¡ íšŒìžë  ê·¸ì˜ ì°½ìž‘í’ˆë“¤ì´ìž 수작秀作ì´ë‹¤. 1세대 민화작가 금광복 작가는 ì´ë¬¸ì„± ìž‘ê°€ì— ëŒ€í•´ “열악한 환경ì—ì„œë„ ê¿‹ê¿‹í•˜ê²Œ 민화 ì™¸ê¸¸ì„ ê±¸ì–´ì™€ 오늘날 민화를 꽃피우게 한 진정한 1세대 민화ì¸â€ì´ë¼ë©° “한창 작품 í•  나ì´ì— 먼 ê¸¸ì„ ë– ë‚˜ 황ë§í•¨ì„ ì´ë£¨ 다 표현할 수 ì—†ì´ ìŠ¬í”„ë‹¤â€ê³  전했다. ë”불어 “전승 민화를 잘하는 ê²ƒì€ ë¬¼ë¡  창작 작품ì—는 ê·¸ë§Œì˜ ì¡°í˜• 언어가 존재한다. 사슴 ë‘ ë§ˆë¦¬ë¥¼ 강하게 í‘œí˜„í•¨ìœ¼ë¡œì¨ ì™¸ë¡­ê³ ë„ ìŠ¬í”„ë©´ì„œ 휴머니즘 ê°€ë“한 그림ì—서 ê·¸ì˜ ì¡°í˜• 언어를 ì½ì„ 수 있다â€ë©° ê·¸ì˜ ìž‘í’ˆì„¸ê³„ë¥¼ 회고했다.


ê²½í¬ëŒ€í•™êµ êµìœ¡ëŒ€í•™ì› 관화/민화 17-18기와 함께


예창 ì´ë¬¸ì„±ì˜ ì‚¶: 민화, 후진 양성, ê¶ì¤‘장ì‹í™”ì˜ ì„¸ê³„í™”

ì´ë¬¸ì„± ìž‘ê°€ì˜ ì‚¶ì„ íšŒê³ í•  때 ê·¸ë¦¼ì„ ê·¸ë¦¬ëŠ” ì¼ ë§Œí¼ ë¹¼ë†“ì„ ìˆ˜ 없는 ê²ƒì€ â€˜í›„ì§„ ì–‘ì„±â€™ì¼ í…Œë‹¤. ì´ë¬¸ì„± 작가는 2011년부터 10ì—¬ 년가량 ê²½í¬ëŒ€í•™êµ êµìœ¡ëŒ€í•™ì› 관화/민화 êµìœ¡ìžê³¼ì • 주임êµìˆ˜ë¡œ 역량 있는 ìˆ˜ë§Žì€ ë¯¼í™”ì¸ì„ 배출했다. ê²½í¬ëŒ€í•™êµ êµìœ¡ëŒ€í•™ì› 관화/민화 êµìœ¡ìžê³¼ì • ì´ë™ë¬¸íšŒ(ì´í•˜ 경민회) 회ì›ë“¤ì€ ì „êµ­ ê°ì§€ì—서 활발하게 작품활ë™ì„ 해나가는 ê²ƒì€ ë¬¼ë¡ , ë˜ ë‹¤ë¥¸ í›„í•™ì„ ì–‘ì„±í•˜ëŠ” ë°ì— 앞장서고 있다. 2018ë…„ì— ì°½ë¦½í•´ ì´ë¬¸ì„± ìž‘ê°€ì˜ ê°€ë¥´ì¹¨ 아래 정기ì ì¸ 회ì›ì „ì„ ê°œìµœí•˜ë©° 민화계 대표ì ì¸ ê¶ì¤‘장ì‹í™” 단체로 성장한 예창ê¶ì¤‘장ì‹í™”전승회(ì´í•˜ 예창회) 회ì›ë“¤ ë˜í•œ 탄탄한 공력으로 êµ­ë‚´ì™¸ì— ê¶ì¤‘장ì‹í™”ì˜ ì•„ë¦„ë‹¤ì›€ì„ ë„리 알리는 ë° ì˜í–¥ë ¥ì„ 선사하고 있다. 어쩌면 ì´ë¬¸ì„± ìž‘ê°€ì˜ ìˆ˜ë§Žì€ ê±¸ìž‘ 중 가장 빛나는 ìž‘í’ˆì€ ë°”ë¡œ ì œìžë“¤ì´ ì•„ë‹ê¹Œ.
ì´ë¬¸ì„± 작가가 ê¶ì¤‘장ì‹í™”를 ì„¸ê³„ì— ë³¸ê²©ì ìœ¼ë¡œ 알리기 시작한 ê²ƒì€ 2015ë…„, 미국 워싱턴 D.C ì—°ë°© 국회ì˜ì‚¬ë‹¹ ìºë…¼í™€ì—서 K-국제민화협회를 설립하면서부터다. ì´í›„ 워싱턴 D.C, 맨해튼, 메릴랜드 등 꾸준히 민화와 ê¶ì¤‘화로 전시를 개최했으며 뉴욕한국ì¼ë³´, 미주한ì¸ìž¬ë‹¨ 워싱턴과 ì—…ë¬´í˜‘ì•½ì„ ë§ºê³  공모전, 작품 í¼ë ˆì´ë“œ 행사 등 íšê¸°ì ì¸ 행보를 ì´ì–´ê°”다. ê·¸ëŸ¬ë˜ ì¤‘ 2020ë…„, í•œì–¼ë¬¸ì˜ˆë°•ë¬¼ê´€ì´ ê°œìµœí•œ ‘제1회 í•œì–¼ì˜ ì²œë…„í˜¼, 명ì¸Â·ëª…장 수여ì‹â€™ì—서 ‘ê¶ì¤‘장ì‹í™” 명장(ì œ2020-6호)’으로, 2021ë…„ 대한민국 대한명ì¸íšŒê°€ 개최한 명ì¸ì¶”대ì‹ì—서 ‘대한민국 전통민화 명ì¸(ì œ06-062-01호)으로 ì„ ì •ë˜ì—ˆë‹¤. ê°™ì€ í•´ 엘리콧시티ì—서 <한국ê¶ì¤‘í™”ì˜ ì´ˆì„ì „>ì„ ì„±ë£Œí•˜ê³ , 2022ë…„ì— K-국제민화협회를 한국ê¶ì¤‘장ì‹í™”협회로 확장·개편하며 ì°½ë¦½ì „ì„ í†µí•´ ì•žìœ¼ë¡œì˜ í™œë°œí•œ 활ë™ì„ 기약하는 등 ê¶ì¤‘장ì‹í™”ì˜ ì„¸ê³„í™”, ê·¸ ì´ˆì„ì„ íŠ¼íŠ¼ížˆ 다졌다. 놀ë¼ìš´ ê²ƒì€ ì´ì²˜ëŸ¼ 숨 ê°€ì˜ê²Œ 달려온 그가 오랜 기간 병마와 분투하면서ë„, 힘든 ë‚´ìƒ‰ì„ í•˜ì§€ 않았다는 ì ì´ë‹¤. 세ìƒì„ 뜨기 불과 한 달 ì „ì¸ 11ì›”, ì œìžë“¤ê³¼ ì¦ê±°ì´ MT를 다녀온 ë°ë‹¤ 마지막 ìž…ì› ì§ì „ê¹Œì§€ë„ ëŒ€í•™ì›ì—서 í‰ì†Œì™€ ë‹¤ë¦„ì—†ì´ ìˆ˜ì—…ì„ ì§„í–‰í–ˆë˜ ê²ƒ. 장례 ì§í›„ì—는 ì¼ì°ì´ ì¨ë†“ì€ ê·¸ì˜ ìœ ì–¸ìž¥ì´ ë°œê²¬ë다. ì´ë¬¸ì„± 작가는 ì´ë¯¸ ìžì‹ ì˜ 죽ìŒì„ 예ê°í–ˆë˜ 것ì´ë‹¤. 그런 그를 ì œìžë“¤ì€ 어떻게 기억하고 있ì„까?


ì´ë¬¸ì„±, <행복한 ì˜ìž>, 2021, 165×120ãŽ



ì´ë¬¸ì„±, <장ìƒí™”목ë„>, 1996, í•œì§€ì— ë¶„ì±„, 60×65ãŽ


예창 ì´ë¬¸ì„± 작가를 기억하며

ì´ê²½ìž 예창회 회ì›ì€ “낯선 해외ì—서 ì œìžë“¤ì˜ ìž‘í’ˆì„ í•œê°€ë“ ì‹¤ì€ ê°€ë°©ì„ ì´ê³ , 지고 앞장서 ê±·ë˜ ì—´ì •ì ì¸ ëª¨ìŠµì´ ì•„ì§ ì„ ì—°í•˜ë‹¤â€ê³  회ìƒí–ˆë‹¤. 김미옥 예창회 íšŒìž¥ì€ â€œë¯¸êµ­ 한ì¸ì‚¬íšŒì— 민화를 ì•Œë¦¬ê³ ìž ê³ êµ°ë¶„íˆ¬í•˜ì‹œë˜ ë¶„â€ì´ë¼ 그를 기억했으며, 김지현 예창회 회ì›ì€ “연극 하는 ì‚¬ëžŒì€ ë까지 ì—°ê·¹íŒì— ìžˆê³ ìž í•˜ë“¯ 나 ë˜í•œ ì£½ì„ ë•Œê¹Œì§€ 민화íŒì— 있고 싶다고 í•˜ì…¨ë˜ ë§ì´ ê°€ìŠ´ì— ì•„ì§ë„ 남아 있다â€ë©° 회고했다. 장복금 예창회 회ì›ì€ “당신 것 하나ë¼ë„ ë” ê°€ë¥´ì³ ì£¼ë ¤ í•˜ì…¨ë˜ ë§ˆìŒ ì˜ì›ížˆ 잊지 않고 ë¶€ë„럽지 ì•Šì€ ìž‘ê°€ë¡œ 정진하고 싶다â€ê³  다ì§í–ˆë‹¤. ë°•ì„ í™” 예창회 회ì›ì€ â€œìŠ¤ìŠ¹ë‹˜ì˜ ë¶“ì§ˆí•˜ëŠ” ëª¨ìŠµì€ ë§ˆì¹˜ 춤추는 모습 같았다â€ê³  ì›ƒìŒ ì§€ì—ˆìœ¼ë©°, 박순임 예창회 회ì›ì€ â€œìŠ¤ìŠ¹ë‹˜ì´ ëª»ë‹¤ ì´ë£¬ ê¿ˆì„ ì œìžë“¤ì´ 사명ê°ì„ 가지고 앞으로 ì­‰ ì´ì–´ë‚˜ê°€ê³ ìž 한다â€ê³  êµ³ì€ ì˜ì§€ë¥¼ 내비쳤다. 한편, 12ì›” 21ì¼(수) ì œìžë“¤ì„ 중심으로 간략하게 ì§„í–‰ëœ ê·¸ì˜ ì¶”ëª¨ì‹ì—서 강효숙 경민회 íšŒìž¥ì€ â€œë³‘ë§ˆì™€ ì‹¸ìš°ë˜ ì¤‘ì—ë„ ë까지 ê·¸ë¦¼ì„ ë†“ì§€ ì•Šìœ¼ì…¨ë˜ ê·¸ ëª¨ìŠµì„ ê¸°ì–µí•˜ë©° ê³ ì¸ì˜ ëœ»ì„ ì´ì–´ë°›ì•„ 민화와 ê¶ì¤‘화를 계승하는 ë° ì •ì§„í•˜ë¦¬ë¼â€ëŠ” ì œìžë“¤ì˜ ëœ»ì„ ì¶”ëª¨ì‚¬ë¡œ 전했다. ì´ë¬¸ì„± 작가와 해외 사업 파트너로 함께한 ì†ì¸í™˜ 한국ê¶ì¤‘장ì‹í™”협회 ì´ì‚¬ìž¥ì€ â€œëª¸ì´ ì‹¬í•˜ê²Œ 아픈 시ì ì—ë„ ë¶“ 들고 í¬ìˆ˜í•˜ë‹¤ ì €ë… ëŠ¦ê²Œì•¼ ìž…ì›í•´ ëª©ì— êµ¬ë©ì„ ë‚´ì–´ 겨우 숨 쉬며 ‘나는 ì‚´ì•„ 있다’ë©° ì œìžë“¤ê³¼ ë™ë£Œë¥¼ ì•ˆì‹¬ì‹œí‚¤ë˜ ëª¨ìŠµì´ ë‚´ë‚´ 마ìŒì— 남는다â€ê³  회ìƒí–ˆë‹¤. 김유경 경민회 ì‚¬ë¬´êµ­ìž¥ì€ â€œì–´ë¦° 시절 십장ìƒë„를 ë³´ê³  ë°±ë¡ìƒ‰ì— ë§¤ë£Œëœ ì´ì•¼ê¸°, ì´ì›ƒìœ¼ë¡œ 박수학 ì„ ìƒë‹˜ì„ 만나 ë§¤ì¼ ë°¤ë‚®ìœ¼ë¡œ 신나게 그림만 그렸다는 ì´ì•¼ê¸°, 공방ì—서 ì¼í•  때 눈 ê°ê³  그린 ì ë„ 있었다는 ì´ì•¼ê¸°ê¹Œì§€â€¦ 그림 ì´ì•¼ê¸°ë¥¼ 해주실 때마다 소년처럼 환하게 ì›ƒìœ¼ì‹œë˜ ëª¨ìŠµì„ ì˜ì›ížˆ 기억하겠다â€ë©° 애틋한 마ìŒìœ¼ë¡œ 그를 추모했다.
ê·¸í† ë¡ ì—´ì • ë„˜ì¹˜ë˜ ì˜ˆì°½ ì´ë¬¸ì„± 작가는 ì´ì œ 우리 ê³ì— 없다. 하지만 ê·¸ì˜ í˜¼ì´ ë‹´ê¸´ 작품, 그리고 ê·¸ì˜ ë’¤ë¥¼ ì´ì–´ ê¶ì¤‘장ì‹í™”ì˜ ë§¥ì„ ì´ì–´ê°ˆ 현대 í™”ì›ë“¤ì´ 굳건히 ìžë¦¬ë¥¼ 지키고 있ìŒì— ê°ì‚¬í•  따름ì´ë‹¤.


예창회 회ì›ë“¤
(ì „ì²´ 명단: 김미옥(회장), ê°•ë•ìž, 권숙란, ê¹€ìƒìœ¤, 김지현, ë°•ì„ í™”, 박순임, ì†ì¸í™˜, 신언복, ì´ê²½ìž, ì´ì •옥, 임화숙, 장복금, 장혜정, 정미옥, ì¡°ì€ë¯¸, 최ì¸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